KR100679464B1 -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464B1
KR100679464B1 KR1020020064578A KR20020064578A KR100679464B1 KR 100679464 B1 KR100679464 B1 KR 100679464B1 KR 1020020064578 A KR1020020064578 A KR 1020020064578A KR 20020064578 A KR20020064578 A KR 20020064578A KR 100679464 B1 KR100679464 B1 KR 100679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vehicle
towing
fram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435A (ko
Inventor
남궁민우
남궁동우
Original Assignee
남궁민우
남궁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민우, 남궁동우 filed Critical 남궁민우
Priority to KR1020020064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4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B60D1/46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comprising a lifting mechanism, e.g. for coupling while l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suspended by wires, chains or the like from horizontal rails, e.g. the rails forming part of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법 주정차량 및 고장차량의 견인과 파레트화된 적재물의 적재를 위한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견인 대상차량의 측면에서 리프팅한 후, 이렇게 리프팅한 상태 그대로 견인차량 위에 이송시켜 견인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또 파레트화된 적재물을 측면으로 들어올려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법 주정차량의 견인조치를 위해 행해지는 사이드 브레이크 해제작업 등을 하지 않고도 신속한 견인조치를 할 수 있고, 또한 견인 대상차량의 주변으로 전후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도 견인조치를 할 수 있어 불법 주정차량에 대한 단속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적재물 운반용으로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견인 및 운반의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특장차량, 견인, 적재, 측면 리프팅, 승하강부, 리프팅부, 이송부

Description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Lifting apparatus for special- purpose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견인방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승하강/수납인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리프팅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리프팅시 승강판의 훅이 홀더블럭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에서 승하강/수납인출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에서 리프팅부를 인출하여 견인 대상차량을 리프팅하기 위한 준비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일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에서 리프팅부를 이용하여 견인 대상차량을 상부로 리프팅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에서 이송부를 이용하여 견인 대상차량을 견인차량 위에 이송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린더 수용홈 11 : 가이드 튜브
12 : 실린더 지지대 13 : 가이드 레일
14 : 지지대 15 : 지지틀
16 : 지지발 17 : 승하강용 실린더
18 : 리프팅 프레임 19 : 수납인출용 실린더
20 : 바퀴 21 : 승강대
22 : 리프팅바 23 : 리프팅 실린더
24 : 훅 25 : 승강판
26 : 안착대 27 : 안착대 베이스
28 : 홀더블럭 29 : 체인 컨베이어
30 : 이송용 모터 31 : 가이드용 실린더
32 : 가이드용 롤러 33 : 롤러 가이드
34 : 보조 리프팅바 35 : 보조 리프팅 실린더
36 : 구름용 롤러 37 : 걸림홈
38 : 스톱퍼 39 : 블럭바
본 발명은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 대상차량의 측면을 이용하여 리프팅한 후 이렇게 리프팅한 상태 그대로 견인차량 위에 이송시켜 견인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차량 리프팅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견인 대상차량에 대한 여러 견인조치를 취하지 않고도 신속한 견인이 가능하고, 전후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견인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불법 주정차량에 대한 단속력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사용목적에 따라 적재물 운반용으로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견인 및 운반의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량이란 특수한 기능의 장치를 갖춘 차량으로서, 이러한 차량에는 츄레라, 크레인차량, 견인차량 등이 있다.
상기 특장 차량 중 견인차량은 불법 주정차량 및 고장차량을 운반하기 위한 차량으로서, 불법 주정차량을 단속하거나 또는 고장으로 인한 견인 대상차량을 견인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견인차량을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량 또는 고장차량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L)의 가장자리 구역에 일렬로 불법 주차되어 있는 차량이나 고장으로 인한 견인 대상차량(2)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을 견인차량(1)의 삼각대와 크레인장치를 이용하여 들어올린 후, 견인조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견인조치를 하기 위해서는 바퀴의 고정을 해제하여야 하는데, 주차된 견인 대상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해 견인차량의 운전자가 주차된 견인 대상차량의 도어를 개방한 후, 사이드 브레이크를 해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견인차량의 운전자가 임의로 견인 대상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행하여지는 방법은 견인 대상차량에 흠집이나 도어록의 파손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이 않되어 사이드 브레이크를 해제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불법 주차된 차량을 그대로 방치할 수 밖에 없는 단속의 한계가 있다.
