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716B1 -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716B1
KR102432716B1 KR1020200119686A KR20200119686A KR102432716B1 KR 102432716 B1 KR102432716 B1 KR 102432716B1 KR 1020200119686 A KR1020200119686 A KR 1020200119686A KR 20200119686 A KR20200119686 A KR 20200119686A KR 102432716 B1 KR102432716 B1 KR 102432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rocket
chain
containe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119A (ko
Inventor
김중삼
Original Assignee
김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삼 filed Critical 김중삼
Priority to KR102020011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7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forming the main load-transporting element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8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for refrigerated good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동차량의 컨테이너 내부에서 물품박스를 이송시키는 작업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냉동장치(200)가 구비된 냉동차량의 컨테이너(100) 바닥에 설치되어 물품박스(110)를 컨테이너 내부에서 이송시키기 위한 물품박스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바닥에 구비되는 프레임은,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로 구성되고, 기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 각각은,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구비되는 제1 프레임(20a)과, 상기 제1 프레임(20a)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20b)과, 상기 제1 프레임(20a)과 제2 프레임(20b)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프레임(20c)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20a)과 제3 프레임(20c)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3 프레임(20c)과 제2 프레임(20b) 사이의 공간에, 물품박스(110)를 이송시키는 4개의 이송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4개의 이송부재(10a, 10b, 10c, 10d)는,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PRODUCT BOX TRANSFERR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TRUCK}
본 발명은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장치를 구비한 컨테이너 내부에서 물품박스를 이송시킬 때, 작업자가 컨테이너 내부에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컨테이너 바닥 프레임에 구비된 이송부재를 기계적으로 이동시켜 물품박스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송사킬 수 있도록 한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류나 어류 등의 각종 냉동식품은,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냉동장치를 구비한 냉동 컨테이너(이하 간단히 '컨테이너'라 한다)에 적재하여 운반하고 있다.
도 1 내지 4는 이러한 종래의 냉동차량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물품박스(110)를 적재하기 위한 컨테이너(100)과,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냉동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냉동장치(200)는, 통상 컨테이너(100)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컨테이너(100)의 내부에 냉각공기를 공급하여 영하의 온도로 유지시킨다.
상기 물품박스(110)가 소형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인력으로 상기 물품박스(110)를 컨테이너(100) 내부에 차례로 적재한다.
그런데 물품박스(110)가 고중량인 경우에는(1톤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작업자가 인력으로 물품박스(110)를 컨테이너(100) 내부에 적재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팔렛트(120) 위에 물품박스(110)를 안착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박스 이송부재(130)를 사용하여 물품박스(110)를 이송시킨다.
도 4는 상기 박스 이송부재(130)를 사용하여 물품박스(110)를 이송시키는 종래의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물품박스(110)가 안착된 팔렛트(120)를 지게차를 이용하여 냉동 컨테이너(100)의 바닥 프레임(140)에 올려 놓는다.
이어서 바닥 프레임(140)에 구비된 2개의 슬라이딩 홈(140a)에, 2개의 박스 이송부재(130)를 각각 끼운다.
상기 박스 이송부재(130)는, 상부부재(131)와, 하부부재(132)와, 조절스틱(1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부재(130)에는 복수의 롤러(131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박스 이송부재(130)에서 상기 조절스틱(133)을 아래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상부부재(131)가 위로 약간 상승하여 팔렛트(120)가 바닥 프레임(14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2개의 조절스틱(133)을 앞으로 밀면, 그 상부에 안착된 팔렛트(120) 및 물품박스(110)를 컨테이너(100)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물품박스(110)가 컨테이너(100)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조절스틱(133)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상부부재(131)가 아래로 하강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팔렛트(120)는 물품박스(110)는 바닥 프레임(140)에 안착되고, 작업자는 2개의 박스 이송부재(130)만을 컨테이너의 후방으로 끌고 나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좌우측에서 반복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좌우측에 물품박스(110)를 적재할 수가 있다.
