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512B1 -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512B1
KR102518512B1 KR1020220158795A KR20220158795A KR102518512B1 KR 102518512 B1 KR102518512 B1 KR 102518512B1 KR 1020220158795 A KR1020220158795 A KR 1020220158795A KR 20220158795 A KR20220158795 A KR 20220158795A KR 102518512 B1 KR102518512 B1 KR 102518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curved
sliding groov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뉴트리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뉴트리피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뉴트리피드
Priority to KR102022015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512B1/ko
Priority to KR1020230042161A priority patent/KR102639811B1/ko
Priority to KR1020230042172A priority patent/KR102639812B1/ko
Priority to KR1020230042201A priority patent/KR102639814B1/ko
Priority to KR1020230042184A priority patent/KR102639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4/00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태 원물을 진공 동결 건조 후 수분을 일정량 공급하면서 숙성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명태 원물을 진공 동결시켜 주는 진공 동결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Dry Pollack Moisture Supply System}
본 발명은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명태 원물을 진공 동결 건조 후 수분을 일정량 공급하면서 숙성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태는 약 10년을 살며, 60cm 이상 자라는데, 3년이 지나면 성어가 되어 산란을 하게 되고, 생태, 동태, 황태, 북어, 노가리, 코다리 등 손질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려지는데, 이러한 명태는 한의학에서 간을 보호하고, 입맛을 돋우며, 시력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명태는 일상조리소재로 뿐만 아니라 관혼상제 때에도 널리 사용되는 생선으로서, 바다에서 어획한 자연 상태 그대로를 생태, 얼려놓은 것을 동태, 말린 것을 북어(또는 황태)라고 하는 등, 우리의 일상 식생활에 매우 친근한 생선이다.
말린 명태는 그 용어의 사용에 일부 혼돈이 있기는 하지만, 바닷가에서 건조한 육질이 딱딱한 상태의 명태를 '북어'라고 하고, 눈이 많이 오는 한겨울 내내 영하의 날씨 속에서 건조한 육질이 부드러운 것을 '황태'라고 부르기도 한다.
북어이던 황태이던 말린 명태는, 명태를 장기간 변질 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해 줄 뿐만 아니라, 북어포, 북어채, 북어조림, 북어찜과 같은 각종 요리의 소재가 된다.
명태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보면, 황태의 경우 명태의 배를 갈라서 내장을 꺼내고 해수로 씻어낸 다음에, 꼬챙이, 끈, 철사 등을 이용하여 코를 끼워서 고산지대의 덕장에 널어 동절기에 3-5개월 정도 건조시킨다. 바닷가에서 한 달 정도 말린 것인 북어가 그 겉모양이 막대와 같이 딱딱하면서 색깔이 칙칙한 것에 반하여, 황태는 동절기 동안 얼고 녹는 것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그 육질이 부드러워지고 색깔이 누런 색으로 되며, 일반적으로 북어보다도 고급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명태를 건조함에 있어서는, 그것이 황태이던 북어이던 관계없이, 덕장이라고 하는 노천 시설에서 명태를 건조시켰기 때문에, 온도, 습도, 우천 등과 같은 기후 조건에 따라 육질과 색상 등을 포함한 명태의 건조상태가 극심하게 변화하였다. 즉 종래 명태의 노천건조는 건조명태의 품질이 기후에 의해 크게 좌우되고, 건조기간이 매우 길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노천에서의 명태건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서, 명태를 노천이 아닌 실내의 건조실에 투입하고 열풍을 불어넣는 방법 등으로 인공 가열하여 명태를 단시간에 건조시키는 방법이 적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런 방법 역시 의존도가 낮기는 하였지만 습도 등 외부 기후에 따라 건조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78880호 (2022.03.25.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2387361호 (2022.04.15.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명태 원물을 진공 동결 건조 후 수분을 일정량 공급하면서 숙성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은, 명태 원물을 진공 동결시켜 주는 진공 동결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은, 상기 진공 동결 장치에 의해 진공 동결된 명태가 수용되며, 공급되는 수분의 양을 자동으로 제어 가능한 수분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서 수용 중인 명태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면서 숙성을 유도하는 가습 숙성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 숙성 챔버는, 진공 동결된 명태를 올려 놓기 위한 명태 거치 선반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명태 거치 선반은, 선반 프레임;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제1 거치 프레임; 상기 제1 거치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타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제2 거치 프레임; 및 진공 동결된 명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에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적층 안착되는 다수 개의 거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은,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블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 블록의 내향면 전단을 지지하는 제1 블록 지지부; 및 상기 제1 블록 지지부와 전후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에서 상기 제1 블록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 블록의 내향면 후단을 지지하는 제2 블록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 지지부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슬라이딩홈;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직 슬라이더;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슬라이더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슬라이더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 상기 지지 블록과 대향하는 상기 수직 슬라이더의 전면을 따라 중단이 상기 제2 블록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 형상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되는 곡선 슬라이딩홈;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곡선 슬라이더;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더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3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더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4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곡선 