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199B1 -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199B1
KR101754199B1 KR1020150091157A KR20150091157A KR101754199B1 KR 101754199 B1 KR101754199 B1 KR 101754199B1 KR 1020150091157 A KR1020150091157 A KR 1020150091157A KR 20150091157 A KR20150091157 A KR 20150091157A KR 101754199 B1 KR101754199 B1 KR 10175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nel
closing
main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333A (ko
Inventor
김학성
권용장
이석
양근율
김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09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199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EP16807835.0A priority patent/EP3296232B1/en
Priority to EP19218185.7A priority patent/EP3653533A1/en
Priority to JP2017564404A priority patent/JP6567093B2/ja
Priority to PCT/KR2016/006167 priority patent/WO2016200195A1/ko
Priority to US15/580,894 priority patent/US10787311B2/en
Priority to CN201680033917.9A priority patent/CN107709194B/zh
Publication of KR2017000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199B1/ko
Priority to JP2019085354A priority patent/JP6815436B2/ja
Priority to US16/687,980 priority patent/US1161848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65D88/524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and one or more side walls being foldable along an additional media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을 개폐하는 전후면개폐부; 및 상기 상부고정부를 승하강하여,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패널 및 측면패널을 승하강하는 승하강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FOLDING DEVICE FOR FOLDABLE CONTAINER}
본원은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네 모퉁이의 빔을 지주로 설치하고, 이 지주 사이의 육면 즉, 전·후·좌·우·상·하면에 일정 면적의 패널을 용접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호 체결 조립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컨테이너로 화물을 운송하고 하적한 후, 차량 또는 선박으로부터 분리하여 화물이 없는 빈 컨테이너를 접어서 보관하거나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접이식 컨테이너를 접고 펴는 개폐 작업은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리치스태커(Reach Stacker) 또는 지게차 등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리치스태커 또는 지게차는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물류 장비로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작업 순서 및 특징에 맞게 접이식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잡아 개폐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해 접이식 컨테이너 부품의 정렬 및 뒤틀림 등이 발생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리치스태커 또는 지게차 운전자의 숙련도에 따라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시 컨테이너가 파손되거나, 개폐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가의 리치스태커 또는 지게차 활용에 따른 막대한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공개특허 US 2010-0292063 A1(발명의 명칭: 접이식 이송 컨테이너를 접철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서는 다수의 액츄에이터; 컨테이너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접철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부; 컨테이너의 상부면와 베이스를 접철시키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암; 상기 액츄에이터,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암이 고정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이식 컨테이너를 접고 펴는 개폐 비용을 절감하며, 이러한 개폐 과정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을 개폐하는 전후면개폐부; 및 상기 상부고정부를 승하강하여,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패널 및 측면패널을 승하강하는 승하강개폐부를 포함한다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을 개폐하는 전후면개폐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정부를 승하강하여,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패널 및 측면패널을 승하강하는 승하강개폐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작업자가 개폐장치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고,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 시 고가의 컨테이너 취급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비용이 저렴한 개폐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이식 컨테이너를 접고 펴는 순서와 특성에 맞게, 여러 가지 안전장치와 전용 장치를 구비하여, 접이식 컨테이너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접이식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및 B의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C의 확대도 및 접이식 컨테이너의 슬라이딩 조인트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가 접이식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의 후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D 및 E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고정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고정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F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7의 G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H의 확대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접이식 컨테이너를 개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접이식 컨테이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및 B의 확대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C의 확대도 및 접이식 컨테이너의 슬라이딩 조인트 작동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가 접이식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의 후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D 및 E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고정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고정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7의 F의 확대도이며, 도 12는 도 7의 G의 확대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H의 확대도이며,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접이식 컨테이너를 개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를 설명하기에 앞서 접이식 컨테이너(9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접이식 컨테이너(900)는 하부패널(910), 하부패널(910)과 평행하게 구비된 상부패널(920), 상부패널(920) 및 하부패널(9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양단부가 상부패널(920) 및 하부패널(9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내측방향으로 꺾이도록 구성된 측면패널(930), 하부패널(9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전면패널(940) 및 후면패널(950)을 포함한다.
상술한, 길이방향이란 도 1의 8시 방향 및 2시 방향일 수 있으며, 너비 방향이란 도 1의 4시 방향 및 10시 방향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패널(920)은 각각의 모서리에 상부모서리쇠(921)가 구비되고, 하부패널(910)은 각각의 모서리에 하부모서리쇠(911)가 구비된다.