또한 물품박스(130)를 컨테이너(100)로부터 내릴 때에는, 팔렛트(120)의 라부 슬라이딩 홈(140)에 2개의 박스 이송부재(130)를 끼운 후, 조절스틱(133)을 조절하여 상부부재(131)를 약간 상승시킨다.
그러면 팔렛트(120)가 바닥 프레임(150)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고, 이 상태에서 조절스틱(133)을 손으로 잡고 끌고 나오면, 물품박스(110)가 안착된 팔렛트(120)가 컨테이너(10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지게차를 사용하여 상기 물품박스(110)를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면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하역방식은, 물품박스(110)를 컨테이너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작업이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작업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10m 이상인 대형 냉동차량에 고중량의 물품박스를 싣고 내리는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더욱 길어지게 된다.
또한 물품박스가 고중량인 경우에는, 박스 이송부재(130)의 조절스틱(133)에 의해 물품박스(110)를 들어올리기도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신체에 무리를 주게되고, 고중량의 하역작업을 장시간 지속할 경우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동 컨테이너의 내부는 영하로 유지되어 바닥이 미끄러운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미끄러운 바닥에서 작업자가 중량물 작업을 하게 되면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303790호(2003. 2. 11. 공고)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46180(2001. 10. 17.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테이너 내부에서 물품박스를 이송시키는 작업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품박스가 컨테이너 내부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물품 하역에 따르는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고중량의 물품박스를 밀어서 이동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여 중량물 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바닥이 미끄러운 컨테이너 내부에 진입하여 작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동장치가 구비된 냉동차량의 컨테이너 바닥에 설치되어 물품박스를 컨테이너 내부에서 이송시키기 위한 물품박스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에 구비되는 프레임은,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 각각은,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구비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제3 프레임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3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물품박스를 이송시키는 4개의 이송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4개의 이송부재는,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는, 컨테이너의 후방 단부에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 및 전방 단부에 구비되는 종동 샤프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의 중앙 부위에 제9 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제9 스프라켓은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9 스프라켓은 컨테이너 바닥 프레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경사지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 및 감속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 감속기 및 구동모터는 컨테이너의 바닥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방 단부 내측에, 종동 샤프트에 조립되는 제1 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후방 단부 내측에, 구동 샤프트에 조립되는 제5 스프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프라켓과 제5 스프라켓은 체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1 이송부재의 좌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이 상기 체인에 조립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이송부재가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방 단부 내측에, 종동 샤프트에 조립되는 제2 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방 단부 내측에, 구동 샤프트에 조립되는 제6스프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과 제6 스프라켓은 체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2 이송부재의 우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이 상기 체인에 조립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이송부재가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방 단부 내측에, 종동 샤프트에 조립되는 제3 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후방 단부 내측에, 구동 샤프트에 조립되는 제7 스프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제3 스프라켓과 제7 스프라켓은 체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3 이송부재의 좌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이 상기 체인에 조립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3 이송부재가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방 단부 내측에, 종동 샤프트에 조립되는 제4 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방 단부 내측에, 구동 샤프트에 조립되는 제8스프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제4 스프라켓과 제8 스프라켓은 체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4 이송부재의 우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이 상기 체인에 조립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4 이송부재가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내측 수직면에, 체인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이송부재는, 팔렛트가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상부 플레이트와,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드 캠과, 상기 상부 슬라이드 캠을 밀어올리기 위한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 사이에 구비되는 실린더와, 이송부재의 하부 양쪽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 지지부재와, 상기 롤러 지지부재의 일측 양단에 조립되는 브라켓 고정판과, 상기 브라켓 고정판에 조립되어 복수의 체인 롤러에 안착되는 체인 결합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드 캠은 경사면과 수평면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은, 경사면과 수평면을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을 신장시킴에 따라, 상기 하부 슬라이드 캠의 경사면이 상기 상부 슬라이드 캠의 경사면을 따라 전진하여 상부 플레이트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프레임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구성되고, 컨테이너의 전방으로 이동시에는 프레임의 상면보다 높게 