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365B1 -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365B1
KR101549365B1 KR1020150004349A KR20150004349A KR101549365B1 KR 101549365 B1 KR101549365 B1 KR 101549365B1 KR 1020150004349 A KR1020150004349 A KR 1020150004349A KR 20150004349 A KR20150004349 A KR 20150004349A KR 101549365 B1 KR101549365 B1 KR 10154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ifting
moving
pow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신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이정신
이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신, 이영환 filed Critical 이정신
Priority to KR1020150004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suspended by wires, chains or the like from horizontal rails, e.g. the rails forming part of the vehicl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10)의 내부에서 화물을 이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의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20); 상기 레일(20) 상에 수용된 대차(32)에 주행구동기(35)를 연결하여 이동 동력을 부가하는 이동수단(30); 상기 대차(32)에 설치된 승강체(42)에 승강구동기(46)를 연결하여 승강 동력을 부가하는 승강수단(40); 및 상기 이동수단(30)과 승강수단(40)에 인가되는 동력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에어, 전기, 유압등으로 화물을 승강하고 이동하는 힘을 발생하여 편의성을 향상하고, 유선이나 무선의 제어방식을 기반으로 작업자가 원격 조정이 가능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Apparatus for moving container cargo}
본 발명은 적재함 내부의 화물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재함의 내부로 화물을 로딩하거나 외부로 화물을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대형의 트럭은 부피와 중량이 큰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넓은 적재함을 구비한다. 고중량 화물은 파레트 상에 지지되고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적재함의 후방 개구로 로딩 또는 언로딩된다. 그러나 화물을 적재함의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41966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50269호(선행문헌 2)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화물이송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2개의 종동축을 이용하여 수평이송판 상의 화물을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장치와,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수평이송판에 설치되고 실린더와 밸브를 이용하여 수직이송판 상의 화물을 수직으로 이송시키는 수직이송장치로 구성된다. 이에,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을 용이하고 화물의 적재 및 하역시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는 수평이송판의 상측에 수직이송판을 부가하여 설치 높이가 증대되므로 높이가 제한되는 상자형의 적재함에 적용하기 부적합하다.
선행문헌 2는 스케이트 바디, 스케이트 헤드, 작동링크, 캠을 포함하는 화물이동용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스케이트 헤드내에 피벗축을 지점으로 상기 캠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스케이트가 리프팅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 일측은 지지축에 지지된 채 타측이 스케이트 헤드 바닥면으로 돌출된다. 이에, 리프팅되는 스케이트 바디의 승강높이를 보다 향상시키고, 스토퍼로 스케이트를 순간적으로 정지시켜 안정성 향상을 기대한다.
이는 일명 조로다(joloda) 스케이트라고도 하며 작업자의 힘으로 레버를 사용하여 파레트의 화물을 리프팅한 상태로 끌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고중량 화물의 경우 작업자의 힘이 많이 소요되고, 힘을 주다 놓치는 경우 사고로 이어져 부상을 유발할 우려도 있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41966호 "화물차 적재함의 화물이송장치" (공개일자 : 1999. 6. 15.)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50269호 "컨테이너카의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 (공개일자 : 2007. 8. 1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에 의한 수동력이 아닌 차량에 탑재된 다양한 동력을 기반으로 이동력을 발생하고 작동용 레버 대신에 유공압실린더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화물을 승강하는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선이나 무선의 제어방식을 기반으로 작업자가 원격 조정이 가능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재함의 내부에서 화물을 이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 상에 수용된 대차에 주행구동기를 연결하여 이동 동력을 부가하는 이동수단; 상기 대차에 설치된 승강체에 승강구동기를 연결하여 승강 동력을 부가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과 승강수단에 인가되는 동력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이동수단은 와이어, 타이밍벨트, 래크-피니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견인부재를 주행구동기에 연결하여 대차의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승강수단은 적재함에 연결된 차량의 동력을 승강체에 인가하여 화물을 설정된 높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은 대차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여 동력라인을 풀거나 감도록 권취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제어기와 연계되는 터치스크린 또는 리모컨으로 작동을 입력하며, 차량의 과부하 발생시 승강수단을 오프하여 긴급제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에어, 전기, 유압 등으로 화물을 승강하고 이동하는 힘을 발생하여 편의성을 향상하고, 유선이나 무선의 제어방식을 기반으로 작업자가 원격 조정이 가능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를 후방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를 전방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연결된 적재함(10)의 내부에서 화물을 이동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화물차량은 냉동탑차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재함(10)은 상자형인 컨테이너 구조로서 후방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지닌다. 화물을 이동을 위해 차량의 에어, 전기, 유압 등을 사용하지만 별도의 외부 동력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 화물은 파레트(15)를 이용하여 적재함(10)에 로딩/언로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20)이 상기 적재함(10)의 바닥에 설치되는 구조이다. 레일(20)은 적재함(10)의 크기에 따라 1열 내지 3열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2열의 파레트(15)를 운용하기 위해 2열의 레일(20)을 구성하면서 각각의 레일(20)에 2개의 주행홈(22)을 형성함을 예시한다. 주행홈(22)은 작업자의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가급적 좁게 형성한다. 다만, 냉동탑차에 있어서 주행홈(22)은 냉기 흐름을 위한 최소한의 유로단면적을 유지해야 한다.
