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470A -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470A
KR20220147470A KR1020210070406A KR20210070406A KR20220147470A KR 20220147470 A KR20220147470 A KR 20220147470A KR 1020210070406 A KR1020210070406 A KR 1020210070406A KR 20210070406 A KR20210070406 A KR 20210070406A KR 20220147470 A KR20220147470 A KR 20220147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loading box
exhaust
negative press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054B1 (ko
Inventor
최형렬
배석우
신운철
Original Assignee
커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커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4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 검사장비가 실린 트레일러의 적재함 일측에 외부와 적재함 내측을 연결하는 도어를 설치하여 외부에 위치한 환자의 검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적재함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적재함 내측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며 이동시킴으로써, 적재함 내측이 감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트레일러의 적재함 내부에 검사 장비가 설치된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내측 바닥면에는 이송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함의 내, 외부에 위치된 일측면에는 투입공 및 배출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살균등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투입공 및 배출공에 힌지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이송레일과 대응되는 바닥면에 이송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TRAILER TYPE NEGATIVE PRESSURE MEDICAL TESTING ROOM}
본 발명은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 검사장비가 실린 트레일러의 적재함 일측에 외부와 적재함 내측을 연결하는 도어를 설치하여 외부에 위치한 환자의 검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적재함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적재함 내측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며 이동시킴으로써, 적재함 내측이 감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각종 바이러스에 노출된 상태로 생활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를 원인으로 하여 사람에게 전파되는 각종 질병은 감기, 인후염, 비염 등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종래에는 사스바이버스(SARS-Cov), 메르스바이러스(MERS0-CoV)와 같은 바이러스 질병이 전파되어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와 같은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유행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박쥐와 같은 각종 동물들로부터 전파되어 사람에게서도 전파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와 같은 경우에는 종래의 사스바이버스(SARS-Cov), 메르스바이러스(MERS0-CoV) 보다 높은 전파력을 가지고 있으며, 초기 증상이 거의 없는 질병으로 알려진 바,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이 손쉽게 감염된 후에도 다른 사람에게 빠르게 전파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제적인 검사와, 바이러스에 감연된 사람들을 분리, 치료하는 방법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특성으로 인하여 손쉽게 바이러스의 확산과, 치료를 이루기는 어려워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감염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이러스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에 감염된 환자를 치료하거나,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검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부 오염된 공기가 각종 의료장비와, 검사장비가 구비된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압 격리실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음악 격리 실은 병실 내의 기압을 대기압 보다 낮게 유지함으로써, 병실 내의 공기 또는 에어로졸(aerosol)이나 비말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음압 병실 등은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장비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와 같이 전파력이 높은 바이러스에 신속히 대처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은 이동형 음압 격리 병실이 제안된 바 있다.
문헌(1)과 같은 이동형 음압 격리 병실은, 컨테이너 하우스 형태를 이루는 병실에 소독시설과, 출입문 등을 설치고, 실내 공기를 내,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덕트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이동형 음악 격리 병실은, 실내에 구비된 의료 검사기기를 통하여, 외부에 위치한 환자의 바이러스 검사를 내부에 위치한 의료진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검사를 이루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실, 내외로 이동되는 공기를 안정적으로 살균하며 이동을 이루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검사실 내부에 위치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도 공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바이러스를 용이하게 살균하여 외부로 배출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652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검사장비가 구비된 적재함의 내측에서 외부에 위치한 사람의 바이러스 검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과정에서도 검사를 이루고자 하는 사람의 검사지나, 동의서 등이 오염되어 적재함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검사장비가 구비된 검사실이 외부 환경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적재함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적재함 내측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용이하게 살균하여 적재함 내측이 감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적재함의 외부로 적재함 내측의 공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복수개의 살균등이 구비된 배출통로를 통하여 적재함 내측의 공기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적재함의 오염이 발생 되는 경우에도 외부 환경으로 오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트레일러의 적재함 내부에 검사 장비가 설치된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내측 바닥면에는 이송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함의 내, 외부에 위치된 일측면에는 투입공 및 배출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살균등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투입공 및 배출공에 힌지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이송레일과 대응되는 바닥면에 이송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입공 및 배출공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거치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거치공에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시, 일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상기 