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436Y1 - 명태건조실 - Google Patents

명태건조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436Y1
KR200350436Y1 KR20-2003-0035799U KR20030035799U KR200350436Y1 KR 200350436 Y1 KR200350436 Y1 KR 200350436Y1 KR 20030035799 U KR20030035799 U KR 20030035799U KR 200350436 Y1 KR200350436 Y1 KR 200350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llack
heating device
cool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용
Original Assignee
김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용 filed Critical 김길용
Priority to KR20-2003-0035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4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명태가 건조될 때 증발한 수증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겨울철 기온에 대응하도록 온도를 조절하면서 명태를 건조시킬 수 있어서, 기후 변화에 관계없이 자연산 황태에 버금가는 품질로 명태를 건조시킬 수 있는, 명태건조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명태건조실(1)은, 명태(2)가 널리는 덕장(3)이 구비되고 외부와 통기를 차단할 수 있게 구축된 건축물(10); 상기 건축물(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20); 상기 건축물(10)의 타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냉각시키고 공기로부터 수분을 동결 제거하는 냉각제습장치(30); 상기 가열장치(20)로부터 상기 덕장(3)을 거쳐 상기 냉각제습장치(30)로 이르는 경로와는 별도로 상기 냉각제습장치(30) 쪽에서 상기 가열장치(20) 쪽으로 상기 경로와는 격리되게 형성된 공기순환통로(40); 및 상기 가열장치(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명태들(2)을 통해 상기 냉각제습장치(30)로 송풍시키고, 상기 냉각제습장치(30)를 거친 공기를 상기 공기순환통로(40)를 통해 다시 상기 가열장치(20)로 순환시키는 송풍장치(5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명태건조실{Room for Drying Walleye Pollack}
(기술분야)
본 고안은 명태건조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명태가 건조될 때 증발한 수증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겨울철 기온에 대응하도록 온도를 조절하면서 명태를 건조시킬 수 있어서, 기후 변화에 관계없이 자연산 황태에 버금가는 품질로 명태를 건조시킬 수 있는, 명태건조실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명태는 일반조리재료로 뿐만 아니라 관혼상제 때에도 널리 사용되는 생선으로서, 바다에서 어획한 자연 상태 그대로를 생태, 얼려놓은 것을 동태, 말린 것을 북어(또는 황태)라고 부르는 등, 우리의 식생활에 매우 친근한 먹거리이다.
말린 명태는 그 용어의 사용에 일부 혼돈이 있기는 하지만, 바닷가에서 건조한 육질이 딱딱한 상태의 명태를 통상 '북어'라고 부르고, 눈이 오는 한겨울 영하의 날씨 속에서 얼렸다 녹였다 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건조시킨 명태를 '황태'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와 같은 건조 가공한 명태는, 명태를 장기간 변질 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해 줄 뿐만 아니라, 북어포, 북어채, 북어조림, 북어찜과 같은 각종 요리의 재료가 된다.
건조명태의 예로서 황태는, 명태의 배를 갈라서 내장을 제거하고 해수로 씻어낸 다음에, 꼬챙이, 끈, 철사 등으로 코를 끼워서 고산지대의 덕장에서 동절기에 3-5개월 정도 건조시켜 얻게 된다.
