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919Y1 -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919Y1
KR200331919Y1 KR20-2003-0026328U KR20030026328U KR200331919Y1 KR 200331919 Y1 KR200331919 Y1 KR 200331919Y1 KR 20030026328 U KR20030026328 U KR 20030026328U KR 200331919 Y1 KR200331919 Y1 KR 200331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vice
locking
garbage collection
guid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걸
Original Assignee
대양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184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31919(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6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9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하여 바디 측면에 쓰레기수거박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빈리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빈리프트에는 락킹핀과 함께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고 바디 측면에는 락킹장치 가이드와 슬라이더 가이드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 가이드에 의하여 회전 동작되는 레버가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된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제1경사면과 상응하는 경사진 형상으로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홈과 연통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와 단차지며 연통된 습동부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빈리프트 일측에 고정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습동부에 설치되기 위하여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머리부재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회전몸체의 체결홈과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걸림턱과 습동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락킹핀을 구속하기 위한 락킹장치는 레버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에 의하여, 기기 동작시 마찰을 최소화 하게 되며 마모성 저하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Locking device of garbage truck}
본 고안은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동작 되는 락킹장치를 제공하여 기기 동작시 마찰을 최소화 하게 되어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하여 특수차량이 사용되며, 상기와 같은 특수차량중에는 빈리프트의 작동에 의하여 쓰레기수거박스에 담긴 쓰레기를 자동적으로 수거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쓰레기 수거 차량은 쓰레기 박스를 빈리프트에 구비된 투스에 걸리도록 한 후에 상측으로 이동시켜 쓰레기수거박스 내측에 담긴 쓰레기를 바디 내측으로 투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서, 상기 쓰레기 박스는 단순히 빈리프트의 투스에 걸려있는 상태이기에 쓰레기수거박스가 이동함에 있어 이탈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빈리프트에 락킹장치를 설치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쓰레기수거박스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쓰레기 수거차의 바디 측면에 락킹장치 가이드(1)와 슬라이더 가이드(3)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락킹장치 가이드(1)와 슬라이더 가이드(3)를 따라서 동작되는 슬라이더(10)와 락킹장치(20)가 빈리프트(미도시)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10)는 측면에 설치된 안내부재(12)를 따라서 수평 동작되는제1플레이트(14)과 상기 제1플레이트(14) 일단에 설치된 슬라이더 롤러(16)로 구성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4) 일측에는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 락킹핀(18)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14) 일측에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서 상기 고정패널을 우측(도 1기준)으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슬라이더(10) 하측에는 락킹장치(20)가 구비되며, 상기 락킹장치(2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설치된 이동패널(21)과 하측에 설치된 락킹패널(26)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이동패널(21)의 일단에는 락킹롤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패널(2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동바(23)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23)와 이동패널(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스프링(30)의 일단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30)의 타단은 락킹장치(2)의 몸체부를 구성하는 하우징(25)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패널(21)에 일정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이동패널(21) 하측에는 원기둥 형상의 안내돌기(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돌기(24)가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락킹패널(26)에는 경사홀(27)이 사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일단에는 걸림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리프트의 상승에 따라서 락킹장치(20)의 락킹롤러(22)가 락킹장치 가이드(1)에 접하기 직전에는 락킹롤러(22)가 좌측(도2기준)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이며, 안내돌기(24)에 의하여 연결된 락킹패널(26)의 걸림돌기(28)도 외측으로 돌출되어진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빈리프트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롤러(22)가 락킹장치 가이드(1)에 의하여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연이어 슬라이더 롤러(16)도 슬라이더 가이드(3)에 의하여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락킹장치(20)의 동작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락킹롤러(22)가 락킹장치 가이드(18)에 의하여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패널(21)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안내돌기(24)도 좌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락킹패널(26)의 경사홈(27)을 밀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이동패널(21)이 좌측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락킹패널(26)은 상측(도4 준)으로 이동되어 락킹패널(26)의 걸림돌기(28)는 락킹장치(20)의 하우징(25) 내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롤러(16)가 슬라이더 가이드(3)에 의하여 좌측으로 이동되면, 이에 연결된 제1플레이트(14)과 락킹핀(18)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락킹핀(18)과 걸림돌기(28)의 위치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8) 좌측에 락킹핀(18)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락킹롤러(22)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락킹장치 가이드(1)와 떨어지게 되면, 상기 이동패널(21)과 이동바(23)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패널(21)을 우측으로 밀어주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장착상태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패널(21)의 동작에 의하여 락킹패널(26)도 이동되어 락킹핀(18)이 좌측에 있는 상태에서 걸림돌기(28)가 외측으로 나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락킹핀(18)이 우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상기 걸림돌기(28)에 의하여 구속된다.
