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088B1 -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088B1
KR101643088B1 KR1020150033323A KR20150033323A KR101643088B1 KR 101643088 B1 KR101643088 B1 KR 101643088B1 KR 1020150033323 A KR1020150033323 A KR 1020150033323A KR 20150033323 A KR20150033323 A KR 20150033323A KR 101643088 B1 KR101643088 B1 KR 101643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upport
support frame
cover
sliding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종
Original Assignee
김홍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종 filed Critical 김홍종
Priority to KR102015003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가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커버장치로 인하여 크레인 작업이 곤란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커버 시트가 전후방 지지프레임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들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바들의 슬라이딩에 따라서 간편하게 커버 시트를 접철할 수 있는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COVER APPARATUS FOR CARGO BOX OF FREIGHT CAR}
본 발명은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 및 유지 보수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고 크레인 작업도 가능한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의 후방에는 적재함이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 후에는 화물의 흔들림이나 이탈 등을 방지하고, 우천 시에 화물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커버를 씌우고 있다.
종래의 모든 화물차량 적재함의 커버장치는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첫 번째 윙바디로 독수리 날개처럼 상하로 움직이는 커버 형식으로서, 철재로 되어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져 뒷문은 여닫이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러한 커버장치는 작동 반경이 넓어 좁은 공간에서 사용은 곤란하고 설치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두 번째는, 탑차로 철판과 철재로 상부 및 측면을 완전히 밀폐시켜 놓고 옆문이나 뒷문을 열도록 구성된 유형이지만, 이러한 유형의 커버장치는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지 못하여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던 문제점이 있고, 지게차를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세 번째는, 국내 특허 제14363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트럭 적재함의 양 사이드 측벽의 상단 외측에 가이드 빔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빔의 상면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접히거나 전개되는 다수 개의 폴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로 구비된 각 폴딩 프레임들 사이로는 힌지에 의해서 연결된 폴딩되는 링크 부재가 설치되어, 폴딩 프레임들을 전후진시켜 개폐시키는 커버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커버장치는 측면을 열 수 없으며, 폴딩 프레임과 천막이 분리되어 폴딩 프레임은 폴딩 프레임대로 접거나 펼쳐야 하고, 그 위에 천막을 치거나 걷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커버장치들은 화물의 적재나 하역은 편리해진 측면이 있으나,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육중하여 제조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운행비를 증가시키고, 사용도 용이하지 아니하며 고장이 발생하기 쉽고 관리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적재함의 크레인을 이용해서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원가 및 유지 보수비용이 저렴하고, 접철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한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서리마다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
화물차량의 전방 좌우 한 쌍의 수직 지지대들과 연결되어, 적재함 위에 적재함의 측면 및 상단에 덮여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전방 지지프레임;
화물차량의 후방 좌우 한 쌍의 수직 지지대들과 연결되어, 적재함 위에 적재함의 측면 및 상단에 덮여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후방 지지프레임;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상기 후방 지지프레임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화물차량의 좌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바들: 및
상기 슬라이딩 바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삽입 형성되어 있는 커버 시트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 시트에 내장된 슬라이딩 바들이 상기 전후방 지지프레임 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서 커버 시트가 접철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에 의하면,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커버로 덮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커버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적재함의 상부로 크레인 작업을 할 수 있어, 크레인에 의해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하여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는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 및 유지 보수비용이 저렴하고, 기존의 적재함 커버 장치에 비해서 중량 감소가 가능하므로, 화물 차량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화물차량에 장착해서 운행 시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는 슬라이딩 바들이 커버 시트에 내장되어, 프레임과 커버 시트를 별도로 설치 및 조작해야 하는 불편이 없고, 기존의 장치와 달리 모터 등의 별도의 구동수단이 없어도 손쉽게 커버장치를 접철할 수 있어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럭 적재함 커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3a-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의 수직지지대와 지지프레임 사이의 연결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의 커버 시트와 슬라이딩 바 사이의 연결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에서 지지프레임과 슬라이딩 바의 연결 방식의 하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의 간격유지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3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의 수직지지대와 지지프레임 사이의 연결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의 커버 시트와 슬라이딩 바 사이의 연결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에서 지지프레임과 슬라이딩 바의 연결 방식의 하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100)는 적재함의 플로어에 설치된 전후방 각 한 쌍의 수직 지지대(110, 