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071B1 -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071B1
KR102177071B1 KR1020190123758A KR20190123758A KR102177071B1 KR 102177071 B1 KR102177071 B1 KR 102177071B1 KR 1020190123758 A KR1020190123758 A KR 1020190123758A KR 20190123758 A KR20190123758 A KR 20190123758A KR 102177071 B1 KR102177071 B1 KR 102177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waste
carrier
support bar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순녀
Original Assignee
도순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순녀 filed Critical 도순녀
Priority to KR102019012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8Platform elevators or hoists with guides or runways for raising or tipping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4Linkages, 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for raising and subsequently tipping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5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actuating means for lifting or tipping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컨테이너(10)에 설치되어 거치된 수거통(20)의 음식물쓰레기를 컨테이너(10)의 투입구(11)에 자동으로 투입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에 있어서,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컨테이너(10)의 측면에 직립되게 고정장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11)를 향해 라운드지게 절곡된 절곡부(111)가 형성되며 연장된 길이를 따라 레일홈(112)이 형성된 복수 개의 상하레일(110); 상기 레일홈(112)에 지지되어 상하레일(110)을 따라 승강이동하며 전방측에는 수거통(20)의 상부가 걸림지지되는 거치대(121)가 마련된 캐리어(120); 상기 캐리어(120)가 승강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130); 상기 캐리어(120) 상에서 거치대(121)의 상부 위치에 수평배치되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거치대(121)에 걸림지지된 수거통(20)을 하향 지지하여 상향 고정시키며,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거통(20)의 상향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지지바(140); 및 상기 지지바(14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구동부(150);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FOOD WASTE AUTOMATIC INPUT APPARATUS FOR FOOD WASTE COLLECTING VEHICL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거치된 수거통의 음식물쓰레기를 컨테이너의 투입구에 자동으로투입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차체의 적재함 일측에 좌우 외측 고정 안내간(2)과 좌우 내측 고정 안내간(3) 및 유압 실린더(8)를 설치 고정하여 이에 좌우 외측 작동 안내간(4) 및 좌우 내측 작동 안내간(5)과 좌우 내측 작동 안내간(5)의 하단 연결부에 하단부가 체결된 실린더 로드(8-1)가 전개 및 절첩 수납되게 하였다.
또한, 전기한 좌우 내측 작동 안내간(5)의 상단에 설치된 안내간(5-1)의 로울러(5-2)에는 적재함(10)에 일단이 고정된 체인벨트(7)가 감김된 상태에서 이의 하단부는 좌우 외측 작동 안내간(4)에 끼움 안내되는 작동틀(6)에 끼움된 작동간(6a)의 받침대(6-4)에 체결되고, 전기한 작동틀(6)의 상부 좌우측에 설치된 안내 로울러(6-3)는 전기한 좌우 외측 작동 안내간(4)의 안내홈(4-1)에 끼움되고, 전기한 작동틀(6)의 좌우측에 형성된 안내홈(6-1)에는 스프링(6-7)을 개재한 작동간(6a)의 좌우측에 설치된 안내 로울러(6b)가 끼움되게 하였다.
