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941A -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941A
KR20220084941A KR1020200174908A KR20200174908A KR20220084941A KR 20220084941 A KR20220084941 A KR 20220084941A KR 1020200174908 A KR1020200174908 A KR 1020200174908A KR 20200174908 A KR20200174908 A KR 20200174908A KR 20220084941 A KR20220084941 A KR 20220084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eated
upper sid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471B1 (ko
Inventor
조상기
조혁기
Original Assignee
조상기
조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기, 조혁기 filed Critical 조상기
Priority to KR102020017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4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6Protecting against s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8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for 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또는 냉장을 요하는 화물이 적재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적재된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냉기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내부 공간에 냉장 또는 냉동 저장하기 위해 차량 위에 탑재되는 컨테이너;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 플레이트;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체결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적재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승강되는 돌출부와 하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함몰부가 교차되면서 반복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완충 플레이트; 및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적재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SHOCK ABSORBING DEVICE FOR REFRIGERATION VEHICLE CONTAINER}
본 발명은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 또는 냉장을 요하는 화물이 적재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적재된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는 화물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형 용기(容器)로서, 신속한 하역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운송수단 간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안된 대형의 화물수송 용기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그 용도 및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는데, 그 중 냉동컨테이너는 보온 보냉 등을 위한 단열재를 사용하여 특수 제작된 컨테이너에 냉동, 냉장 장치가 설치되어 농수산물, 축산물, 가공식품, 화훼, 화공의약품 등을 냉동, 냉장 할 수 있는 컨테이너이다.
이러한 냉동 컨테이너는 트레일러에 적재되어 운반되거나 화물차의 화물칸에 적재되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차량을 냉동냉장 탑차라 한다.
종래의 탑차에 설치되는 컨테이너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구성이 빈약하여 적재된 화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4089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823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냉동 또는 냉장을 요하는 화물이 적재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적재된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는,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냉기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내부 공간에 냉장 또는 냉동 저장하기 위해 차량 위에 탑재되는 컨테이너;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 플레이트;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체결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적재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승강되는 돌출부와 하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함몰부가 교차되면서 반복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완충 플레이트; 및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적재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돌출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을 다수 개의 공간을 구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분리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격벽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에 직립되어 안착되되,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을 따라 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는 벽체; 상기 벽체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벽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측과 대향하고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일단이 상기 벽체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지지판의 하측과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중간 완충부; 및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벽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벽체를 상기 완충 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체결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완충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지지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지지판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냉동 또는 냉장을 요하는 화물이 적재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적재된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바닥 플레이트, 완충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지지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3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도 4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는 도 4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3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9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9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5는 도 13의 중간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는 도 15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는 도 15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1)는, 컨테이너(10), 바닥 플레이트(20), 완충 플레이트(30) 및 플레이트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10)는, 냉각 장치(100)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냉기를 이용하여 적재물(P)을 내부 공간에 냉장 또는 냉동 저장하기 위해 차량(C) 위에 탑재되며, 내측 바닥면에 바닥 플레이트(20), 완충 플레이트(30) 및 플레이트 지지부(4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 완충부(L)가 설치된다.
바닥 플레이트(2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컨테이너(1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측에 완충 플레이트(30)가 안착된다.
완충 플레이트(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및 다른 일측이 바닥 플레이트(2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안착홈(21)에 삽입 체결되며 바닥 플레이트(20)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적재물(P)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바닥 플레이트(20)의 상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승강되는 돌출부(31)와 하측으로 함몰되어 바닥 플레이트(20)의 상측에 안착되는 함몰부(32)가 교차되면서 반복되는 패턴을 형성한다.
즉, 돌출부(31)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적재물(P)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감쇄시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물(P)의 해동에 따라 발생되는 물기가 흐르기 위한 배수로로서의 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플레이트 지지부(40)는, 완충 플레이트(30)의 돌출부(31)와 바닥 플레이트(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설치되어 완충 플레이트(3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적재물(P)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 플레이트(20)는, 돌출부(31)와 대향하는 상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홈(22)을 따라 다수 개가 안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1)는, 냉동 또는 냉장을 요하는 화물이 적재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적재된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3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200)는, 박스형 케이스(210),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제3 지지부(240) 및 간격조절볼트(250)를 포함한다.
박스형 케이스(210)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되며, 돌출부(31)와 바닥 플레이트(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다.
제1 지지부(22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24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2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돌출부(31)의 하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0)는,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25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23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 플레이트(20)에 안착된다.
제3 지지부(24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26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4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돌출부(31)의 하측을 지지한다.
