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37B1 -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37B1
KR102071637B1 KR1020190048807A KR20190048807A KR102071637B1 KR 102071637 B1 KR102071637 B1 KR 102071637B1 KR 1020190048807 A KR1020190048807 A KR 1020190048807A KR 20190048807 A KR20190048807 A KR 20190048807A KR 102071637 B1 KR102071637 B1 KR 102071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ower case
coupled
boarding
wal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애리
신정화
이근하
Original Assignee
(유)아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아하산업 filed Critical (유)아하산업
Priority to KR1020190048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와, 탑승부의 벽체 양측면 중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와, 탑승부의 서로 마주보는 벽체의 양측면 바깥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원호형상의 외측레일을 구비하는 하부케이스;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벽체의 폭보다 넓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벽체와, 전면강화유리를 구비하여 가이드벽체의 양단을 연결하는 전면판과, 가이드벽체의 양쪽 내측에 각각 배치되어 외측레일과 결합되어 외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내측레일을 구비하여 하부케이스의 수용공간을 조정하는 전면케이스; 및 전면케이스의 전면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에 상면강화유리를 구비하는 상면부와 상면부의 양측면에서 하부케이스의 벽체의 폭보다 넓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조정실의 탑승공간을 확장시키는 확장 측면벽체를 구비하는 상부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Variable cabin for construction heavy equipments}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건설중장비에 사용되는 조정실의 탑승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제공함과 동시에 건설중장비의 작업조건에 따라 탑승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에 관한 것이다.
건축과 같은 큰 공사현장에서부터 작은 전기공사는 물론 농사, 이사 등 많은 상황에서 중장비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중장비 중 집게차,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들은 주로 트럭의 적재함에 결합된 형태로서, 운전석 외부에 별도의 조종석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조종석은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중장비는 주로 야외에서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자외선 또는 우천에 노출되어 있으며,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비산물에 노출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위험에 사용자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2003-0057515호(2003.07.04 공개)에 카고크레인 및 집게차량의 장비조종석용 절첩식 덮개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위 종래기술은 조종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커버가 배면으로 절첩되어 조종석이 외부로 노출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우천 시 조종석이 손상될 수 있고, 사용자가 비에 젖은 조종석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차량이 운행 중 조종석이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주행 중인 다른 차량에 2차 피해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57515호, 2003년 7월 4일)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중장비에 사용되는 조정실의 탑승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제공함과 동시에 건설중장비의 작업조건에 따라 탑승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가 개방되어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와, 탑승부의 벽체 양측면 중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와, 탑승부의 서로 마주보는 벽체의 양측면 바깥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원호형상의 외측레일을 구비하는 하부케이스;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벽체의 폭보다 넓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벽체와, 전면강화유리를 구비하여 가이드벽체의 양단을 연결하는 전면판과, 가이드벽체의 양쪽 내측에 각각 배치되어 외측레일과 결합되어 외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내측레일을 구비하여 하부케이스의 수용공간을 조정하는 전면케이스; 및 전면케이스의 전면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에 상면강화유리를 구비하는 상면부와 상면부의 양측면에서 하부케이스의 벽체의 폭보다 넓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조정실의 탑승공간을 확장시키는 확장 측면벽체를 구비하는 상부개폐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레일 및 내측레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은 건설중장비에 사용되는 조정실의 탑승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제공함과 동시에 건설중장비의 작업조건에 따라 탑승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탑승공간이 축소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탑승공간이 확장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하부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전면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외측레일과 내측레일의 결합에 따른 가변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베어링 연결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탑승공간이 축소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탑승공간이 확장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하부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전면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내측레일과 외측레일의 결합에 따른 가변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은 하부케이스(110), 전면케이스(120) 및 상부개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케이스(110)는 탑승부(111), 도어(112), 외측레일(113)을 구비한다. 탑승부(111)는 대략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운전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면서, 전면부는 하방향으로 만곡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전면부는 전면강화유리(1111)를 구비하여 전면의 작업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어(112)는 탑승부(111)의 벽체 양측면 중 일측면에 힌지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벽체의 양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도어(112)의 열림방향은 바깥쪽으로 힌지결합됨으로써 운전자가 내부에서 작업 도중에 임의로 도어(112)를 열더라도 상부개폐부(130)에 의해서 도어(112)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측레일(113)은 탑승부(111)의 서로 마주보는 벽체의 양측면 바깥에 결합된다. 외측레일(113)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된다. 외측레일(113)은 후술하는 내측레일(123)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1131)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1131)에 내측레일(123)이 결합되어 분리가 방지되면서 전면케이스(120)가 원호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전면케이스(120)는 가이드벽체(121), 전면판(122) 및 내측레일(123)을 구비한다.
