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429A - 황태 블록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황태 블록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429A
KR20220086429A KR1020200176879A KR20200176879A KR20220086429A KR 20220086429 A KR20220086429 A KR 20220086429A KR 1020200176879 A KR1020200176879 A KR 1020200176879A KR 20200176879 A KR20200176879 A KR 20200176879A KR 20220086429 A KR20220086429 A KR 20220086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ock
space
arcuat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3085B1 (ko
Inventor
정종운
Original Assignee
정종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운 filed Critical 정종운
Priority to KR1020200176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0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을 이용하여 큐브 형상으로 제조된 황태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황태 블록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황태 블록이 투입되면 내부 공간으로 고온 건조한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황태 블록을 건조시키는 블록 수용부; 상기 블록 수용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수용부의 전단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 상기 블록 수용부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켜 주는 선반부; 상측에 상기 황태 블록이 안착되며, 상기 선반부에 의해 구획된 공간 마다 안착되는 트레이부; 및 상기 블록 수용부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블록 수용부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황태 블록 건조 장치{YELLOW POLLACK BLOCK DRYING DEVICE}
본 발명은 황태 블록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을 이용하여 큐브 형상으로 제조된 황태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황태 블록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명태(Theragra chalcogramma)는 대구목 대구과에 속하며 강한 회유성을 지닌 어종으로 우리나라 원산만에서 북해도 서해안까지 회유하고 있으며 회유 속도는 하루에 약 10마일을 기록하고 있다. 명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먹어 온 영양식품으로 술 마신 후 해장국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명태는기름기가적고맛이담백하여 단백질의 식량 공급원으로 커다란 역할을 한다. 특히, 명태 간유에는 대구의 3배에 해당하는 비타민A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인체 각 부분의 세포를 발육시키는 데 필요한 리신(lysine)을 비롯하여 뇌 영양소인 트립토판(tryptophan)도 함유하고 있다.
황태는 명태의 가공품으로서, 황태라는 말은 명태를 장기간 자연건조하고 숙성하여 나타나는 노란빛에서 유래하 였다. 황태는 내장을 제거한 명태를 특별한 기상조건을 가진 산간 고릉지대에서 동결건조시켜 생산한 것이다.
바닷가에서 짧은 건조 과정을 거친 북어와 달리 황태는 3~4개월 동안 60여차례 얼고 녹기를 반복하여 건조되는 까닭에 살이 보풀보풀하고 노란색을 띄어 명태건 제품중 최상품으로‘노랑태’혹은‘더덕북어’라고도 일컬어진 다. 황태는 12 월 하순 경에 포획된 명태를 속을 가르고 알과 창자를 제거한 이후에 흐르는 냇물에 씻어 염분을 제거하고 덕장에 걸어 두고 4개월 동안 밤에는 얼어서 팽창했다가 낮에는 녹아서 수축하는 독특한 제조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건조생선(stockfish)이다.
다만, 온전한 형태의 황태의 경우에는 찢어서 소분하여 사용하는 등과 같이 조리를 하는 과정에서 불편한 과정을 거쳐야 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3038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5692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열풍을 이용하여 큐브 형상으로 제조된 황태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황태 블록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태 블록 건조 장치는, 전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황태 블록이 투입되면 내부 공간으로 고온 건조한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황태 블록을 건조시키는 블록 수용부; 상기 블록 수용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수용부의 전단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 상기 블록 수용부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켜 주는 선반부; 상측에 상기 황태 블록이 안착되며, 상기 선반부에 의해 구획된 공간 마다 안착되는 트레이부; 및 상기 블록 수용부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블록 수용부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수용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블록 수용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지지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블록 수용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지지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_"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반부는, 상기 블록 수용부에 밀착되는 각 모서리가 내측 방향으로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블록 수용부의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거치턱의 상측 또는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선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반 지지부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의 절곡면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거치턱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의 절곡면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반 지지부는, 상기 선반부의 절곡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거치턱에 안착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거치턱에 안착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의 절곡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거치턱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열풍을 이용하여 큐브 형상으로 제조된 황태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킴으로써, 국이나 기타 음식의 조리 과정에서 적당량의 블록을 첨가하여 조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조리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태 블록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선반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3의 측면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5의 선반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선반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의 선반 지지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5의 선반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9은 도 17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태 블록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태 블록 건조 장치(1)는, 블록 수용부(10), 덮개부(20), 선반부(30), 트레이부(40) 및 측면 지지부(50-1, 50-2)를 포함한다.