슬라이더는,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곡선형 프레임;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외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내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내향면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곡선 슬라이더는,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밀폐된 내부 공간에 유체를 저장해 두며, 상기 다수 개의 제1 프레임 지지부 또는 상기 다수 개의 제2 프레임 지지부 중 일부가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있지 아니하는 다른 제1 프레임 지지부 또는 제2 프레임 지지부로 공급된 만큼의 유체를 배출시켜 주는 유체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외향면에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구체 지지 블록;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구체 지지 블록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의 벽면에 안착되는 지지 구체;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구체 지지 블록의 내측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에서 상기 블록 지지 스프링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구체 지지 블록의 내측을 지지하며, 상기 구체 지지 블록이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유체 저장 탱크로 공급하고, 상기 유체 저장 탱크로부터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신장되어 상기 구체 지지 블록을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노출시켜 주는 블록 지지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명태 원물을 진공 동결 건조 후 수분을 일정량 공급하면서 숙성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명태 거치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거치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블록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곡선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10)은, 진공 동결 장치(100)를 포함한다.
진공 동결 장치(100)는, 명태 원물(P)을 진공 동결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진공 동결 장치(100)는, 진공 상태의 공간에 수납되는 동결된 명태 원물(P)의 수분을 한정적으로 승화시켜 명태 원물(P)를 건조 시킴으로써, 명태 원물(P)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 효율성을 향상시켜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10)은, 가습 숙성 챔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습 숙성 챔버(200)는, 진공 동결 장치(100)에 의해 진공 동결된 명태가 수용되며, 공급되는 수분의 양을 자동으로 제어 가능한 수분 공급 장치(210)를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서 수용 중인 명태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면서 숙성을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습 숙성 챔버(200)는, 도 2 이하에서 후술하는 진공 동결된 명태를 올려 놓기 위한 명태 거치 선반(3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10)은, 명태 원물을 진공 동결 건조 후 수분을 일정량 공급하면서 숙성시켜 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명태 거치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명태 거치 선반(300)은, 선반 프레임(310), 제1 거치 프레임(320), 제2 거치 프레임(330) 및 거치 플레이트(340)를 포함한다.
선반 프레임(310)은, 제1 거치 프레임(320), 제2 거치 프레임(330) 및 거치 플레이트(34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거치 프레임(320)은, 선반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의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거치 플레이트(34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거치 프레임(330)은, 제1 거치 프레임(320)과 대향하면서 선반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의 타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거치 플레이트(340)의 타측을 지지한다.
다수 개의 거치 플레이트(340)는, 진공 동결된 명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제1 거치 프레임(320)에 안착되고 타측이 제2 거치 프레임(330)에 안착되어 선반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적층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명태 거치 선반(300)은, 가습 숙성 챔버(2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가습 숙성 챔버(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명태의 양을 증가시켜 먹태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거치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거치 프레임(320)은, 프레임 바디(321) 및 플레이트 지지부(3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거치 프레임(330)은, 후술하는 제1 거치 프레임(320)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거치 프레임(320)의 프레임 바디(321) 및 플레이트 지지부(322)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프레임 바디(3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선반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내향면을 따라 플레이트 지지부(322)가 다수 개가 설치된다.
플레이트 지지부(322)는, 프레임 바디(321)의 내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프레임 바디(321)의 상측에 안착되는 거치 플레이트(340)의 일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거치 프레임(320)은, 단순히 거치 플레이트(340)을 지지하는 것에서 나아가, 거치 플레이트(340)가 선반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마찰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거치 플레이트(340)에 안착되어 있는 명태 등이 이에 의해 손상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지지부(322)는, 지지 블록(3221), 제1 블록 지지부(400) 및 제2 블록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지지 블록(3221)은, 제1 블록 지지부(400) 및 제2 블록 지지부(500)에 의해 지지되어 프레임 바디(321)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상단이 프레임 바디(321)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프레임 바디(321)의 상측에 안착되는 거치 플레이트(34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블록(3221)은, 상부 전단 또는 후단 모서리에 거치 플레이트(340)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전단 또는 후단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블록 지지부(400)는, 프레임 바디(321)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프레임 바디(321)의 내향면과 대향하는 지지 블록(3221)의 내향면 전단을 지지한다.