또한, 견인조치를 하기 위해서는 견인 대상차량의 앞부분이나 뒷부분에 견인조치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는데, 대부분 충분한 공간확보가 어려워 견인조치에 애를 먹는 경우가 많이 있고, 그렇치 아니할 경우 견인 대상차량의 측면에서 견인조치를 해야 하는데, 이는 다른 차량의 운행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사고의 위험성도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특장차량 중 크레인이 설치된 크레인차량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크레인이 설치되는 공간만큼을 뺀 나머지 공간 내에 적재물을 적재해야 하므로 적재함의 적재용량이 다른 동급의 운반차량보다 적은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지게차량과 같이 적재 보조의 목적으로는 적절한 차량이기는 하나, 운반 목적차량으로는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견인 대상차량의 측면에서 리프팅한 후, 이렇게 리프팅한 상태 그대로 견인차량 위에 이송시켜 견인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또 파레트화된 적재물을 측면으로 들어올려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법 주정차량의 견인조치를 위해 행해지는 사이드 브레이크 해제작업 등을 하지 않고도 신속한 견인조치를 할 수 있고, 또한 견인 대상차량의 주변으로 전후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도 견인조치를 할 수 있어 불법 주정차량에 대한 단속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적재물 운반용으로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견인 및 운반의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의 실린더 수용홈 및 한쪽 측면의 나란한 가이드 튜브를 갖고 있으며 차량 보디 프레임의 양측면에서 일정길이 하방 수직연장되는 4개의 실린더 지지대와, 적어도 나란한 2개의 가이드 레일을 갖는 "ㄷ"자각틀 구조로 되어 있으며 4곳의 각 모퉁이에서 상방 수직연장되면서 상기 가이드 튜브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각각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상하 위치이동가능한 지지틀과, 로드 끝에는 접지가능한 지지발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실린더 지지대 내에 설치되어 지지발과의 연결구조를 통해 지지틀 전체를 위아래로 움직여주는 승하강용 실린더와, 상기 지지틀 내에서 차량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 로드에 연결되는 리프팅 프레임 전체를 수납시키거나 인출시키는 적어도 2개의 수납인출용 실린더로 구성되는 승하강/수납인출부와, 양쪽 측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6개의 바퀴를 이용하여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틀의 양쪽 가이드 레일로부터 인출되거나 그 속으로 수납가능한 리프팅 프레임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상에 지지되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2세트로 되어 있으며 차량 또는 적재물이 얹혀지는 상부의 승강대을 올려주거나 내려주기 위해 링크운동을 수행하는 "X"자형 리프팅바 및 이것을 움직여주는 리프팅 실린더와, 상기 양쪽의 승강대 및 그 사이를 덮으면서 적층 배치되며 선단의 훅을 견인수단으로 하여 차량 또는 적재물과 함께 차량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승강판으로 구성되는 리프팅부와, 견인 대상차량이 최종 놓여지는 곳으로 보디 프레임 위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차량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안착대를 갖는 안착대 베이스와, 상기 승강판의 훅을 걸어줄 수 있는 한쌍의 홀더블럭을 갖고 있으며 상기 안착대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차량 또는 적재함을 포함하는 승강판 전체를 차량 적재함 위로 이송시켜주는 체인 컨베이어 및 컨베이어 구동을 위한 이송용 모터로 구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부는 리프팅 프레임상에 수직 지지되고 승강대의 선단부를 관통하여 승강대 상승시 함께 로드가 신장되면서 승강대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용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부는 승강대의 선단에 장착되는 가이드용 롤러와 안착대 베이스상에 지지되면서 가이드용 롤러를 수용하는 2개의 나란한 롤러 가이드로 구성되어 리프팅시 흔들림을 잡아주는 리프팅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보디 프레임상에 지지되면서 컨베이어 및 안착대 베이스 전체의 높이를 가변시켜주는 한쌍의 "X"자형 보조 리프팅바 및 보조 리프링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부의 승강대와 상기 이송부의 안착대에는 승강판의 원활한 이송을 안내하는 구름용 롤러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보디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는 견인 대상차량을 견인차량측으로 탑재하기 위한 이송부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견인 대상차량을 일정한 높이까지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부와 이것을 지면에 안착시키고 또 견인차량 외측으로 인출 또는 수납시키기 위한 승하강/수납인출부가 설치된다.