상승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드 캠은, 이송부재의 상부 플레이트 하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은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전방에 위치하는 하부 슬라이드 캠은 피스톤과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신축에 따라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이 같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이송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는, 제1 프레임과 제3 프레임, 제3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하부 슬라이드 캠의 수평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상부 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인 결합 브라켓은, 복수의 반원호 형상의 슬롯을 구비하여, 상기 슬롯 부분이 복수의 체인 롤러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구동 샤프트와, 이송부재에 구비되는 실린더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물품박스를 이송시키는 작업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힘을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테이너 내부에서 물품박스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하역에 따르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컨테이너 내부에서 고중량의 물품박스를 밀어서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에게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바닥이 미끄러운 컨테이너 내부에 진입하여 작업할 필요가 없으므로, 물품의 하역작업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동차량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 및 후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박스 이송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박스 이송부재를 사용하여 물품박스를 이송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박스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사프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사프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박스 이송장치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박스 이송장치의 승강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박스 이송장치의 롤러 지지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박스 이송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결합 브라켓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 5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장치(200)가 구비된 냉동 컨테이너(100) 바닥에 설치되어 물품박스(110)를 컨테이너(100) 내부에서 이송시키기 위한 물품박스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바닥에 구비되는 프레임은,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 각각은, 컨테이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구비되는 제1 프레임(20a)과, 상기 제1 프레임(20a)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20b)과, 상기 제1 프레임(20a)과 제2 프레임(20b)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프레임(20c)으로 구성된다.
즉 좌측 프레임부는 제1 프레임(20a), 제2 프레임(20b) 및 제3 프레임(20c)로 구성되고, 우측 프레임부는 좌측 프레임부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좌측 프레임부 및 우측 프레임부에는, 각각 하나씩의 팔렛트(120) 및 물품박스(110)가 안착된다.
상기 프레임들은 알루미늄을 압출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이송장치의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컨테이너(100)의 길이에 맞게 프레임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의 사이 공간은 중앙 프레임(20e)에 의해 덮여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프레임(20a)과 제3 프레임(20c)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3 프레임(20c)과 제2 프레임(20b) 사이의 공간에, 물품박스(110)를 이송시키는 4개의 이송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이송부재(10a, 10b, 10c, 10d)는, 컨테이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인(23)과 함께 동시에 이동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한번에 2개씩의 물품박스(110)를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물품 하역에 따르는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는, 컨테이너(100)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22) 및 후방 단부에 구비되는 종동 샤프트(2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전방의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는 종동 샤프트(22)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후방의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는 구동 샤프트(2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5에서 이송장치의 아래쪽은 차량의 후방, 위쪽은 차량의 전방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22)의 중앙 부위에는 제9 스프라켓(22e)이 구비되고, 상기 제9 스프라켓(22e)과 구동 스프라켓(22e)은 체인(2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제9 스프라켓(22e)과 구동 스프라켓(22e)은 각각 2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인(23)은, 한 쌍의 롤러가 링크에 의해 계속 연결된 롤러 체인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컨테이너(100)의 후방에 구비된 상기 구동 샤프트(22)를 회전시키면, 컨테이너(100)의 전방에 구비된 종동 샤프트(21)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9 스프라켓(22e)은 컨테이너 바닥 프레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 스프라켓(22f)과 체인에 의해 경사지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22f)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22g) 및 감속기(22h)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샤프트(2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22g) 및 감속기(22h) 및 구동 스프라켓(22f)이 컨테이너(100)의 바닥 프레임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즉 본 발명은, 컨테이너(100)의 후방 중앙에 컨테이터의 바닥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되는 공간부(24)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24)에 구동모터(22g), 감속기(22h) 및 구동 스프라켓(22f)이 설치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컨테이너(100)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22g) 및 감속기(22h)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가 있고, 이송장치의 높이도 전체적으로 낮출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2e), 감속기(22h) 등의 유지보수 작업도 간편해진다.
