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474B1 -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474B1
KR102420474B1 KR1020200174909A KR20200174909A KR102420474B1 KR 102420474 B1 KR102420474 B1 KR 102420474B1 KR 1020200174909 A KR1020200174909 A KR 1020200174909A KR 20200174909 A KR20200174909 A KR 20200174909A KR 102420474 B1 KR102420474 B1 KR 10242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arcuate
spac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4942A (ko
Inventor
조상기
조혁기
Original Assignee
조상기
조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기, 조혁기 filed Critical 조상기
Priority to KR102020017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4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60P3/205Refrigerated goods vehicles with means for dividing the interior volume, e.g. movable walls or intermediate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6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adapted to the use i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1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2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divided into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8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for 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 또는 냉동을 요하는 물품을 적재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에 물품의 적재가 가능한 트레이의 탈부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한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냉기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내부 공간에 냉장 또는 냉동 저장하기 위해 차량 위에 탑재되는 컨테이너; 적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직선형 판재 또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는 절곡형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 프레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CONTAINER TRAY DEVICE FOR REFRIGERATION VEHICLE}
본 발명은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 또는 냉동을 요하는 물품을 적재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에 물품의 적재가 가능한 트레이의 탈부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한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농/축/수산물도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는 농/축/수산물의 풍작과 흉작에 따라 수급조절이 필요하므로서, 이러한 신선 식품들의 신선도와 영양가를 보존하는 상태로 장기보관하였다가 적당한 시기에 출하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목적에 의해서 냉동/냉장 창고 또는 냉동/냉장 저장고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기에 수산물을 저장할 대는 냉동상태로 보관하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으나, 신선도를 요하는 농산물(농작물)등은 냉장보관(저온저장)이 필수적인 것이다.
또, 종래에는 농산물의 신선도와 영양가가 보존되는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는 방법으로서 냉장(저온)창고 또는 냉장 저장고에 보관하여 오고 있으며, 이러한 냉장창고 또는 냉장 저장고는 농협기관이 상주하는 군, 면 소재지에 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직접 농산물을 생산(경작)하는 농민(생산자)은 농산물을 보관하기 위하여는 냉장창고 또는 냉장 저장고가 시설 운용되고 있는 군, 면 소재지까지 운반하여야 하므로 농산물의 운반 및 저장이 불편하다.
또, 농산물을 별도의 보관용 포장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크고, 더욱 손상되기 쉬운 농작물은 냉장창고 또는 냉장 저장고까지 운반하는 도중에 변질될 우려가 있어 농산물의 가격에 관계없이 농산물을 소비처로 직접 출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농산물이 풍작인 경우에는 가격이 하락되어도 부득이 저가로 농산물을 출하함으로써 제값 받기가 어려워 농촌경제의 손실이 많았던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은 저온창고는 농산물을 종합보관하기 위해 저온창고의 규모를 크게 하고 있어, 저온창고를 가동하는데 따른 전력비용 등 운영비용이 많이 들어서 이들 저온창고를 이용하는 위탁농민의 경제적인 부담이 큰 것이 있었다.
특히, 계절에 따라 저온창고에 보관하는 농산물의 보관량이 창고용적의 1/3정도로 적은 경우에도 저온창고 전체를 정상 가동하여야 하므로, 전력비용 등 동일한 운영비가 소요되는 것이어서 저온창고를 이용하는 농민에게는 과중한 위탁비용이 부담되는 경제적 어려움을 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전의 농산물 유통경로를 보면 생산자로부터 위탁되어 냉장 보관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농산물을 냉장차 또는 일반차량으로 운반하여 적재한 후 냉동차로 소비지역으로 운반하여 다시 냉장차에서 냉장 저 장창고로 운반하여 저장하였다가 이를 판매자인 시장으로 운반하여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생산지에서 냉장보관된 농작물을 소비지역으로 운송하는데 냉장차에 실었다 내렸다 하는 운반과정이 많이 농산물의 이송과정이 번거로워 운송비용이 많이 들고, 상대적으로 생산가에 비하여 농산물 가격이 높아지게 되며 이렇게 운반하는 과정에서 농작물이 손상되어 신선도와 영양가는 물론 농산물의 품질도 떨어지므로 농작물의 제값 받기가 어려운 것이다.
상기와 같이 농산물을 냉장상태로 운반하는 냉장차량을 보면, 차량의 적재부에 냉장장치가 부설되는 냉장 컨테이너가 시설되어 있는데, 이러한 냉장차량의 컨테이너는 그 용적에 따라 견고성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재질을 대다수 철판(알루미늄)의 빔(Beam)과 벽(Wall)을 이루는 요철판(Corrugated plate)들을 용접작업에 의해 컨테이너 전문제작 공장에서만 제작되고 있다.