따라서, 견인차량을 견인 대상차량의 측면쪽에 나란히 근접시킨 상태에서 승하강/수납인출부의 작동을 통해 리프팅부를 지면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견인 대상차량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면서 견인차량의 저부로 위치시키고, 리프팅부의 작동을 통해 견인 대상차량을 견인차량의 높이까지 리프팅한 다음, 이송부의 작동을 통해 일정한 높이까지 리프팅되어 있는 견인 대상차량을 견인차량 위에 탑재하는 것으로 견인 대상차량에 대한 견인조치를 완료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승하강/수납인출부, 리프팅부 및 이송부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승하강/수납인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 프레임(100)의 차량 길이방향 부재 양측면에는 4개의 실린더 지지대(12)를 프레임과의 일체식으로 수직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 지지대(12)의 내측 실린더 수용홈(10)에는 승하강용 실린더(17)를 설치한다.
이때의 상기 승하강용 실린더(17)는 견인작업시 리프팅부를 지면으로 내려주거나 견인작업 후 리프팅부를 보디 프레임(100)측으로 들어 올려놓는 수단으로서, 로드를 아래쪽으로 하여 설치하면서 로드에는 지지발(16)을 장착하고, 실린더 전진동작시 지지발(16)이 지면에 닿게 하여 4곳의 안정된 지지점을 확보한다.
상기 승하강용 실린더(17)는 실린더 수용홈(10) 내에서 후단 핀지지구조로 설치하여 지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작동시의 흔들림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 지지대(12)의 한쪽 측면에는 상하 관통되는 형태의 가이드 튜브(11)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이곳을 통해 후술하는 지지틀(15)의 상승 및 하강동작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리프팅부를 받쳐주는 지지틀(15)은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ㄷ"자틀 구조로 제작하고, "ㄷ"자틀 4곳의 모퉁이에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4개의 지지대(14)을 구비하여 이것으로 실린더 지지대(12)의 가이드 튜브(11) 내에 조립되게 한다.
상기 지지틀(15)의 3변 중에서 차량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나란한 2변은 가이드 레일(13)로 구성하고, 이곳을 따라 리프팅부의 리프팅 프레임(18)이 갖는 바퀴(20)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디 프레임(100)으로부터 리프팅부를 인출하거나 재차 수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틀(15)은 승하강용 실린더(17)의 각 지지발(16)과 4곳에서 결합시켜 실린더 동작시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용 실린더(17)를 아래로 전진시키면 지지틀(15) 전체는 아래로 내려오면서 지면에 놓여지고, 위로 후진시키면 지지틀(15) 전체는 위로 올라가면서 보디 프레임(100)측에 근접되게 뜬 상태를 유지하며 있게 된다.
리프팅부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한 구동수단의 역할은 도 2에서와 같이 2개의 수납인출용 실린더(19)가 한다.
상기 수납인출용 실린더(19)는 지지틀(15)의 내측에서 로드측을 리프팅부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면서 양편 가이드 레일(13)과 나란하게 배치하고, 후단을 지지틀(15)상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로드는 리프팅부의 리프팅 프레임(18)에 연결하여 수납인출용 실린더(19)의 동작과 함께 리프팅 프레임(18) 전체가 보디 프레임(10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인출 또는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수납인출용 실린더(19)의 로드 선단은 리프팅 프레임(18)의 인출방향 선단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리프팅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팅부는 견인 대상차량을 일정한 높이까지 리프팅시켜주는 수단이며, 미사용시에는 보디 프레임(100)의 저부에 위치되어 있다가 견인작업시에는 보디 프레임(100)측에서 견인 차량의 외측으로 나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본체가 되는 리프팅 프레임(18)은 양측면에 적어도 3개씩의 바퀴(20)를 갖는 사각틀 구조를 기본으로 하며, 양편에는 승하강 동작을 위한 2세트의 "X"자형의 리프팅바(22), 리프팅 실린더(23), 승강대(21)를 갖는다.