상부모서리쇠(921)에는 후술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의 상부고정부(300)가 고정되고, 하부모서리쇠(911)에는 후술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의 하부고정부(200)가 고정되어, 접이식 컨테이너(900)를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측면패널(930) 은 상부패널(920) 및 하부패널(910)의 사이 측부에 각각 위치한다.
측면패널(930)은 상부패널(920)에 힌지결합되는 상부측면패널(931), 상부측면패널(931)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패널(910)에 힌지결합되는 하부측면패널(932), 및 상부측면패널(931)과 하부측면패널(932)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조인트(933)를 포함한다.
상부측면패널(931)은 상부가 상부패널(92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부측면패널(931)은 상부 내측의 모서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측면패널(931)의 힌지부가 위치하고, 상부측면패널(931)의 힌지부가 상부패널(920)의 길이방향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부측면패널(931)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접철될 수 있다. 상술한 내측이란 접이식 컨테이너(900)에서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일 수 있다.
하부측면패널(932)은 상부측면패널(931)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가 하부패널(910)의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부측면패널(932)은 하부 내측의 모서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측면패널(932)의 힌지부가 위치하고, 하부측면패널(932)의 힌지부가 하부패널(910)에 길이방향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며, 하부측면패널(932)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접철될 수 있다.
또한, 측면패널(930)은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에 의해서 상부패널(92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부측면패널(931)이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된 후,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접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측면패널(931)과 하부측면패널(932)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조인트(93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를 이용하여, 상부측면패널(931)이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전면패널(940) 및 후면패널(950)을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해제되며, 고정장치를 해제 후 전면패널(940) 및 후면패널(950)을 접철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를 이용하여, 상부패널(920)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내측방향으로 상부측면패널(931)과 하부측면패널(932)이 슬라이딩 조인트(933)에 의해 접철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이하 '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각각 위치하여, 접이식 컨테이너(900)를 개폐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는 본체(100),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부(300),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전면패널(940) 및 후면패널(950)을 개폐하는 전후면개폐부(400), 및 상부고정부(300)를 승하강시켜,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상부패널(920) 및 측면패널(930)을 승하강하는 승하강개폐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0)의 하부에는 복수의 바퀴(101)가 구비되어, 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는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고정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고정부(200) 및 상부고정부(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의 (a) 및 도 9를 참조하면, 하부고정부(200)는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하부모서리쇠(911)에 형성된 삽입홈(1911)에 삽입되는 하부고정편(210) 및 하부고정편(210)을 회전시키는 하부레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체(100)를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시킬 경우, 하부고정부(200)의 하부고정편(210)이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하부모서리쇠(911)에 형성된 삽입홈(191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고정편(210)이 하부모서리쇠(911)의 삽입홈(1911)에 삽입된 후, 하부레버(220)를 회전시킴에 따라 하부고정편(210)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부고정부(200)가 하부모서리쇠(91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의 (b)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고정부(300)는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상부모서리쇠(921)에 형성된 삽입홈(1921)에 삽입되는 상부고정편(310) 및 상부고정편(310)을 회전시키는 상부레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체(100)를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시킬 경우, 상부고정부(300)의 상부고정편(310)이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상부모서리쇠(921)에 형성된 삽입홈(192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부고정편(310)이 상부모서리쇠(921)의 삽입홈(1921)에 삽입된 후, 상부레버(32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고정편(310)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고정부(300)가 상부모서리쇠(92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고정부(300)는 후술되는 승하강개폐부(500)의 볼스크류(5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100)는 작업자가 밀어서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바퀴(10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하부프레임(110), 기둥프레임(120), 및 상부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110)은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양측부로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양측부란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측면패널(930)이 위치한 방향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부프레임(110)은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하부측면프레임(111) 및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하부측면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110)은,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가 접이식 컨테이너(900)에 설치된 경우,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양측부 내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이식 컨테이너(900)를 개폐 시, 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가 내측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110)은 일측 단부가 제1 하부측면프레임(11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제2 하부측면프레임(11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보강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둥프레임(120)은 하부프레임(110)의 일측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둥프레임(120)은, 도 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기둥프레임(120)은 제1 하부측면프레임(111)의 일측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기둥프레임(121) 및 제2 하부측면프레임(112)으로부터 일측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기둥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둥프레임(120)의 일측에는 사다리부(124)가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작업자는 사다리부(124)를 이용하여, 본체(100)의 상부로 올라가 상부고정부(300)의 상부레버(320)를 