거치공에 끼움 결합 되는 보조받침대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인접한 적재함의 일측면에는 의료장갑이 관통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는 상기 적재함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트레일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함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급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에어콤프레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적재함과 연통 되게 설치되어 적재함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트레일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트레일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롤러 및 송풍팬과, 상기 배기덕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롤러에 권취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의 형성 방향으로 펼쳐지는 배기셔터와, 상기 배기셔터의 하단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개구 되게 부착 설치되어 상기 배기셔터와 대응되게 펼쳐지고, 상기 배기셔터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공기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배기막, 및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회전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셔터와 배기막은 상호 접촉되는 부위가 일정 부분 탈락 되도록 결합되어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배기셔터와 배기막의 접촉 부위에 연속적인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통로에는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살균등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검사장비가 구비된 적재함의 내측에서 외부에 위치한 사람의 바이러스 검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둘째,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과정에서도 검사를 이루고자 하는 사람의 검사지나, 동의서 등이 오염되어 적재함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검사장비가 구비된 검사실이 외부 환경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적재함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적재함 내측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용이하게 살균하여 적재함 내측이 감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적재함의 외부로 적재함 내측의 공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복수개의 살균등이 구비된 배출통로를 통하여 적재함 내측의 공기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적재함의 오염이 발생 되는 경우에도 외부 환경으로 오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가 설치되는 트레일러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적재함에 하우징, 도어, 이송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적재함에 하우징, 도어, 이송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적재함에 하우징, 도어, 이송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트레일러의 하단에 급기부 및 배기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막의 배출통로를 도시한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먼저, 도시한 도 1 내지 도 7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트레일러(1)의 적재함(2) 내부에 검사 장비가 설치된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내측 바닥면에는 이송레일(11)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함(2)의 내, 외부에 위치된 일측면에는 투입공(12) 및 배출공(13)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살균등(14)이 구비된 하우징(10)과, 상기 투입공(12) 및 배출공(13)에 힌지(h) 설치되는 도어(20)와, 상기 이송레일(11)과 대응되는 바닥면에 이송돌기(31)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일러(1)의 적재함(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하우징(10)의 결합 되는 형태는 검사 장비가 설치된 트레일러(1)의 내부공간과 트레일러(1)의 외부공간이 연결될 수 있다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그 결합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내측 바닥면으로 이송레일(11)이 형성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이송판(30)이 하우징(1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이 트레일러(1)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트레일러(1)의 내, 외부에 설치된 일측면으로 투입공(12) 및 배출공(13)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투입공(12) 및 배출공(13)은 트레일러(1)의 내, 외측에 위치된 하우징(10)의 일면에 각각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살균등(14)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복수개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트레일러(1)의 내측으로 물품을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투입공(12)으로 투입되는 물품이 배출공(13)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살균등(14)을 통하여 살균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20)는 상기 투입공(12) 및 배출공(13)에 힌지(h)를 통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투입공(12) 및 배출공(13)을 통하여 하우징(10)의 내측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투입공(12) 및 배출공(13)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판(3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레일(11)의 설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바닥면에 형성된 이송돌기(31)가 이송레일(11)의 상부에 결합 되게 구성함으로써, 이송레일(11)의 설치 방향을 따라, 이송판(30)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과 인접한 적재함(2)의 일측면에는 의료장갑(36)이 관통 설치된다.
상기 의료장갑(36)은 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의료장갑(36)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의료장갑(36)에 의료진의 손을 삽입하여 작업을 이루는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투입공(12)으로 투입되는 물품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의료장갑(36)이 하우징(1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투입공(12) 및 배출공(13)에 설치되는 도어(20)가 의료장갑(36)의 사용 과정에서 개폐가 어려워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과 의료장갑(36)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투입공(12) 및 배출공(13)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거치공(12a,13a)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거치공(12a,13a)에는 상기 도어(20)가 개방될 시, 일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돌기(35a)가 상기 거치공(12a,13a)에 끼움 결합 되는 보조받침대(35)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투입공(12) 및 배출공(13)의 하단에 형성되는 거치공(12a,13a)으로 보조받침대(35)의 결합돌기(35a)가 끼움 결합 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투입하여 운반을 