상기 "X"자형의 리프팅바(22)는 2개의 부재를 중심에서 크로스 핀결합하여 제작한 링크수단으로서, 리프팅 프레임(18)측의 2개의 지지점 중 전방의 지지점만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아래로 접혀지거나 위로 세워지면서 전체적인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프팅 실린더(23)는 리프팅 프레임(18)측에 후단에 지지시키고 경사진 자세로 로드를 리프팅바(22)에 연결하여 리프팅 실린더(23)의 동작으로 리프팅바(22)의 높이를 가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대(21)는 리프팅바(22)의 각 상단에 얹혀지는 부재로서, 양쪽의 2개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견인 대상차량의 하측 2곳을 안정적으로 떠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양쪽의 승강대(21) 사이를 마감하면서 그 위에는 승강판(25)을 배치하고, 이것으로 그 위에 놓여지는 견인 대상차량을 직접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판(25)의 선단부는 폭 중앙부위를 ㄷ자형으로 절개하여 후술하는 이송부의 체인 컨베이어(29)측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고, 절개부위의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훅(24)을 장착하여 이곳으로 체인 컨베이어(29)측과 결속 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승강대(21)의 윗면에는 부재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줄의 구름용 롤러(36)를 설치하여 승강대(21) 위에서 접촉하는 승강판(25)의 미끄러짐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개의 구름용 롤러(36)들은 승강대(21) 윗면보다 약간 돌출되는 정도로 위치를 잡고,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승강판(25)의 이동시 초기부터 끝까지 원활한 구름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리프팅시 견인 대상차량의 하중 등으로 인한 리프팅부 전체의 흔들림 등을 잡아주기 위하여 2개의 가이드수단을 제공한다.
1개의 가이드수단은 가이드용 실린더(31)로서, 리프팅 프레임(18)상의 후단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로드측을 승강대(21)와 승강판(25)의 각 후단부위를 차례로 관통시키는 구조로 설치한다.
이에 따라, 리프팅 실린더(23)의 동작에 의한 리프팅바(22)의 링크작용으로 견인 대상차량을 포함하는 승강대(21) 및 승강판(25)이 상승하면, 이와 동시에 가이드용 실린더(31)도 함께 동작하면서, 즉 길이가 늘어나면서 승강대(21) 및 승강판(25)의 상승방향을 2곳에서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다른 1개의 가이드 수단은 가이드용 롤러(32) 및 롤러 가이드(33)이다.
상기 가이드용 롤러(32)는 각 승강대(21)의 후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롤러 가이드(33)는 이송부의 안착대 베이스(27)상에 일정간격, 예를 들면 각 승강대(21)에 있는 가이드용 롤러(32)에 일대일 배속될 수 있는 간격으로 수직 장착한 다.
이에 따라, 승강대(21)의 리프팅시 가이드용 롤러(32)는 롤러 가이드(33) 내에서 함께 굴러가게 되므로 리프팅시 흔들림 등을 잡아줄 수 있다.
이때의 롤러 가이드(33)는 이송부의 안착대 베이스(27)가 유동적인 구조인 관계로 길이를 보상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여 그 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 대상차량의 탑재를 위한 안착대 베이스(27)는 보디 프레임(100) 내에 수용되는 구조로 설치하고, 안착대 베이스(27) 위에는 프레임 폭방향으로 2개의 나란한 안착대(26)를 설치하여 이곳에 견인 대상차량을 받치고 있는 승강판(25)을 이동시켜 안착시키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안착대(26)의 폭은 상기 승강대(21) 위의 승강판(25)이 안착대(26)측으로 이송될 때,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송되도록 승강대(21)의 폭과 일치되게 한다.
이러한 안착대(26)에도 승강판(25)의 원활한 진행유도를 위한 적어도 2줄씩의 구름용 롤러(36)를 설치한다.
견인 대상차량 및 승강판(25) 전체를 견인차량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 체인 컨베이어(29)와 이송용 모터(30)를 제공한다.