한편, 레일(20)은 2열의 주행홈(22) 사이에 별도의 보조홈(2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수단(30)이 상기 레일(20) 상에 수용된 대차(32)에 주행구동기(35)를 연결하여 이동 동력을 부가하는 구조이다. 대차(32)는 레일(20)에 형성된 주행홈(22)을 이용하여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대차(32)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내마모성을 지닌 다수의 주행롤러(33)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주행구동기(35)는 후술하는 것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대차(32)에 이동 동력을 부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이동수단(30)은 와이어, 타이밍벨트, 래크-피니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견인부재(37)를 주행구동기(35)에 연결하여 대차(32)의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견인부재(37)로서 다수의 안내롤러(38) 상으로 와이어를 적용한 상태를 예시한다. 이 경우 주행구동기(35)는 윈치등을 사용하여 견인부재(37)인 와이어를 일방향이나 타방향으로 당기며, 여기에 구동토크를 경감하기 위한 도르레 기구를 부가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대차(32)는 와이어에 결속된 상태로 주행구동기(35)의 작동에 의하여 레일(20) 상에서 이동한다.
도시에는 생략하나, 견인부재(37)로서 타이밍벨트를 사용한다면 주행구동기(35)는 타이밍벨트의 치형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지닌 모터로 구성한다. 타이밍벨트 방식은 전술한 와이어 방식과 구성적으로 유사하다. 견인부재(37)의 다른 예로서 레일(20)의 주행홈(22)에 래크를 설치하는 동시에 주행구동기(35)로서 대차(32)에 피니언과 모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래크-피니언 방식의 경우 안내롤러(38)를 배제한다.
한편, 적재함(10)에 2개의 레일(20)을 설치한 경우 주행구동기(35)는 적재함(10)의 전방에 집중적 또는 분산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주행구동기(35)를 양측의 레일(20)의 중앙에 집중하여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주행구동기(35)를 각각의 레일(20)에 분산하여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수단(40)이 상기 대차(32)에 설치된 승강체(42)에 승강구동기(46)를 연결하여 승강 동력을 부가하는 구조이다. 도 3은 대차(32)에 4개의 승강체(42)를 배치하고 적재함(10)의 전방에 승강구동기(46)를 배치한 상태를 예시한다. 승강체(42)는 화물이 탑재된 파레트(15)를 적재함(10)의 바닥에서 이격시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한다. 물론 도 4와 같이 4개의 승강체(42)의 상면에 하나의 승강판(43)을 두는 것이 승강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승강수단(40)은 적재함(10)에 연결된 차량의 동력을 승강체(42)에 인가하여 화물을 설정된 높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 적재함(10)을 운송하는 화물차량은 배터리를 비롯한 전기라인, 압축기를 비롯한 에어라인, 유압펌프를 비롯한 유압라인을 동력원으로 구비한다. 승강체(42)를 솔레노이드로 구성하는 경우 승강구동기(46)는 차량의 전원라인과 전력변환기(필요시)를 사용하고, 승강체(42)를 에어실린더로 구성하는 경우 승강구동기(46)는 차량의 에어라인과 밸브를 사용한다. 승강체(42)를 유압실린더로 구성하는 경우 승강구동기(46)는 차량의 유압라인과 밸브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40)은 대차(32)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여 동력라인(44)을 풀거나 감도록 권취릴(4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력라인(44)은 에어라인, 전기라인, 유압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호스 등을 의미한다. 승강체(42)와 승강구동기(46)에 연결되는 동력라인(44)은 레일(20)의 주행홈(22) 상에 배치되므로 엉킴이나 손상을 피하도록 대차(32)의 이동에 연동하여 길이가 가변되어야 한다. 도 3은 동력라인(44)을 주행홈(22)에 수용하고 견인부재(37)를 보조홈(25)에 수용한 상태를 예시한다. 권취릴(48)은 적재함(10)의 전방에 설치되고 항시 동력라인(44)을 권취하기 위한 힘을 작용한다.