블록 수용부(10)는, 전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황태 블록(P)이 투입되면 내부 공간으로 별도로 구비된 열풍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온 건조한 바람을 공급하여 황태 블록(P)을 건조시키며, 전단 입구가 덮개부(20)에 의해 밀폐되며, 전단 하측이 측면 지지부(50)에 의해 지지된다.
덮개부(20)는, 블록 수용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 장치(21)에 이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며, 블록 수용부(1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블록 수용부(10)의 전단 개구부를 덮는다.
선반부(30)는, 다수 개의 트레이부(40)들이 서로로부터 밀착되지 아니하고 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블록 수용부(10)의 내부 공간(13)을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선반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 파이프 형태의 외곽 벽체를 형성하는 외부 벽체(32)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부 벽체(32)의 내측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내부 벽체(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벽체(31)의 상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트레이부(40)를 다른 트레이부(40)과 구분될 수 있도록 격벽(35)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반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수용부(10)에 밀착되는 각 모서리가 내측 방향으로 "ㄱ" 형태로 절곡 형성(33)되어 블록 수용부(10)의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거치턱(11)의 상측 또는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선반 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거치턱(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30)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33a)에 배치되며, 선반부(30)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33a)의 상측면(33)에 안착되어 선반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거치턱(11)에 의한 지지 구조는, 선반부(30)의 상부 일측 및 상부 다른 일측, 그리고 선반부(30)의 하부 일측 및 하부 다른 일측 모두에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바, 다른 위치에서의 지지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트레이부(40)는, 상측에 황태 블록(P)이 안착되며, 선반부(30)에 의해 구획된 공간 마다 안착된다.
측면 지지부(50-1, 5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수용부(10)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블록 수용부(10)를 지지하는 동시에 블록 수용부(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태 블록 건조 장치(1)는, 열풍을 이용하여 큐브 형상으로 제조된 황태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킴으로써, 국이나 기타 음식의 조리 과정에서 적당량의 블록을 첨가하여 조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조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측면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지지부(100)는, 받침 플레이트(110), 하부 플레이트(120) 및 회동형 완충부(1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받침 플레이트(1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블록 수용부(10)의 측면을 지지하며, 회동형 완충부(1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플레이트(1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B)에 고정 설치며, 회동형 완충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 플레이트(1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회동형 완충부(130)는, 받침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블록 수용부(10)의 형태에 대응하여 받침 플레이트(110)의 지지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110)를 지지하며, 받침 플레이트(1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1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완충부(130)는, 제1 아치형 지지대(131), 제2 아치형 지지대(132), 제3 아치형 지지대(133) 및 지지대 연결 링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지지대(131)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110)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110)를 지지하고,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측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블록 수용부(10)의 형태에 대응하여 받침 플레이트(110)의 지지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110)를 지지한다.
제2 아치형 지지대(132)는,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1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3 아치형 지지대(133)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131)를 사이에 두고 제2 아치형 지지대(13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1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지지대 연결 링크(134)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제3 아치형 지지대(1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아치형 지지대(1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측면 지지부(100)는, 다양한 장치들의 구동에 따라 블록 수용부(10)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에 따라 황태 블록(P)이 건조 도중에 부스러지는 등으로 인해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장치의 전반적인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1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제3 아치형 지지대(133)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140)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안착 공간(140)은, 단부 안착 공간(140)에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135)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13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135)는, 단부 안착 공간(14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T1)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T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플레이트(1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또는 제3 아치형 지지대(133)가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인 단부 안착 공간(140)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는, 일 단부 안착 공간(140)으로부터 다른 단부 안착 공간(140)으로 그 형상이 절곡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면서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은 도 6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대 연결 링크(134)는, 제1 고정 블록(1341), 제2 고정 블록(1342) 및 슬라이딩 블록(134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1341)은, 제2 아치형 지지대(1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1343)의 제1 체결핀(P1)에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1342)은, 제1 고정 블록(1341)과 대향하며 제3 아치형 지지대(1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1343)의 제2 체결핀(P2)에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1343)은, 제1 고정 블록(1341)과 제2 고정 블록(134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1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P1)이 제1 고정 블록(1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P2)이 제1 고정 블록(1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131)가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 블록(1341)과 제2 고정 블록(1342)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 연결 링크(134)는,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이 움직임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1343)에 의해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1341)과 제2 고정 블록(1342)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줄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1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1311)에 안착되어 가이드홈(13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134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1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1344)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1345)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지지대(131)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와는 달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110)에 의한 가압에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바퀴의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지대(1312)가 일측 및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134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안착되는 블록 수용부(10)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1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아치형 지지대(131)가 함께 회전할 경우, 받침 플레이트(110)가 평행한 경우의 안착 위치인 기준선(L)으로부터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2는 도 5의 선반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지지부(200)는, 박스형 케이스(210),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제3 지지부(240) 및 간격조절볼트(250)를 포함한다.