이루고자 하는 물품을 상기 보조받침대(35)의 상부에 놓아두며 용이한 운반 과정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트레일러(1)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2)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41)와, 상기 트레일러(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함(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기부(41)는 트레일러(1)의 내부 공간으로 살균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급기덕트(41a)와, 상기 급기덕트(41a)와 연결되는 에어콤프레셔(41b)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에어콤프레셔(41b)가 작동을 이루는 경우, 상기 급기덕트(41a)로 이동되는 공기가 트레일어(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급기덕트(41a)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자외선램프(미도시)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급기덕트(41a)를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를 살균한 후, 트레일러(1)의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부(42)는 상기 트레일러(1)의 내측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함(2)과 연통 되게 설치되어 적재함(2)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42a)와, 상기 배기덕트(42a)와 연결되도록 상기 트레일러(1)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2b)과, 상기 가이드레일(42b)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42c)와, 상기 회전모터(4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트레일러(1)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모터(42c)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롤러(42d) 및 송풍팬(42e)과, 상기 배기덕트(42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롤러(42d)에 권취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42c)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42b)의 형성 방향으로 펼쳐지는 배기셔터(42f)와, 상기 배기셔터(42f)의 하단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개구 되게 부착 설치되어 상기 배기셔터(42f)와 대응되게 펼쳐지고, 상기 배기셔터(42f)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공기 배출통로(42g-1)를 형성하는 배기막(42g), 및 상기 에어콤프레셔(41b)와 회전모터(42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2h)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기덕트(42a)는 도 5 및 도 6에서와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일러(1)의 적재함(2) 내측과 연통 되도록 트레일러(1)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42b)은 상기 배기덕트(42a)와 연결되도록 트레일러(42b)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배기셔터(42f)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42b)의 형성 방향을 따라 작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42c)는 상기 가이드레일(42b)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롤러(42b) 및 송풍팬(42e)은 상기 회전모터(4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트레일러(1)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회전모터(42c)가 상기 제어기(42h)를 통하여 작동이 제어되는 경우, 상기 회전모터(42c)의 작동에 따라 회전롤러(42d)와 송풍팬(42e)이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셔터(42f)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42a)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롤러(42d)에 타단이 권취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회전모터(42c)가 제어기(42h)를 통하여 작동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42d)의 형성 방향을 따라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막(42g)은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기셔터(42f)의 하단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개구 되게 부착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기셔터(42f)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42b)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기막(42g)이 펼쳐지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배기셔터(42f)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공기 배출통로(42g-1)를 형성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어기(42h)를 통하여 회전모터(42c)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기셔터(42f)와 배기막(42g)이 가이드레일(42d)의 형성 방향을 따라 펼쳐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롤러(42d)와 송풍팬(42e)이 작동을 이루게 되어 상기 배기덕트(42a)를 통하여 이송되는 트레일러(1) 내측의 공기를 송풍팬(42e)의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트레일러(1)에서 송풍팬(42e)으로 이송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셔터(42f)와 배기막(42g)의 밀착되는 부위 사이로 이송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셔터(42f)와 배기막(42g)의 사이로 공기가 이송을 이루는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셔터(42f)와 배기막(42g)의 사이로 형성되는 배출통로(42g-1)를 통하여 공기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배기셔터(42f)와 배기막(42g)의 상호 접촉되는 부위가 일정 부분 탈락 되도록 결합하여 배출통로(42g-1)가 형성됨으로써,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통로(42g-1)는 상기 배기셔터(42f)와 배기막(42g)의 접촉 부위에 연속적인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배출통로(42g-1)에는 상기 제어기(42h)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살균등(42g-1a)이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도 4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42h)를 조절하여 상기 회전모터(42c)를 작동시키고, 상기 회전모터(42c)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롤러(42d)와 송풍팬(42e)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배기셔터(42f)와 배기막(42g)의 사이로 이송되는 공기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배기셔터(42f)와 배기막(42g)의 접촉 부위에 일정 부분 탈락되어 형성되는 배출통로(42g-1)를 따라 이송되며 배출통로(42g-1)에 구비된 복수개의 살균등(42g-1a)을 통하여 살균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트레일러(1) 내측의 오염된 공기가 트레일러(1)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도, 오염된 상태로 배출되어 외부 공기를 감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즉, 각종 검사 장비가 구비된 트레일러의 내측이 외부 환경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트레일러의 내부에 오염이 발생 되는 경우에도 외부 환경으로 트레일러의 오염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트레일러 2: 적재함
10: 하우징 11: 이송레일
12: 투입공 12a,13a: 거치공
13: 배출공 14,42g-1a: 살균등
20: 도어 30: 이송판
31: 이송돌기 35: 보조받침대
35a: 결합돌기 36: 의료장갑
41: 급기부 41a: 급기덕트
