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224B1 - 시설물 점검용 차량 - Google Patents

시설물 점검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224B1
KR100846224B1 KR1020070133873A KR20070133873A KR100846224B1 KR 100846224 B1 KR100846224 B1 KR 100846224B1 KR 1020070133873 A KR1020070133873 A KR 1020070133873A KR 20070133873 A KR20070133873 A KR 20070133873A KR 100846224 B1 KR100846224 B1 KR 10084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ontainer
vehicle
suppor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래 철 이
Original Assignee
에스큐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큐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에스큐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7013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의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시 사용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목적인 운반기능과 아울러 시설물의 안전 점검 및 진단기능을 안정적이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간이형 시설물 점검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시설물 점검용 차량은 후방측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가 마련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측 탑승부의 천정 상부에는 높은 위치의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리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차량에는 상기 리프트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설물 점검용 차량{Vehicles for inspec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시설물의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시 사용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목적인 운반기능과 함께 시설물의 안전 점검 및 진단 기능을 안정적이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설물 점검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물의 안전 점검이나 진단시 종래에는 사다리나 카고 차량 등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많았다.
특히, 이러한 안전 점검 및 진단 대상 시설물 중에는 교량 하부나 터널 또는 옹벽 등과 같이 대략 10m 내외의 높이를 갖는 시설물의 경우가 대다수인데, 이렇게 비교적 높은 곳에 위치한 시설물에 접근하여 관찰하거나 자료 등을 수집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사다리나 카고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위의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사다리의 높이에 제약이 따르고, 작업안정성이 결여되어 중량이 무거운 장비를 가지고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2인 1조로 작업해야하는 경우에는 위의 사다리 를 가지고서는 작업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카고 차량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점검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사다리를 이용하는 경우처럼 높이 및 중량의 제한은 거의 없는 편이지만, 시설물 점검용 차량을 별도로 리스(대차)해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리스 비용 등의 경제적인 문제가 따랐다. 이와 같은 리스 차량은 특정 시설물의 점검 및 진단을 위해서만 사용하는 차량이므로 시설물 점검을 위한 각종 무겁고 많은 장비 등을 운반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비운반용 차량이 요구되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차량의 주목적인 장비 및 화물 등의 운반기능을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간이로 구조물 점검기능을 갖는 복합 차량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화물차량(탑차)의 탑승부 천정 위에 시설물의 안전 점검 및 진단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작업자가 탑승될 수 있는 리프트를 설치하되, 이러한 리프트를 별도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승강시켜 자유로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화물차량의 주목적인 운반기능과 함께 시설물의 안전 점검 및 진단기능을 동시에 효과적이며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간이 시설물 점검용 차량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설물 점검용 차량은, 후방측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가 마련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측 탑승부의 천정 상부에는 높은 위치의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리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차량에는 상기 리프트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양측에 세워져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난간은 안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에 힌지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 위에는 상기 난간이 안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일측에 개 구부를 가지며 상기 난간의 하단부를 감싸며 지지하는 지지편이 고정되되, 상기 난간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편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지지편과 난간에는 상기 난간이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핀을 끼워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차량의 탑승부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리프트의 바닥판이 고정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바닥판과 승강로드 사이를 비스듬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로드를 승강시키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을 구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설물 점검용 차량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바퀴가 접하게 되는 노면에 지지되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조작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하부받침대를 승강시키는 또 다른 유압잭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설물 점검용 차량은, 후방측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가 마련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컨테이너 내부에는 높은 위치의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의 천정에는 상기 리프트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컨테이너 내부 바닥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대과;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지지대 내부에 설치되고, 짧게 접거나 길게 펼칠 수 있도록 다단식으로 구성된 다단식 승강로드와;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다단식 승강로드를 접거나 펼쳐서 승강시키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을 구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수단을 채용한 본 발명의 시설물 점검용 차량에 따르면, 차량의 주목적인 컨테이너를 이용한 운반기능과 더불어서 시설물의 점검이 필요할 경우 차량의 탑승부 위에 위치한 리프트를 조작버튼을 이용하여 점검대상 높이까지 올려 시설물의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을 간편하고 효과적이며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트의 난간을 바닥판 안쪽으로 접힘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시 상기 난간을 접은 상태로 운행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높이제한이 있는 구간을 통과할 경우에도 외부 구조물에 부딪히지 않고서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프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의 지지대와 지지대 하부의 하부받침대를 컨테이너 좌우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시 지지대 또는 하부받침대가 외부 구조물에 충돌되어 차량의 주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차량의 컨테이너 내부에 리프트를 설치함과 아울서 상기 리프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시설물 점검시 리프트를 컨테이너 내부로 내린 후 작업자가 리프트에 손쉽게 탑승하고, 손쉽게 장비를 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천정에 리프트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가 도어에 의해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설물을 점검하지 않는 평상시 리프트를 컨테이너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강우 또는 강설 등의 유사시 리프트가 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가 장착된 시설물 점검용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설물 점검용 차량을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점검용 차량은, 전방측에 작업자가 탑승되는 탑승부(102)가 마련되고, 후방측에 시설물 점검 및 진단에 필요한 각종 화물들을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110)가 마련된 간이 시설물 점검 차량이다.