상기 락킹장치(20)의 동작에 의하여 슬라이더(10)의 제1플레이트(14)이 좌측(도3기준)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며, 쓰레기수거박스의 상단부를 구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의 제1플레이트(14)에 의하여 잠김상태가 된 쓰레기수거박스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바디 내측으로 쓰레기를 투하하고 다시 내려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수거박스가 올라갈 때의 반대 동작순으로 슬라이더(10)와 락킹장치(20)가 슬라이더 가이드(3)와 락킹장치 가이드(1)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에 의하여 쓰레기수거박스의 잠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롤러(22)가 락킹장치 가이드(1)에 접하게 되면서 락킹롤러(22)가 장착된 이동패널(21)을 좌측(도1기준)으로 밀어주는 힘과 함께 시계방향(도1기준)으로 돌려주게 되는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락킹롤러(22)에 전달된 회전력은 필요하지 않은 힘으로서, 이동패널(21)과 하우징(25) 간에 마찰력을 증대시키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동상태에 의하여 락킹장치(20)의 하우징(25) 내측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는 이동패널(21)은 증대된 마찰력에 의하여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소음발생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하우징(25)과 상기 이동패널(21) 간에 마찰력이 커지게 되어 부품간에 마모 동작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내구성 저하 및 잦은 고장이 발생하게 되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락킹핀의 동작을 구속하기 위한 락킹장치의 동작시 발생되는 마찰 및 소음을 감소시켜 내구성과 소음이 감소되고 동작 신뢰성이 향상된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슬라이더와 락킹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요부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락킹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슬라이더와 락킹장치가 가이드에 의하여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락킹장치의 평면도.
도 5는 일반적인 쓰레기 수거차의 외형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락킹장치가 설치된 빈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도 6에서 빈리프트 장치를 확대 도시한 요부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빈리프트 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락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락킹장치와 락킹핀의 초기 장착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락킹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락킹장치와 락킹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락킹장치가 동작되고 슬라이더는 동작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락킹장치가 동작되고 슬라이더도 동작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도 15에서 락킹장치와 락킹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슬라이더만 슬라이더 가이드에 의하여 안내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8은 도 17에서 락킹장치와 락킹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슬라이더와 락킹장치가 가이드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에서 락킹장치와 락킹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빈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쓰레기수거박스가 상단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40 : 바디 42 : 상부도어
44 : 푸시실린더 46 : 쓰레기수거박스
48 : 락킹장치 가이드 49 : 슬라이더 가이드
50 : 빈리프트 장치 52 : 레일 앗세이
54 : 지지바 56 : 상부롤러
58 : 하부롤러 59 : 보조레일 앗세이
60 : 외측수직바 62 : 내측수직바
64 : 가이드핀 66 : 탄성부재
68 : 크로스앵글 69 : 수평바
70 : 슬라이더 71 : 슬라이더 롤러
72 : 제1플레이트 74 : 투스
76 : 제2플레이트 78 : 코일스프링
79 : 락킹핀 80 : 락킹장치
82 : 고정플레이트 84 : 샤프트
85 : 체결부 86 : 와셔
87 : 너트 88 : 걸림턱
89 : 머리부재 90 : 고정몸체
92 : 중공부 94 : 습동부
95 : 주입구 96 : 제2경사면
100 : 회전몸체 102 : 레버
104 : 체결홈 106 : 제1경사면
110 : 스프링 112 : 리프트 실린더
114 : 체인 122 : 안내부재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하여 바디 측면에 쓰레기수거박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빈리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빈리프트에는 락킹핀과 함께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고 바디 측면에는 락킹장치 가이드와 슬라이더 가이드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 가이드에 의하여 회전 동작되는 레버가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된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제1경사면과 상응하는 경사진 형상으로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홈과 연통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와 단차지며 연통된 습동부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빈리프트 일측에 고정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습동부에 설치되기 위하여 일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머리부재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회전몸체의 체결홈과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걸림턱과 습동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몸체의 습동부에서 외측으로 연통된 주입구가 형성되어 윤활유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의 체결홈과 결합된 상태의 샤프트의 체결부 일단에 와셔와 너트가 차례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락킹핀을 구속하기 위한 락킹장치는 레버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에 의하여, 기기 동작시 마찰을 최소화 하게 되며 마모성 저하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쓰레기가 적재되기 위한 바디(40)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40) 상측을 개폐하기 위한 상부도어(42)가 푸시실린더(44)에 의하여 동작된다.