한편, 적재함(10) 및 레일(2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권취릴(48) 대신 케이블 체인(도시 생략)을 적용할 수도 있다. 케이블 체인은 대차(32)의 위치에 연동하여 동력라인(44)을 굴곡지게 접철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50)이 상기 이동수단(30)과 승강수단(40)에 인가되는 동력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제어수단(50)은 적재함(10)의 전방에 장착과 탈착이 용이한 제어기(52)를 구비한다. 다만 작동의 편의를 위해 제어기(52)는 적재함(10)의 다른 위치에 분산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제어기(52)는 주행구동기(35)를 통하여 대차(32)를 이동시키고 승강구동기(46)를 통하여 승강체(42)를 승강시킨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제어기(52)와 연계되는 터치스크린(54) 또는 리모컨(56)으로 작동을 입력하며, 차량의 과부하 발생시 승강수단(40)을 오프하여 긴급제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선제어 방식에 있어서 제어기(52)는 주행구동기(35) 및 승강구동기(46)에 유선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제어기(52)의 터치스크린(54)을 통하여 화물의 이동을 수행한다. 무선제어 방식에 있어서 제어기(52)는 주행구동기(35) 및 승강구동기(46)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제어기(52)는 일정 위치에 고정하고 리모컨(56)을 이용하여 화물의 이동을 수행한다.
작동에 있어서, 화물이 탑재된 파레트(15)가 적재함(10)의 대차(32)가 로딩되면, 제어기(52)로 승강구동기(46)를 작동(온)하여 파레트(15)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고, 주행구동기(35)를 작동하여 파레트(15)를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킨 후에, 승강구동기(46)를 작동(오프)하여 파레트(15)를 내리고, 주행구동기(35)를 작용하여 파레트(15)를 적재함(10)의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어기(52)는 차량의 과부하를 판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안전성과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과부하 발생시 승강구동기(46)를 오프시키면 승강체(42)와 승강판(43)이 파레트(15)를 낙하시키므로 적재함(10)의 바닥에 닿아서 이동이 정지된다. 차량의 과부하 신호는 차량 발전기의 과부하, 차량 배터리의 저전압, 주행구동기(35) 및 승강구동기(46)의 모터 등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적재함 15: 파레트
20: 레일 22: 주행홈
25: 보조홈 30: 이동수단
32: 대차 33: 주행롤러
35: 주행구동기 37: 견인부재
38: 안내롤러 40: 승강수단
42: 승강체 43: 승강판
44: 동력라인 46: 승강구동기
48: 권취릴 50: 제어수단
52: 제어기 54: 터치스크린
56: 리모컨

Claims (5)

  1. 적재함(10)의 내부에서 화물을 이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의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20);
    상기 레일(20) 상에 수용된 대차(32)에 주행구동기(35)를 연결하여 이동 동력을 부가하는 이동수단(30);
    상기 화물을 바닥에서 이격시키도록 승강체(42)를 대차(32)의 내부에 수용하고, 승강체(42)에 승강구동기(46)를 연결하여 승강 동력을 부가하는 승강수단(40); 및
    상기 이동수단(30)과 승강수단(40)에 인가되는 동력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수단(40)은 적재함(10)에 연결된 차량의 동력을 승강체(42)에 인가하여 화물을 설정된 높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0)은 와이어, 타이밍벨트, 래크-피니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견인부재(37)를 주행구동기(35)에 연결하여 대차(32)의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은 대차(32)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여 동력라인(44)을 풀거나 감도록 권취릴(4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제어기(52)와 연계되는 터치스크린(54) 또는 리모컨(56)으로 작동을 입력하며, 차량의 과부하 발생시 승강수단(40)을 오프하여 긴급제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KR1020150004349A 2015-01-12 2015-01-12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KR10154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349A KR101549365B1 (ko) 2015-01-12 2015-01-12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349A KR101549365B1 (ko) 2015-01-12 2015-01-12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365B1 true KR101549365B1 (ko) 2015-09-01

Family

ID=5424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349A KR101549365B1 (ko) 2015-01-12 2015-01-12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36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218A1 (ko) * 2017-03-16 2018-09-20 전현철 화물 적재 시스템
