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483A -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 Google Patents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483A
KR20120119483A KR1020110037434A KR20110037434A KR20120119483A KR 20120119483 A KR20120119483 A KR 20120119483A KR 1020110037434 A KR1020110037434 A KR 1020110037434A KR 20110037434 A KR20110037434 A KR 20110037434A KR 20120119483 A KR20120119483 A KR 20120119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main body
sludge
sedimentation basin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향
Original Assignee
이광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향 filed Critical 이광향
Priority to KR102011003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9483A/ko
Publication of KR20120119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지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침전지에 형성된 호퍼로 이송 배출되게 하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에 있어서, 침전지의 바닥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본체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대가 마련된 스크레이퍼,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본체가 호퍼에 인접하도록 이동하면서 스크레이퍼가 수직 배치된 상태에서 기울어질 경우, 걸림대의 걸림홈에 걸림 체결되며 스크레이퍼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 유지시키는 걸림고리가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는, 본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침전지 내 호퍼에 인접 배치될 경우, 스크레이퍼는 침전지 내 경사블럭에 접촉되며 기울어지면서 젖혀지게 된다. 이때, 젖혀진 스크레이퍼의 걸림대에 형성된 걸림홈과 고정부의 고정대에 형성된 걸림고리가 상호 걸림체결되면서, 스크레이퍼는 젖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본체의 후방 이동시, 스크레이퍼에 의한 슬러지의 후방 이송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Underwater cart for sludge collecting}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지 내 바닥에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면서 침전지 내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 배출시키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 취수장 및 하수처리장 등의 침전지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슬러지를 긁어서 일측에 마련된 호퍼로 수집 이송시키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중대차(10)의 단부에는 스크레이퍼(20)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스크레이퍼(20)는 침전지(1)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된 올림대(3) 및 내림대(4)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중대차(10)의 전방 이동시 수직상태로 직립하여 상기 침전지(1) 내 슬러지를 상기 호퍼(2)로 밀어내거나, 상기 수중대차(10)의 후방 이동시 눕혀진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전진 시에는 내림대(4)에 상기 스크레이퍼(20)가 접촉되면서‘B’와 같이 바닥면에 수직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긁어 상기 침전지(1) 전단에 형성되어 있는 호퍼(2)로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며, 후진 시에는 올림대(3)에 상기 스크레이퍼(20)가 접촉되면서 'A'와 같이 전도되어 눕혀진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침전지(1)의 호퍼(2)에 슬러지를 밀어 배출시킨 후, 상기 수중대차(10)가 후진 이동시, 상기 스크레이퍼(20)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상기 스크레이퍼(20)가 다시 직립되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상기 침전지(1) 바닥의 슬러지가 상기 침전지(1) 후방으로 밀림 이송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슬러지를 침전지의 호퍼로 밀어 배출시킨 후, 후진시 스크레이퍼가 수직상태로 직립되지 않게 하여 침전지 후방으로 슬러지가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침전지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침전지에 형성된 호퍼로 이송 배출되게 하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바닥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대가 마련된 스크레이퍼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가 상기 호퍼에 인접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가 수직 배치된 상태에서 기울어질 경우, 상기 걸림대의 걸림홈에 걸림 체결되며 상기 스크레이퍼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 유지시키는 걸림고리가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후단에는 지지대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지지대 상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걸림고리가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수직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본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단은 상기 고정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하단에는 승강가이드바퀴가 장착된 제어회동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지의 바닥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침전지의 후방 단부에 인접 이동시, 상기 제어회동대의 승강가이드바퀴가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제어회동대가 대응되게 상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고정대의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대의 걸림홈을 상호 체결상태에서 해제되게 하는 상승가이드블럭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어회동대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돌기에 걸림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어회동대가 상기 지지돌기에 걸림된 상태로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에 인접한 상기 침전지 내부에는 위치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레이퍼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호퍼에 인접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스크레이퍼가 수직 배치된 상태에서 기울어지도록 젖혀진 경우, 상기 위치센서에서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인식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는, 본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침전지 내 호퍼에 인접 배치될 경우, 스크레이퍼는 침전지 내 경사블럭에 접촉되며 기울어지면서 젖혀지게 된다. 