상기 상부도어(42)가 열려있을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수거박스(46)를 자동적으로 끌어올려 쓰레기를 바디(40) 내측으로 투하하기 위한 빈리프트 장치(50)가 바디(40)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빈리프트 장치(50)를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바디(40) 측면에는 'ㄷ'자 형상으로 된 레일앗세이(52)가 좌우 각각 하나씩 한쌍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일앗세이(52) 하단은 지지바(54)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상기 레일앗세이(52)를 따라서 상하 이동이 안내되기 위하여 상부롤러(56)와 하부롤러(58)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롤러(56)는 외측수직바(60)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롤러(58)는 내측수직바(62)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외측수직바(60)와 내측수직바(62)는 가이드핀(64) 축에 의하여 힌지연결되며, 상기 내측수직바(62) 하단과 외측수직바(60) 일측은 탄성부재(6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외측수직바(60)의 상단에는 슬라이더(70)를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72)가 설치되며 그 하측에는 쓰레기수거박스(46)가 결합되기 위한 돌기 형상의 투스(74)가 장착된 제2플레이트(76)가 설치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7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직바(60)의 일측과 상기 제1플레이트(72)에 코일스프링(78)이 연결된 것에 의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72)가 바디(40) 측을 향하여 일정 탄성력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플레이트(72) 일측에는 슬라이더 롤러(71)가 바디(40)측을 향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72)의 하측 수직방향으로 락킹핀(79)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락킹핀(79)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락킹장치(80)가 고정플레이트(82)에 의하여 제2플레이트(76)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락킹장치(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90)와 회전몸체(100)로 몸체부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90)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몸체(100)에 체결되는 샤프트(84)와 상기 샤프트(84)와 고정몸체(90) 사이에 장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10)과 상기 샤프트(84)의 체결부(85)에 결합되는 와셔(86)와 너트(87)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몸체(100)의 외측에는 레버(102)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는 중공이 형성되어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104)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몸체(100) 일단에는 사선 형상으로 제1경사면(106)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몸체(100)의 제1경사면(106)과 상응하는 경사진 형상으로 제2경사면(96)이 고정몸체(90)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90)에는 상기 회전몸체(100)의 체결홈(104)과 연통하는 중공부(92)와 상기 중공부(92)와 단차지게 연통된 습동부(94)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습동부(94)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통된 주입구(95)가 형성되어 윤활유가 공급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고정몸체(90)의 단차지게 형성된 습동부(94)에 걸리기 위하여 샤프트(84)의 일단에는 걸림턱(88)이 형성된 머리부재(89)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회전몸체(100)의 체결홈(104)과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85)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걸림턱(88)과 습동부(94) 사이에는 스프링(110)이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84)에 일정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에서 주입구(95)를 통하여 공급되는 윤활제는 습동 동작되는 샤프트(84) 부재의 마찰을 줄여주게 되며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와셔(86)와 너트(87)는 상기 회전몸체(100)의 내측 체결홈(104)에 체결된 샤프트(84)의 고정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앗세이(52) 하단에 구비된 지지바(54)의 중앙에는 리프트 실린더(112)가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 실린더(112)의 로드 상단에는 체인(114)이 감겨지게 된다.
상기 체인(114)의 일단은 내측수직바(62)의 하단을 연결해주는 수평바(69)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디(40) 일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빈리프트 장치(50)의 상승 동작에 있어서 슬라이더(70)와 락킹장치(80)를 동작시키기 위한 락킹장치 가이드(48)와 슬라이드 가이드(49)가 바디(40)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측수직바(62) 하측에는 크로스 앵글(6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핀(6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보조레일 앗세이(59)가 레일앗세이(52) 상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70)에서 슬라이더 롤러(71)와 함께 이동되는 제1플레이트(72)는 안내부재(122)에 의하여 이동이 안내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72) 하측에는 락킹핀(79)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의 동작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 수거차량의 푸시실린더(44)가 작동하여 바디(40) 상측을 덮고 있는 상부도어(42)를 열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40) 측면에 설치된 빈리프트 장치(50)에 쓰레기수거박스(46)를 장착시키게 되며, 이를 도 6과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쓰레기수거박스(46)의 덮개를 열어 젖힌 상태에서 돌기 형상의 투스(74)에 상단부가 걸리도록 한다.