KR101937735B1 (ko) * 2018-05-24 2019-01-11 주식회사 대현환경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CN110217148A (zh) * 2019-07-09 2019-09-10 江苏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航空物流机场运输系统
KR20220037119A (ko) * 2020-09-17 2022-03-24 김중삼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KR102393052B1 (ko) 2020-12-16 2022-04-29 황정은 화물이동장치가 장착된 적재함
KR20220136835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KR20220147470A (ko) * 2021-04-27 2022-11-03 커마 주식회사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KR20230014560A (ko) 2021-07-21 2023-01-30 강문규 대차용 레일장치
KR20230146844A (ko) * 2022-04-13 2023-10-20 최승열 적재함 내부의 화물 이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889B1 (ko) * 2009-06-05 2010-02-09 지이티 주식회사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889B1 (ko) * 2009-06-05 2010-02-09 지이티 주식회사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9154C1 (ru) * 2017-03-16 2020-08-04 Хён Чхол ЧОН Погрузочная система
US10934111B2 (en) 2017-03-16 2021-03-02 Hyeon Cheol JEON Cargo loading system
WO2018169218A1 (ko) * 2017-03-16 2018-09-20 전현철 화물 적재 시스템
KR101937735B1 (ko) * 2018-05-24 2019-01-11 주식회사 대현환경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CN110217148B (zh) * 2019-07-09 2024-05-24 江苏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航空物流机场运输系统
CN110217148A (zh) * 2019-07-09 2019-09-10 江苏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航空物流机场运输系统
KR20220037119A (ko) * 2020-09-17 2022-03-24 김중삼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KR102432716B1 (ko) 2020-09-17 2022-08-12 김중삼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KR102393052B1 (ko) 2020-12-16 2022-04-29 황정은 화물이동장치가 장착된 적재함
KR20220136835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KR20220147470A (ko) * 2021-04-27 2022-11-03 커마 주식회사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KR102650054B1 (ko) * 2021-04-27 2024-04-01 정문성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KR20230014560A (ko) 2021-07-21 2023-01-30 강문규 대차용 레일장치
KR20230146844A (ko) * 2022-04-13 2023-10-20 최승열 적재함 내부의 화물 이동장치
KR102600912B1 (ko) * 2022-04-13 2023-11-09 최승열 적재함 내부의 화물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365B1 (ko)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US6283040B1 (en) Adjustable height rail car
CN103255939B (zh) 一种快速存取车的梳齿式立体车库
JP7240656B2 (ja) 荷台昇降式トラック
EP3950422A1 (en) Trailer for aviation container transportation
US9221501B2 (en)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CN109835813B (zh) 一种便于远程操控的港口集装箱起重机
US20140234061A1 (en) Frame assembly of moveable stowage device and its application as a transport vehicle
CN112896213A (zh) 一种轨道车辆及轨道车辆的运输系统
CN103935925A (zh) 集装箱卸货装置
KR101579685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CN216917268U (zh) 一种用于装卸货的四向车转运机构
KR101451388B1 (ko)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JP5900843B2 (ja) 車載式昇降装置
US20080276829A1 (en) Railway auto carrier and loading system
EP3441277B1 (en) Mechanism for lifting of car-carrying wagon boarding plates
CN107472106B (zh) 运输货厢和车辆
CN115849042B (zh) 多功能装卸货升降设备
CN203638966U (zh) 小吨位终位自固定吊钩机构
KR101325534B1 (ko) 화물용 호이스트를 구비하는 건설용 엘리베이터
JPH04345431A (ja) 貨車荷役装置
CN218805445U (zh) 一种运输车装卸系统
KR102099149B1 (ko) 화물차용 호이스트 장치
JP4753891B2 (ja) 積荷移動装置
CN115593296A (zh) 一种装配式涵洞预制构件吊运一体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