상기 체인 컨베이어(29)는 양쪽의 안착대(26) 사이에서 이와 나란하게 배치시키면서 안착대 베이스(27)상에 지지되게 하고, 한쪽의 구동 스프로킷에 이송용 모터(30)의 축을 연결하여 모터 구동과 함께 체인 컨베이어(29)가 가동될 수 있도록 한다.
체인 컨베이어(29)의 양쪽 체인에는 승강판(25)을 잡아 끌어올 수 있는 홀더블럭(28)을 설치하고, 양편의 홀더블럭(28)은 체인을 가로지르는 블럭바(39)로 일체 연결하여 승강판(25)의 양쪽을 균형있게 끌어줄 수 있도록 한다.
홀더블럭(28)과 승강판(25)의 훅(24)은 도 6과 같이 홀더블럭(28)에 상하 관통하는 걸림홈(37)을 형성하여 승강판(25)이 소정의 위치까지 상승하면 저절로 밑에서부터 끼워지면서 결속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견인 대상차량의 차종에 따라 견인차량 내의 탑재높이를 달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다양한 높이를 갖는 여러 견인 대상차량에 알맞게 탑재높이를 조절하여 차종에 관계없이 거의 대부분의 차량을 견인조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안착대 베이스(27)의 저부에 2세트의 조합형 보조 리프팅바(34) 및 보조 리프팅 실린더(35)를 설치한다.
이때의 보조 리프팅바(34)는 리프팅부의 리프팅바(22)와 동일한 구조의 것을 적용하여 보조 리프팅 실린더(35)의 동작과 함께 링크운동을 통한 안착대 베이스(27) 전체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인 컨베이어(29)의 선단부에는 홀더블럭(28)의 초기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스톱퍼(38)를 홀더블럭(28)의 블럭바(39)를 단속하는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체인 컨베이어(29)의 구동을 통한 홀더블럭(28)의 초기위치를 용이하게 세 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견인차량의 보디 프레임(100)에 설치된 리프팅장치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량이나 고장으로 인한 견인 대상차량의 견인 또는 파레트화된 적재물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 대상차량(2)의 측면에 견인차량을 정차시킨 후, 견인 대상차량의 크기에 따라 보조 리프팅 실린더(35) 및 보조 리프팅바(34)를 통해 이송시 견인 대상차량의 프레임(100)상에 견인 대상차량의 바퀴가 걸리지 않도록 안착대 베이스(27)를 소정 높이까지 승강시킨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수납인출부의 승하강용 실린더(17)를 작동시키면, 로드가 인출되면서 그 끝에 있는 지지발(16)이 지면에 닿게 되고, 이와 함께 지지발(16)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틀(15) 전체도 가이드 튜브(11) 및 지지대(14) 간의 안내를 받으면서 아래로 내려와 지면에 놓이게 된다.
계속해서, 수납인출용 실린더(19)를 작동시키면, 로드가 인출되면서 그 끝에 연결되어 있는 리프팅 프레임(18) 전체가 양쪽 가이드 레일(13)에 의한 안내를 받는 바퀴(20)를 이용하여 보디 프레임(100)의 저부로부터 바깥으로 인출되고, 가이드 레일(13)을 빠져나온 바퀴(20)는 이때부터 지면을 타고 굴러가면서 최대한 인출된 상태에서 견인 대상차량(2)의 저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11과 같이 상기 리프팅 프레임(18) 후단의 가이드용 롤러(32)는 롤러 가이드(33)와 승강판(25)의 훅(24)은 홀더블럭(28)의 걸림홈(37)과 상하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렇게 리프팅부가 견인 대상차량의 저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스위치를 조작하여 리프팅 실린더(23)를 작동시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편의 "X"자형 리프팅바(22)가 바로 세워지면서 승강대(21) 및 승강판(25)이 상부로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승강판(25)의 견인 대상차량(2)도 함께 상부로 리프팅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용 실린더(31)도 함께 작동되면서 소정 높이, 즉 안착대(26)의 높이보다 낮게 연장되어 견인 대상차량을 포함하는 승강대(21) 및 승강판(25) 전체를 홀을 통해 안내하게 되고, 또한 가이드용 롤러(32)도 롤러 가이드(33) 내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안내를 받게 되므로, 견인 대상차량(2)은 흔들림이나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리프팅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견인 대상차량이 소정의 높이까지 승강되면, 승강판(25)에 있는 훅(24)이 체인 컨베이어(29)의 홀더블럭(28)에 있는 걸림홈(37) 내에 곧바로 삽입되면서 차량 폭방향으로의 걸림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재차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이송용 모터(30)를 작동시키면, 체인 컨베이어(29)의 구동에 따라 견인 대상차량(2) 및 견인 대상차량을 받치고 있는 승강판(25)이 훅(24)과 홀더블럭(28) 간의 걸림구조에 의해 당겨지면서 견인차량측으로 이송되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대 베이스(27)상의 안착대(26) 위까지 정확히 이동된다.