41b: 에어콤프레셔 42: 배출부
42a: 배기덕트 42b: 가이드레일
42c: 회전모터 42d: 회전롤러
42e: 송풍팬 42f: 배기셔터
42g: 배기막 42g-1: 배출통로
42h: 제어기 h: 힌지

Claims (8)

  1. 트레일러(1)의 적재함(2) 내부에 검사 장비가 설치된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내측 바닥면에는 이송레일(11)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함(2)의 내, 외부에 위치된 일측면에는 투입공(12) 및 배출공(13)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살균등(14)이 구비된 하우징(10)과,
    상기 투입공(12) 및 배출공(13)에 힌지(h) 설치되는 도어(20)와,
    상기 이송레일(11)과 대응되는 바닥면에 이송돌기(31)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공(12) 및 배출공(13)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거치공(12a,13a)이 더 형성되고,
    상기 거치공(12a,13a)에는
    상기 도어(20)가 개방될 시, 일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돌기(35a)가 상기 거치공(12a,13a)에 끼움 결합 되는 보조받침대(35)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과 인접한 적재함(2)의 일측면에는 의료장갑(36)이 관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1)는
    상기 적재함(2)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41)와,
    상기 트레일러(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함(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41)는
    상기 트레일러(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급기덕트(41a)와,
    상기 급기덕트(41a)와 연결되는 에어콤프레셔(4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2)는
    상기 적재함(2)과 연통 되게 설치되어 적재함(2)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42a)와,
    상기 배기덕트(42a)와 연결되도록 상기 트레일러(1)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2b)과,
    상기 가이드레일(42b)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42c)와,
    상기 회전모터(4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트레일러(1)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모터(42c)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롤러(42d) 및 송풍팬(42e)과,
    상기 배기덕트(42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롤러(42d)에 권취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42c)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42b)의 형성 방향으로 펼쳐지는 배기셔터(42f)와,
    상기 배기셔터(42f)의 하단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개구 되게 부착 설치되어 상기 배기셔터(42f)와 대응되게 펼쳐지고, 상기 배기셔터(42f)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공기 배출통로(42g-1)를 형성하는 배기막(42g), 및
    상기 에어콤프레셔(41b)와 회전모터(42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2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셔터(42f)와 배기막(42g)은
    상호 접촉되는 부위가 일정 부분 탈락 되도록 결합되어 배출통로(42g-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42g-1)는
    상기 배기셔터(42f)와 배기막(42g)의 접촉 부위에 연속적인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42g-1)에는 상기 제어기(42h)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살균등(42g-1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KR1020210070406A 2021-04-27 2021-05-31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KR102650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27 2021-04-27
KR20210054027 2021-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70A true KR20220147470A (ko) 2022-11-03
KR102650054B1 KR102650054B1 (ko) 2024-04-01

Family

ID=8404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406A KR102650054B1 (ko) 2021-04-27 2021-05-31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0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997B1 (ko) * 2013-12-23 2014-03-13 박천귀 멸균되는 패스박스를 갖는 무균함
KR101549365B1 (ko) * 2015-01-12 2015-09-01 이정신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KR101646524B1 (ko) 2015-07-27 2016-08-08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이동식 음압 격리 병실
KR102042746B1 (ko) * 2019-03-12 2019-11-08 김종길 절첩식 선반을 구비하는 제어장비 수납함체
CN111544632A (zh) * 2020-04-26 2020-08-18 张远兵 一种便于消毒的隔离房用物品传递窗
KR102169524B1 (ko) * 2020-04-02 2020-10-23 (주)엠티이에스 감염병 차단 음압 공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997B1 (ko) * 2013-12-23 2014-03-13 박천귀 멸균되는 패스박스를 갖는 무균함
KR101549365B1 (ko) * 2015-01-12 2015-09-01 이정신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KR101646524B1 (ko) 2015-07-27 2016-08-08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이동식 음압 격리 병실
KR102042746B1 (ko) * 2019-03-12 2019-11-08 김종길 절첩식 선반을 구비하는 제어장비 수납함체
KR102169524B1 (ko) * 2020-04-02 2020-10-23 (주)엠티이에스 감염병 차단 음압 공조시스템
CN111544632A (zh) * 2020-04-26 2020-08-18 张远兵 一种便于消毒的隔离房用物品传递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054B1 (ko)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4799B2 (ja) 紫外線殺菌装置
KR102178101B1 (ko) 음압 격리실을 갖춘 진료 장치
US10492970B2 (en) Mobile isolation and containment unit
KR101937950B1 (ko)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EP3021808B1 (en) Modular patient care enclosure
KR102237865B1 (ko) 감염병 차단기능을 구비한 앰뷸런스 및 이의 실내 압력 제어방법
KR102145148B1 (ko) 이동형 음압 격리 부스
KR102220441B1 (ko) 음압 격리 병실
IL15683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isolation against infections
KR102374361B1 (ko) 소독설비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JP2010264077A (ja) 隔離室形成装置及び隔離室形成方法
WO2022164036A1 (ko) 신발관리기
KR20220147470A (ko) 이동형 음압 검사실 트레일러
KR102350241B1 (ko) 마스크 살균, 건조 및 탈취를 위한 장치
WO2022085867A1 (ko) 소독 장치
KR20160114831A (ko) 제습 및 살균 기능을 가지는 가구
KR20060018556A (ko) 엘리베이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20220060065A (ko) 이동식 방역기
KR101917360B1 (ko) 고온 건조식 대인 소독장치
KR102508515B1 (ko) 이동형 음압 응급실 트레일러
IT202000013888A1 (it) Apparato per il contrasto di contaminazione batterica e/o virale in un ambiente chiuso
CN206989362U (zh) 一种医用舱式新风洁净功能集成空调机组
KR102584117B1 (ko) 음압격리실 형성이 가능한 세대환기시스템
JP4231143B2 (ja) 医療検査用安全キャビネット
KR102658848B1 (ko) 공기 청정 음압기능과 살균장치를 구비한 자가격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