조작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30)은 양단부가 기둥프레임(1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30)의 중앙부에는 전후면개폐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부프레임(130)은, 도 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부(124)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단부가 제1 기둥프레임(121)과 제2 기둥프레임(122)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체(100)는 일측 단부가 기둥프레임(12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하부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기둥보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둥보강부(160)는, 접이식 컨테이너(900)를 접철 시, 기둥프레임(120)이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내측방향으로 받는 힘을 지지하여, 기둥프레임(120)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00)는 일측 단부가 하부프레임(11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바닥방향으로 절곡된 흔들림방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흔들림방지부(140)는 하부프레임(1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지면방향으로 절곡되어, ‘ㄱ’자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0)가 외력에 의해서 흔들릴 경우, 흔들림방지부(140)의 타측 단부가 지면에 닿아 본체(1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00)는 양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하단면이 지면에 밀착되어, 본체(100)를 고정하는 본체고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를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시킨 후, 본체고정부(150)를 지면방향으로 이동시켜 본체고정부(150)의 하단면을 지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지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에도,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후면개폐부(400)는 전면패널(940) 또는 후면패널(950)에 구비된 고리(941)에 연결되는 와이어(410) 및 와이어(410)를 감거나 푸는 모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면패널(940) 또는 후면패널(950)의 상부에는 고리(941)가 결합되어 있으며, 고리(941)에 와이어(410)의 단부를 연결하고, 모터(420)를 회전시켜 와이어(410)를 서서히 감거나 풀면서 전면패널(940) 또는 후면패널(950)을 개폐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개폐부(5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승하강개폐부(5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고정부(3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볼스크류(510) 및 볼스크류(510)에 연결되어 볼스크류(5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부고정부(300)는 볼스크류(5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부(520)가 구동됨에 따라 볼스크류(510)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13을 참조하면, 볼스크류(510)는 제1 기둥프레임(121)에 설치되는 제1 볼스크류(511) 및 제2 기둥프레임(122)에 설치되는 제2 볼스크류(512)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개폐부(500)는 볼스크류(510)에 결합된 기어부(530) 및 기어부(530)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 참조).
다시 말해, 기어부(530)는 제1 볼스크류(511)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531) 및 제2 볼스크류(512)에 결합되는 제2 기어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인부(540)는 제1 기어부(531) 및 제2 기어부(532)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승하강개폐부(500)는 기어부(530) 및 체인부(540)를 더 포함하여, 체인부(540)를 통해 제1 볼스크류(511)의 구동력을 제2 볼스크류(512)에 전달하여 제1 볼스크류(511) 및 제2 볼스크류(5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부(520)는 제1 볼스크류(511) 및 제2 볼스크류(512)에 각각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볼스크류(511,5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스크류(511)는 구동부(520)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볼스크류(511)에 결합된 제1 기어부(531) 및 제2 볼스크류(512)에 결합된 제2 기어부(532)에 치합된 체인부(540)는 제1 볼스크류(511)의 회전력을 제2 볼스크류(512)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1 볼스크류(511) 및 제2 볼스크류(512)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볼스크류(511) 및 제2 볼스크류(512)에 각각 결합된 상부고정부(300)가 승하강되어,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상부패널(920) 및 측면패널(930)이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체인부(540)를 보호해주는 체인커버부(5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인부(54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둥프레임(120)에는 상하방향으로 LM가이드부(123)가 돌출형성되고, 상부고정부(300)는 LM가이드부(123)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고정부(300)는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가이드되며, 외력이 볼스크류(510) 및 LM가이드부(123)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부고정부(300)는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가이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40)는, 상부고정부(300)가 승하강할 경우,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접이식 컨테이너(9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8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800)는 하부에 바퀴(1810)가 구비된 본체(810), 본체(8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고정부(820), 본체(8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부(830), 본체(8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전면패널(940) 및 후면패널(950)을 개폐하는 전후면개폐부(840), 및 본체(8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고정부(830)를 승하강시켜,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상부패널(920) 및 측면패널(930)을 승하강하는 승하강개폐부(8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8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와 달리, 승하강개폐부(850)가 본체(8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810)는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측부에 각각 위치하는 하부측면프레임(811), 하부측면프레임(811)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기둥프레임(812), 및 기둥프레임(812)의 상부에 결합되고, 전후면개폐부(840)가 결합되는 제1 상부프레임(813) 및 기둥프레임(812)의 상부에 결합되고, 승하강개폐부(850)가 결합되는 제2 상부프레임(8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개폐부(850)는 제2 상부프레임(814)에 결합되는 구동부(851) 및 양단부에 상부고정부(830)가 각각 결합되고, 구동부(851)에 의해서 승하강하는 상하이동프레임(8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고정부(830)는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상부모서리쇠(921)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도면부호 미부여)에 삽입되는 상부고정편(831) 및 상부고정편(831)을 회전시키는 상부레버(8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를 이용하여 접이식 컨테이너(900)를 개폐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6을 참조하면,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를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하부고정부(200)를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하부모서리쇠(911)에 고정하고, 상부고정부(300)를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상부모서리쇠(921)에 고정한다.