이때, 락킹핀(79)과 락킹장치(80)의 머리부재(89)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핀(79)이 바디(50)측 방향(도 11기준 상측)으로 위치해 있으며, 샤프트(84)의 머리부재(89)는 고정부재(90) 외측으로 나온 상태로 상기 락킹핀(79)의 하측 이동이 구속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리프트실린더(112)의 로드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리프트실린더(112)에 걸려있는 체인에 의하여 연결된 수평바(69)도 상승하게 되어 빈리프트 장치(50)가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빈리프트 장치(50)의 상승에 의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장치(80)의 레버(102)가 락킹장치 가이드(48)와 만나게 되며, 상기 락킹장치 가이드(48)에 의하여 시계방향(도 12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상태에 의하여 락킹장치(80)와 락킹핀(79)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2)가 락킹장치 가이드(48)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레버(102)와 일체로 고정된 회전몸체(10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몸체(100)와 고정몸체(90)가 경사진 형상으로 상호 결합된 상태에 의하여, 상기 회전몸체(1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경사면(96)을 따라서 제1경사면(106)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몸체(100)가 고정몸체(90)로 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몸체(100)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몸체(100)에 고정된 샤프트(84)도 고정몸체(90)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도 13에 도시된 동작상태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빈리프트 장치(50)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장치(80)의 레버(102)가 회전된 상태에서 슬라이더 롤러(71)도 슬라이더 가이드(49)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빈리프트 장치(50)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롤러(71)도 슬라이더 가이드(49)에 의하여 좌측(도 15기준)으로 이동되어 제1플레이트(72)가 쓰레기수거박스(46)의 상단을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72)에 고정된 락킹핀(79)도 이동하게 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2)가 락킹장치 가이드(48)에 의하여 회전된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72)를 따라 락킹핀(79)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빈리프트 장치(50)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2)와 락킹장치 가이드(48)가 떨어지게 되며, 슬라이더 롤러(71)는 슬라이더 가이드(49)에 의하여 쓰레기수거박스(46)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장치(80)와 락킹핀(79)의 위치는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샤프트(84)의 머리부재(89)가 고정몸체(90) 외측으로 돌출되어 나가게 되며, 상기 고정몸체(90)의 제2경사면(96)과 회전몸체(100)의 제1경사면(106)이 상호 접하게 되는 것에 의하여 레버(102)도 초기 장착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핀(79)은 쓰레기수거박스(46)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락킹장치(80)의 머리부재(89)가 고정몸체(90) 외측으로 돌출된 장착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빈리프트 장치(50)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롤러(71)도 슬라이더 가이드(49)와 떨어지게 되며, 상기 슬라이더(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78)의 작용에 의하여 바디(50)측을 향하여 복귀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그러나,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머리부재(89)에 의하여 락킹핀(79)은 초기상태로 복귀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1플레이트(72)도 쓰레기수거박스(46) 상측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쓰레기수거박스(46)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측에서는 투스(74)에 걸려지고 상측에서는 상기 제1플레이트(72)에 의하여 쓰레기수거박스(46)의 동작을 구속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리프트 장치(50)가 레일 앗세이(52)를 따라서 상단으로 이동되어 쓰레기수거박스(46)가 회전동작을 하게 될경우에도 빈리프트 장치(50)에서 상기 쓰레기수거박스(46)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동작후, 쓰레기수거박스(46)를 장착한 빈리프트 장치(50)가 하강하게 되면, 슬라이더(70)와 락킹장치(80)는 상승동작의 역순으로 동작하게 되어 상기 쓰레기박스(46)의 상측을 구속하고 있는 제1플레이트(72)도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에서 도 10에 도시된 락킹장치(80)의 와셔(86)와 너트(87)는 샤프트(84)의 체결부(85)와 회전몸체(100)의 체결홈(104)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되며 주입구(95)를 통하여 주유된 윤활유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84)의 동작시 마찰이 최소화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동작을 갖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에 의하면, 쓰레기수거박스(46)의 상승 동작시 락킹장치(80)와 락킹장치 가이드(48)가 만날때, 락킹장치(80)의 레버(102)가 슬라이더 가이드(49)와 만나면서 회전동작 되는 것에 의하여 락킹장치(80)가 동작된다.