이렇게 제작된 콘테이너의 경우에도 그 내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적재 효율성이 떨어져 효율적이 운용이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17008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8119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세하게는 냉장 또는 냉동을 요하는 물품을 적재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는,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냉기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내부 공간에 냉장 또는 냉동 저장하기 위해 차량 위에 탑재되는 컨테이너; 적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직선형 판재 또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는 절곡형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지지 프레임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본체; 상기 수직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홈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나사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 본체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볼트;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바닥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높이 조절 볼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형 안착판; 상기 "+"형 안착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형 안착판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판 지지홈을 형성하는 안착판 지지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판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에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안착판 지지홈을 형성하는 4 개의 공간의 각 하측 단부에 설치되어 이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판의 각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형 안착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완충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완충부 안착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안착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안착판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부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형 안착판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 지지홈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형 안착판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하부 안착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완충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완충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안착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완충부 안착홈의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 지지 프레임은, 상부가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경사 프레임 본체; 상기 경사 프레임 본체를 향하는 경사면이 상기 경사 프레임 본체와 직각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 프레임 본체를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대; 및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상기 경사형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경사형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고정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형 완충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경사형 지지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경사형 지지대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냉장 또는 냉동을 요하는 물품을 적재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수직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완충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제1 완충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5의 제2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1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3의 고정형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1)는, 컨테이너(20), 트레이(30), 수직 지지 프레임(40) 및 경사 지지 프레임(50)을 포함한다.
컨테이너(20)는, 냉각 장치(11)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냉기를 이용하여 적재물(100)을 내부 공간에 냉장 또는 냉동 저장하기 위해 차량(10) 위에 탑재된다.
여기서, 적재물(100)이라 함은,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이송되어야 하는 식자재 뿐만 아니라, 냉장 또는 냉동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기타의 모든 물품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트레이(30)는, 적재물(100)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직선형 판재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는 절곡형 판재로 형성되며, 컨테이너(2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수직 지지 프레임(40) 또는 경사 지지 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된다.
수직 지지 프레임(40)은, 트레이(30)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어 트레이(30)를 지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경사 지지 프레임(50)은, 트레이(3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51a)되며, 트레이(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컨테이너(20)의 내측 바닥면(21)까지 연장 형성되어 트레이(3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 지지 프레임(50)은, 경사 프레임 본체(51), 경사형 지지대(52) 및 고정형 완충부(53)를 포함한다.
경사 프레임 본체(51)는, 상부가 트레이(3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트레이(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트레이(30)를 지지하며, 하부가 경사형 지지대(52)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51b)된다.
경사형 지지대(52)는, 경사 프레임 본체(51)를 향하는 경사면이 경사 프레임 본체(51)와 직각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경사 프레임 본체(51)를 지지하며 고정형 완충부(53)의 상측에 설치된다.
고정형 완충부(53)는, 컨테이너(20)의 내측 바닥면(21)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경사형 지지대(52)가 설치되며, 경사형 지지대(52)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1)는, 냉장 또는 냉동을 요하는 물품을 적재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1)는, 물건을 올려 놓기 위한 트레이(3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 냉동 탑차의 컨테이너(20)를 활용하여 트레이(30)를 이용한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수직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직 지지 프레임(40)은, 수직 프레임 본체(41), 높이 조절 볼트(42), "+"형 안착판(43), 안착판 지지대(44), 베이스 플레이트(45), 제1 완충부(46) 및 제2 완충부(47)를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 본체(41)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트레이(30)의 하측에 설치되어 트레이(30)를 지지하며, 하측에 형성되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높이 조절 볼트(42)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높이 조절 볼트(42)는, 수직 프레임 본체(41)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나사홈으로 삽입되거나 나사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수직 프레임 본체(4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며, 하측에 "+"형 안착판(43)이 설치된다.
"+"형 안착판(43)은, 사용자가 파지하고 회전시키기 용이한 형태인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바닥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높이 조절 볼트(42)의 하측에 설치되어 안착판 지지홈(44a)에 맞물려 안착된다.
안착판 지지대(44)는, "+"형 안착판(4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형 안착판(4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판 지지홈(44a)을 형성하며, 베이스 플레이트(45)의 상측에 안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5)는, 컨테이너(20)의 바닥면(21)에 안착되며, 안착판 지지대(44)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44b)에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안착홈(44b)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부가 형성된다.