가이드벽체(121)는 서로 이웃하는 탑승부(111)의 벽체의 폭보다 넓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외측레일(113)을 포함해서 탑승부(111)의 소정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면판(122)은 곡률형성된 탑승부(111)의 전면부를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전방향을 향하여 '〉'의 형상으로 굴절형성되며, 하단에 전면강화유리(1221)를 구비한다. 전면케이스(120)가 하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는 전면케이스(120)의 전면강화유리(1221)와 하부케이스(110)의 전면강화유리(1111)는 동일한 축방향을 따라 위치하기 때문에 전방시야가 방해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면판(122)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전면강화유리(1221)를 통하여 추가적인 채광영역이 확보되기 때문에 탑승공간 내부로 충분한 채광이 이루어져서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판(122)은 가이드벽체(121)와 결합되는 상측에서 단차(1222) 형성된다. 단차에는 후술하는 상부개폐부(130)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내측레일(123)은 가이드벽체(121)의 양쪽 내측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내측레일(123)은 외측레일(113)에 슬라이딩 이동하게 결합된다. 내측레일(123)의 형상은 외측레일(11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홈(1131)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단차부(1231)를 구비한다. 단차부(1231)는 슬라이딩홈(1131)에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됨으로써 방지되면서 전면케이스(120)가 원호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전면케이스(120)는 내부에 액츄에이터와 같은 제1 승강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승강구동부는 일단이 하부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전면케이스(120)에 고정된다. 제1 승강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면케이스(120)는 하부케이스(110)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부개폐부(130)는 조종실의 탑승공간을 가변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면부(131) 및 확장 측면벽체(132)를 구비한다.
상면부(131)는 전면케이스(120)의 전면판(121)에 형성된 단차(12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면부(131)는 상측에 상면강화유리(1311)를 구비하여 탑승공간 내부로 충분한 채광이 이루어져서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확장 측면벽체(132)은 상측에 상면강화유리를 구비하는 상면부(131)와 상면부(131)의 양측면에서 하부케이스(110)의 벽체의 폭보다 넓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화장 측면벽체(132)는 대략적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개폐부(130)가 상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하단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형 조정실에 결합된 외측레일에 대해 내측레일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내측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상부케이스가 승강구동하면서 조정실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의 베어링 연결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하부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외측레일(113)과 전면케이스(120)에 결합되는 내측레일(123)은 도 6과 같이 레일방식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외측레일(113)은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며, 소정간격으로 롤러베어링(1132)이 결합된다. 그리고, 내측레일(123)에는 롤러베어링(1132)이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수용홈(1232)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레일(123)이 외측레일(113)에 롤러방식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보다 원활하게 내측레일(123)의 이동을 제공하여 전면케이스(120)의 원활한 상하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제2 승강구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승강구동부는 일단이 하부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전면케이스(120)의 상면부(131) 후단에 결합되게 된다. 제1 승강구동부의 구동없이 제2 승강구동부만 구동하게 되면, 상부개폐부(130)가 회동하면서 상면이 완전히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면케이스(120) 및 상부개폐부(130)에 형성된 채광부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에 태양광패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조종실은 일반적으로 외부에 개방된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태양광에 직접노출된다. 따라서,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통해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력으로 경광등 및 기타 조종실 내부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하부케이스 111 : 탑승부
112 : 도어 113 : 외측레일
120 : 전면케이스 121 : 가이드벽체
122 : 전면판 123 : 내측레일
130 : 상부개폐부 131 : 상면부
132 : 확장 측면벽체

Claims (2)