바닷가에서 한 달 정도의 단기간에 말린 북어는 그 겉모양이 막대와 같이 딱딱하면서 색깔이 칙칙한 것에 반하여, 황태는 동절기 동안의 온도변화에 의해 얼려지고 녹여지는 것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그 육질이 부드러워지고 색깔이 누런 색으로 되어서, 일반적으로 북어보다도 고급인 상품으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명태를 건조함에 있어서는, 그것이 황태이던 북어이던 관계없이, 덕장이라고 하는 노천 시설에서 건조시켰기 때문에, 온도, 습도, 우천 등과 같은 기후 조건에 따라 육질과 색상 등을 포함한 명태의 건조상태가 극심하게 변화하였다. 즉 종래 명태의 노천건조는 건조명태의 품질이 기후에 의해 크게 좌우되고 건조기간이 매우 길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노천에서의 명태건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명태를 노천이 아닌 실내의 건조실에 투입하고 고열의 열풍을 불어넣음으로써 명태를 인공 가열하여 단시간에 건조시키는 방법이 일부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런 열풍건조는 결과로 얻은 건조명태가 그 품질이 만족스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의존도가 낮기는 하지만 습도 등 외부 기후에 따라 건조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식품의 건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결건조를 명태의 건조에 적용함으로써 하루 정도의 짧은 시간에 명태를 급속 건조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결과로 얻어진 건조명태로부터 소비자가 선호하는 황태의 품질을 얻기 쉽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명태 건조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후 변화에 관계없이 균일하고 향상된 품질로 명태를 건조시킬 수 있는, 명태건조실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와의 통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겨울철 기온변화와 유사하게 온도를 조정한 공기를 순환시켜 명태를 건조시킴과 아울러 건조 과정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제거하여 줌으로써, 기후변화에 관계없이 전통적인 황태에 버금가는 품질을 가지는 건조명태를 얻을 수 있는, 명태건조실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명태건조실의 측면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명태건조실의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명태건조실
2: 명태
3: 덕장
10: 건축물
20: 가열장치
30: 냉각제습장치
31: 본체
32: 냉각코일
33: 배출구
40: 공기순환통로
50: 송풍장치
60: 덕장대차
본 고안에 따라, 건축물, 가열장치, 냉각제습장치, 공기순환통로 및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명태건조실이 제공된다.
상기 건축물은, 건조하고자 하는 명태가 널려지는 덕장이 구비되고 외부와의 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축된 건축물이다.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건축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덕장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본 고안의 목적에 맞는 온도로 가열한다.
상기 냉각제습장치는, 상기 건축물의 타측에 설치되어 명태의 건조과정에서 수분을 함유하게 된 공기로부터 수분을 동결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덕장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냉동 온도로 냉각시킨다.
상기 공기순환통로는,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상기 덕장을 거쳐 상기 냉각제습장치로 이르는 경로와는 별도로 상기 냉각제습장치 쪽에서 상기 가열장치 쪽으로 상기 경로와는 격리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냉각제습장치를 거친 공기를 다시 상기 가열장치로 순환시키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명태들을 통해 상기 냉각제습장치로 송풍시키고, 상기 냉각제습장치를 거친 공기를 상기 공기순환통로를 통해 다시 상기 가열장치로 강제 순환시킨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명태건조실에는, 상기 덕장에 투입되며 상기 명태들을 널려 있는 상태 그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덕장대차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명태건조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명태건조실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명태건조실의 측면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명태건조실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명태건조실(1)은, 명태(2)를 마른 명태(예, 황태)로 건조시키기 위한 구조물로서, 크게 건축물(10), 가열장치(20), 냉각제습장치(30), 공기순환통로(40) 및 송풍장치(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건축물(10)은 명태(2)를 널어 건조시키는 덕장들(3)을 투입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부와 통기가 차단되고 단열이 되도록 구축된 건축물이다.
건축물(10)의 내부를 외부와 통기되지 않게 유지되게 하는 것은, 대기 중에포함되어 있는 습기가 공기의 통기와 함께 건축물(10) 안으로 유입되어 덕장(3)의 명태건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가능한 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건축물(10)을 단열하는 것은, 덕장(3)의 온도를 외부의 온도에 비하여 낮거나 높게 유지할 때 열전도를 차단하여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건축물(10)로서는 명태(2)를 건조시킬 수 있게 투입할 수 있는 건축물이라면 그 건축소재와 형태 등에 특히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공간활용과 기능의 측면에서 첨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길이 20M 폭 4M 정도의 가로로 길게 신장된 직육면체 형태의 건축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10)에는 가열장치(20), 냉각제습장치(30), 공기순환통로(40) 및 송풍장치(50)가 그 기능에 맞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열장치(20)는, 건축물(10)의 일측(도면에서는 좌측)에 설치되며, 덕장(3)에 제공되는 공기를 예를 들어 자연상태에서 황태를 건조할 때의 겨울철 낮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예, 1-5℃, 바람직하게 2-3℃)로 가열할 때 사용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가열장치(20)로서는 공기를 필요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떤 형태의 가열장치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름)보일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건축물(10)에 가열장치(20)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가열장치(20)에 의해 세팅된 온도로 덕장(3)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가 있고, 이렇게 가열된 공기는 덕장(3)에 널려 있는 명태들(2)을 건조시키는 것에 사용된다.