박스형 케이스(210)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된다.
제1 지지부(22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24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2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선반부(30)의 절곡면(33)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2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0)는,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25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23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거치턱(11)에 안착된다.
제3 지지부(24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26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4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선반부(30)의 절곡면(33)을 지지한다.
간격조절볼트(250)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2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250)는, 볼트 본체(2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2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2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251)는,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2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1, 252-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253-1, 253-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254-1, 254-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선반 지지부(2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선반부(30)의 지지 강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하여 선반부(30)가 블록 수용부(10)의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도 5의 선반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다른 선반 지지부(300)는, 상부 지지대(310), 하부 지지대(3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310)는,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선반부(30)의 절곡면(33)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320)는, 상측에 상부 지지대(3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거치턱(11)에 안착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거치턱(11)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다른 선반 지지부(300)는, 선반부(30)가 블록 수용부(10)의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부(30)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과 경사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선반부(30)에서 건조 중인 황태 블록(P)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9은 도 17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310)는, 지지 플레이트(311), 하부홈(312), 간격 지지 탄성체(313), 제1 제동 프레임(314) 및 제2 제동 프레임(3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선반부(30)의 절곡면(33)을 지지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313)에 의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312)은, 간격 지지 탄성체(3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313)는, 지지 플레이트(311)와 하부 지지대(3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314)은,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315)은, 제1 제동 프레임(3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320)는, 지지 본체(321), 제1 상하 관통홈(322), 제2 상하 관통홀(323),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3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3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322)은, 제1 제동 프레임(3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323)은, 제2 제동 프레임(3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3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3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3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20은 도 17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제3 스프라켓(333), 구동 벨트(334), 제동 플레이트(335) 및 제동 스프링(3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331)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332)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333)은, 제1 설치 공간(3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334)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3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3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거치턱(11)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332)와 제3 스프라켓(333)은, 구동 벨트(334)의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335)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면(3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3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336)은,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3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3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선반 지지부(300)가 제동 스프링(3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3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선반 지지부(3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황태 건조 장치
10: 블록 수용부
20: 덮개부
30: 선반부
40: 트레이부
50: 측면 지지부

Claims (10)

  1. 전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황태 블록이 투입되면 내부 공간으로 고온 건조한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황태 블록을 건조시키는 블록 수용부;
    상기 블록 수용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수용부의 전단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
    상기 블록 수용부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켜 주는 선반부;
    상측에 상기 황태 블록이 안착되며, 상기 선반부에 의해 구획된 공간 마다 안착되는 트레이부; 및
    상기 블록 수용부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블록 수용부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황태 블록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수용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블록 수용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지지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황태 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블록 수용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지지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황태 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황태 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황태 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는, 황태 건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상기 블록 수용부에 밀착되는 각 모서리가 내측 방향으로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블록 수용부의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거치턱의 상측 또는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선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황태 블록 건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지지부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의 절곡면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거치턱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의 절곡면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황태 건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되는, 황태 건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하는, 황태 건조 장치.