이상에서는 구동 샤프트(22)를 컨테이너의 후방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동 샤프트(22)는 컨테이너의 전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모터(22g), 감속기(22h) 및 구동 스프라켓(22f)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는, 컨테이너(100)의 전방 중앙에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를 인버터 등의 전원변환장치에 의해 교류로 변환하여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20a)의 전방 단부 내측에는 종동 샤프트(21)에 조립되는 제1 스프라켓(21a)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20a)의 후방 단부 내측에는 구동 샤프트(22)에 조립되는 제5 스프라켓(22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프라켓(21a)과 제5 스프라켓(22a)은 체인(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이송부재(10a)의 좌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12)이 상기 체인(23)에 조립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구동 샤프트(22)를 회전시키면 제1 스프라켓(21a)과 제5 스프라켓(22a)을 연결하는 체인(23)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체인(23)과 결합된 제1 이송부재(10a)가 컨테이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20b)의 전방 단부 내측에는 구동 샤프트(22)에 조립되는 제2 스프라켓(21b)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b)의 후방 단부 내측에는 종동 샤프트(21)에 조립되는 제6스프라켓(22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프라켓(21b)과 제6 스프라켓(22b)은 체인(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이송부재(10b)의 우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12)이 상기 체인(23)에 조립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구동 샤프트(22)를 회전시키면 제2 스프라켓(21b)과 제6 스프라켓(22b)을 연결하는 체인(23)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체인(23)과 결합된 제2 이송부재(10b)가 컨테이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20a)의 전방 단부 내측에는 구동 샤프트(22)에 조립되는 제3 스프라켓(21c)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20a)의 후방 단부 내측에는 종동 샤프트(21)에 조립되는 제7 스프라켓(22c)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스프라켓(21c)과 제7 스프라켓(22c)은 체인(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3 이송부재(10c)의 좌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12)이 상기 체인(23)에 조립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구동 샤프트(22)를 회전시키면 제3 스프라켓(21c)과 제7 스프라켓(22c)을 연결하는 체인(23)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체인(23)과 결합된 제3 이송부재(10c)가 컨테이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20b)의 전방 단부 내측에는 구동 샤프트(22)에 조립되는 제4 스프라켓(21d)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b)의 후방 단부 내측에는 종동 샤프트(21)에 조립되는 제8 스프라켓(22d)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4 스프라켓(21d)과 제8 스프라켓(22d)은 체인(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4 이송부재(10b)의 우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12)이 상기 체인(23)에 조립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구동 샤프트(22)를 회전시키면 제4 스프라켓(21d)과 제8 스프라켓(22d)을 연결하는 체인(23)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체인(23)과 결합된 제4 이송부재(10d)가 컨테이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구동 샤프트(22)를 회전시키면 체인(23)에 의해 연결된 종동 샤프트(2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22) 및 종동 샤프트(21)에 조립된 모든 스프라켓들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 샤프트(22) 및 종동 샤프트(21)에 조립된 각 스프라켓들이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체인과 연결되어 있는 4개의 이송부재들이 모두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2개의 물품박스(110)를 동시에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20a)과 제2 프레임(20b)의 내측 수직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롤러(23a)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레일(R1) 및 하부 가이드 레일(R2)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R1)은 상부에서 이동하는 체인 롤러(23a)들을 지지하고, 하부 가이드 레일(R2)은 하부에서 이동하는 체인 롤러(23a)들을 지지한다.