110'), 전방의 한 쌍의 좌우 수직 지지대(120)에 고정된 전방 지지프레임(120), 후방의 한 쌍의 좌우 수직 지지대(110')에 고정된 후방 지지프레임(130), 상기 전, 후방 지지프레임 (120, 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바들(140), 및 슬라이딩 바들(140)이 내설된 커버 시트(15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100)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서리마다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110); 화물차량의 전방 좌우 한 쌍의 수직 지지대들(110)과 연결되어, 적재함 위에 적재함의 측면 및 상단에 덮여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전방 지지프레임(120); 화물차량의 후방 좌우 한 쌍의 수직 지지대들(110')과 연결되어, 적재함 위에 적재함의 측면 및 상단에 덮여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후방 지지프레임(130);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후방 지지프레임(130)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화물차량의 좌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바들(140): 상기 슬라이딩 바들(14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삽입 형성되어 있는 상기 화물차량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시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 시트(150)에 내장된 슬라이딩 바들(140)이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 (120, 130) 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됨에 따라서 커버 시트(150)가 접철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 지지대들(110)은 적재함(11)의 각 모서리에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화물차량의 적재함(11)의 상단에 설치되는 전후방 지지프레임들(120, 130)을 지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수직 지지대들(110)은 앵글, 원형 파이프, 각파이프 또는 흄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 지지대들(110)의 상단에는 전방 지지프레임 (120) 및 후방 지지프레임(130)이 고정된다. 화물차량의 적재함의 전방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 (110) 사이에는 전방 지지프레임(120)이 고정되고, 적재함의 후방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110) 사이에는 후방 지지프레임(130)이 고정된다. 이러한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들(120, 130)은 최상단은 차량의 좌우 폭 방향으로 편평하게 수평 연장되고, 양단은 차량의 수직 방향 아래로 경사지게 절곡된다. 이와 같이 최상단부와 측면 사이에 선형 또는 곡선형 테이퍼부(123)를 형성함으로써 커버 시트(150)를 펼쳤을 때, 고정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커버 시트(150)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커버 시트(150)를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도 커버 시트(150)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들(120, 130)은 하나 이상의 관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들(120, 13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은 차량의 좌우 폭 방향으로 편평하게 수평 연장되고, 양단은 차량의 수직 방향 아래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상단 관형 부재(121)와, 이러한 상단 관형 부재(121)의 양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관형 부재(1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들(120, 130)을 구성하는 다수의 관형 부재들(121, 122)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립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110)와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 130)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직 지지대(110)와 지지프레임(120, 130)은 각종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커플러(coupler)나 커넥터(connecter)에 의해서 조립될 수 있다. 대안으로, 수직 지지대(110)와 지지프레임(120, 13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 130)의 단부에 단차를 가지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11)가 수지 지지대(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110)와 지지프레임(120, 130)은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홈을 구성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수직 지지대(110)와 전후방 지지프레임들(120, 130)은 분리된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설치 시에 서로 연결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 지지대(110)와 전후방 지지프레임들(120, 13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수직 지지대(110)와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 130)이 연결될 때, 수직 지지대(110)에는 베어링(125)이 구비되어 수직 지지대(110)와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 130)을 탄력성 있게 밀착시켜, 커버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돕고 지지프레임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수직 지지대(110)와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 1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의 화물차량 적재함 덮개장치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지지대(110)와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 130)은 하나의 ㄷ자형 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바(140)의 원활한 슬라이딩과 소음 방지를 위해서 슬라이딩 바(140)와 흄관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의 상단부(121)의 연결 부분에는 베어링(142)(예컨대, PVC 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수직 지지대(110)와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 130) 사이의 경사부는 선형 경사부(1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 상에는 슬라이딩 바(140)의 이동을 원하는 위치로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16)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지지대(110)와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130)이 연결될 때,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장치(11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장치(112)에 의해서 화물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에 따라서 커버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장치(1120)는 지지대의 끝단에 수직 지지대(110)와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 130)의 상단 관형부재(121)의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수단, 일정한 길이마다 균등한 다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 130),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 130)의 걸림턱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수단 내에 장착되는 후크의 끝단부가 삽입가능하도록 수직 지지대(110)에 형성된 홀(hole)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에서 전후방 지지프레임(120, 130)과 슬라이딩 바들(140)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 (120, 130)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단에서 측면과 상단부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는 관형부재(121)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들(140)은 양 끝단에 지지프레임(120, 130)의 상단 관형부재(121) 상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링(14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바들(140)은 커버 시트(150) 내에 5개 내지 7개 정도 내설될 수 있다. 