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499Y1 -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499Y1
KR200307499Y1 KR20-2002-0036389U KR20020036389U KR200307499Y1 KR 200307499 Y1 KR200307499 Y1 KR 200307499Y1 KR 20020036389 U KR20020036389 U KR 20020036389U KR 200307499 Y1 KR200307499 Y1 KR 200307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loading
relay
unit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종
Original Assignee
정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종 filed Critical 정희종
Priority to KR20-2002-0036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4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4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화물차의 적재부상에 설치되어 화물의 탑재 및 하역시 이용되는 화물차용 호이스트가 개시된다. 화물차용 호이스트는 적재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되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설치된 고정 가이드부재와, 고정 가이드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고정 가이드부재의 종단 위치에서 가이드부재로부터 더 연장될 수 있게 형성된 중계 가이드부재와, 중계 가이드부재에 설치되며 와이어의 인출 및 와인딩이 가능한 권취기가 설치된 리프터부와, 리프터부의 상기 적재부 내외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에 의하면, 적재부를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 하면서도 적재부 내외로 리프트부를 이동할 수 있어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Hoist and truck employing the same}
본 고안은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된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적재하여 운송하기 위한 통상적인 화물차의 적재부는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폐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방형 적재부는 상부가 열리게 형성되어 있어 보조 포스트 또는 그 밖의 로프 등을 이용하여 적재부의 높이 보다 더 높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개방형 적재부는 적재된 화물을 안정적으로 적재부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어렵고, 특히 적재된 화물이 비나 눈 등에 의해 피해를 입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적재된 화물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를 덮는 작업을 부가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등 적재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폐쇄형 적재부는 화물의 적재가 용이한 반면, 적재용량이 허용된 적재부의 적재공간으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적재부를 갖는 화물차의 적재부로 화물을 적재 및 하역시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화물을 운반하여야 함으로써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 밖에, 특수용도의 차에 설치된 기중기는 크기 및 점유 체적이 커서 일반 화물차에 적용할 경우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상당히 축소되어 실질적으로적용하기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고 시설 점유 면적이 크지 않는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가 장착된 화물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 가이드부재와 중계 가이드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신축 링크부재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축 링크부재 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리프터부내에 설치되는 권취기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호이스트를 나타내보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부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물차 120, 220: 고정 가이드부재
125, 225: 중계 가이드부재 130, 230: 리프트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용 호이스트는 화물차의 적재부상에 설치되어 화물의 탑재 및 하역시 이용되는 화물차용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되되 상기 적재부의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상기 화물차에 설치된 고정 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 가이드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 가이드부재의 종단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로부터 더 연장될 수 있게 형성된 중계 가이드부재와; 상기 중계 가이드부재에 설치되며 와이어의 인출 및 와인딩이 가능한 권취기가 설치된 리프터부와; 상기 리프터부의 상기 적재부 내외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리프터부는 중계 가이드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제어부는 직렬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X자형 링크부재가 상기 리프터부의 일측과 상기 포스트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신축 링크부재와; 상기 신축링크부재의 신축을 제어하는 신축제어기;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고정 가이드부재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 메인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메인기어 사이에 설치된 제1체인에 의해 궤도운동할 수 있게 상기 중계 가이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계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중계기어의 샤프트에 설치된 제1연동기어와; 상기 제1연동기어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중계가이드부재상에 설치된 제2연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제1 및 제2연동기어 사이에 설치된 제2체인의 궤도운동에 따라 이동 될 수 있게 상기 제2체인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는 폐쇄형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 후측면에 상기 적재부 내부로의 출입용 도어를 구비하는 화물차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 내측에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게 설치된 고정 가이드부재와; 상기 도어 외부로까지 소정길이 연장될 수 있게 상기 고정 가이드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중계 가이드부재와; 상기 중계 가이드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어의 인출 및 와인딩이 가능한 권취기가 설치된 리프터부와; 상기 리프터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가 장착된 화물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물차(100)는 적재부(103) 및 호이스트(110)를 구비한다.
적재부(103)는 사각형 폐쇄 적재공간(105)을 갖게 형성되어 차체(102)에 탑재되어 있다.
적재부(103)의 후방에는 도어(107)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07a는 도어 회동용 힌지이다.
적재부(103)의 측면에도 도어(미도시)가 추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호이스트(110)는 포스트(111), 고정가이드 부재(120), 중계 가이드부재(125), 리프트부(130) 및 이동제어부를 구비한다.