다수의 롤러들이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롤러 체인(23)은, 그 무게가 무거워 처짐이 발생하기 쉽고, 거리가 길어질 경우에는 처짐현상이 더욱 심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R1) 및 하부 가이드 레일(R2)이 프레임 자체에 형성되어 체인 롤러(23a)들을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체인(23)의 길이가 10m 이상 길어지더라도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후술할 체인 결합 브라켓(120)이 롤러 사이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각 이송부재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이송부재(10a, 10b, 10c, 10d)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렛트(120)가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하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드 캠(1)과, 상기 상부 슬라이드 캠(1)을 밀어올리기 위한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 사이에 구비되는 실린더(8)와, 이송부재의 하부 양쪽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15)와, 상기 롤러(15)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 지지부재(14)와, 상기 롤러 지지부재(14)의 일측 양단에 조립되는 브라켓 고정판(13)과, 상기 브라켓 고정판(13)에 조립되어 복수의 체인 롤러(13a)에 안착되는 체인 결합 브라켓(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드 캠(1)은, 경사면(1a)과 수평면(1b)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도 경사면(2a)과 수평면(2b)을 구비한다.
즉 상기 상부 슬라이드 캠(1)의 경사면(1a)과 하부 슬라이드 캠(2)의 경사면(2a)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8)의 전후방에는, 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한 전방 실린더 고정부(7)와 후방 실린더 고정부(9)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는 유압실린더 또는 전동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실린더(8)의 피스톤(8a)을 신장시키면,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의 경사면(2a)이 한 쌍의 상부 슬라이드 캠(1)의 경사면(1a)을 따라 전진하여, 상기 상부 슬라이드 캠(1)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플레이트(10')를 위로 밀어올리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구성되고, 물품박스(110)를 싣고 이동할 시에는 바닥 프레임의 상면보다 약간 상승된다.
이에 따라, 물품박스(110)가 적재된 팔렛트(120)를 바닥 프레임과 일정 간격이격시킨 상태에서 이송시킬 수가 있다.
또한 물품박스(110)를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한 후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가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도록 한 후, 이송부재만을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드 캠(1)은, 이송부재의 상부 플레이트(10') 하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은, 연결부재(2c)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전방에 위치하는 하부 슬라이드 캠(2)은 피스톤(8a)과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피스톤(8a)을 신축시키면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도 같이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a)과 제3 프레임(20c), 제3 프레임(20c)과 제2 프레임(20b)은 하부 프레임(20d)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쪽에는 레일(16)이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이송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15)는 상기 레일(16)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11)의 사이에, 하부 슬라이드 캠(2)의 수평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3)는, 전방의 상부 슬라이드 캠(1)과 후방의 슬라이드 캠(1)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하부 슬라이드 캠(1)이 일정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핀(5)을 더 구비하고,상기 상부 플레이트(10')에는 상기 가이드핀(5)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부시(Bush)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핀(5)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10')는 안정적으로 승하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가 체인과 같이 이동하도록 하는 체인 결합 브라켓(12)을 구비한다.
상기 체인 결합 브라켓(1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반원호 형상의 슬롯(12a)을 구비한다. 상기 슬롯(12a)은 체인 롤러(23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체인 결합 브라켓(12)이 복수의 체인 롤러(23a)에 안착되어 체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샤프트(22) 및 이송부재에 구비되는 실린더(8)를 차량의 후방에서 유선으로 구동시킬 수도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30)에 의해 무선으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품박스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물품을 컨테이너에 싣고 내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지게차를 사용하여 물품박스(110)가 적재된 팔렛트(120)를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 상부에 각각 적재한다. 즉 2개의 물품박스(110)를 컨테이너(100)의 후방에 나란히 올려놓는다.
이어서 구동 스위치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30)를 사용하여 실린더(8)를 신장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8a)의 전방에 연결된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이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한 쌍의 상부 슬라이드 캠(1)을 위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은 연결부재(2c)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방과 후방에 구비된 하부 슬라이드 캠(2)은 전방과 후방에 구비된 상부 슬라이드 캠(1)을 같이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슬라이드 캠(1)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플레이트(10')가 위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가 바닥 프레임으로부터 약 20mm 상승하게 되면, 실린더(8)의 신장을 중지시킨다.