이러한 슬랑이딩 바들(140)은 철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스틸 등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들(140)은 커버 시트(15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 개 삽입되는데, 슬라이딩 바들(140)을 커버 시트(150)에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커버 시트(150)에서 슬라이딩 바(140)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보강대(151)가 접착되고, 슬라이딩 바(140)를 감싸서 상기 보강대(151)의 양 단부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보강대(151)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방법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퍼(152)로 연결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외에도 벨크로테이프나 끈, 스냅단추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슬라이딩 바들(140)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 바들(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유지 밴드(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유지밴드(160)는 슬라이딩 바(140)의 길이 방향으로 양 끝단과 중간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양 끝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간격유지밴드(160)는 직물, 플라스틱, 탄력밴드, 스프링, 끈 등 임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커버 시트(150)를 펼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바(140)들 사이의 간격을 최대로 넓게 유지하고, 커버 시트(150)가 접힌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바 (140)들 사이에 늘어져 있게 된다. 이러한 간격유재밴드(160)들은 슬라이딩 바 (140)들 사이의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커버 시트(150)의 날림 및 그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에서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20) 및 후방 지지프레임(130)의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바들(140)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안내 레일(121)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들(140)의 양 단부에는 상기 안내 레일 내에서 이동하는 롤러(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물 차량 적재함 커버 장치(100)는 커버 시트가 덮이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바의 위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스토퍼(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 바들(140)이 무거운 금속 파이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파이프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커버 시트(150)가 쉽게 벗겨지지 않아서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커버 시트 (150)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스토퍼를 지지프레임(120, 13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시트(150)를 완전히 한 쪽으로 접은 상태에서 커버 시트 (15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잠금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화물차량(10)의 좌우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장치가 차량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커버 시트(150)를 필요에 따라서 차량의 좌측에 접어 두거나, 차량의 우측에 접어두어 필요에 따라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시트(150)는 직물 또는 합성수지, 코프론샤, 타포린사와 같은 특수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에서는, 적재함의 상단 부분과 좌, 우측만 커버 시트(150)에 의해 은폐시키고, 화물차량의 후방 부분은 목재, 철판,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차단판(170)으로 밀폐시키거나 망상 구조체에 의해 밀폐시킬 수 있다. 커버 시트(150)는 최외곽 슬라이딩 바(140)까지 형성될 수도 있지만, 최외곽 슬라이딩 바(140) 보다 길게 형성되어, 적재함까지 충분히 덮을 정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100)는 커버 시트(150)를 감아올리기 위한 와인드업 롤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화물차량(10)의 커버 시트(150)가 감겨지는 와인더(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시트(150)는 수평 후방으로 연장되고, 최후방에 위치한 지지프레임(120, 130)에 위치한 고정부에 의하여 커버 시트(150)의 끝단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와인드 업 롤러장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펼쳐진 커버 시트(150)를 보다 편리하게 접기 위하여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와인더를 당기는 작업만으로 와이어가 슬라이딩 바(140)들이 내설된 커버 시트(150)를 당겨 일련의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를 거의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100)는 커버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량의 한 쪽 측면에 접어둘 수 있다. 커버장치를 씌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바들(140)이 내설되어 있는 커버 시트(150)를 차량의 다른 측면 쪽으로 당겨서 펼칠 수 있다. 커버 시트(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위치까지 내려서 사용하거나, 화물차량의 적재함(110)의 측벽(12)의 상단까지 완전히 내려서 사용할 수 있다. 커버장치를 펼쳐서 화물차량의 적재함을 덮은 상태에서는 우천 시에 화물이 비에 젖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이탈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커버장치의 사용 후 커버장치를 접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또는 와인더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바들(140)이 내설된 커버 시트(150)를 다시 차량의 반대쪽으로 접어서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바들(140)이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120, 130) 상에서 쉽게 슬라이딩 가능하기 때문에, 커버장치를 펼치거나 접는 동작을 쉽게 할 수 있고, 커버장치를 완전하게 접은 상태에서는 화물차량(10)의 적재함(11)의 상부 및 세 측면이 모두 개방되기 때문에 크레인을 이용한 적재 및 하역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에서는 수직 지지대와 지지프레임이 분리 구성되는 경우에는 적재함 커버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재되는 화물에 따라서 커버장치의 높이를 알맞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화물차 11: 적재함 12: 측벽