냉각제습장치(30)는, 건축물(10)의 타측(도면에서는 우측)에 설치되며,명태(2)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명태(2)로부터 공기 중으로 증발된 수분을 동결(결빙)시켜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덕장(3)을 영하의 저온으로 냉각시키는 기능을 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제습이란 공기 등을 건조한 상태로 변환시키는 처리의 총칭으로 그 방법에는 냉각제습, 압축제습, 화학제습 등이 있다.
본 고안의 명태건조실(1)에 있어서는, 덕장(3)을 통과한 공기를 어는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여 공기 중의 습기를 동결(결빙)시켜 제거하고, 동결된 수분은 다시 온도를 어는점 이상으로 올려 해동시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냉각제습장치(30)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제습장치(30)는, 본체(31)와 냉각코일(32)로 구성된다. 본체(31)에는 열교환기와 같이 냉각제습에 필요한 공지의 구성요소들이 포함된다. 냉각코일(32)은 본체(31)에 연결되어 있으며 냉각된 냉매(예, 염화칼슘 용액)가 순환된다. 냉각코일(32)은 덕장(3)을 통과한 모든 공기가 통과되도록 건축물(10)의 덕장(3)의 하류 쪽에 설치되며, 통과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고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
냉각제습장치(30)는, 냉각코일(32)의 온도를 영상 1℃ 내지 5℃(즉, 영상상태), 영하 -2℃ 내지 -5℃(즉, 영하상태), 및 영하 약 -20℃(저온상태) 등의 3가지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도면부호 33은 냉각제습장치(30)에 의해 냉각코일(32)에 동결되었다가 해동되어 흘러내린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나타낸다.
가열장치(20)로부터 덕장(3)을 거쳐 냉각제습장치(30)를 통과한 공기는 가열장치(20) 쪽으로 다시 순환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명태건조실(1)에는 공기순환통로(40)가 구비되어 있다.
공기순환통로(40)는 냉각제습장치(30)를 통과하여 제습 및/또는 냉각된 공기가 냉각제습장치(30)를 통과하지 아니한 습기함유공기 및/또는 비냉각 공기와 섞이지 않도록, 가열장치(20)로부터 덕장(3)을 거쳐 상기 냉각제습장치(30)로 이르는 경로와는 격리되게 형성되며, 냉각제습장치(30) 쪽에서 가열장치(20) 쪽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설치된다.