그러면 물품박스(110)가 적재된 팔렛트(120)가 바닥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구동 샤프트(2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인(23)에 의해 연결된 종동 샤프트(21)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 샤프트(22) 및 종동 샤프트(21)에 구비된 각 스프라켓들이 회전하게 되고, 각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23)과 조립되어 있는 4개의 이송부재(10a,10b,10c,10d)들이 체인과 함께 컨테이너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2개의 물품박스(110)가 동시에 컨테이너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품 박스(110)가 적재된 팔렛트(120)가 컨테이너 전방의 일정위치에 도달하면, 구동 샤프트(22)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어서 상기 실린더(8)를 후퇴시키면,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이 후퇴하면서 물품박스(110)의 자중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10')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가 바닥 프레임의 상면보다 약간 아래로 하강하게 되면, 실린더(8)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러면 상부 플레이트(10')는, 바닥 프레임의 상면보다 낮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팔렛트(120)의 하면과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 샤프트(2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송부재만 컨테이너의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이송부재가 컨테이너의 후방 단부에 도달하면, 구동 샤프트(2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다음의 물품박스를 적재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컨테이너에 물품박스를 차례로 실을 수 있고, 물품을 내릴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역으로 진행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바닥 프레임에 구비된 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재에 의해, 물품박스를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4개의 이송부재를 한꺼번에 이동시킴으로써, 한번에 2개의 물품박스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로써 작업자가 컨테이너 내부에 진입하여 물품박스를 인력으로 이동시키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고 작업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대형의 냉동차량에 고중량의 물품박스를 이동시킬 경우,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인력으로 물품박스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에게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성에로 인해 미끄러운 컨테이너 바닥에 올라가 작업할 필요가 없으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상기한 냉동 컨테이너 뿐만 아니라 고중량의 화물을 운반하는 일반 컨테이너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1: 상부 슬라이드 캠(Slide Cam) 2: 하부 슬라이드 캠
2c: 연결부재 3: 스톱퍼(Stopper)
4: 부시(Bush) 5: 가이드 핀(Guide Pin)
6: 하부 지지대 7: 전방 실린더 고정부
8: 실린더(Cylinder) 8a: 피스톤(Piston)
9: 후방 실린더 고정부 10: 이송부재
10a: 제1 이송부재 10b: 제2 이송부재
10c: 제3 이송부재 10d: 제4 이송부재
10': 상부 플레이트(Plate) 11: 하부 플레이트
12: 체인 결합 브라켓(Bracket) 12a: 슬롯(Slot)
13: 브라켓 고정판 14: 롤러 지지부재
15: 롤러(Roller) 16: 레일(Rail)
20a: 제1 프레임(Frame) 20b: 제2 프레임
20c: 제3 프레임 20d: 하부 연결프레임
20e: 중앙 프레임 21: 구동 샤프트(Shaft)
21a: 제1 스프라켓(Sprocket) 21b: 제2 스프라켓
21c: 제3 스프라켓 21d: 제4 스프라켓
22: 구동 샤프트 22a: 제5 스프라켓
22b: 제6 스프라켓 22c: 제7 스프라켓
22d: 제8 스프라켓 22e: 제9 스프라켓
22f: 구동 스프라켓 22g: 구동모터
22h: 감속기 23: 체인(Chain)
23a: 체인 롤러(Chain Roller) 24: 공간부
30: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100: 컨테이너(Container) 110: 물품박스
120: 팔렛트(Pallet) 130: 박스 이송부재
131: 상부부재 131a: 롤러
132: 하부부재 133: 조절스틱(Stick)
140: 바닥 프레임 140a: 슬라이딩(Sliding) 홈
200: 냉동장치
R1: 상부 가이드레일(Guide Rail)
R2: 하부 가이드레일(Guide Rail)

Claims (16)

  1. 냉동장치(200)가 구비된 냉동차량의 컨테이너(100) 바닥에 설치되어 물품박스(110)를 컨테이너 내부에서 이송시키기 위한 물품박스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바닥에 구비되는 프레임은,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 각각은,
    컨테이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구비되는 제1 프레임(20a)과,
    상기 제1 프레임(20a)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20b)과,