제2 블록 지지부(500)는, 제1 블록 지지부(400)와 전후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프레임 바디(321)의 내향면에서 제1 블록 지지부(40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프레임 바디(321)의 내향면과 대향하는 지지 블록(3221)의 내향면 후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레이트 지지부(322)는, 단순히 거치 플레이트(340)을 지지하는 것에서 나아가, 거치 플레이트(340)가 선반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마찰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거치 플레이트(340)에 안착되어 있는 명태 등이 이에 의해 손상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블록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블록 지지부(400)은, 수직 슬라이딩홈(410), 수직 슬라이더(420),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30),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40), 곡선 슬라이딩홈(450), 곡선 슬라이더(460), 제3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70) 및 제4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블록 지지부(500)는, 후술하는 제1 블록 지지부(4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블록 지지부(400)의 수직 슬라이딩홈(410), 수직 슬라이더(420),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30),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40), 곡선 슬라이딩홈(450), 곡선 슬라이더(460), 제3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70) 및 제4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8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 슬라이딩홈(410)은, 프레임 바디(321)의 내향면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직 슬라이더(420)는, 수직 슬라이딩홈(410)에 연결 설치되어 수직 슬라이딩홈(410)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슬라이더(420)는, 수직 슬라이딩홈(410)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릴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에 체결 돌기(42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30)은, 수직 슬라이딩홈(4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 슬라이더(42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40)은, 수직 슬라이딩홈(4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직 슬라이더(420)의 하측을 지지한다.
곡선 슬라이딩홈(450)은, 지지 블록(3221)과 대향하는 수직 슬라이더(420)의 전면을 따라 중단이 제2 블록 지지부(5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 형상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된다.
곡선 슬라이더(460)는, 곡선 슬라이딩홈(450)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곡선 슬라이딩홈(450)에 연결 설치되어 곡선 슬라이딩홈(450)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여기서, 곡선 슬라이더(4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슬라이더(460)에 대응하는 제2 블록 지지부(500)의 구성과 원(C)의 일부 변을 구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이에 지지되는 지지 블록(3221)가 외력에 의해 원(C)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곡선 슬라이더(460)는, 지지 블록(322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바아(461)가 전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70)은, 곡선 슬라이딩홈(450)의 상측에 설치되어 곡선 슬라이더(46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4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80)은, 곡선 슬라이딩홈(450)의 하측에 설치되어 곡선 슬라이더(460)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블록 지지부(400)은, 거치 플레이트(340)가 선반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마찰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거치 플레이트(340)에 안착되어 있는 명태 등이 이에 의해 손상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곡선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곡선 슬라이더(460)는, 곡선형 프레임(461), 제1 프레임 지지부(462) 및 제2 프레임 지지부(463)를 포함한다.
곡선형 프레임(461)은, 곡선 슬라이딩홈(450)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곡선 슬라이딩홈(450)에 안착되며, 제1 프레임 지지부(462) 및 제2 프레임 지지부(463)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프레임 지지부(462)는, 곡선형 프레임(461)의 외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곡선 슬라이딩홈(450)에서 곡선형 프레임(461)의 외향면을 지지한다.
제2 프레임 지지부(463)는, 곡선형 프레임(461)의 내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곡선 슬라이딩홈(450)에서 곡선형 프레임(461)의 내향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곡선 슬라이더(460)는, 유체 저장 탱크(4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저장 탱크(464)는, 곡선형 프레임(461)의 내측에 설치되어 밀폐된 내부 공간에 유체를 저장해 두며, 다수 개의 제1 프레임 지지부(462) 또는 다수 개의 제2 프레임 지지부(463) 중 일부가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있지 아니하는 다른 제1 프레임 지지부(462) 또는 제2 프레임 지지부(463)로 공급된 만큼의 유체를 배출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지지부(462)는, 블록 안착홈(4621), 구체 지지 블록(4622), 지지 구체(4623), 블록 지지 스프링(4624) 및 블록 지지 피스톤(46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프레임 지지부(463)는, 후술하는 제1 프레임 지지부(462)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프레임 지지부(462)의 블록 안착홈(4621), 구체 지지 블록(4622), 지지 구체(4623), 블록 지지 스프링(4624) 및 블록 지지 피스톤(4625)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블록 안착홈(4621)은, 곡선형 프레임(461)의 외향면에 형성된다.