공기순환통로(40)의 예로서는 냉각제습장치(30)의 하류 쪽에서부터 가열장치(20)의 상류 쪽으로 천장을 따라 덕트를 배관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명태건조실(1)에는 송풍장치(50)가 포함되어 있다. 송풍장치(50)는 가열장치(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명태들(2)을 통해 냉각제습장치(30)로 송풍시키고, 냉각제습장치(30)를 거친 공기를 공기순환통로(40)를 통해 다시 가열장치(20)로 순환시킨다. 이런 송풍장치(50)서는 예를 들어 송풍팬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풍장치(50)의 강제 송풍에 따라, 가열장치(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덕장(3)의 명태들(2)을 통과하면서 명태(2)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고, 습기를 함유한 공기는 냉각제습장치(30)를 거치면서 습기가 동결 제거되고, 제습된 냉각 공기는 공기순환통로(40)를 통해 가열장치(20)로 보내져서 다시 가열되는 일련의 순환을 하게 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송풍장치(50)가 공기순환통로(40)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공기를 순환시킬 수만 있다면 그 설치 위치는 제한이 없으며, 가열장치(20)나 냉각제습장치(30)에 내장된 팬도 공기 순환 기능을 가진다면 송풍장치(50)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명태건조실(1)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평상시에는, 겨울철 황태를 건조할 때 평균적인 주간 날씨와 같은 환경의 건조조건이 되도록, 냉각제습장치(30)는 그 냉각코일(32)의 온도가 대략 20분 내외의 주기로 영상상태(1℃ 내지 5℃)와 영하상태(-2℃ 내지 -5℃)가 주기적으로 반복되게 세팅된다. 이때 가열장치(20)는 덕장(3)으로 보내지는 공기의 온도가 바람직하게 2-3℃로 되도록 세팅된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공기가 순환되면, 냉각제습장치(30)를 통과해서 수분이 제거된 영상상태(2℃-3℃)의 공기가 명태(2)를 통해 지나가면서 명태(2)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고, 수분을 함유한 공기는 영하상태(-2℃ 내지 -5℃)로 세팅된 냉각제습장치(30)의 냉각코일(32)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냉각코일(32)에 결빙(동결)되어 제거된다. 영하로 냉각된 건조한 공기는 가열장치(20)를 통과하면서 2-3℃로 가열되어 명태의 건조에 다시 사용되게 된다.
약 20분을 주기로 냉각제습장치(30)의 냉각코일(32)은 2-3℃(영상상태)으로 세팅되고, 이런 영상상태에서는 냉각코일(32)에 결빙된 수분이 해동되어 흘러나가게 되며, 흘러내린 물은 배출구(33)를 통해 외부로 제거된다. 이후 냉각제습장치(30)의 냉각코일(32)은 다시 영하상태(-2℃ 내지 -5℃)로 세팅되어서냉각제습이 실현된다.
명태(2)의 건조공정 전체 7일에서 대략 2 내지 4회 정도는, 1회당 약 10시간 동안 냉각제습장치(30)의 냉각코일(32)의 온도를 약 -20℃(저온상태)으로 세팅하고, 이때 가열장치(20)의 작동은 정지하여 명태를 냉동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이 명태의 건조공정에 저온상태를 설정하는 것은, 자연상태에서 황태를 만들 때 있게 되는 냉동상태를 실현하기 위함이다. 이런 저온상태는 전체 건조기간 7일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분하고, 주로 야간에 적용하는 것이 열효율 면에서 바람직하다.
결국, 본 고안의 명태건조실(1)에 의하면, 가열장치(20)로 가열하여 명태(2)를 건조시켜 주고, 명태(2)의 건조과정에서 공기 속에 포함되게 된 습기는 냉각제습장치(30)에 의해 제거하여 주는 방식으로 명태를 건조시킴에 따라, 항상 습기 없는 건조한 공기로 명태를 건조시킬 있게 된다.
또한 건조 공정 중에 저온(-20℃ 내외)으로 명태를 냉동시키는 과정이 포함됨에 따라, 자연상태에서 얼려지고 녹여지는 것을 반복하는 황태의 건조과정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자연건조의 황태에 버금가는 품질의 건조명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명태건조실(1)에는, 명태들(2)이 널려 있는 상태로 덕장(3) 안을 이동시킬 수 있는 덕장대차(6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명태건조실(1)의 바닥에 레일(도시생략)을 설치하여 그 레일 위를 따라 덕장대차(60)가 주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가열장치(20), 냉각제습장치(30) 및 송풍장치(50)의 온도조절과 그 작동은, 통상적인 자동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어하고 프로그램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런 제어와 프로그램 자체는 본 고안의 특징이 아니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명태건조실(1)에 명태(2)를 투입하여 건조하는 경우, 건축물(10)의 크기나 특징, 가열장치(20)의 용량과 가열온도, 냉각제습장치(30)의 냉각능력 및 제습량, 송풍장치(50)의 송풍량 등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약 7일 정도의 건조시간이면 자연상태에서 건조한 황태에 버금가는 품질의 건조명태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명태건조실(1)에 의하면, 외부와의 통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기를 순환시켜 명태를 건조시키는 한편 명태의 건조 과정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동결 제거하고 주기적으로 저온상태를 유지하여 줌에 따라, 기후변화에 관계없이 자연상태에서 건조한 황태에 버금가는, 품질이 균일한 건조명태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명태(2)가 널리는 덕장(3)이 구비되고 외부와 통기를 차단할 수 있게 구축된 건축물(10);