KR1020200176879A 2020-12-16 2020-12-16 황태 블록 건조 장치 KR10255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879A KR102553085B1 (ko) 2020-12-16 2020-12-16 황태 블록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879A KR102553085B1 (ko) 2020-12-16 2020-12-16 황태 블록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429A true KR20220086429A (ko) 2022-06-23
KR102553085B1 KR102553085B1 (ko) 2023-07-06

Family

ID=8222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879A KR102553085B1 (ko) 2020-12-16 2020-12-16 황태 블록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512B1 (ko) * 2022-11-23 2023-04-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뉴트리피드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7941A (ja) * 1985-09-05 1987-03-13 Kyowa Kikai Seisakusho:Kk ミユ−ル精紡機におけるスライバ送り出しロ−ラの駆動制御方法
KR20100005724U (ko) * 2009-07-03 2010-06-04 김나연 식료품 건조기
KR101456922B1 (ko) 2013-02-06 2014-10-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의 복원력을 증대시킨 황태 건조 블록 제조방법
KR20160012761A (ko) * 2014-07-25 2016-02-03 (주)한국열융합기술 건조기
KR101656700B1 (ko) * 2015-05-19 2016-09-12 주식회사 일신바이오베이스 동결건조기
KR20160111137A (ko) * 2015-03-16 2016-09-26 안주영 전달 효율이 향상된 트레이를 가지는 동결건조장치
KR102030387B1 (ko) 2018-03-23 2019-10-10 임용규 애견 봉양용 황태 블록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황태 블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7941A (ja) * 1985-09-05 1987-03-13 Kyowa Kikai Seisakusho:Kk ミユ−ル精紡機におけるスライバ送り出しロ−ラの駆動制御方法
KR20100005724U (ko) * 2009-07-03 2010-06-04 김나연 식료품 건조기
KR101456922B1 (ko) 2013-02-06 2014-10-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의 복원력을 증대시킨 황태 건조 블록 제조방법
KR20160012761A (ko) * 2014-07-25 2016-02-03 (주)한국열융합기술 건조기
KR20160111137A (ko) * 2015-03-16 2016-09-26 안주영 전달 효율이 향상된 트레이를 가지는 동결건조장치
KR101656700B1 (ko) * 2015-05-19 2016-09-12 주식회사 일신바이오베이스 동결건조기
KR102030387B1 (ko) 2018-03-23 2019-10-10 임용규 애견 봉양용 황태 블록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황태 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512B1 (ko) * 2022-11-23 2023-04-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뉴트리피드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
KR102639811B1 (ko) * 2022-11-23 2024-02-22 이주철 먹태 가공 시스템
KR102639814B1 (ko) * 2022-11-23 2024-02-22 이주철 진공 동결을 이용한 먹태 제조 장치
KR102639812B1 (ko) * 2022-11-23 2024-02-22 이주철 먹태 제조 시스템
KR102639813B1 (ko) * 2022-11-23 2024-02-22 이주철 명태 가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085B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6429A (ko) 황태 블록 건조 장치
Albano et al. Lactic acid bacteria with cholesterol-lowering properties for dairy applications: In vitro and in situ activity
Fahimdanesh et al. Effect of microencapsulation plus resistant starch on survival of Lactobacillus casei and Bifidobacterium bifidum in mayonnaise sauce
US5165364A (en) Bird feeder rotary apparatus
WO2007041679A3 (en) Methods of making snack food products and products made thereby
US20230181653A1 (en) Compositions for metabolic health
Padalino et al. Effect of fructooligosaccharides and galactooligosaccharides on the folate production of some folate-producing bacteria in media cultures or milk
RU2005125426A (ru) Система для вскрытия и закрытия посевной борозды 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машина
KR20220084932A (ko) Pcm 모듈을 이용한 냉장차용 냉각 시스템
US2655251A (en) Reversible training idler
KR102317629B1 (ko) 케이블 트레이 장치
Yeon et al. Evaluation of the meal variety with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in Korean children: based on 2013~ 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R102385187B1 (ko) 앨범 이송 장치
KR102462533B1 (ko) 앨범 포장 장치
JPH09502956A (ja) 懸架式貯蔵装置
KR20220086430A (ko) 시래기 된장국 블록 제조 장치
Trojanová et al. Different utilization of glucose and raffinose in Bifidobacterium breve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KR102420474B1 (ko) 냉동차용 컨테이너 트레이 장치
DK0579909T3 (da) Toskive-såskær med skålskive
KR102639812B1 (ko) 먹태 제조 시스템
BE430638A (ko)
CN220778084U (zh) 一种异型蒸箱结构
KR102378685B1 (ko) 폐식용유의 정제 시스템
JP3122492U (ja) 飛び出し自動防止装置
US2024004194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bacterium of the genus acidipropionibacterium or processed produc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