포스트(111)는 적재부(103)의 도어(107) 맞은편 전면 측벽(103a) 또는 전면 측벽(103a)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고정 가이드부재(120)가 적재부(103)의 전면 측벽(103a) 또는 적재부(103)의 내측 천정(103b)에 직접 설치되는 경우 포스트(111)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가이드부재(120)는 포스트(111)의 상단으로부터 적재부(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가이드부재(120)의 종단(120a)은 적재부(103)의 후방 측벽(103c)까지 연장되게 설치되되 적재부(103)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된다. 또한, 고정 가이드 부재(120)의 종단 높이는 후방 도어(107)가 오픈된 상태에서 중계 가이드 부재(125)가 적재부(103) 외부까지 출입될 수 있는 높이로 결정된다.
고정 가이드부재(120)의 지지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보강부재(미도시)가 고정가이드부재(120)와 적재부(103) 사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중계 가이드 부재(125)는 고정가이드부재(120)의 저부에서 고정 가이드 부재(1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중계 가이드 부재(125)는 고정가이드부재(120)의 종단(120a) 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 적재부(103) 외부로 소정길이 돌출될 수 있게 고정 가이드 부재(120)와 결합된다. 즉, 중계 가이드 부재(125)의 선단부(125a)에 고정 가이드부재(120)와의 슬라이딩 결합을 위한 요소 예를 들면, 롤러(도 2참조)가 설치된다. 따라서, 중계 가이드 부재(125)는 포스트(111) 위치에서부터 적재부(103) 외부까지 소정 길이 연장된 위치까지를 이동 범위로 하여 이동될 수 있다.
중계 가이드부재(125)의 저부에는 중계 가이드부재(125)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리프트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부(130)는 중계 가이드부재(125)의 종단(125b) 부근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 가이드부재(120)로부터 리프트부(130)로 이어지는 결합관계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 가이드부재(120)는 하부가 열린 "T자형" 레일홈(121)을 갖는 "C형" 형강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단면은 고정 가이드 부재(120)의 중앙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고정가이드부재(120)의 종단(120a)은 중계 가이드부재(125)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블록킹 부재가 레일홈(121)을 폐쇄 또는 부분 차폐되도록 형성 되어있다.
중계 가이드 부재(125)는 걸림부(125c) 및 레일부(125f)를 갖는다.
걸림부(125c)는 고정 가이드 부재(120)의 "T자형" 레일홈(121)에 삽입 지지되게 대응되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25d는 걸림부(125c)와 고정 가이드부재(120)와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걸림부(125c)에 설치된 롤러이다.
레일부(125f)는 걸림부(125c)의 하부와 결합되어 있고, 고정 가이드부재(120)와 동일한 "T"자형 레일홈(125g)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부(130)는 걸림부(130c) 및 권취기를 구비한다.
걸림부(130c)는 중계 가이드 부재(125)의 레일부(125f)의 레일홈(125g)에 지지되게 삽입되어 있고, 걸림부(130c) 하부에 권취기의 하우징(130h)이 결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130d는 롤러이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20)(125)와 리프트부(130) 사이의 슬라이딩 결합구조는 도시된 예와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가이드 부재(120)는 측면이 열린 레일홈을 갖게 형성하고, 이 레일홈에 롤러가 삽입지지되게 설치되며, 롤러의 회전축에 중계가이드부재가 결합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 제어부는 신축링크부재(140) 및 신축 제어기(160)를 구비한다.
신축 링크부재(140)는 리프트부(130)를 포스트(111)에 대하여 신축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신축 링크부재(140)의 결합 구조의 예가 확대 도시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축 링크부재(140)는 상호 교차되게 결합되되 교차점에 형성된 힌지(143)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바(141)(142)에 의해 형성된 단위 X자형 링크부재가 직렬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참조부호 144 및 145는 단위 X자형 링크부재 상호간을 직렬상으로 접속하되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이다.
직렬 어레이된 신축 링크부재(140)의 포스트(111)와 대향되는 최종단에 설치된 제1바(141)의 종단은 포스트(111)에 설치된 신축 가이드 부재(150)에 힌지(148)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제2바(142)의 종단은 신축가이드부재(150)에 형성된 장공(15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47은 제2바(142)의 종단을 장공내로 구속함과 아울러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딩 롤러이다.
신축 링크부재(140)의 리프트부(130)와 결합되는 최종단도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장공(15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롤러(147)는 포스트(111)에 설치된 실린더(160)의 피스톤 로드(161)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160)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롤러(147)는 장공(151)을 따라 이동되고, 그에 연동되어 신축되는 신축링크부재(140)에 의해 리프트부(130)는 고정 가이드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실린더(160)의 전원은 차량의 배터리(미도시) 전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이적용될 수 있다.