    상기 제1 프레임(20a)과 제2 프레임(20b)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프레임(20c)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20a)과 제3 프레임(20c)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3 프레임(20c)과 제2 프레임(20b) 사이의 공간에, 물품박스(110)를 이송시키는 4개의 이송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4개의 이송부재(10a, 10b, 10c, 10d)는,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시에 이동하고,
    상기 각 이송부재(10a, 10b, 10c, 10d)는,
    팔렛트(120)가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상부 플레이트(10')와,
    상부 플레이트(10')의 하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드 캠(1)과,
    상기 상부 슬라이드 캠(1)을 밀어올리기 위한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 사이에 구비되는 실린더(8)와,
    이송부재의 하부 양쪽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15)와,
    상기 롤러(15)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 지지부재(14)와,
    상기 롤러 지지부재(14)의 일측 양단에 조립되는 브라켓 고정판(13)과,
    상기 브라켓 고정판(13)에 조립되어 복수의 체인 롤러(23a)에 안착되는 체인 결합 브라켓(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는,
    컨테이너(100)의 후방 단부에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22) 및 전방 단부에 구비되는 종동 샤프트(2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22)의 중앙 부위에 제9 스프라켓(22e)이 구비되며,
    상기 제9 스프라켓(22e)과 구동 스프라켓(22f)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9 스프라켓(22e)은, 컨테이너 바닥 프레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 스프라켓(22f)과 체인에 의해 경사지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22f)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22g) 및 감속기(22h)에 의해 구동되며,
    구동 스프라켓(22f), 구동모터(22g) 및 감속기(22h)는, 컨테이너 바닥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되는 공간부(2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20a)의 전방 단부 내측에, 종동 샤프트(21)에 조립되는 제1 스프라켓(21a)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20a)의 후방 단부 내측에, 구동 샤프트(22)에 조립되는 제5 스프라켓(22a)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프라켓(21a)과 제5 스프라켓(22a)은 체인(2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1 이송부재(10a)의 좌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12)이 상기 체인(23)에 조립되어, 상기 체인(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이송부재(10a)가 컨테이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20b)의 전방 단부 내측에, 종동 샤프트(21)에 조립되는 제2 스프라켓(21b)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b)의 후방 단부 내측에, 구동 샤프트(22)에 조립되는 제6스프라켓(22b)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21b)과 제6 스프라켓(22b)은 체인(2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2 이송부재(10b)의 우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12)이 상기 체인(23)에 조립되어, 상기 체인(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이송부재(10b)가 컨테이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20a)의 전방 단부 내측에, 종동 샤프트(21)에 조립되는 제3 스프라켓(21c)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20a)의 후방 단부 내측에, 구동 샤프트(22)에 조립되는 제7 스프라켓(22c)이 구비되며,
    상기 제3 스프라켓(21c)과 제7 스프라켓(22c)은 체인(2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3 이송부재(10c)의 좌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12)이 상기 체인(23)에 조립되어, 상기 체인(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3 이송부재(10c)가 컨테이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20b)의 전방 단부 내측에, 종동 샤프트(21)에 조립되는 제4 스프라켓(21d)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b)의 후방 단부 내측에, 구동 샤프트(22)에 조립되는 제8스프라켓(22d)이 구비되며,
    상기 제4 스프라켓(21d)과 제8 스프라켓(22d)은 체인(2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4 이송부재(10b)의 우측에 구비된 체인 결합 브라켓(12)이 상기 체인(23)에 조립되어, 상기 체인(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4 이송부재(10d)가 컨테이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20a)과 제2 프레임(20b)의 내측 수직면에, 체인 롤러(23a)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레일(R1) 및 하부 가이드 레일(R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드 캠(1)은, 경사면(1a)과 수평면(1b)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은, 경사면(2a)과 수평면(2b)을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8)의 피스톤(8a)을 신장시킴에 따라, 상기 하부 슬라이드 캠(2)의 경사면(2a)이 상기 상부 슬라이드 캠(1)의 경사면(1a)을 따라 전진하여 상부 플레이트(10')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는,