구체 지지 블록(4622)은, 블록 안착홈(4621)에 안착된다.
지지 구체(4623)는, 블록 안착홈(4621)으로부터 노출되는 구체 지지 블록(4622)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곡선 슬라이딩홈(450)의 벽면에 안착된다.
블록 지지 스프링(4624)은, 블록 안착홈(4621)의 내측에 설치되어 블록 안착홈(4621)에 안착되는 구체 지지 블록(4622)의 내측을 지지한다.
블록 지지 피스톤(4625)은, 블록 안착홈(4621)의 내측에서 블록 지지 스프링(4624)의 내측에 설치되어 블록 안착홈(4621)에 안착되는 구체 지지 블록(4622)의 내측을 지지하며, 구체 지지 블록(4622)이 블록 안착홈(4621)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유체 저장 탱크(464)로 공급하고, 유체 저장 탱크(464)로부터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신장되어 구체 지지 블록(4622)을 블록 안착홈(4621)으로부터 노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곡선 슬라이더(460)는, 외력에 의해 지지 블록(3221)이 회전 운동하는 경우에 지지 블록(3221)의 회전에 따른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
100: 진공 동결 장치
200: 가습 숙성 챔버
300: 명태 거치 선반

Claims (3)

  1. 명태 원물을 진공 동결시켜 주는 진공 동결 장치; 및
    상기 진공 동결 장치에 의해 진공 동결된 명태가 수용되며, 공급되는 수분의 양을 자동으로 제어 가능한 수분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서 수용 중인 명태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면서 숙성을 유도하는 가습 숙성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 숙성 챔버는,
    진공 동결된 명태를 올려 놓기 위한 명태 거치 선반을 구비하며,
    상기 명태 거치 선반은,
    선반 프레임;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제1 거치 프레임;
    상기 제1 거치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타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제2 거치 프레임; 및
    진공 동결된 명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에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적층 안착되는 다수 개의 거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은,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블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 블록의 내향면 전단을 지지하는 제1 블록 지지부; 및
    상기 제1 블록 지지부와 전후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에서 상기 제1 블록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 블록의 내향면 후단을 지지하는 제2 블록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 지지부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슬라이딩홈;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직 슬라이더;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슬라이더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슬라이더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
    상기 지지 블록과 대향하는 상기 수직 슬라이더의 전면을 따라 중단이 상기 제2 블록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 형상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되는 곡선 슬라이딩홈;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곡선 슬라이더;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더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3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더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4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곡선 슬라이더는,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곡선형 프레임;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외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내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곡선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내향면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는,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58795A 2022-11-23 2022-11-23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 KR102518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795A KR102518512B1 (ko) 2022-11-23 2022-11-23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
KR1020230042161A KR102639811B1 (ko) 2022-11-23 2023-03-30 먹태 가공 시스템
KR1020230042172A KR102639812B1 (ko) 2022-11-23 2023-03-30 먹태 제조 시스템
KR1020230042201A KR102639814B1 (ko) 2022-11-23 2023-03-30 진공 동결을 이용한 먹태 제조 장치