더불어, 전기한 작동간(6a)의 받침대(6-4)의 좌우측에 설치된 안내 로울러는 전기한 작동틀(6)의 좌우측에 형성된 결여부(6-2)에서 노출되어 좌 우 외측 작동 안내간(4)의 안내홈(4-1)에 끼움되게 함으로서 전기한 작동간(6a)의 걸림턱(6c)에 음식물 쓰레기통(9)의 걸림홈(9-1)을 걸림되게 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8)를 가동시켜 로드(8-1)가 실린더 내로 수납되게 하면 음식물 쓰레기통(9)은 작동틀(6)과 함께 상승하여 외측 고정 안내간(2)의 절곡부(2-2)에 이르게 되면 전기한 작동틀(6)의 안내 로울러(6-3) 및 작동틀(6) 내에 설치된 작동간(6a)의 안내 로울러(6-3)와 받침대(6-4)에 설치된 안내 로울러(6-6)는 3각 선상으로 배치되어짐에 따라 쓰레기통이 옆으로 도복되면서 음식물 쓰레기통(9) 내에 담겨 있는 음식물쓰레기의 자동 투하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통(9)이 거치대에 거치됨에 있어 거치대에 상향 절곡된 걸림편이 수거통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단순히 하향 지지된 구조로 거치됨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통(9)이 140도 갸량 회전하면서 걸림홈으로부터 걸림편이 빠지게 되어 쓰레기통(9)이 함께 투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26002호(2002.05.16), 청소차의 음식물 쓰레기 자동투하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치대에 거치된 수거통을 하향 지지함으로써 상하레일의 절곡부에서 140도 이상으로 회전하더라도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만 투하될 뿐 수거통을 거치대 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컨테이너(10)에 설치되어 거치된 수거통(20)의 음식물쓰레기를 컨테이너(10)의 투입구(11)에 자동으로 투입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에 있어서,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컨테이너(10)의 측면에 직립되게 고정장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11)를 향해 라운드지게 절곡된 절곡부(111)가 형성되며 연장된 길이를 따라 레일홈(112)이 형성된 복수 개의 상하레일(110); 상기 레일홈(112)에 지지되어 상하레일(110)을 따라 승강이동하며 전방측에는 수거통(20)의 상부가 걸림지지되는 거치대(121)가 마련된 캐리어(120); 상기 캐리어(120)가 승강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130); 상기 캐리어(120) 상에서 거치대(121)의 상부 위치에 수평배치되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거치대(121)에 걸림지지된 수거통(20)을 하향 지지하여 상향 고정시키며,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거통(20)의 상향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지지바(140); 및 상기 지지바(14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50)는, 상기 상하레일(110)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며 상하레일(110)과 나란하도록 상기 컨테이너(10)의 측면에 직립되게 고정장착되고 상단 배면에는 상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52)이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바(151)와, 상기 캐리어(120)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길이를 따라 레일홈(154)이 형성되어 지지바(140)의 전후방 슬라이딩이동을 지지하는 전후레일(153)과, 상기 가이드바(151)의 배면과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지지바(140)의 후방측에 수평축 결합되는 가이드롤러(155) 및, 상기 전후레일(153)의 전방측과 가이드바(151)의 후방측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력으로 가이드바(151)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부재(1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레일(153)의 전방측에는 상향 연장된 전방측연장바(157)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151) 후방측에서 전방측연장바(157)와 전후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향 연장된 후방측연장바(158)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156)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측연장바(157)와 후방측연장바(158) 사이에 수평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통(20)의 상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의 저면에는 상향 오목하게 함몰된 걸림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의 상단 둘레에는 상향 연장된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121)의 전단에는 상향 절곡되어 상기 수거통(20)이 걸림지지되도록 걸림홈(22)에 삽입되는 걸림편(2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140)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부(21)의 상부를 하향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의 투입구(11) 측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캐리어(120)를 따라 상하레일(110)의 상향 단부 위치까지 상승한 지지바(140)가 수거통(20)의 걸림턱(23)에 가압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방지편(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에 의하면,