100: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
110: 수직 지지대 112: 높이조절장치
120: 전방 지지프레임 121: 안내 레일
130: 후방 지지프레임 140: 슬라이딩 바
141: 슬라이딩 링 143: 롤러
150: 커버 시트 151: 보강대
152: 고정수단(지퍼) 160: 간격유지밴드

Claims (7)

  1.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서리마다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
    화물차량의 전방 좌우 한 쌍의 수직 지지대들과 연결되어, 적재함 위에 적재함의 측면 및 상단에 덮여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전방 지지프레임;
    화물차량의 후방 좌우 한 쌍의 수직 지지대들과 연결되어, 적재함 위에 적재함의 측면 및 상단에 덮여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후방 지지프레임;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상기 후방 지지프레임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 상에서 화물차량의 좌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바들: 및
    상기 슬라이딩 바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삽입 형성되어 있는 커버 시트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 시트에 내장된 슬라이딩 바들이 상기 전후방 지지프레임 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됨에 따라서 커버 시트가 접철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 및 후방 지지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바들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안내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의 양 단부에는 상기 안내 레일 내에서 이동하는 롤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지지프레임들은 최상부는 편평하고, 양 측면은 수직으로 절곡되며, 최상단부와 측면 사이에는 선형 또는 곡선형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프레임들은 관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의 양 단부는 상기 전후방 지지프레임들의 관형 부재 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 바들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 바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유지 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와 전후방 지지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차량 적재함 커버 장치는 슬라이딩 바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 커버장치.

KR1020150033323A 2015-03-10 2015-03-10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101643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23A KR101643088B1 (ko) 2015-03-10 2015-03-10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23A KR101643088B1 (ko) 2015-03-10 2015-03-10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088B1 true KR101643088B1 (ko) 2016-07-26

Family

ID=5668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323A KR101643088B1 (ko) 2015-03-10 2015-03-10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0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291B1 (ko) 2016-10-10 2018-03-20 (주) 관우공영 수직 수평 도어
KR102143209B1 (ko) * 2020-02-17 2020-08-11 최운성 건축물 공사용 전천후 덮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076A (ko) * 2004-02-04 2005-08-09 전병진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KR20130047242A (ko) * 2011-10-31 2013-05-08 박준홍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076A (ko) * 2004-02-04 2005-08-09 전병진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KR20130047242A (ko) * 2011-10-31 2013-05-08 박준홍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291B1 (ko) 2016-10-10 2018-03-20 (주) 관우공영 수직 수평 도어
KR102143209B1 (ko) * 2020-02-17 2020-08-11 최운성 건축물 공사용 전천후 덮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589B1 (ko)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KR102073999B1 (ko)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US7063227B2 (en) Air cargo container
US5911467A (en) Retractable vehicle closure system
US20130106133A1 (en) Roll up pick-up truck box cover with lock down slats
US9944233B2 (en) Roof rack assembly and a vehicle
US9731640B1 (en) Mobile fall protection unit for flatbed platforms
US20180283031A1 (en) Retractable shelter
US11052828B2 (en) Cargo rack for trucks
US20120267913A1 (en) Vehcile topper that encloses the cargo bed of a vehicle such as a pickup truck, yet provides convenient open access thereto
CN107599955A (zh) 一种伸缩车辆篷布架
FI125768B (fi) Järjestely kuormatilan lastaamiseksi
US10464492B1 (en) Tonneau with cargo management basket
KR101643088B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100907667B1 (ko) 암롤 트럭의 적재함 덮개장치
KR101595310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101050394B1 (ko) 차량용 적재함 덮개
CN108791091A (zh) 用于机动车辆的货舱组件
EP2902228A1 (en) Closing system
KR101862561B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EP3085561B1 (en) Side panel construction for a curtain sided transport vehicle, a curtain sided transport vehicle and a method for loading/unloading said curtain sided transport vehicle
KR200482911Y1 (ko)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KR100895320B1 (ko) 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KR101703735B1 (ko) 적재함 커버장치
US20220410678A1 (en) Cover and retaining system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