리프트부(130)는 후크(132), 후크(132)와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31), 와이어(131)의 타단과 결합되며 와이어의 와인딩 및 인출을 제어하는 권취기가 설치되어 있다.
후크(132)는 적재대상 화물을 걸기 위한 것이다.
권취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의 하우징(130h)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35)와, 드럼(135)의 회전축(136)을 구동하는 구동기(137)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138은 하우징(130h)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구동기(137)는 와이어의 인출 및 인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된다.
일 예로서 구동기는 모터(미도시),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된 감속기(미도시), 감속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웜휠(미도시), 윔휠과 드럼(135)의 회전축(136) 사이에 결합된 웜기어(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동기(137)는 부하의 중량에 따른 역회전이 억제되는 장점이 있다.
구동기 및 권취기의 다른 구조로서 국내 공개 특허 2001-0105669, 등록 실용신안 제 20-0191024호 등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기(137)의 동작을 원격 또는 유선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기가 구비된다. 구동기의 동력은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구동기의 조작기 및 실린더의 조작기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호이스트(110)를 이용한 화물의 적재 및 하역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적재시에는 적재부(103)의 후방 도어(107)를 개방한 상태에서 실린더(160)의 피스톤 로드(161)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신축링크부재(140)가 확장되면서 리프트부(130)가 중계 가이드부재(125)와 연동되어 고정 가이드부재(120)의 종단(120a)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과정에서 중계 가이드 부재(125)가 고정 가이드부재(120)의 종단(120a)에 도달하면 중계가이드부재(125)의 진행은 중단된다. 이때는 중계 가이드부재(125)가 최대 확장범위까지 이동된 상태로서 중계 가이드부재(125)의 종단(125b)이 적재부(103)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리프트부(130)는 중계 가이드부재(125)의 종단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리프트부(130)는 적재부(103) 외부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지지되어 있어 적재부(103) 외부에 있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리프트부(130)가 적재부(103) 외부까지 돌출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후크(132)가 적재대상 화물의 위치까지 하강하여 도달 되도록 권취기의 조작기를 조작한다. 그리고 나서, 후크(132)에 적재대상 화물이 결합되면, 와이어(131)가 감겨지도록 권취기를 조작한 다음, 실린더(160)의 피스톤 로드(161)가 확장되도록 실린더(160)를 조작하면 화물을 적재부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적재 과정에서 리프트부(130)는 적재부(103)의 최선단 즉 적재부의 전방 측벽(103a) 또는 포스트(111) 까지 이동될 수 있어 적대대상 짐을 최내측 적재 부분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와는 다르게 적재부(103)와 운전석(101) 부분 사이에 포스트를 설치하고, 고정 가이드 레일(120)이 적재부(103)의 전방 측벽(103a)을 관통하도록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개방형 화물차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호이스트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호이스트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호이스트(210)는 고정 가이드부재(220), 중계가이드 부재(225), 리프트부(230) 및 이동 제어부를 구비한다.
고정 가이드 부재(220)는 "H"자 형강의 강철빔을 90도 회전시킨 형태로 "I"자 형태가 되게 적재부(103)에 설치된다. 적재부(103)가 폐쇄형인 경우 도시된 형태로 적재부(103)의 내부 천정에 결합하면 된다. 적재부가 개방형인 경우 포스트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하면 된다. 참조부호 220a 및 220b는 후술하는 롤러(251)(252)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종단 격벽이다. 종단 격벽(220a)(220b) 대신 또는 추가로 소정 높이의 블록킹 부재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중계가이드부재(225)도 고정 가이드 부재(220)와 동일한 형태의 "H"형강의 강철빔을 90도 회전시킨 형태로 "I"형태가 되게 고정가이드부재(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중계 가이드 부재(225)의 고정 가이드 부재(220)와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고정가이드부재(220)의 바닥면(220c)에 롤러(251)(252)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롤러(251)(252)의 샤프트(254)(255)와 중계 가이드부재(225)가 지지부재(256)(257)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롤러(251)(252)의 샤프트(254)(255)는 롤러(251)(252)의 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롤러(251)(252)는 중간 격벽(220d)에 의해 가려져서 보이지 않은 후측면의 바닥면에도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고, 각 롤러(251)(252)의 샤프트(254)(255)는 지지부재(256)(257)에 의해 중계 가이드부재(225)에 결합된다. 도시된 경우의 결합구조에서는 앞 뒤에 위치한 롤러가 쌍을 이룬 2조의 롤러(251)(252)가 지지부재(256)(257)에 의해 중계 가이드부재(225)와 결합된다. 따라서, 중계 가이드부재(225)는 지지부재(256)(257) 및 롤러(251)(252)에 의해 고정 가이드 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면이 되는 바닥면(220c)에 구속되어 이동된다.