첫째,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컨테이너(10)의 측면에 직립되게 고정장착되는 복수 개의 상하레일(110)은 상부에 투입구(11)를 향해 라운드지게 절곡된 절곡부(111)가 형성되며 연장된 길이를 따라 레일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112)에 지지되어 상하레일(110)을 따라 승강이동하는 캐리어(120)는 전방측에 수거통(20)의 상부가 걸림지지되는 거치대(121)가 마련되며, 승강구동부(130)는 캐리어(120)가 승강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캐리어(120) 상에서 거치대(121)의 상부 위치에 수평배치되는 지지바(140)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거치대(121)에 걸림지지된 수거통(20)을 하향 지지하여 상향 고정시키며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거통(20)의 상향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고, 슬라이딩구동부(150)는 지지바(14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거치대(121)에 거치된 수거통(20)을 하향 지지함으로써 상하레일(110)의 절곡부(111)에서 140도 이상으로 회전하더라도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만 투하될 뿐 수거통(20)은 거치대(121)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함께 투입구(11)로 투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50)는, 상기 상하레일(110)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며 상하레일(110)과 나란하도록 상기 컨테이너(10)의 측면에 직립되게 고정장착되고 상단 배면에는 상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52)이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바(151)와, 상기 캐리어(120)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길이를 따라 레일홈(154)이 형성되어 지지바(140)의 전후방 슬라이딩이동을 지지하는 전후레일(153)과, 상기 가이드바(151)의 배면과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지지바(140)의 후방측에 수평축 결합되는 가이드롤러(155) 및, 상기 전후레일(153)의 전방측과 가이드바(151)의 후방측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력으로 가이드바(151)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부재(156)를 포함함으로써, 실린더나 구동모터 등의 동력형 구동수단없이 승강에 따라 전후 슬라이딩하는 지지바(140)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전후레일(153)의 전방측에는 상향 연장된 전방측연장바(157)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151) 후방측에서 전방측연장바(157)와 전후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향 연장된 후방측연장바(158)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156)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측연장바(157)와 후방측연장바(158) 사이에 수평되게 연결됨으로써, 가이드바(151)와 전후레일(153) 간의 배치된 높이차가 있는 상태에서 탄성부재(156)의 탄성력이 전후방으로 수평되게 작용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수거통(20)의 상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의 저면에는 상향 오목하게 함몰된 걸림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의 상단 둘레에는 상향 연장된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121)의 전단에는 상향 절곡되어 상기 수거통(20)이 걸림지지되도록 걸림홈(22)에 삽입되는 걸림편(2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140)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부(21)의 상부를 하향 지지함으로써, 수거통(20)의 돌출부(21)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지지하면서 거치대(1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컨테이너(10)의 투입구(11) 측에 고정장착되는 이탈방지편(160)은 상기 캐리어(120)를 따라 상하레일(110)의 상향 단부 위치까지 상승한 지지바(140)가 수거통(20)의 걸림턱(23)에 가압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수거통(20)의 회전각이 180도를 초과하여 회전하면서 수거통(20)의 걸림턱(23)이 지지바(140)를 가압하더라도 지지바(140)가 밀리지 않게 됨으로써 거치대(121)로부터 수거통(20)이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쓰레기 자동투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쓰레기 자동투입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투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레일의 절곡부를 나타낸 사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구동부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0 및 도 11은 거치대에 거치된 수거통이 180도 이상 회전하면서 수거통의 걸림턱이 지지바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편에 의해 걸림턱에 가압된 지지바가 이동하지 않고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컨테이너(10)에 설치되어 거치된 수거통(20)의 음식물쓰레기를 컨테이너(10)의 투입구(11)에 자동으로 투입하는 장치로서,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하레일(110), 캐리어(120), 승강구동부(130), 지지바(140) 및 슬라이딩구동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복수 개의 상하레일(110)은 캐리어(120)가 승강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프레임구조물로서,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도록 컨테이너(10)의 측면에 직립되게 고정장착되고 상부에는 투입구(11)를 향해 라운드지게 절곡된 절곡부(111)가 형성되며 연장된 길이를 따라 레일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120)는 레일홈(112)에 지지되어 상하레일(110)을 따라 승강이동하며 전방측에는 수거통(20)의 상부가 걸림지지되는 거치대(121)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하레일(110) 상에서 절곡부(111)가 형성된 위치까지 캐리어(120)가 상승하게 되면 캐리어(120)에 거치된 수거통(20)은 절곡부(111)의 회전반경을 따라 회전하면서 개구된 상부가 하부를 지향하게 되어 내부의 음식물쓰레기가 자중에 의해 투입구(11)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130)는 캐리어(120)가 승강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31)과 실린더(132)의 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유체압력이 가해지면서 실린더(132)의 로드(133)가 상승하면 체인(131)이 회전하면서 단부에 연결된 캐리어(120)를 상향으로 잡아 당길수 있으며, 유체압력이 감소되면 캐리어(120)의 자중에 의해 로드(133)가 하강하면서 캐리어(120)가 함께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40)는 거치대(121)에 거치된 수거통(2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캐리어(120) 상에서 거치대(121)의 상부 위치에 