제1 완충부(46)는, 안착판 지지홈(44a)을 형성하는 4 개의 공간의 각 하측 단부(44c)에 설치되어 이와 대향하는 "+"형 안착판(43)의 각 단부를 지지하며, "+"형 안착판(43)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완충부(47)는, 베이스 플레이트(45)의 상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완충부 안착홈(45a) 마다 설치되어 하부 안착홈(44b)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안착판 지지대(44)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 지지 프레임(40)은, 트레이(30)의 하측을 따가 다수 개가 설치되어 차량(10)의 이동이나 물품의 적재에 따라 트레이(30)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트레이(30)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이 파손되거나 트레이(30)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됨에 따른 파손 또는 안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제1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완충부(200)는, 박스형 케이스(210),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제3 지지부(240) 및 간격조절볼트(250)를 포함한다.
박스형 케이스(210)는, 안착판 지지홈(44a)을 형성하는 4 개의 공간의 각 하측 단부(44c)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된다.
제1 지지부(22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24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2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형 안착판(43)을 지지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0)는,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25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23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안착판 지지홈(44a)의 바닥면, 즉 안착판 지지홈(44a)을 형성하는 4 개의 공간의 각 하측 단부(44c)에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제3 지지부(24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26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4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형 안착판(43)을 지지한다.
간격조절볼트(250)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2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250)는, 볼트 본체(2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2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2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251)는,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2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1, 252-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253-1, 253-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254-1, 254-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완충부(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형 안착판(43)의 안착 높이와 완충의 정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5의 제2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완충부(300)는, 상부 지지대(310), 하부 지지대(3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310)는,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부 안착홈(44b)의 상측면을 지지된다.
하부 지지대(320)는, 상측에 상부 지지대(3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완충부 안착홈(45a)에 안착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완충부 안착홈(45a)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완충부(300)는, 안착판 지지대(44)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뿐만 아니라, 안착판 지지대(44)로부터 전달되는 경사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역시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상술한 제1 완충부(200)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된 진동 또는 충격을 2차 완충시킴으로써, 트레이(30)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310)는, 지지 플레이트(311), 하부홈(312), 간격 지지 탄성체(313), 제1 제동 프레임(314) 및 제2 제동 프레임(3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안착홈(44b)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313)에 의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312)은, 간격 지지 탄성체(3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313)는, 지지 플레이트(311)와 하부 지지대(3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314)은,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315)은, 제1 제동 프레임(3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320)는, 지지 본체(321), 제1 상하 관통홈(322), 제2 상하 관통홀(323),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3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3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322)은, 제1 제동 프레임(3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323)은, 제2 제동 프레임(3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3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3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3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14는 도 11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제3 스프라켓(333), 구동 벨트(334), 제동 플레이트(335) 및 제동 스프링(3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331)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332)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333)은, 제1 설치 공간(3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334)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3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3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완충부 안착홈(45a)의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332)와 제3 스프라켓(333)은, 구동 벨트(334)의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33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면(3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3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336)은,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3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3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제2 완충부(300)가 제동 스프링(3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3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제2 완충부(3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는 도 3의 고정형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완충부(400)는, 받침 플레이트(410), 하부 플레이트(420) 및 회동형 완충부(4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받침 플레이트(4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경사형 지지대(52)의 하측을 지지하며, 회동형 완충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플레이트(4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컨테이너(20)의 바닥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볼트 등의 체결 수단(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설치되며, 회동형 완충부(430)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 플레이트(4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회동형 완충부(430)는, 받침 플레이트(410)와 하부 플레이트(4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경사형 지지대(52)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4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4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완충부(430)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 제2 아치형 지지대(432), 제3 아치형 지지대(433) 및 지지대 연결 링크(4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지지대(431)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410)를 지지하고,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420)의 상측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경사형 지지대(52)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42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된다.