  1. 건설중장비에 결합되어 운전자의 운전공간을 형성하는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강화유리(1111)를 구비하는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의 벽체 양측면 중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탑승부의 서로 마주보는 벽체의 양측면 바깥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원호형상의 외측레일을 구비하는 하부케이스;
    일단이 상기 벽체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상기 탑승부 내부로 채광을 제공하는 상면강화유리를 구비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벽체의 폭보다 넓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조정실의 탑승공간을 확장시키는 확장 측면벽체를 구비하는 상부개폐부;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벽체의 폭보다 넓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벽체와, 전면강화유리(1221)를 구비하여 일단이 상기 상부개폐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벽체의 양단을 연결하는 전면판과, 상기 가이드벽체의 양쪽 내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외측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외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내측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수용공간을 조정하는 전면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강화유리(1111)와 상기 전면강화유리(1221)는 전방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동일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전면강화유리(1221)는 상기 전면판이 상승한 상태에서 탑승공간 내부로 추가적인 채광을 제공하며,
    상기 도어는,
    바깥쪽으로 열리도록 열림방향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부 개폐부에 의해서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
  2. 삭제
KR1020190048807A 2019-04-26 2019-04-26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 KR102071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07A KR102071637B1 (ko) 2019-04-26 2019-04-26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07A KR102071637B1 (ko) 2019-04-26 2019-04-26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637B1 true KR102071637B1 (ko) 2020-01-30

Family

ID=6932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807A KR102071637B1 (ko) 2019-04-26 2019-04-26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591A (ja) * 1993-11-29 1995-06-1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キャビン
JPH10292432A (ja) * 1997-04-18 1998-11-04 Komatsu Ltd 建設機械の運転室
KR20030057515A (ko) 2003-06-20 2003-07-04 이상훈 카고크레인 및 집게차량의 장비조종석용 절첩식 덮개장치
KR20050046312A (ko) * 2003-11-13 2005-05-18 호봉식 크레인용 작업의자 안전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591A (ja) * 1993-11-29 1995-06-1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キャビン
JPH10292432A (ja) * 1997-04-18 1998-11-04 Komatsu Ltd 建設機械の運転室
KR20030057515A (ko) 2003-06-20 2003-07-04 이상훈 카고크레인 및 집게차량의 장비조종석용 절첩식 덮개장치
KR20050046312A (ko) * 2003-11-13 2005-05-18 호봉식 크레인용 작업의자 안전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5025B1 (en) Articulated gull wing door
ITRM970543A1 (it) Copertura a pannello per la zona anteriore dell'apertura del telaio di un vano di alloggiamento della capote di un autoveicolo
US20150084372A1 (en) Moveable aerodynamic device for a vehicle
KR102336407B1 (ko) 공간 확장이 가능한 차량
KR20200125161A (ko) 탑차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0830570B1 (ko) Psd용 구동부 커버의 개폐 장치
US8827374B2 (en) Folding canopy for cold planer machine
CN107264650A (zh) 包括可调整的驾驶室的自行走机器特别是建筑机器以及用于调整自行走机器的驾驶室的方法
KR102071637B1 (ko)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
CA2439940C (en) Sheltered aircraft supply vehicle
JP2012051461A (ja) 可動床構造を有するキャ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KR20050086654A (ko) 적재 박스 또는 적재면을 구비한 차량
KR20210004034A (ko) 화물차 적재함의 리프트 게이트
JP4712396B2 (ja) 高所作業車のプラットフォーム
KR101615110B1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KR102327556B1 (ko) 건설기계의 캐빈
CN101360624B (zh) 机动车
KR101771431B1 (ko)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KR20190027145A (ko)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EP3222463B1 (en) Trailer
JPH11301335A (ja) コンテナ搬送車の箱型荷台に備わる左右開閉扉に設けた連動式複数段プラットフォーム防護壁
US20120043787A1 (en) Sliding roof configuration for a motor vehicle
KR20150132953A (ko) 차량 탑재형 크레인의 높낮이 조절형 조정석 안전커버
JP4607552B2 (ja) 高所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