본 발명은 차량(100)의 전방측 탑승부(102) 천정(R) 상부에 교량 하부나 터 널 또는 옹벽 등과 같은 비교적 높은(예를 들어 10m 내외의 높이) 곳에 위치한 시설물의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위하여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리프트(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100)에는 상기 리프트(13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트(130)를 점검 대상 시설물의 일정 높이까지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승강장치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트(130)는 작업자가 올라서게 되는 바닥판(131)과, 상기 바닥판(131) 양측에 세워져 설치되는 난간(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난간(132)은 바닥판(131)의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131)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바닥판(131) 위에는 난간(132)의 하단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관 형태의 지지편(133)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133)의 일측 부분에는 상기 난간(132)이 바닥판(131)의 안쪽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부분적으로 절개된 부분인 개구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난간(132)의 하단부는 지지편(133)의 하단에 힌지(136)를 통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힌지 결합부위의 상측에 위치한 지지편(133)에는 고정핀(137)의 삽입을 위하여 상기 힌지(136)와 평행하도록 관통된 결합공(13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35)과 대응하는 상기 난간(132) 부분에도 결합공(1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난간(132)은 바닥판(131)으로부터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 편(133) 및 난간(132)에 형성된 결합공(135)(134)에 고정핀(137)을 끼워 결합함으로써, 난간(132)을 세워진 상태로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리프트(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는, 크게 지지대(140)와, 승강로드(141)와, 유압잭(162)(164)과, 조작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40)는 직경이 큰 원통형 실린더로서 차량(100)의 전방측에 위치한 탑승부(102)와 후방측에 위치한 컨테이너(110) 사이의 공간에 좌우 한 쌍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40)는 컨테이너(110)의 좌우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컨테이너(110)의 안쪽방향으로 일정거리 들어간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차량(100)의 주행시 상기 지지대(140)와 외부 구조물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주행의 안정성을 꾀할 수 있다.