예시적으로, 본체(100)를 작업자가 밀어 접이식 컨테이너(900)에 밀착시키면, 하부모서리쇠(911)에 형성된 삽입홈(1911)에 하부고정부(200)의 하부고정편(210)이 삽입되고, 상부모서리쇠(921)에 형성된 삽입홈(1921)에 상부고정부(300)의 상부고정편(310)이 삽입된다. 이후, 작업자는 하부고정부(200)의 하부레버(220)를 회전시켜 하부고정부(200)를 하부모서리쇠(911)에 고정시키고, 상부고정부(300)의 상부레버(320)를 회전시켜 상부모서리쇠(9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접이식 컨테이너(900) 각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승하강개폐부(500)의 구동부(520)를 가동하여,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상부패널(920) 및 상부측면패널(931)을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전면패널(940) 및 후면패널(950)을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해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후면개폐부(400)의 와이어(410)를 전면패널(940) 또는 후면패널(950)에 구비된 고리(941)에 연결하고, 전후면개폐부(400)의 모터(420)를 가동하여 전면패널(940) 또는 후면패널(950)을 개폐한다(도 17 참조).
예시적으로, 전후면개폐부(400)의 와이어(410)의 끝단을 접이식 컨테이너(900)의 전면패널(940) 또는 후면패널(950)의 상부에 구비된 고리(941)에 걸어 고정하고, 모터(420)를 회전시켜 와이어(410)를 서서히 풀어 전면패널(940) 및 후면패널(950)이 회동되면서 서서히 개폐된다.
다음으로, 승하강개폐부(500)의 구동부(520)를 가동하여, 상부패널(920) 및 측면패널(930)을 서서히 하향시켜 개폐한다(도 18, 도 19 참조).
상기에서는 접이식 컨테이너(900)를 접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펼칠 때는 반대 순서로 하여 접이식 컨테이너(900)를 펼치게 된다.
이때,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10)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100 : 본체 101 : 바퀴
110 : 하부프레임 111 : 제1 하부측면프레임
112 : 제2 하부측면프레임 113 : 하부프레임보강부
120 : 기둥프레임 121 : 제1 기둥프레임
122 : 제2 기둥프레임 123 : LM 가이드부
124 : 사다리부
130 : 상부프레임 140 : 흔들림방지부
150 : 본체고정부 160 : 기둥보강부
200 : 하부고정부 210 : 하부고정편
220 : 하부레버
300 : 상부고정부 310 : 상부고정편
320 : 상부레버 330 : 가이드홈
340 : 가이드부
400 : 전후면개폐부 410 : 와이어
420 : 모터
500 : 승하강개폐부
510 : 볼스크류 511 : 제1 볼스크류
512 : 제2볼스크류 520 : 구동부
530 : 기어부 531 : 제1 기어부
532 : 제2기어부
540 : 체인부 541 : 체인커버부
900 : 접이식 컨테이너
910 : 하부패널 911 : 하부모서리쇠
1911 : 삽입홈
920 : 상부패널 921 : 상부모서리쇠
1921 : 삽입홈
930 : 측면패널 931 : 상부측면패널
932 : 하부측면패널 933 : 슬라이딩조인트
940 : 전면패널 941 : 고리
950 : 후면패널

Claims (21)

  1. 해상 운송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를 개폐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모서리쇠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부 고정편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을 개폐하는 전후면개폐부; 및
    상기 상부고정부를 승강 또는 하강하여,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패널 및 측면패널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상기 측면패널을 접철하는 승하강개폐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되는 것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모서리쇠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상부고정편을 회전시키는 상부레버를 포함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하부모서리쇠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하부고정편 및 상기 하부고정편을 회전시키는 하부레버를 포함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 또는 후면과 측부에 각각 위치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기둥프레임; 및
    양단부가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전후면 개폐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 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지면방향으로 절곡된 흔들림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하단면이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를 고정하는 본체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기둥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사다리형상인 사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개폐부는 상기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에 구비된 고리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개폐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는
    상기 상부고정부가 각각 연결되는 제1 볼스크류 및 제2 볼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개폐부는
    상기 각각의 제1 볼스크류 및 제2 볼스크류에 결합된 제1 기어부 및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 및 제2 기어부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기둥프레임에는 상하방향으로 LM가이드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LM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15. 해상 운송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를 개폐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모서리쇠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부 고정편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을 개폐하는 전후면개폐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정부를 승강 또는 하강하여,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패널 및 측면패널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상기 측면패널을 접철하는 승하강개폐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 또는 후면과 측부에 각각 위치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기둥프레임;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후면개폐부가 결합되는 제1 상부프레임; 및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개폐부가 결합되는 제2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상부모서리쇠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상부고정편을 회전시키는 상부레버를 포함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의 하부모서리쇠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하부고정편 및 상기 하부고정편을 회전시키는 하부레버를 포함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개폐부는