리프트부(230)는 중계 가이드 부재(225)의 고정 가이드부재(220)와의 결합구조와 동일한 결합구조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271 및 273은 롤러이고, 282 및 284는 지지부재이다. 중계 가이드부재(225)의 바닥면(225a)에 설치된 롤러(271)(273)의 샤프트(272)(274)는 롤러(271)(273)의 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리프트부(230)내에서 앞서 설명된 권취기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 가이드부재(225)의 바닥면(225a)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271)(273)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중계 가이드부재(225)의 종단 또는 적절한 위치에 격벽 또는 블록킹 부재가 설치된다. 참조부호 265 및 266은 롤러(271)(273)의 이동 범위를제한하기 위한 블록킹 부재로서 종단 격벽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가이드 부재(220)의 바닥면(220c)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251)(252)가 이동 제한용 격벽(220a)(220b) 또는 블록킹 부재에 도달됐을 때 구동원인 모터(243)의 구동을 정지하기 위한 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 구조의 호이스트(210)에서 리프트부(230)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는 제1 및 제2 메인기어(241)(242), 중계기어(244), 제1 및 제2 연동기어(262)(263)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메인기어(241)(242)는 고정 가이드부재(220)의 양단부근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메인기어(241)는 구동원인 모터(243)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있다.
고정 가이드 부재(220)상에 설치된 롤러(251)(252)의 회전축(254)(255)에는 제1체인(246)의 텐션 및 궤도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기어(258)(259)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기어(258)(259)는 생략될 수 있다.
중계 가이드 부재(225)에는 중계 기어(24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중계 기어(244)는 제1체인(246)과 결합되어 있다.
제1연동기어(262)는 중계기어(244)의 샤프트(261)에 설치되어 있고, 제2연동기어(263)는 제1연동기어(262)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중계 가이드부재(225)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1연동기어(262)와 제2연동기어(263) 사이에는 궤도운동을 할 수 있게 제2체인(264)이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부(230)의 중계 가이드 부재(225)와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롤러(271)(273)의 샤프트(272)(274)는 제2체인(264)과 결합부재(281)(283)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호이스트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제1메인기어(2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243)를 구동시키면, 중계 가이드부재(225)상에서 이동되는 롤러(271)(273)가 블록킹부재(266)에 의해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중계기어(244)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중계 가이드부재(225)는 제자리에 위치된 상태에서 리프트부(230)는 제2체인(264)의 회전에 연동되어 왼쪽으로 이동된다. 이후, 롤러(273)가 블록킹부재(266)에 도달하여 이동이 차단되면, 제2체인(264)의 회전은 멈추게 되고, 그에 따라 중계기어(244)의 회전도 멈춘다. 이 경우, 제1메인기어(241)가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되면, 제1체인(246)에 고정상태로 매달린 중계가이드부재(225)가 왼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적재대상물을 적재시에는 제1메인기어(24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프트부(230)가 중계 가이드부재(225)에 대해 좌측 선단의 블록킹부재(266)까지 이동되고, 이후 중계 가이드부재(225)가 다시 고정 가이드부재(220)의 좌측 최선단까지 이동함으로써 적재부(103) 외측에 있는 적재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리프트부(230)의 후크에 적재대상물이 결합되면, 와이어(131)가 적당한 높이까지 상승되도록 권취기를 작동한 다음 제1메인기어(241)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프트부(230)가 중계 가이드부재(225)의 우측 선단의 블록킹 부재(265)까지 이동된 다음 중계가이드부재(225)가 고정가이드부재(220)를 따라 우측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원하는 적재위치까지 리프트부(230)가 이송되면 모터(253)를 정지시키고 와이어(131)가 하방으로 인출되도록 권취기를 동작시키면된다. 하역시에는 역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롤러(251)(271)를 직접 구동할 수 있도록 롤러(251)(271)에 모터의 회전축을 결합시켜 롤러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폐쇄형 적재부(103)를 갖는 화물차(100)에 적용된 호이스트(110)(210)를 설명하였으나, 개방형 적재부를 갖는 화물차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된 호이스트(110)(210)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에 의하면, 적재부를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 하면서도 적재부 내외로 리프트부를 이동할 수 있어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7)

  1. 화물차의 적재부상에 설치되어 화물의 탑재 및 하역시 이용되는 화물차용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되되 상기 적재부의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상기 화물차에 설치된 고정 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 가이드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 가이드부재의 종단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로부터 더 연장될 수 있게 형성된 중계 가이드부재와;
    상기 중계 가이드부재에 설치되며 와이어의 인출 및 와인딩이 가능한 권취기가 설치된 리프터부와;
    상기 리프터부의 상기 적재부 내외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호이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부는 중계 가이드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호이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부는
    직렬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X자형 링크부재가 상기 리프터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적재부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신축 링크부재와;
    상기 신축링크부재의 신축을 제어하는 신축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호이스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고정 가이드부재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 메인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메인기어 사이에 설치된 제1체인에 의해 궤도운동할 수 있게 상기 중계 가이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계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중계기어의 샤프트에 설치된 제1연동기어와;
    상기 제1연동기어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중계가이드부재상에 설치된 제2연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제1 및 제2연동기어 사이에 설치된 제2체인의 궤도운동에 따라 이동 될 수 있게 상기 제2체인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호이스트.
