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735B1 -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735B1
KR101937735B1 KR1020180058735A KR20180058735A KR101937735B1 KR 101937735 B1 KR101937735 B1 KR 101937735B1 KR 1020180058735 A KR1020180058735 A KR 1020180058735A KR 20180058735 A KR20180058735 A KR 20180058735A KR 101937735 B1 KR101937735 B1 KR 101937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loor
pair
rail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현환경
서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현환경, 서병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현환경
Priority to KR102018005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60P7/0815Attachment rails or trell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중량이고 고가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를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많은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차량의 적재함에 중량의 장비를 상하차 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는 적재함의 플로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격벽이 각각 일정 높이로 설치된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Loading apparatus for the air pollution measuring device into vehicle}
이 발명은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이고 고가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를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많은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차량의 적재함에 중량의 장비를 상하차 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기오염의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오염물질을 발생하는 주위를 포함한 다양한 장소에서 실내외의 대기오염 정도를 지속적 또는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다.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정한 일정 규모 이상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연돌(굴뚝 또는 배출구)에서 정기적인 대기오염도의 측정이나 일시적인 대기오염도의 측정시 측정에 필요한 장비를 해당 지역으로 운반 및 설치한 후 환경분야 시험ㆍ검사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해 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측정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대기오염 측정장비는 측정의 목적이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설비의 효율이나 성능이 법적기준에 부합되어 가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므로 측정장비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대기오염 측정장비의 경우 기계부품 및 센서들이 민감하여 특별한 보관과 관리가 필요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들은 복수의 보호 케이스에 나뉘어 담길 정도로 다수의 아이템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들은 고가이고 민감한 센서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보관 케이스에 담아 보관 및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비들이 담긴 케이스는 보통 수십 Kg 정도의 중량일 뿐만 아니라 장비들 자체가 민감한 센서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를 기하여야 한다.
한편, 현실적으로는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와 함께 측정 인력이 함께 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앞쪽에는 작업인원이 탑승하고 차량의 뒤쪽에는 장비들을 싣을 수 있는 소형 승합차량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소형 승합차량은 소형이기 때문에 이동 편의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들이 탑재되는 적재함이 차량의 실내에 마련됨으로써 시건이 용이하여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의 이동에 주로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소형 승합차량의 적재함 내에서 작업자가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를 상차하거나 하차시키는 과정에서 적재 대상이 중량체임에도 소형 승합차량의 구조상 허리를 펴지 못한 채로 작업 수행을 하다 보니 부상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중량이고 고가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를 승합차량의 적재함에 상하차 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의 차량 탑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승합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된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들을 싣고 운행하는 과정에서 탑재된 장비들이 안정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는 승합차의 운전석 뒤쪽에 마련된 적재함에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를 탑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재함의 플로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 적재함의 플로어와 레일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승합차와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베이스;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플레이트의 하부 양쪽에는 각각 레일에 상호 결합을 위한 롤러가 설치되고,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격벽이 각각 일정 높이로 설치된 이동체; 및 이동체가 레일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동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락커;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에서 이동체는 한 쌍의 레일 간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고 길이에 비하여 짧은 폭을 갖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사방 테두리가 상부를 향해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플레이트의 전후방 및 좌우 양쪽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바닥 프레임; 격벽의 형성을 위해 전방의 바닥 프레임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전방 프레임; 좌우 양쪽의 바닥 프레임 각각의 상부에 전방 프레임의 높이로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 전방 바닥 프레임의 중간 부분과 후방 바닥 프레임의 중간 부분 도중을 연결하며 플레이트의 상부를 양쪽으로 양분하는 바닥 중간 프레임; 및 바닥 중간 프레임의 상부로 양쪽의 측면 프레임의 높이로 설치되는 분할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에서 전방 프레임에는 격벽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에서 락커에 대응하는 플로어의 위치에는 락커가 체결되기 위한 잠금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에서 잠금수단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한편 레일 상에는 복수의 이동체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는 승합차의 좁은 적재함에 중량의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유닛들을 상하차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는 승합차의 적재함에 탑재된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의 운반이 보다 안정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이 출원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가 승합차의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2는 이 출원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3은 이 출원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4는 이 출원에 따른 이동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이 출원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의 이동체가 레일 상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6은 이 출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이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이 출원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가 승합차의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2는 이 출원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3은 이 출원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200은 승합차를 지시하는 것이다.