    상기 제2 상부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부; 및
    양단부에 상기 상부고정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승하강하는 상하이동프레임을 포함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개폐부는 상기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에 구비된 고리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모터를 포함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KR1020150091157A 2015-06-11 2015-06-26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KR10175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157A KR101754199B1 (ko) 2015-06-26 2015-06-26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EP19218185.7A EP3653533A1 (en) 2015-06-11 2016-06-10 Apparatus for folding and unfolding a foldable container
JP2017564404A JP6567093B2 (ja) 2015-06-11 2016-06-10 折り畳み式コンテナ
PCT/KR2016/006167 WO2016200195A1 (ko) 2015-06-11 2016-06-10 접이식 컨테이너 및 이를 개폐하는 장치
EP16807835.0A EP3296232B1 (en) 2015-06-11 2016-06-10 Collapsible container
US15/580,894 US10787311B2 (en) 2015-06-11 2016-06-10 Collapsibl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ame
CN201680033917.9A CN107709194B (zh) 2015-06-11 2016-06-10 可折叠集装箱和用于折叠和展开该集装箱的装置
JP2019085354A JP6815436B2 (ja) 2015-06-11 2019-04-26 折り畳み式コンテナ開閉装置
US16/687,980 US11618488B2 (en) 2015-06-11 2019-11-19 Foldabl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157A KR101754199B1 (ko) 2015-06-26 2015-06-26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333A KR20170001333A (ko) 2017-01-04
KR101754199B1 true KR101754199B1 (ko) 2017-07-06

Family

ID=5783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157A KR101754199B1 (ko) 2015-06-11 2015-06-26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769B1 (ko) 2020-01-14 2021-01-11 우승현 치아 균형 정보 획득용 보형물
KR20210119628A (ko) 2020-03-25 2021-10-06 씨스존 주식회사 물류용기 접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108B1 (ko) * 2018-09-12 2020-05-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식 컨테이너 접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접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297B2 (ja) * 1998-04-30 2000-04-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ピュ―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297B2 (ja) * 1998-04-30 2000-04-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ピュ―タ・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769B1 (ko) 2020-01-14 2021-01-11 우승현 치아 균형 정보 획득용 보형물
KR20210119628A (ko) 2020-03-25 2021-10-06 씨스존 주식회사 물류용기 접이장치
KR102367367B1 (ko) 2020-03-25 2022-02-24 씨스존 주식회사 물류용기 접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333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8488B2 (en) Foldabl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same
KR101258612B1 (ko) 접이식 컨테이너
US4726486A (en) Collapsible container
EP1944251B1 (en) Automated warehou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cker crane in automated warehouse
JP5345949B2 (ja) ガラスシートの梱包・輸送用コンテナ
KR101064803B1 (ko) 절첩식 컨테이너
KR101754199B1 (ko)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EP1925581A1 (en) Car upper side handrail device of elevator
KR20130023036A (ko) 덮개 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
US20210171279A1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Stacker and a Stacking System
CN210681893U (zh) 开顶集装箱
KR102108108B1 (ko) 접이식 컨테이너 접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접이 시스템
EP3601105B1 (en)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KR101958408B1 (ko) 접이식 적재용 팔레트
KR20210023120A (ko)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
CN106660489A (zh) 操纵台总成
KR102138105B1 (ko) 개폐가 용이한 선박용 환기장치
JP7090867B2 (ja) 折畳み容器
JP2007062862A (ja) ピットはしご装置
KR102658381B1 (ko) 승강데크 안전 지지장치
KR102652184B1 (ko) 물품 박스의 오픈 시스템
KR102679633B1 (ko) 승강 장치
KR101960437B1 (ko)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셔터 장치
KR102109073B1 (ko) 접철식 항공 컨테이너의 판넬 고정장치
KR102406040B1 (ko) 적재함 프론트 가드 일체형 캐리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