상기 승강로드(141)는 지지대(140)의 상측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바, 그 각 상단은 리프트(130)의 바닥판(131) 후방측 좌,우 저면부에 각각 수직하게 고정되며, 지지대(140) 내부에 설치된 유압잭(162)으로부터 발생하는 유압을 구동원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4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피스톤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함으로써, 리프트(130)의 상하방향 높이조절을 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31)과 승강로드(141)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구조적인 강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프레임(142)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42)은 바닥판(131)과 승강로드(141) 사이를 비스듬하게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프레임(142)의 상단은 바닥판(131)의 전방측 저면부에 고정되고, 그 하단은 승강로드(141)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차량(100)의 주행을 위해 리프트(130)를 완전하게 내릴 경우 상기 프레임(142)이 탑승부(102) 상부와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142)의 설치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130)가 완전히 내려진 상태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리프트(130)의 바닥판(131)은 컨테이너(110)의 천정과 거의 평행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140)의 하부에는 리프트(130)를 올려 작업하는 경우 차량(10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받침대(143)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받침대(143)는 상부에 장착된 승강로드(141)와 마찬가지로 지지대(140) 내부에 설치된 또 다른 유압잭(164)으로부터 발생되는 유압을 구동원으로 하여 승강 작동되는데, 이 하부받침대(143)가 하부로 완전히 내려진 상태에서는 노면 위에 지지되기 때문에 차량(100)의 바퀴가 일정거리 위로 떠 있는 상태가 되어 차량(100)의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하부받침대(143) 또한, 상기 지지대(140)와 연장선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컨테이너(110)의 좌우로 노출되지 않아 차량의 주행시 외부와 간섭되지 않고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을 보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140)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로드(141) 및 하부받침대(143)를 각각 구동시키는 유압잭(162)(164)은 컨테이너(110)의 측면부 전방측에 마련된 조작부(15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리프트가 장착된 시설물 점검용 차량은 평소에는 리프트(130)가 내려진 상태로 컨테이너(110)에 화물을 싣고 주행하게 되는 화물의 운반기능을 수행하다가, 시설물의 점검이 필요할 경우에는 차량(100)을 해당 시설물에 정차시킨 다음 컨테이너(110) 측면의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하부 유압잭(164)을 먼저 구동시켜서 하부받침대(143)가 노면에 지지되어 차량(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이어서, 상부 유압잭(162)을 구동하여 작업자 및 점검장비를 실은 리프트(130)를 필요한 점검위치까지 이동하여 접근시킨 후 시설물의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게 된다. 이 후에 시설물 점검이 끝나면 리프트(130)를 내려 원위치시킨 다음 하부받침대(143)를 올려 원위치시킨 후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목적인 운반기능과 더불어서 필요 시에는 차량(100)의 탑승부(102) 상부에 있는 리프트(130)를 올려 비교적 높이가 높은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 작업을 효과적이며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설물 점검용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시설물 점검용 리프트가 컨테이너 내부에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시설물 점검용 차량은, 차량(100)의 컨테이너(110) 내부에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작업자 및 점검장비를 실을 수 있는 리프트(130)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리프트(13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트(13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는 지지대(140)와, 다단식 승강로드(141)와, 유압 잭(162)과, 조작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40)는 원형 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4개가 컨테이너(110)의 전방측 내부 바닥면에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40)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는 다단식 승강로드(141)는 통상의 접이식 안테나와 같이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원형 관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는바, 지지대(140) 내부에 설치된 유압잭(162)에서 발생하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짧게 접어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단식 승강로드(141)의 상단부는 리프트(130)의 바닥판(131) 저면부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리프트(130)를 하부에서 떠받쳐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단식 승강로드(141)를 유압으로 승강시키는 유압잭(162)은 컨테이너(110) 측면에 위치한 조작부(150)를 통해 구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단식 승강로드(141)가 지지대(140) 내부로 완전히 접혀진 상태일 경우 리프트(130)는 컨테이너(110) 내부로 인입되고, 작업자는 상기 리프트(130) 위에 쉽게 올라타거나 장비를 실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면, 상기 다단식 승강로드(141)가 상부로 펼쳐질 경우 상기 리프트(130)는 컨테이너(110) 밖으로 인출되어 작업자가 시설물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10)는 리프트(130)의 상하 출입이 가능하도록 그 천정(113)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데, 그 개방된 부분에는 컨테이너(110) 측면에 마련된 조작부(150)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112)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112)는 일반적인 차량의 선루프와 같이 컨테이너(11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트(130)가 컨테이너(110) 내부로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에서 도어(112)의 폐쇄가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트(130)가 컨테이너(110)의 밖으로 인출될 경우 상기 도어(112)의 개방이 먼저 이루어진 상태에서 리프트(130)의 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되면, 리프트(130)가 컨테이너(110) 내부로 내려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컨테이너(110) 위로 올라가 탑승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컨테이너(110) 내부에 내려진 리프트(130)에 손쉽게 탑승할 수 있고 점검 장비를 용이하게 실을 수 있으며, 시설물을 점검하지 않는 평상시 리프트(130)가 컨테이너(110)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강우 또는 강설 등으로 인해 리프트(130)가 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가 장착된 시설물 점검용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시설물 점검용 차량을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가 장착된 시설물 점검용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차량 110 : 컨테이너
130 : 리프트 131 : 바닥판
132 :난간 133 : 지지편
134,135 : 결합공 136 : 힌지
137 : 결합핀 140 : 지지대
141 : 승강로드 142 : 프레임
143 :하부받침대 112 : 도어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후방측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가 마련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컨테이너 내부에는 높은 위치의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천정에는 상기 리프트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용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컨테이너 내부 바닥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대과;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지지대 내부에 설치되고, 짧게 접거나 길게 펼칠 수 있도록 다단식으로 구성된 다단식 승강로드와;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다단식 승강로드를 접거나 펼쳐서 승강시키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을 구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용 차량.