수평배치되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거치대(121)에 걸림지지된 수거통(20)을 하향 지지하여 상향 고정시키며,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거통(20)의 상향 고정된 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50)는 지지바(14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50)는, 상기 상하레일(110)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며 상하레일(110)과 나란하도록 상기 컨테이너(10)의 측면에 직립되게 고정장착되고 상단 배면에는 상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52)이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바(151)와, 상기 캐리어(120)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길이를 따라 레일홈(154)이 형성되어 지지바(140)의 전후방 슬라이딩이동을 지지하는 전후레일(153)과, 상기 가이드바(151)의 배면과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지지바(140)의 후방측에 수평축 결합되는 가이드롤러(155) 및, 상기 전후레일(153)의 전방측과 가이드바(151)의 후방측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력으로 가이드바(151)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부재(156)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바(151), 전후레일(153), 가이드롤러(155) 및 탄성부재(156)의 조합된 구성으로 실린더나 구동모터 등의 동력형 구동수단없이 승강에 따라 전후 슬라이딩하는 지지바(140)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레일(153)의 전방측에는 상향 연장된 전방측연장바(157)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151) 후방측에서 전방측연장바(157)와 전후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향 연장된 후방측연장바(158)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156)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측연장바(157)와 후방측연장바(158) 사이에 수평되게 연결됨으로써, 가이드바(151)와 전후레일(153) 간의 배치된 높이차가 있는 상태에서 탄성부재(156)의 탄성력이 전후방으로 수평되게 작용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121)에 수거통(20)을 거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승강구동부(130)의 실린더(132)를 구동시키면 로드(133)가 상승하면서 캐리어(120)를 상승시키게 되고, 가이드롤러(155)는 가이드바(151)의 배면과 접촉하며 회전하면서 경사면(152)에 이르게 되면 탄성부재(156)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바(14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수거통(20)의 돌출부(21)를 하향 지지하게 되는것이다.
따라서, 캐리어(120)가 상하레일(110)의 절곡부(111)까지 상승하여 거치된 수거통(20)이 기울어지더라도 수거통(20)의 상단 둘레가 걸림편(24)과 지지바(140) 사이에서 양측방으로 지지되므로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된다.
더불어, 상기 수거통(20)의 상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의 저면에는 상향 오목하게 함몰된 걸림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의 상단 둘레에는 상향 연장된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121)의 전단에는 상향 절곡되어 상기 수거통(20)이 걸림지지되도록 걸림홈(22)에 삽입되는 걸림편(2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140)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부(21)의 상부를 하향 지지함으로써, 수거통(20)의 돌출부(21)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지지하면서 거치대(1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레일(110)의 절곡부(111)의 형상에 따라 캐리어(120)의 회전각도가 180도를 넘어서게 되면 수거통(20)의 걸림턱(23)이 지지바(140)를 전방측으로 가압하여 지지바(140)가 돌출부(21)를 지지하는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의 투입구(11) 측에 고정장착되는 이탈방지편(160)은 상기 캐리어(120)를 따라 상하레일(110)의 상향 단부 위치까지 상승한 지지바(140)가 수거통(20)의 걸림턱(23)에 가압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수거통(20)의 회전각이 180도를 초과하여 회전하면서 수거통(20)의 걸림턱(23)이 지지바(140)를 가압하더라도 지지바(140)가 밀리지 않게 됨으로써 거치대(121)로부터 수거통(20)이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투입장치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상하레일(110)의 절곡부(111)에서 140도 이상으로 회전하더라도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만 투하될 뿐 수거통(20)은 거치대(121)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함께 투입구(11)로 투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쓰레기 자동투입장치
110...상하레일 120...캐리어
130...승강구동부 140...지지바
150....슬라이딩구동부 160...이탈방지편

Claims (5)

  1.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컨테이너(10)에 설치되어 거치된 수거통(20)의 음식물쓰레기를 컨테이너(10)의 투입구(11)에 자동으로 투입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에 있어서,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컨테이너(10)의 측면에 직립되게 고정장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11)를 향해 라운드지게 절곡된 절곡부(111)가 형성되며 연장된 길이를 따라 레일홈(112)이 형성된 복수 개의 상하레일(110);
    상기 레일홈(112)에 지지되어 상하레일(110)을 따라 승강이동하며 전방측에는 수거통(20)의 상부가 걸림지지되는 거치대(121)가 마련된 캐리어(120);
    상기 캐리어(120)가 승강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130);
    상기 캐리어(120) 상에서 거치대(121)의 상부 위치에 수평배치되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거치대(121)에 걸림지지된 수거통(20)을 하향 지지하여 상향 고정시키며,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거통(20)의 상향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지지바(140); 및