    바닥 프레임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구성되고,
    컨테이너(100)의 전방으로 이동시에는, 바닥 프레임의 상면보다 높게 상승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드 캠(1)은, 이송부재의 상부 플레이트(10') 하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은, 연결부재(2c)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전방에 위치하는 하부 슬라이드 캠(2)은 피스톤(8a)과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8a)의 신축에 따라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 캠(2)이 같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이송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15)는,
    제1 프레임(20a)과 제3 프레임(20c), 제3 프레임(20c)과 제2 프레임(20b)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20d)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16)을 타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송부재는,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11)의 사이에, 하부 슬라이드 캠(2)의 수평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송부재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핀(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결합 브라켓(12)은, 복수의 반원호 형상의 슬롯(12a)을 구비하여, 상기 슬롯 부분이 복수의 체인 롤러(23a)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KR1020200119686A 2020-09-17 2020-09-17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KR102432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86A KR102432716B1 (ko) 2020-09-17 2020-09-17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86A KR102432716B1 (ko) 2020-09-17 2020-09-17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19A KR20220037119A (ko) 2022-03-24
KR102432716B1 true KR102432716B1 (ko) 2022-08-12

Family

ID=8093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686A KR102432716B1 (ko) 2020-09-17 2020-09-17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7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94858B (zh) * 2023-05-25 2024-03-01 盐城发特集团公司 一种智能化鲜活水产品冷藏运输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365B1 (ko) 2015-01-12 2015-09-01 이정신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381Y2 (ja) * 1992-02-19 2000-01-11 柏原 照男 トラックの荷台コンベア
KR19980074980A (ko) * 1997-03-28 1998-11-05 장병우 적재함의 운반장치
KR200246180Y1 (ko) 2001-06-19 2001-10-17 고홍달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
KR200303790Y1 (ko) 2002-11-14 2003-02-11 심광식 냉동차량의 바닥용 판넬
KR101035996B1 (ko) * 2009-04-14 2011-05-23 김정숙 운송차량 적재함의 화물이동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365B1 (ko) 2015-01-12 2015-09-01 이정신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19A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10769A (ja) 積み降ろし装置および荷物積み降ろしシステム
CN101648643B (zh) 移动式伸缩升降输送车
KR101444909B1 (ko) 화물 이송장치
CN109823756B (zh) 一种托盘自动推拉存取装置
CN110510552B (zh) 一种货物装车机构
CN104724516B (zh) 一种适用于厢式货车的自动装车装置
CN110683381A (zh) 自动拆码垛装卸车系统
KR102432716B1 (ko)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KR20100009937U (ko) 신축 컨베이어
CN211366865U (zh) 货物装车机构
CN112390036A (zh) 一种集装箱货物装卸可移动升降平台
CN110155754B (zh) 大型货车无托盘自动装车机
CN106938830B (zh) 货物运载装置
CN112125094A (zh) 一种连续升降机
CN107304006B (zh) 一种用于汽车座椅自动装卸的传输系统
CN112299065A (zh) 整车装车系统
CN218465012U (zh) 一种厢内码垛装置
CN218878801U (zh) 一种货物装卸结构
KR100965639B1 (ko) 화물 적재 시스템
CN215436142U (zh) 一种模块化物流配送系统
CN214454084U (zh) 货物暂存装置
CN201472983U (zh) 移动式伸缩升降输送车
KR101585173B1 (ko) 특장차용 2단 적재장치
CN110844471B (zh) 一种伸缩式垂直提升设备
CN109455462B (zh) 伸缩输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