이때의 승강판(25)은 승강대(21) 및 안착대(26)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구름용 롤러(36)에 의한 진행 안내를 받게 되므로, 승강판(25) 및 견인 대상차량 전체가 무리없이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견인 대상차량이 견인차량의 보디 프레임 상부로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스위치 조작에 의한 보조 리프팅 실린더(35) 및 보조 리프팅바(34)을 통해 견인 대상차량이 탑재되어 있는 안착대 베이스(27)가 하강되고, 견인 대상차량의 바퀴가 보디 프레임 위에 놓여짐과 동시에 승강판(25)도 견인 대상차량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지금까지 작동된 것의 역순을 이용하여 리프팅부 및 승하강/수납인출부 전체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면 견인조치가 완료된다.
위의 설명은 견인 대상차량에 한정지어 설명한 것이고, 파레트화된 적재물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적재하여 운반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견인 대상차량의 측면에서 리프팅한 후, 이렇게 리프팅한 상태 그대로 견인차량 위에 이송시켜 견인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파레트화된 적재물을 측면으로 들어올려 적재할 수 있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불법 주정차량의 견인조치를 위해 행해지는 사이드 브레이크 해제작업 등을 하지 않고도 신속한 견인조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견인 대상차량의 주변으로 전후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도 견인조치를 할 수 있어 불법 주정차량에 대한 단속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적재물 운반용으로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견인 및 운반의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승하강/수납인출부, 리프팅부, 이송부를 가지며 피견인차량의 측면에서 차량을 승하강 리프팅시키고 이송하는 방법으로 차량의 하부를 지지하여 견인차량의 상부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내부의 실린더 수용홈(10) 및 한쪽 측면의 나란한 가이드 튜브(11)를 갖고 있으며 차량 보디 프레임(100)의 양측면에서 일정길이 하방 수직연장되는 4개의 실린더 지지대(12)와, 적어도 나란한 2개의 가이드 레일(13)을 갖는 "ㄷ"자틀 구조로 되어 있으며 4곳의 각 모퉁이에서 상방 수직연장되면서 상기 가이드 튜브(11)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각각의 지지대(14)를 이용하여 상하 위치이동가능한 지지틀(15)과, 로드 끝에는 접지가능한 지지발(16)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실린더 지지대(12) 내에 설치되어 지지발(16)과의 연결구조를 통해 지지틀(15) 전체를 위아래로 움직여주는 승하강용 실린더(17)와, 상기 지지틀(15) 내에서 차량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 로드에 연결되는 리프팅 프레임(18) 전체를 수납시키거나 인출시키는 적어도 2개의 수납인출용 실린더(19)로 구성되는 승하강/수납인출부;
    양쪽 측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6개의 바퀴(20)를 이용하여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틀(15)의 양쪽 가이드 레일(13)로부터 인출되거나 그 속으로 수납가능한 리프팅 프레임(18)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18)상에 지지되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2세트로 되어 있으며 차량 또는 적재물이 얹혀지는 상부의 승강대(21)을 올려주거나 내려주기 위해 링크운동을 수행하는 "X"자형 리프팅바(22) 및 이것을 움직여주는 리프팅 실린더(23)와, 상기 양쪽의 승강대(21) 및 그 사이를 덮으면서 적층 배치되며 선단의 훅(24)을 견인수단으로 하여 차량 또는 적재물과 함께 차량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승강판(25)으로 구성되는 리프팅부;
    견인 대상차량이 최종 놓여지는 곳으로 보디 프레임(100) 위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차량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안착대(26)를 갖는 안착대 베이스(27)와, 상기 승강판(25)의 훅(24)을 걸어줄 수 있는 한쌍의 홀더블럭(28)을 갖고 있으며 상기 안착대(26)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차량 또는 적재함을 포함하는 승강판(25) 전체를 차량 적재함 위로 이송시켜주는 체인 컨베이어(29) 및 컨베이어 구동을 위한 이송용 모터(30)로 구성되는 이송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리프팅 프레임(18)상에 수직 지지되고 승강대(21)의 선단부를 관통하여 승강대(21) 상승시 함께 로드가 신장되면서 승강대(21)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용 실린더(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승강대(21)의 선단에 장착되는 가이드용 롤러(32)와 안착대 베이스(27)상에 지지되면서 가이드용 롤러(32)를 수용하는 2개의 나란한 롤러 가이드(33)로 구성되어 리프팅시 흔들림을 잡아주는 리프팅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보디 프레임(100)상에 지지되면서 컨베이어 및 안착대 베이스(27) 전체의 높이를 가변시켜주는 한쌍의 "X"자형 보조 리프팅바(34) 및 보조 리프링 실린더(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5. 