KR1020070133873A 2007-12-20 2007-12-20 시설물 점검용 차량 KR10084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873A KR100846224B1 (ko) 2007-12-20 2007-12-20 시설물 점검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873A KR100846224B1 (ko) 2007-12-20 2007-12-20 시설물 점검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224B1 true KR100846224B1 (ko) 2008-07-15

Family

ID=3982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873A KR100846224B1 (ko) 2007-12-20 2007-12-20 시설물 점검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2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68B1 (ko) * 2013-08-16 2014-12-10 이기영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CN110065425A (zh) * 2019-04-15 2019-07-30 北京国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货车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0289U (ko) * 1990-01-31 1991-10-21
JPH03115538U (ko) * 1990-03-14 1991-11-29
JPH0551888U (ja) * 1991-12-20 1993-07-0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
KR960036889U (ko) * 1995-05-25 1996-12-16 우회송전식 주상변압기 활선작업차
JP2002326792A (ja) * 2001-03-02 2002-11-12 Aichi Corp 高所作業車
KR20060102304A (ko) * 2006-08-30 2006-09-27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용 차량
KR20070096709A (ko) * 2006-03-27 2007-10-02 합자회사 대광전기 종합무정전 작업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0289U (ko) * 1990-01-31 1991-10-21
JPH03115538U (ko) * 1990-03-14 1991-11-29
JPH0551888U (ja) * 1991-12-20 1993-07-0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
KR960036889U (ko) * 1995-05-25 1996-12-16 우회송전식 주상변압기 활선작업차
JP2002326792A (ja) * 2001-03-02 2002-11-12 Aichi Corp 高所作業車
KR20070096709A (ko) * 2006-03-27 2007-10-02 합자회사 대광전기 종합무정전 작업차
KR20060102304A (ko) * 2006-08-30 2006-09-27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용 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68B1 (ko) * 2013-08-16 2014-12-10 이기영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CN110065425A (zh) * 2019-04-15 2019-07-30 北京国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货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3475B1 (en) Cement industry gangway
US7491026B2 (en) Lift gate assembly
JP468402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RU141571U1 (ru) Надставка заднего откидного борта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JPWO2007032080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EA015431B1 (ru) Путевая машина с крытым помещением для грузов
JP2012167468A (ja) 荷降ろし装置
KR20200125161A (ko) 탑차
US20120006618A1 (en) Cement industry gangway and safety cage
KR100846224B1 (ko) 시설물 점검용 차량
JP4778280B2 (ja) 可搬型消防ポンプの昇降積み降し装置
JP6342238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の乗降デッキ装置、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
JP2003041584A (ja) 杭打機及び杭打機のリーダ倒伏方法
KR200395400Y1 (ko)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KR20210023098A (ko)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KR102679633B1 (ko) 승강 장치
US20180265140A1 (en) Gate Lift
JP201003072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0483239Y1 (ko) 수직형 리프트 게이트
US7849637B2 (en) Fold-up scaffold for semi-trailer shop
JP3809498B2 (ja) 給油所用ガード装置
KR102443118B1 (ko)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KR200361424Y1 (ko) 교량점검시설 출입용 보조사다리
JP5134905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4651589B2 (ja) ルーフリフト車の屋根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