제2 아치형 지지대(432)는,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4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3 아치형 지지대(433)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431)를 사이에 두고 제2 아치형 지지대(43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4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아치형 지지대(4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정형 완충부(400)는, 경사 프레임 본체(51)을 지지하고 있는 경사형 지지대(5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트레이(30)에 안착되어 있는 물품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20)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4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440)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안착 공간(440)은, 단부 안착 공간(440)에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435)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43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435)는, 단부 안착 공간(44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T1)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T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플레이트(4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또는 제3 아치형 지지대(433)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인 단부 안착 공간(440)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는, 일 단부 안착 공간(440)으로부터 다른 단부 안착 공간(440)으로 그 형상이 절곡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면서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7은 도 15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1 고정 블록(4341), 제2 고정 블록(4342) 및 슬라이딩 블록(434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4341)은, 제2 아치형 지지대(4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4343)의 제1 체결핀(P1)에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4342)은, 제1 고정 블록(4341)과 대향하며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4343)의 제2 체결핀(P2)에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P1)이 제1 고정 블록(4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P2)이 제1 고정 블록(4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431)가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이 움직임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4343)에 의해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줄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4311)에 안착되어 가이드홈(43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434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4344)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4345)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지지대(431)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와는 달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410)에 의한 가압에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바퀴의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지대(4312)가 일측 및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4343)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는 경사형 지지대(52)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4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아치형 지지대(431)가 함께 회전할 경우, 받침 플레이트(410)가 평행한 경우의 안착 위치인 기준선(L)으로부터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10: 차량
20: 컨테이너
30: 트레이
40: 수직 지지 프레임
50: 경사 지지 프레임

Claims (10)

  1.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냉기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내부 공간에 냉장 또는 냉동 저장하기 위해 차량 위에 탑재되는 컨테이너;
    적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직선형 판재 또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는 절곡형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지지 프레임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본체;
    상기 수직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홈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나사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 본체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볼트;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바닥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높이 조절 볼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형 안착판;
    상기 "+"형 안착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형 안착판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판 지지홈을 형성하는 안착판 지지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판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에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안착판 지지홈을 형성하는 4 개의 공간의 각 하측 단부에 설치되어 이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판의 각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형 안착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완충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완충부 안착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안착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안착판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부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형 안착판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 지지홈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형 안착판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 프레임은,
    상부가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경사 프레임 본체;
    상기 경사 프레임 본체를 향하는 경사면이 상기 경사 프레임 본체와 직각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 프레임 본체를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대; 및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상기 경사형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경사형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고정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완충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경사형 지지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경사형 지지대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KR1020200174909A 2020-12-14 2020-12-14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KR10242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09A KR102420474B1 (ko) 2020-12-14 2020-12-14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09A KR102420474B1 (ko) 2020-12-14 2020-12-14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42A KR20220084942A (ko) 2022-06-21
KR102420474B1 true KR102420474B1 (ko) 2022-07-13

Family

ID=8222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909A KR102420474B1 (ko) 2020-12-14 2020-12-14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4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2033A (ja) * 2017-08-31 2019-03-22 株式会社三愛自動車 脚部の回動制御機構ならびにこれを使用する折り畳みテーブルおよびトラックの箱形荷台分割用テーブル
KR102139442B1 (ko) * 2020-03-16 2020-07-29 주식회사 씨에스텍플러스 조립식 전시용 부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084B1 (ko) 1996-05-31 1999-03-30 최창균 냉동/냉장 컨테이너 장치
KR20050018119A (ko) 2003-08-13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윈도우 안전장치
KR101267042B1 (ko) * 2011-10-28 2013-05-24 박혜경 자동차 차체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2033A (ja) * 2017-08-31 2019-03-22 株式会社三愛自動車 脚部の回動制御機構ならびにこれを使用する折り畳みテーブルおよびトラックの箱形荷台分割用テーブル
KR102139442B1 (ko) * 2020-03-16 2020-07-29 주식회사 씨에스텍플러스 조립식 전시용 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42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362B1 (en) Cargo management container/organizer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US5295591A (en) Storage or display rack
JP6030129B2 (ja) 人間工学的に改良された配送車両および方法
US9120597B2 (en) Container having sliding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dunnage
CN102180299B (zh) 带有插入底板的可堆放的带滚轮的容器
US6474484B1 (en) Inventory control system for walk-in display coolers and the like
CN106573565A (zh) 用于将货箱装载到厢式车上且从厢式车卸载货箱的装置
KR102420474B1 (ko)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US4094526A (en) Portable display vehicle
KR102418889B1 (ko) Pcm 모듈을 이용한 냉장차용 냉각 시스템
KR101757340B1 (ko) 트레일러의 위치 가변형 화물 지지바 고정장치
CN105691963A (zh) 多温区移动仓库
US4890748A (en) Product display and take-out cart
KR102420471B1 (ko)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US20070267271A1 (en) Conveyor Roller Assembly
KR102462533B1 (ko) 앨범 포장 장치
US4349114A (en) Storage rack
KR20220086429A (ko) 황태 블록 건조 장치
KR102385187B1 (ko) 앨범 이송 장치
KR102263196B1 (ko) 코드를 통한 렌탈제품 관리 시스템
KR102271914B1 (ko) 보관 창고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소모성 자재 통합 구매 시스템
CN219446841U (zh) 一种用于冷链物流的分层式保鲜装置
KR102514695B1 (ko)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17019372A (ja) 箱型荷台
JPH07111932A (ja) 回転式展示棚の展示品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