종래에는 락킹장치가 수평방향을 향한 힘만을 입력받아 작동되도록 설계되었으나, 슬라이더 가이드와 만나는 부분에서 수평방향의 힘과 함께 회전방향의 힘도 입력받게 되어 기기 동작시 마찰과 소음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원 고안에서는 락킹장치(80)가 회전방향의 힘만을 입력받아 동작되도록 설계된 것에 의하여, 상기 락킹장치(80)의 레버(102)가 락킹장치 가이드(48)와 접하여 회전동작되는 것에 의하여 불필요한 힘이 입력되어 기기 동작시 마찰과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에 의하면, 락킹핀을 구속하기 위한 락킹장치의 동작이 회전동작에 의하여 동작되어 기기 동작시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 하여 부품 마모 및 소음을 최소화 하였으며, 이에 따른 부품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이 향상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하여 바디 측면에 쓰레기수거박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빈리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빈리프트에는 락킹핀과 함께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고 바디 측면에는 락킹장치 가이드와 슬라이더 가이드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 가이드에 의하여 회전 동작되는 레버가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된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제1경사면과 상응하는 경사진 형상으로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홈과 연통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와 단차지며 연통된 습동부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빈리프트 일측에 고정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습동부에 설치되기 위하여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머리부재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회전몸체의 체결홈과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걸림턱과 습동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습동부에서 외측으로 연통된 주입구가 형성되어 윤활유를공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의 체결홈과 결합된 상태의 샤프트의 체결부 일단에 와셔와 너트가 차례로 결합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KR20-2003-0026328U 2003-08-14 2003-08-14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KR200331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328U KR200331919Y1 (ko) 2003-08-14 2003-08-14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328U KR200331919Y1 (ko) 2003-08-14 2003-08-14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919Y1 true KR200331919Y1 (ko) 2003-11-01

Family

ID=4941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328U KR200331919Y1 (ko) 2003-08-14 2003-08-14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9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726B1 (ko) 2013-10-15 2014-04-21 (주)에이엠 (A.M) 특장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KR101471375B1 (ko) * 2014-06-27 2014-12-10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KR102177071B1 (ko) * 2019-10-07 2020-11-10 도순녀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726B1 (ko) 2013-10-15 2014-04-21 (주)에이엠 (A.M) 특장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KR101471375B1 (ko) * 2014-06-27 2014-12-10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KR102177071B1 (ko) * 2019-10-07 2020-11-10 도순녀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2181B2 (en) Latch device and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ing same
KR20010020958A (ko) 음료 용기 고정 장치
KR200331919Y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KR101129565B1 (ko) 복식 스프링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0751762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
US5383072A (en) Door lock apparatus for use in a tape recorder
KR20120049080A (ko) 자동차의 연료 도어 개폐장치
KR0110479Y1 (ko) 자동판매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0579641B1 (ko) 센터 패시어 트레이 잠금장치
CN217602353U (zh) 一种多锁舌联动的门锁装置
KR200160444Y1 (ko) 수납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
KR200462046Y1 (ko) 도어 개폐구조
JP3781383B2 (ja) リッドロック装置
CN209494328U (zh) 一种电子锁滑盖装置
KR0114068Y1 (ko) 화물차량용 리어데크의 게이트 록킹장치
JPH09189164A (ja) 錠止機構の保持装置
JPS5847173Y2 (ja) 自動販売機の扉のロック機構
KR200355904Y1 (ko) 미서기창 잠금장치용 키퍼
KR890008570Y1 (ko) 도어 하우징의 개폐 및 도어 록크 장치
KR20030029387A (ko) 트럭용 리어게이트의 록킹장치
KR0113843Y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로크기구
KR200148201Y1 (ko) 대문 열림방지용 로킹장치
JP2003049574A (ja) 扉位置決め装置
KR200272665Y1 (ko) 도어잠금장치
KR200158384Y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217

Effective date: 201108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929

Effective date: 2012030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405

Effective date: 20120611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514

Effective date: 2012071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919

Effective date: 201301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