이 출원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100)가 적용되는 승합차(200)는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 적재함(210)이 마련되며, 적재함에 물건을 승하차하기 위해서 적재함 도어(220)를 상부를 향해 개방하는 형태로 구성된 소형 승합차량이다. 따라서 이 출원은 적재함 도어(220)를 닫게 되면 적재함(210)은 외부와 차단이 되는 형태의 승합차(2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한편, 승합차(200)의 적재함(210)은 그 내부에서 일반인이 서서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불가능할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출원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100)는 승합차(200)의 적재함(210)을 구성하는 플로어(212)에 고정 설치된다.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10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차량의 플로어(212)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10)과, 레일(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그 상부에는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300)의 탑재가 가능한 이동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레일(110)은 적재함(210)의 플로어(212)에 직접 고정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완충 베이스(120)를 매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베이스(120)는 적재함의 플로어(212)와 레일(110) 사이에 설치되어 승합차량의 운행시에 가해지는 충격 등이 완충될 수 있으며 일정 수준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2와 도3에서는 레일(110) 상에 하나의 이동체(130)가 설치된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레일(110) 상에는 복수의 이동체(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130)는 레일(110)로부터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게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14는 이동체(1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110)의 끝단 부분에 설치되는 이탈방지수단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탈방지수단(114)의 예로는 레일(110)의 끝단부에 고무재질로 성형된 레일 스톱퍼가 적용될 수 있다.
도4는 이 출원에 따른 이동체(1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동체(130)는 플레이트(132), 플레이트(132)의 사방 테두리에 고정 형성되는 바닥 프레임(134), 전방 바닥 프레임(134a)의 전방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전방 프레임(136), 좌우 양쪽의 바닥 프레임(134b) 상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138), 전방 바닥 프레임(134a)과 후방 바닥 프레임(134c)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바닥 중간 프레임(140), 바닥 중간 프레임(140) 상에 설치되는 분할 프레임(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체(130)의 바닥 프레임(134)은 플레이트(132) 상에 놓이는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300) 또는 그 케이스가 플레이트(132)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전방 프레임(136), 측면 프레임(138), 분할 프레임(142)은 플레이트(132)에 놓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케이스가 차량의 운행시 쓰러지지 않도록 가이드를 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전방 프레임(136), 측면 프레임(138), 분할 프레임(142)은 각각 사각의 테두리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호 이웃하는 프레임 간에는 일부 구성요소를 공유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136)에는 전방과 후방을 차단하는 격벽(144)이 설치되어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들이 보다 안정되게 탑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5는 이 출원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100)의 이동체(130)가 레일(110) 상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레일(110)은 상부는 개방되고 양쪽의 측벽에는 각각 제1 안내돌부(112a) 및 제2 안내돌부(112b)가 내향 돌출된 구조의 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이동체(130)의 하부에는 복수의 롤러(150)가 고정 설치된다. 도2 및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롤러(150)는 레일(110)의 내부 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안내돌부(112a, 112b)에 그 골이 상호 결합이 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위치에 설치된다. 즉, 이동체(130)가 어느 한쪽으로 힘이 치우치지 않고 힘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도2 및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롤러(150a)는 제1 안내돌부(112a)에 상호 대응하도록 조립되고, 제2 롤러(150b)는 제2 안내돌부(112b)에 상호 대응하도록 조립된다. 한편, 롤러(150)는 제1 롤러(150a)와 제2 롤러(150b)가 1조로 하여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로 설치되고, 제1 롤러(150a)와 제2 롤러(150b)의 회전 중심점이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가 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전술한 복수의 롤러(150)는 도2 및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동체(130)의 양쪽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베이스(152)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체(130)에 중량의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300)가 올려진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 중에 레일(110) 상에서 이동체(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락커(160)가 이동체(130)의 일측에 마련된다. 한편, 이동체(130)에 설치된 락커(160)에 대응하는 위치의 플로어(212) 상에는 락커(160)와 상호 체결되는 잠금수단(162)이 마련된다. 잠금수단(162)는 도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100)의 구성 및 사용 상태에 대하여 몇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 발명의 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0 :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110 : 레일 112 : 안내돌부
114 : 이탈방지수단 120 : 완충 베이스
130 : 이동체 132 : 플레이트
134 : 바닥 프레임 136 : 전방 프레임
138 : 측면 프레임 140 : 바닥 중간 프레임
142 : 분할 프레임 144 : 격벽
150 : 롤러 160 : 락커
162 : 잠금수단 200 : 승합차
210 : 적재함 212 : 플로어
300 :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Claims (5)