간격조절볼트(250)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2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250)는, 볼트 본체(2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2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2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251)는,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2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1, 252-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253-1, 253-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254-1, 254-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레이트 지지부(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돌출부(31)와 바닥 플레이트(20) 사이의 이격 간격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완충 플레이트(30)에 의한 적재물(P)의 지지 높이 뿐만 아니라, 완충 플레이트(30)에 의한 완충의 정도 역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3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300)는, 상부 지지대(310), 하부 지지대(3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310)는,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설치되며, 돌출부(31)의 하측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320)는, 돌출부(31)와 바닥 플레이트(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부 지지대(3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바닥 플레이트(20)에 안착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바닥 플레이트(20)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300)는, 완충 플레이트(30)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뿐만 아니라, 완충 플레이트(30)로부터 전달되는 경사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역시 감쇄시켜 줌으로써, 완충 플레이트(30)에 적재되어 있는 적재물(P)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310)는, 지지 플레이트(311), 하부홈(312), 간격 지지 탄성체(313), 제1 제동 프레임(314) 및 제2 제동 프레임(3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부(31)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313)에 의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312)은, 간격 지지 탄성체(3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313)는, 지지 플레이트(311)와 하부 지지대(3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314)은,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315)은, 제1 제동 프레임(3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320)는, 지지 본체(321), 제1 상하 관통홈(322), 제2 상하 관통홀(323),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3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3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322)은, 제1 제동 프레임(3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323)은, 제2 제동 프레임(3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3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3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3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12은 도 9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제3 스프라켓(333), 구동 벨트(334), 제동 플레이트(335) 및 제동 스프링(3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331)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332)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333)은, 제1 설치 공간(3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334)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3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3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바닥 플레이트(20)와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332)와 제3 스프라켓(333)은, 구동 벨트(334)의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33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면(3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3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336)은,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3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3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플레이트 지지부(300)가 제동 스프링(3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3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플레이트 지지부(3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2)는, 컨테이너(10), 바닥 플레이트(20), 완충 플레이트(30), 플레이트 지지부(40) 및 분리 격벽(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컨테이너(10), 바닥 플레이트(20), 완충 플레이트(30) 및 플레이트 지지부(40)는,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분리 격벽(50)은,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을 다수 개의 공간을 구획시킬 수 있도록 완충 플레이트(3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 격벽(50)은, 벽체(51), 지지판(52), 안착 플레이트(53), 중간 완충부(54), 및 체결 걸쇠(55)를 포함한다.
벽체(5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완충 플레이트(30)의 상측에 직립되어 안착되되, 완충 플레이트(30)의 돌출부(31)와 함몰부(32)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을 따라 요철의 반복(51a, 51b)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며, 하측이 지지판(52)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판(52)은, 벽체(51)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벽체(51)를 지지한다.
이때, 지지판(52)은, 적재물(P)이 안착되는 벽체(51)의 반대면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안착 플레이트(53)는, 지지판(52)의 하측과 대향하고 완충 플레이트(30)의 상측에 안착되며, 일단이 벽체(51)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에 중간 완충부(54)가 설치된다.
중간 완충부(54)는, 지지판(52)의 하측과 안착 플레이트(53)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판(52)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체결 걸쇠(55)는,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벽체(51)의 하측에 설치되며, 완충 플레이트(30)의 돌출부(31)에 형성되는 개구부(30a)를 통해 삽입되어 벽체(51)를 완충 플레이트(30)에 체결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31)는, 체결 걸쇠(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30a)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열을 지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2)는,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을 다수 개의 공간을 구획시킴으로써 컨테이너(10)의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획 공간을 적재물(P)의 크기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이동에 따라 적재물(P)의 충격에도 지지판(52), 안착 플레이트(53) 및 중간 완충부(54) 간의 완충구조를 이용하여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3의 중간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완충부(400)는, 받침 플레이트(410), 하부 플레이트(420) 및 회동형 완충부(4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받침 플레이트(4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판(52)의 하측을 지지하며, 회동형 완충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플레이트(4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회동형 완충부(430)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 플레이트(4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회동형 완충부(430)는, 받침 플레이트(410)와 하부 플레이트(4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지지판(52)의 움직임(즉, 벽체(51)의 회동 정도에 따라)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4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4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완충부(430)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 제2 아치형 지지대(432), 제3 아치형 지지대(433) 및 지지대 연결 링크(4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지지대(431)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410)를 지지하고,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420)의 상측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지지판(52)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42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된다.