  5. 폐쇄형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 후측면에 상기 적재부 내부로의 출입용 도어를 구비하는 화물차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 내측에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게 설치된 고정 가이드부재와;
    상기 도어 외부로까지 소정길이 연장될 수 있게 상기 고정 가이드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중계 가이드부재와;
    상기 중계 가이드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어의 인출 및 와인딩이 가능한 권취기가 설치된 리프터부와;
    상기 리프터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부는
    직렬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X자형 링크부재가 상기 리프터부의 일측과 상기 도어와 대향되는 상기 적재부의 전면 측벽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신축 링크부재와;
    상기 신축링크부재의 신축을 제어하는 신축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고정 가이드부재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 메인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메인기어 사이에 설치된 제1체인에 의해 궤도운동할 수 있게 상기 중계 가이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계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중계기어의 샤프트에 설치된 제1연동기어와;
    상기 제1연동기어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중계가이드부재상에 설치된 제2연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제1 및 제2연동기어 사이에 설치된 제2체인의 궤도운동에 따라 이동 될 수 있게 상기 제2체인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호이스트.
KR20-2002-0036389U 2002-12-05 2002-12-05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 KR200307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389U KR200307499Y1 (ko) 2002-12-05 2002-12-05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389U KR200307499Y1 (ko) 2002-12-05 2002-12-05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499Y1 true KR200307499Y1 (ko) 2003-03-20

Family

ID=4940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389U KR200307499Y1 (ko) 2002-12-05 2002-12-05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4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25A (ko) * 2018-09-10 2020-03-18 유한회사 신성정밀 화물차용 호이스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25A (ko) * 2018-09-10 2020-03-18 유한회사 신성정밀 화물차용 호이스트 장치
KR102099149B1 (ko) * 2018-09-10 2020-04-09 유한회사 신성정밀 화물차용 호이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5161A (ko) 탑차
RO109443B1 (ro) Furgon pentru autocamioane cu mijloace de inchidere, cu modalitati de acces imbunatatit
KR20130023036A (ko) 덮개 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
JP7028451B2 (ja) 車載式荷役装置
KR200307499Y1 (ko)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
KR101451388B1 (ko)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KR100967241B1 (ko)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JPH0960349A (ja) スライド式開閉テントのフレーム機構
JP3341071B2 (ja) スライド式開閉テントの開閉状態維持機構
KR101851110B1 (ko) 차량용 2단 적재장치
KR20240000116A (ko) 호이스트용 가변 지지대
JP2729224B2 (ja) 多段駐車装置
EP0461448B1 (en) Roof of a railway wagon
KR102652926B1 (ko) 코일철강 운반 트레일러용 덮개 장치
KR102658483B1 (ko) 2단식 차량 주차설비
KR101946962B1 (ko) 자바라 타입의 블라인드가 구비된 특장차
JP4778479B2 (ja) 自動車整備用リフト装置
KR100229269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적재물 승하강 장치
RU2324040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многоэтажный гараж-пенал
JPH0111539Y2 (ko)
SU1414682A1 (ru) Груз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IT8224945A1 (it) Carrozzeria per veicolo utilizzato per il trasporto di merci
RU1787927C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252642Y1 (ko) 유개차형 화물차용 적재함
RU109061U1 (ru) Укрытие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