  1. 승합차의 운전석 뒤쪽에 마련된 적재함에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를 탑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양쪽 측벽에 각각 제1 안내돌부 및 제2 안내돌부가 내향 돌출 형성된 형강으로 상기 적재함의 플로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적재함의 플로어와 상기 레일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합차와 상기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베이스;
    상기 한 쌍의 레일 간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고 상기 길이에 비하여 짧은 폭을 갖는 사각 형태의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사방 테두리 상측에 바닥 프레임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 프레임의 전방에는 격벽을 갖는 전방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바닥 프레임의 양쪽에는 각각 측면 프레임이 설치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바닥 프레임의 양쪽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베이스;
    상기 한 쌍의 롤러 베이스의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롤러와 제2 롤러를 1조로 하여 복수의 조로 설치되되 상기 각 조의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회전 중심점이 지그재그로 설치되게 상기 각 조의 제1 롤러는 상기 레일의 제1 안내돌부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 조의 제2 롤러는 상기 레일의 제2 안내돌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
    상기 한 쌍의 레일의 끝단부에 상기 롤러의 이탈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이탈방지수단;
    상기 이동체가 상기 레일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이동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락커; 및
    상기 락커에 대응하는 상기 플로어의 위치에 상기 락커가 체결되게 설치되는 잠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바닥 프레임의 중간부 전후방향으로 바닥 중간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 중간 프레임의 상부로 상기 양쪽의 측면 프레임의 높이로 대응하여 분할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레일 상에는 복수의 이동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0058735A 2018-05-24 2018-05-24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KR101937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735A KR101937735B1 (ko) 2018-05-24 2018-05-24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735A KR101937735B1 (ko) 2018-05-24 2018-05-24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735B1 true KR101937735B1 (ko) 2019-01-11

Family

ID=6502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735A KR101937735B1 (ko) 2018-05-24 2018-05-24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7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033B1 (ko) 2020-08-07 2021-05-07 주식회사 뉴텍엠 대기화학물질 탐지장비 설치형 탑재차량
KR102313689B1 (ko) * 2020-05-28 2021-10-18 한국교통안전공단 기기정도검사 업무용 튜닝 적재함을 갖는 검사차량
KR102439936B1 (ko) 2022-05-26 2022-09-02 서병원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
KR102474005B1 (ko) 2022-05-26 2022-12-02 서인영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9368A1 (en) * 2001-02-15 2002-08-15 Mink Franklin L. Slidable assembly with interlocking guide and rotatable members useful for movable motor vehicle floors and extensions
KR200415083Y1 (ko) * 2006-02-01 2006-04-27 김기덕 무인항공기 운송용 차량적재장치
KR101549365B1 (ko) * 2015-01-12 2015-09-01 이정신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9368A1 (en) * 2001-02-15 2002-08-15 Mink Franklin L. Slidable assembly with interlocking guide and rotatable members useful for movable motor vehicle floors and extensions
KR200415083Y1 (ko) * 2006-02-01 2006-04-27 김기덕 무인항공기 운송용 차량적재장치
KR101549365B1 (ko) * 2015-01-12 2015-09-01 이정신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89B1 (ko) * 2020-05-28 2021-10-18 한국교통안전공단 기기정도검사 업무용 튜닝 적재함을 갖는 검사차량
KR102249033B1 (ko) 2020-08-07 2021-05-07 주식회사 뉴텍엠 대기화학물질 탐지장비 설치형 탑재차량
KR102439936B1 (ko) 2022-05-26 2022-09-02 서병원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
KR102474005B1 (ko) 2022-05-26 2022-12-02 서인영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735B1 (ko)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 차량 탑재장치
EP1513744B1 (en) Air transport modular container system
US4049135A (en) Container handling arrangement with chassis adapter frame
RU2700907C2 (ru) Отдельный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ъемный грузовой поддон для автовоза
US2808788A (en) System for the handling and transportation of parts, finished articles, or packaged goods
PT861166E (pt) Equipamento estrutural para veiculo rodoviario para obtencao de um estrado suplementar movel
US3754803A (en) Equipment transporter and storage module
JP2009120202A (ja) 貨物用上段ラックおよび貨物用下段ラック
US10723546B2 (en) Container for the transport of a vehicle
US3739906A (en) Vehicle positioning and restraint apparatus
US5040938A (en) Loading and transporting system
US2606508A (en) Means for handling freight
CN107867339B (zh) 用于轻型客货两用车货箱的存储装置
US20060243693A1 (en) Multifunctional mobile platform for contactless load inspection and for transporting containers
KR20080006872A (ko)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 내 화물고정장치
US3385459A (en) Cargo transporting apparatus
US3098562A (en) Loading system apparatus
JP5159272B2 (ja) 集配用貨物自動車
EP3763594A1 (en) Lifting support equipment for loading processes in the railway transport
US3096730A (en) Center load container car
US3785601A (en) Shock absorbing securement device
US3750595A (en) Shipping system
US20160200237A1 (en) Cargo restraint system
KR101890344B1 (ko) 대기오염 측정장비 운반용 궤도차량
JP2003128263A (ja) 物流用冷蔵庫の搬入出口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