제2 아치형 지지대(432)는,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4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3 아치형 지지대(433)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431)를 사이에 두고 제2 아치형 지지대(43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4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아치형 지지대(4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완충부(400)는, 적재물(P)의 이동에 따른 벽체(51)의 회동시 발생되는 움직임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벽체(51)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최소화시켜 벽체(51)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6는 도 15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4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440)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안착 공간(440)은, 단부 안착 공간(440)에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435)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43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435)는, 단부 안착 공간(44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T1)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T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플레이트(4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또는 제3 아치형 지지대(433)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인 단부 안착 공간(440)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는, 일 단부 안착 공간(440)으로부터 다른 단부 안착 공간(440)으로 그 형상이 절곡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면서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7는 도 15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를 참조하면,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1 고정 블록(4341), 제2 고정 블록(4342) 및 슬라이딩 블록(434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4341)은, 제2 아치형 지지대(4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4343)의 제1 체결핀(P1)에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4342)은, 제1 고정 블록(4341)과 대향하며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4343)의 제2 체결핀(P2)에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P1)이 제1 고정 블록(4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P2)이 제1 고정 블록(4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431)가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이 움직임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4343)에 의해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줄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4311)에 안착되어 가이드홈(43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434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4344)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4345)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지지대(431)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와는 달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410)에 의한 가압에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바퀴의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지대(4312)가 일측 및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4343)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판(52)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4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아치형 지지대(431)가 함께 회전할 경우, 받침 플레이트(410)가 평행한 경우의 안착 위치인 기준선(L)으로부터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10: 컨테이너
20: 바닥 플레이트
30: 완충 플레이트
40: 플레이트 지지부
50: 분리 격벽

Claims (10)

  1.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냉기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내부 공간에 냉장 또는 냉동 저장하기 위해 차량 위에 탑재되는 컨테이너;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 플레이트;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체결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적재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승강되는 돌출부와 하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함몰부가 교차되면서 반복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완충 플레이트; 및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적재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을 다수 개의 공간을 구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분리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 격벽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에 직립되어 안착되되,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을 따라 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는 벽체;
    상기 벽체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벽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측과 대향하고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일단이 상기 벽체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지지판의 하측과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중간 완충부; 및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벽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벽체를 상기 완충 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체결 걸쇠;를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완충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지지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지지판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KR1020200174908A 2020-12-14 2020-12-14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KR102420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08A KR102420471B1 (ko) 2020-12-14 2020-12-14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08A KR102420471B1 (ko) 2020-12-14 2020-12-14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41A true KR20220084941A (ko) 2022-06-21
KR102420471B1 KR102420471B1 (ko) 2022-07-13

Family

ID=8222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908A KR102420471B1 (ko) 2020-12-14 2020-12-14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4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180Y1 (ko) * 2001-06-19 2001-10-17 고홍달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
JP2002128185A (ja) * 2000-10-24 2002-05-09 Matsuda Gijutsu Kenkyusho:Kk コンテナ用防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テナ
KR200478232Y1 (ko) 2014-04-30 2015-09-10 주식회사 삼성특장 조립식 냉동 컨테이너용 도어 프레임의 단열 구조
KR20150004089U (ko) 2014-04-30 2015-11-09 이승용 냉동 컨테이너용 도어 단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185A (ja) * 2000-10-24 2002-05-09 Matsuda Gijutsu Kenkyusho:Kk コンテナ用防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テナ
KR200246180Y1 (ko) * 2001-06-19 2001-10-17 고홍달 냉동차량의 바닥판 구조
KR200478232Y1 (ko) 2014-04-30 2015-09-10 주식회사 삼성특장 조립식 냉동 컨테이너용 도어 프레임의 단열 구조
KR20150004089U (ko) 2014-04-30 2015-11-09 이승용 냉동 컨테이너용 도어 단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471B1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60658A1 (en) Cargo management container/organizer attachment apparatus/method
KR102418889B1 (ko) Pcm 모듈을 이용한 냉장차용 냉각 시스템
US20180257677A1 (en) Railway car truck friction shoe spring group
KR102420471B1 (ko)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WO2012146718A1 (en) An apparatus for transport and controlled discharge of products
US3938872A (en) Shelf retainer for mobile vehicle refrigerators
JP4349649B2 (ja) 対象物設置機構
US5943967A (en) Mobile pharmacy shelving
US2873693A (en) Resiliently mounted tie-down support rails
US6367590B1 (en) Cushioned brake beam wear plate
CN212566444U (zh) 一种多温冷藏车的制冷系统
KR102420474B1 (ko)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KR102462533B1 (ko) 앨범 포장 장치
US3203361A (en) Resiliently suspended transport structure
JP4765847B2 (ja) 荷保管用ラックの荷支持装置
KR102317629B1 (ko)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20220086429A (ko) 황태 블록 건조 장치
KR102162556B1 (ko) 자동차 부품 운반용 팔레트
JP3388238B2 (ja) 鉄道貨物輸送用収容体
US1937055A (en) Seat
JPH11141603A (ja) 家具の免震装置
KR20090097972A (ko) 하중과 진동과 충격을 지지하고 흡수 및 완충하고 소음을방지하는 장치와, 수평과 수직 그리고 경사 방향 및 그외모든 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한 이동장치와, 크로스바 자동길이조절장치가 결합된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루프캐리어
CN112173355A (zh) 智能安防用减震运输箱
KR102516286B1 (ko) 절첩식 랩탑 컴퓨터 스탠드
KR102385187B1 (ko) 앨범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