    상기 건축물(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20);
    상기 건축물(10)의 타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냉각시키고 공기로부터 수분을 동결 제거하는 냉각제습장치(30);
    상기 가열장치(20)로부터 상기 덕장(3)을 거쳐 상기 냉각제습장치(30)로 이르는 경로와는 별도로 상기 냉각제습장치(30) 쪽에서 상기 가열장치(20) 쪽으로 상기 경로와는 격리되게 형성된 공기순환통로(40); 및
    상기 가열장치(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명태들(2)을 통해 상기 냉각제습장치(30)로 송풍시키고, 상기 냉각제습장치(30)를 거친 공기를 상기 공기순환통로(40)를 통해 다시 상기 가열장치(20)로 순환시키는 송풍장치(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건조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장(3)에 투입되어서, 상기 명태들(2)을 널려 있는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는 덕장대차(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건조실.
KR20-2003-0035799U 2003-11-17 2003-11-17 명태건조실 KR200350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799U KR200350436Y1 (ko) 2003-11-17 2003-11-17 명태건조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799U KR200350436Y1 (ko) 2003-11-17 2003-11-17 명태건조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436Y1 true KR200350436Y1 (ko) 2004-05-14

Family

ID=4943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799U KR200350436Y1 (ko) 2003-11-17 2003-11-17 명태건조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4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201B1 (ko) * 2006-08-25 2007-05-15 이영도 농수산물 및 축산물 건조기와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1089605B1 (ko) 2009-12-28 2011-12-05 임근성 비 가림 황태건조시스템
KR101729222B1 (ko) * 2015-06-16 2017-04-24 최화자 냉매 강제 순환식 수산물 동결 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201B1 (ko) * 2006-08-25 2007-05-15 이영도 농수산물 및 축산물 건조기와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1089605B1 (ko) 2009-12-28 2011-12-05 임근성 비 가림 황태건조시스템
KR101729222B1 (ko) * 2015-06-16 2017-04-24 최화자 냉매 강제 순환식 수산물 동결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8937B1 (en) Contained growing space an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8978269B2 (en) Hybrid dr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drying system
KR900702308A (ko) 눈제조장치
KR101729222B1 (ko) 냉매 강제 순환식 수산물 동결 건조장치
CN107449266B (zh) 一种隧道烘干系统及烘干方法
US3968660A (en) Cooling arrangement for a no-frost refrigerator
KR200350436Y1 (ko) 명태건조실
Kempkes et al. Heating and dehumidification in production greenhouses at northern latitudes: Energy use
JP4171773B2 (ja) 水産物の乾燥方法および乾燥装置
JP3220286B2 (ja) 環境試験室用熱源システムの運転方法
US1053443A (en) Method of making and maintaining ice in skating-rinks.
KR101996274B1 (ko) 창고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KR101795770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진공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1874688B1 (ko) 농수산물용 건조장치
KR20080018777A (ko) 농수산물 및 축산물 건조기
KR101570763B1 (ko) 저온 및 냉동 저장이 가능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00051241A (ko) 농,축,수산물용 냉동 및 제습 병행 건조기
JPH0330629A (ja) 自然氷の潜熱を利用した青果物などの長期貯蔵方法と長期貯蔵装置
KR200323753Y1 (ko) 명태건조실
GB2200745A (en) Multi-function crop conditioner
CN205372852U (zh) 一种用于含水文物冷冻干燥保存的除湿空调系统
RU272930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KR102549871B1 (ko) 식품건조기
CN208765345U (zh) 气调冷库
US20080127658A1 (en) Dehumidification cooling apparatus for an indoor sports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