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180Y1 -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 - Google Patents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180Y1
KR200246180Y1 KR2020010018312U KR20010018312U KR200246180Y1 KR 200246180 Y1 KR200246180 Y1 KR 200246180Y1 KR 2020010018312 U KR2020010018312 U KR 2020010018312U KR 20010018312 U KR20010018312 U KR 20010018312U KR 200246180 Y1 KR200246180 Y1 KR 200246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freezing box
box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홍달
Original Assignee
고홍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홍달 filed Critical 고홍달
Priority to KR2020010018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180Y1/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우유나 냉동식품(육류 및 어류)을 유통시킴에 있어 신선도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냉동차량의 냉동박스 바닥에 사용되는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판의 조립이 간편·용이하고 냉동박스 바닥으로의 누수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판에 형성된 요철부 내면 하단부에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걸림판이 결합되고 냉동박스의 내판에는 선단이 상향절곡되는 클램프가 단열재 및 외판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보울트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바닥판을 간편·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판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멍가공이 필요없고 이를 지지·고정하는 클램프 및 고정보울트가 요철부내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바닥판의 외관이 청결·미려함은 물론, 완벽하게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냉동박스 및 바닥판의 내구성 향상 및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FLOOR PANEL FOR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우유나 냉동식품(육류 및 어류)을 유통시킴에 있어 신선도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냉동차량의 냉동박스 바닥에 사용되는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판의 조립이 간편·용이하고 냉동박스 바닥으로의 누수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차량이라 함은 산지(생산지)에서 가공되어진 각종 우유 및 냉동식품(육류 및 어류)을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해 유통시킴에 있어, 우유 및 냉동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냉동박스가 창작된 차량을 말하는 것이다.
산지(생산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육류의 경우는 각각의 지방에 지정되어진 육류가공업소, 어류의 경우는 바닷가나 수산물 집하장)에서 가공되어진 냉동식품이 소비자에게 판매되어지기 까지는 많은 유통기간 및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신선도 유지를 위해서는 냉동수단이 반드시 요구되어지며, 이러한, 냉동식품을 유통함에 있어 가장 보편화된 방법이 바로, 냉동차량을 이용한 운송방법이다.
현재, 냉동식품의 유통을 위해 사용되는 있는 냉동차량은 여러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동차량용 냉동박스의 바닥판은 차량(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서브프레임(2)을 가로지르도록 다수개의 지지프레임(4)이 고정(용접에 의한 결합)되고, 후면 또는 일측면에 개폐도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며 단열을 위한 단열재(6)가 내장된 육면체형상의 냉장박스(10)가 별도의 고정방식(공지의 기술인 용접방법이나 또는 브라켓과 보울트를 이용한 고정방식)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되, 상기 냉동박스(10)의 바닥면에는 종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되는 바닥판(1)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1)은 일정부위[지지프레임(4)이 겹쳐지는 부위]에 고정나사(8)를 체결하여 이에 의해 지지프레임(4)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바닥판(1) 상면으로 드러나진 고정나사(8)의 두부는 실리콘으로 실링처리되거나 또는 바닥판(1)과 고정나사(8)를 용접하여 고정나사(8) 체결시 발생되는 틈새를 막아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동차량에서는 바닥판을 고정함에 있어 체결수단으로 직결방식인 고정나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바닥판 고정시 고정나사 체결을 위한 구멍 가공이 요구되어 그 작업이 불편하고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비록, 고정나사 체결 후 고정부위가 실리콘으로 실링처리되지만 장기간 사용시 실링된 실리콘이 잦은 접촉으로 인한 마찰과 변질로 인해 탈리되거나 또는 용접시 얇은 바닥판과 고정나사의 용접부에 균열이 발생하여 그 부위에 누수현상이 발생되고 누수로 인해 수분이 바닥판과 냉동박스 또는 지지프레임으로 유입되어 부식현상과 내구성 저하로 인한 균열이 발생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우유 및 냉동식품을 유통시키기 위한 내동차량의 냉동박스에 설치되는 바닥판을 고정함에 있어 클램프를 이용한 끼움방식에 의해 바닥판을 간편·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바닥판에 별도의 구멍가공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누수방지를 위한 실리콘 실링작업 및 용접작업 없이도 완벽하게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형태의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냉동차량의 냉동박스 바닥면에 고정되는 바닥판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요철부 내면 하단부에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걸림판이 결합되고 냉동박스의 내판에는 선단이 상향절곡되는 클램프가 단열재 및 외판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보울트에 의해 고정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냉동박스 102:내판
104:단열재 106:외판
108:지지프레임 110:바닥판
112:요철부 114:걸림판
116:클램프 120:고정보울트
122:서브프레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차량(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냉동박스(100) 바닥면에 고정되는 바닥판(110)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에 형성된 요철부(112) 내면 하단부에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걸림판(114)이 결합되고 냉동박스(100)의 내판(102)에는 선단이 상향절곡되는 클램프(116)가 단열재(104) 및 외판(106)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108)에 체결되는 고정보울트(1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판(110) 요철부(112)에 결합된 걸림판(114)은 고정보울트(120)에 의해 냉동박스(100)의 바닥면 즉, 내판(102)에 고정되는 클램프(116)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확대도로서, 냉동차량에 서브프레임(122)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8)에 내·외판(102, 106)과 단열재(104)가 충진된 육면체형상의 냉동박스(100)가 결합되고, 상기 냉동박스(100)의 바닥면에는 요철부(112)가 형성된 바닥판(110)이 고정되되, 바닥판(110)은 요철부(112) 내면 하단부에 결합된 걸림판(114)이 내동박스(100)의 내판(102)에 고정보울트(120)에 의해 고정되어진 클램프(116)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냉동박스(100)의 내판(102)상에 고정보울트(120)에 의해 고정된 클램프(116)에 바닥판(110) 요철부(112)에 결합된 걸림판(114)이 전방으로부터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바닥판(110)이 냉동박스(100) 바닥면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램프(116)를 고정하는 고정보울트(120)는 냉동박스(100)의 내·외판(102, 106)과 단열재(104)를 관통하여 지지프레임(108)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유 및 냉동식품을 유통(운송)시키기 위한 냉동차량의 냉동박스에 바닥판(110)을 설치하려면, 먼저, 상기 바닥판(110)에 형성된 요철부(112) 내면 하단부에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걸림판(114)을 결합하고, 냉동박스(100)의 내판(102)에는 선단이 상향절곡되는 클램프(116)를 단열재(104) 및 외판(106)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108)에 체결되는 고정보울트(120)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110)에 결합되는 걸림판(114)과 냉동박스(100)의 내판(102)에 고정보울트(120)로 고정된 클램프(116)의 간격 및 위치는 상호간에 동일한 간격과 대응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바닥판(110)에 결합된 걸림판(114)이 클램프(116)의 선단에 위치되도록 냉동박스(100)의 바닥면에 올려 놓은 후, 바닥판(110)을 밀어 넣게 되면, 클램프(116) 선단에 위치된 걸림판(114)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16)에 끼워져 지지·고정된다.