    상기 지지바(14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구동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50)는 상기 상하레일(110)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며 상하레일(110)과 나란하도록 상기 컨테이너(10)의 측면에 직립되게 고정장착되고 상단 배면에는 상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52)이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바(151)와,
    상기 캐리어(120)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길이를 따라 레일홈(154)이 형성되어 지지바(140)의 전후방 슬라이딩이동을 지지하는 전후레일(153)과,
    상기 가이드바(151)의 배면과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지지바(140)의 후방측에 수평축 결합되는 가이드롤러(155) 및,
    상기 전후레일(153)의 전방측과 가이드바(151)의 후방측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력으로 가이드바(151)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부재(156)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레일(153)의 전방측에는 상향 연장된 전방측연장바(157)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151) 후방측에서 전방측연장바(157)와 전후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향 연장된 후방측연장바(158)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156)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측연장바(157)와 후방측연장바(158) 사이에 수평되게 연결되고,
    상기 수거통(20)의 상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의 저면에는 상향 오목하게 함몰된 걸림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의 상단 둘레에는 상향 연장된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121)의 전단에는 상향 절곡되어 상기 수거통(20)이 걸림지지되도록 걸림홈(22)에 삽입되는 걸림편(2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140)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부(21)의 상부를 하향 지지하며,
    상기 컨테이너(10)의 투입구(11) 측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캐리어(120)를 따라 상하레일(110)의 상향 단부 위치까지 상승한 지지바(140)가 수거통(20)의 걸림턱(23)에 가압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방지편(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3758A 2019-10-07 2019-10-07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 KR102177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58A KR102177071B1 (ko) 2019-10-07 2019-10-07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58A KR102177071B1 (ko) 2019-10-07 2019-10-07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071B1 true KR102177071B1 (ko) 2020-11-10

Family

ID=7354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758A KR102177071B1 (ko) 2019-10-07 2019-10-07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0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919Y1 (ko) * 2003-08-14 2003-11-01 대양중공업 주식회사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KR100426002B1 (ko) 2002-02-25 2004-04-13 오세진 청소차의 음식물 쓰레기 자동 투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002B1 (ko) 2002-02-25 2004-04-13 오세진 청소차의 음식물 쓰레기 자동 투하 장치
KR200331919Y1 (ko) * 2003-08-14 2003-11-01 대양중공업 주식회사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7895B2 (en) Pallet dispenser and method thereof
US20080253872A1 (en) Apparatus Supporting a Container on a Vehicle and Placing the Container Directly on a Ground Surface
CN209367366U (zh) 自动上料和收料设备
KR102177071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쓰레기 자동투입장치
KR100963567B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리프트 장치
JP2019087349A (ja) バッテリー取付構造およびバッテリー取付方法
KR200386912Y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리프트장치
KR100720606B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KR102243479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통 리프팅장치
KR101471375B1 (ko)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CN214987828U (zh) 一种翻转咬合机构及其垃圾车提升装置
CN114132253B (zh) 一体化智慧高效村镇污水综合处理的输送装置
CN114044373A (zh) 投料设备及垃圾处理站
KR102276383B1 (ko)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CN214175197U (zh) 一种收料柜
CN114803347A (zh) 一种有色金属压延加工用原料自动提升机
JP2008254605A (ja) 駐輪装置
KR20120119483A (ko)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GB2469136A (en) Tipping skip release mechanism
CN112849853B (zh) 一种翻转咬合机构及其垃圾车提升装置及其使用方法
CN212863058U (zh) 一种垃圾处理设备用上料装置
CN215287510U (zh) 一种络筒机用管纱移动上料装置
CN218453653U (zh) 一种垃圾转运箱用上料机构及垃圾压缩装置
CN214140285U (zh) 一种双层往复式自动输砂及托盘回收系统
KR200460491Y1 (ko)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