제 1, 2,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의 승강대(21)와 상기 이송부의 안착대(26)에는 승강판(25)의 원활한 이송을 안내하는 구름용 롤러(36)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KR1020020064578A 2002-10-22 2002-10-22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KR100679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578A KR100679464B1 (ko) 2002-10-22 2002-10-22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578A KR100679464B1 (ko) 2002-10-22 2002-10-22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435A KR20040035435A (ko) 2004-04-29
KR100679464B1 true KR100679464B1 (ko) 2007-02-09

Family

ID=3733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578A KR100679464B1 (ko) 2002-10-22 2002-10-22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708B1 (ko) * 2008-10-24 2009-02-06 공준식 맨웨이 커버용 리프트
CN108327058A (zh) * 2018-04-18 2018-07-27 唐山贺祥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大面盆成型机气动升降取坯车
CN113697001A (zh) * 2021-08-31 2021-11-26 武汉铁路职业技术学院 共享搬运车
CN114769924B (zh) * 2022-04-25 2024-01-23 陕西兴龙人防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人防门门框加工用焊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709Y1 (ko) * 2002-03-13 2002-07-13 수성특장 주식회사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709Y1 (ko) * 2002-03-13 2002-07-13 수성특장 주식회사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435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0707B2 (ja) リフトスォーク式荷役装置
US49195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utomobiles into a cargo container
US8306706B2 (en) Storage container loading/unload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KR100940889B1 (ko)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CA200662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motor vehicles from lightweight sleeves which are carried in standard cargo containers
EP0164387A1 (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GOODS ARRANGED ON PALLETS.
US20030147734A1 (en) Goods handling system
KR100679464B1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GB2183619A (en) Multilevel parking garage
JP3522021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3912785B2 (ja) 立体自動倉庫の入出庫装置
JP3050678U (ja) フォーク移動式荷役装置
JP3439720B2 (ja) 鶏ケージリフター
JPH07172736A (ja) 積み降ろし装置を備える工事用昇降機
JP3046163U (ja) 物品収納棚
JP4258059B2 (ja) 倉庫設備における入出庫台車装置
JP2002362213A (ja) 車両用荷役装置
JP4335792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H1111365A (ja) 駐輪装置における自転車定位置保持機構およびパレット上の自転車受払駆動機構
CN114148725A (zh) 一种床垫转运装置及使用方法
EP1498308A1 (en) Goods handling system
CN112978412A (zh) 装车装置
JPS5820844B2 (ja) コンパクタ・コンテナ式塵芥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コンテナ移送装置
JPH0540008Y2 (ko)
CN106364941B (zh) 长重组件存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628

Effective date: 2006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