KR1020230042184A KR102639813B1 (ko) 2022-11-23 2023-03-30 명태 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795A KR102518512B1 (ko) 2022-11-23 2022-11-23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201A Division KR102639814B1 (ko) 2022-11-23 2023-03-30 진공 동결을 이용한 먹태 제조 장치
KR1020230042184A Division KR102639813B1 (ko) 2022-11-23 2023-03-30 명태 가공 시스템
KR1020230042161A Division KR102639811B1 (ko) 2022-11-23 2023-03-30 먹태 가공 시스템
KR1020230042172A Division KR102639812B1 (ko) 2022-11-23 2023-03-30 먹태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512B1 true KR102518512B1 (ko) 2023-04-10

Family

ID=85984906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795A KR102518512B1 (ko) 2022-11-23 2022-11-23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
KR1020230042201A KR102639814B1 (ko) 2022-11-23 2023-03-30 진공 동결을 이용한 먹태 제조 장치
KR1020230042172A KR102639812B1 (ko) 2022-11-23 2023-03-30 먹태 제조 시스템
KR1020230042161A KR102639811B1 (ko) 2022-11-23 2023-03-30 먹태 가공 시스템
KR1020230042184A KR102639813B1 (ko) 2022-11-23 2023-03-30 명태 가공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201A KR102639814B1 (ko) 2022-11-23 2023-03-30 진공 동결을 이용한 먹태 제조 장치
KR1020230042172A KR102639812B1 (ko) 2022-11-23 2023-03-30 먹태 제조 시스템
KR1020230042161A KR102639811B1 (ko) 2022-11-23 2023-03-30 먹태 가공 시스템
KR1020230042184A KR102639813B1 (ko) 2022-11-23 2023-03-30 명태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5185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16Y1 (ko) * 2010-05-07 2010-10-07 박용원 건식 고기 숙성기
KR102205563B1 (ko) * 2020-08-25 2021-01-19 신용호 먹태 건조 장치
KR20210062521A (ko) * 2019-11-21 2021-05-31 (주)선해에프앤에스 동결건조를 이용한 생선 연육 스낵 제조 방법
KR102378880B1 (ko) 2020-01-16 2022-03-25 오렌지수산 주식회사 코다리 제조를 위한 명태 건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387361B1 (ko) 2021-08-19 2022-04-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용대황태푸드 먹태 제조용 진공 냉동 건조장치
KR20220086429A (ko) * 2020-12-16 2022-06-23 정종운 황태 블록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16Y1 (ko) * 2010-05-07 2010-10-07 박용원 건식 고기 숙성기
KR20210062521A (ko) * 2019-11-21 2021-05-31 (주)선해에프앤에스 동결건조를 이용한 생선 연육 스낵 제조 방법
KR102378880B1 (ko) 2020-01-16 2022-03-25 오렌지수산 주식회사 코다리 제조를 위한 명태 건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205563B1 (ko) * 2020-08-25 2021-01-19 신용호 먹태 건조 장치
KR20220086429A (ko) * 2020-12-16 2022-06-23 정종운 황태 블록 건조 장치
KR102387361B1 (ko) 2021-08-19 2022-04-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용대황태푸드 먹태 제조용 진공 냉동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812B1 (ko) 2024-02-22
KR102639811B1 (ko) 2024-02-22
KR102639813B1 (ko) 2024-02-22
KR102639814B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512B1 (ko) 먹태 수분 공급 시스템
CN207622441U (zh) 一种可消毒的羽绒加工用烘干装置
CN110127206B (zh) 一种温带玫瑰花切取花枝物流冷链运输箱
CN109122663A (zh) 一种用于长期保存太平洋真宽水蚤休眠卵的冻干冷藏法
Rivard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longevity, fecundity, and rate of increase of the mite Tyrophagus putrescentiae (Schrank)(Acarina: Acaridae) reared on mold cultures
Arinze et al. Design and experimental evaluation of a solar dryer for commercial high-quality hay production
CN213463669U (zh) 海参用风干储存装置
KR101089605B1 (ko) 비 가림 황태건조시스템
CN207644911U (zh) 一种可以防潮和自动紧固的瓦楞纸收纳箱
JP6113086B2 (ja) 乾燥野菜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749643B (zh) 一种风冷与直冷相结合的无冰保鲜方法
CN206403051U (zh) 一种牛干巴低温风干房
CN107940867B (zh) 风味鱼干原材料防粘连速冻装置
JP3653354B2 (ja) 食品の乾燥方法
KR19980033575A (ko) 생선 건조식품의 제조방법
CN214128332U (zh) 一种新型板栗夹
CN213095504U (zh) 一种可多角度磨爪的猫抓板
CN206832005U (zh) 一种新型蜂蛹烘干设备
CN220315977U (zh) 一种鱼胶加工的降温存储设备
KR102524546B1 (ko) 어류 급속 냉동 진공 건조 방법
CN210538563U (zh) 一种风鹅风干架
KR20100013343A (ko) 회전건조기
CN208259914U (zh) 一种中药饮片蒸煮干燥一体机
CN217715695U (zh) 一种腊味风干环境模拟结构
KR200350436Y1 (ko) 명태건조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