이와 같이, 바닥판(100)을 밀어 넣어 요철부(112)에 결합된 걸림판(114)이 고정보울트(120)에 의해 냉동박스(100) 바닥면 즉, 내판(102)상에 고정된 클램프(116)에 끼워져 고정되면, 바닥판(100)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서, 이때, 바닥판(100)의 끝단부에는 냉동차량의 요동으로 인해 클램프(116)로부터 걸림판(11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마감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고정·미감처리 된다.
이와 같이하여, 걸림판(114)과 클램프(116)를 이용하여 바닥판(110)을 간편·용이한 조립은 물론, 완벽하게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냉동차량의 냉동박스에 바닥판을 설치함에 있어, 바닥판에 형성된 요철부 내면 하단부에 걸림판이 결합되고 냉동박스의 내판에는 선단이 상향절곡되는 클램프가 고정보울트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바닥판을 간편·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판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멍가공이 필요없고 이를 지지·고정하는 클램프 및 고정보울트가 요철부내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바닥판의 외관이 청결·미려함은 물론, 완벽하게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냉동박스 및 바닥판의 내구성 향상 및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냉동차량의 냉동박스(100) 바닥면에 고정되는 바닥판(110)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에 형성된 요철부(112) 내면 하단부에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걸림판(114)이 결합되고,
    상기 냉동박스(100)의 내판(102)에는 선단이 상향절곡되는 클램프(116)가 단열재(104) 및 외판(106)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108)에 체결되는 고정보울트(120)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량용 바닥판 구조.
KR2020010018312U 2001-06-19 2001-06-19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 KR200246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12U KR200246180Y1 (ko) 2001-06-19 2001-06-19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12U KR200246180Y1 (ko) 2001-06-19 2001-06-19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180Y1 true KR200246180Y1 (ko) 2001-10-17

Family

ID=7310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312U KR200246180Y1 (ko) 2001-06-19 2001-06-19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18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431B1 (ko) * 2010-12-22 2013-03-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트레일러의 적재 장치
KR20220037119A (ko) 2020-09-17 2022-03-24 김중삼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KR20220084941A (ko) * 2020-12-14 2022-06-21 조상기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431B1 (ko) * 2010-12-22 2013-03-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트레일러의 적재 장치
KR20220037119A (ko) 2020-09-17 2022-03-24 김중삼 냉동차량의 물품박스 이송장치
KR20220084941A (ko) * 2020-12-14 2022-06-21 조상기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KR102420471B1 (ko) 2020-12-14 2022-07-13 조상기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5766B2 (en) Refrigeration cabinet
US4916864A (en) Snap-in gasket system for refrigerator and freezer doors
JP2008525756A (ja) 冷蔵庫/冷凍庫ユニット
KR200246180Y1 (ko)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
KR101423049B1 (ko) 단열패널 접합체결용 모서리부 연결프레임
US20090224644A1 (en) Sliding lid for a refrigerator and/or freezer and refrigerator and/or freezer with a sliding lid
KR101709707B1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CN101795603B (zh) 家用制冷电器
EP1240468B1 (en) A gasket arrangement for the cabinet door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CN108991847B (zh) 一种掀门式展示柜
FR2964129A1 (fr) Dispositif permettant de fixer des panneaux photovoltaiques avec une membrane d&#39;etancheite
CN2527533Y (zh) 带新型后门槛连接件的集装箱
JP3090509U (ja) 空調ボックスのフレーム構造
KR100507328B1 (ko) 냉장고의 전면중앙판의 장착구조
KR102603480B1 (ko) 저온저장고용 절전형 기능성 도어장치
FR3039843B1 (fr) Dispositif d&#39;accroche de plaques de beton pour realiser un bardage sur une construction
AU2013100763B4 (en) Refrigerator mullion assembly
CN209907660U (zh) 一种密集管线区域墙面保温层施工结构
CN209684485U (zh) 集装箱
CN212291299U (zh) 一种便于冷机安装的端框结构及冷藏集装箱
CN213040727U (zh) 一种空调箱体
KR101239295B1 (ko) 밀착 결합구를 갖는 냉장 및 냉동창고용 천정패널
FR2547346A1 (fr) Dispositif d&#39;ossature de vitrage sans mastic a rupture de ponts sans fixation visible
KR20110006209U (ko) 냉장고
JP3825008B2 (ja) ガラスブロックパネル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