이때, 젖혀진 스크레이퍼의 걸림대에 형성된 걸림홈과 고정부의 고정대에 형성된 걸림고리가 상호 걸림체결되면서, 스크레이퍼는 젖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본체의 후방 이동시, 스크레이퍼에 의한 슬러지의 후방 이송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의 개략 상태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의 개략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크레이퍼와 고정부의 체결해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의 개략 구성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는, 본체(100), 스크레이퍼(200), 고정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침전지(10)의 바닥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본체(100)는 상기 침전지(10)의 바닥에 바로 안착 배치되거나 상기 침전지(10)의 바닥에 형성된 레일(도면미도시) 상에 안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100)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틀 또는 삼각틀, 그리고, 이외의 다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침전지(10)의 바닥이나 레일 상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 쌍의 이동바퀴(110)를 장착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자체적으로 상기 이동바퀴(11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도면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침전지(10)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거나, 외부의 와이어(도면미도시)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당김여부에 의해 상기 침전지(10)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의 전단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스크레이퍼(20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후단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부(300)를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대(120)를 연결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120)는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부(300)의 고정대(310) 단부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스크레이퍼(200)는 상기 침전지(10)에서 상기 본체(100)가 전방 이동시, 상기 침전지(10)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침전지(10)에 형성된 호퍼(20)로 수집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를 밀어붙이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스크레이퍼(200)는 상기 본체(100)의 이동방향에 대한 전면부, 즉, 상기 본체(100)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같은,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일측에는 접촉바(도면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크레이퍼(200)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 이동시에는 수직하도록 직립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기울어지도록 젖혀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스크레이퍼(200)에 외력을 가해주는 것은 상기 침전지(10)의 호퍼(20)에 인접 설치되는 경사블럭(도면미도시)이며, 상기 접촉바가 상기 경사블럭에 접촉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200)를 기울어지게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상단 일측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부(30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대(2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대(210)의 단부 일측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부(300)에 안정적인 걸림 고정이 되도록 걸림홈(211)이 요입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침전지(10) 내부에 설치된 위치센서(400)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인식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400)는 상기 침전지(10) 내 호퍼(20)에 인접한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레이퍼(200)가 수직하게 직립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바에 접촉되며 기울어지도록 젖혀진 상태로 상기 고정부(300)에 걸림될 경우, 상기 센서인식대(220)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1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같이, 상기 위치센서(400)가 상기 센서인식대(220)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걸림대(210)가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부(300)에 정확하게 걸림 고정되지 않았음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호퍼(20)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접촉바에 의해 상기 스크레이퍼(200)가 수직 배치된 상태에서 기울어지도록 젖혀질 경우, 상기 걸림대(210)를 걸림시켜 상기 스크레이퍼(200)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 유지되게 한다. 즉,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회전에 의한 기울어진 상태가 될 경우,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걸림대(210)에 형성된 걸림홈(211)에 걸림 체결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200)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본체(100) 및 상기 지지대(12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300)는 고정대(310), 제어회동대(3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310)는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걸림대(210)와 걸림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대(310)는 상기 본체(100)의 지지대(120) 상단 일측에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31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기울어짐 상태에서 상기 걸림대(210)의 걸림홈(211)과 걸림 체결되도록 걸림고리(3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31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회동대(320)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고정대(310)는 상기 지지대(120)를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회동대(320)의 승강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상기 제어회동대(320)는 상기 고정대(31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100)의 지지대(12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회동대(320)는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하단 일측이 상기 지지대(120) 또는 상기 본체(10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대(31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동대(320)의 상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311)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상기 고정대(310)의 걸림고리(311)에 의한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걸림대(210)에 형성된 걸림홈(211)과의 체결여부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어회동대(320)가 상승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대(310)의 걸림고리(311)는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대(210)의 걸림홈(211)에 걸림 체결되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침전지(10)의 호퍼(20)로 슬러지를 밀어낸 후, 상기 본체(100)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침전지(10)의 후방 단부에 인접 이동시, 상기 제어회동대(32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대(310)의 걸림고리(311)와 상기 걸림대(210)의 걸림홈(211)을 상호 체결상태에서 해제되게 하는 상승가이드블럭(30)을 상기 침전지(10) 후방 단부 바닥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승가이드블럭(30)의 전면은 상기 제어회동대(320)를 상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회동대(320)의 하단에는 상기 침전지(10)에 구비된 상기 상승가이드블럭(30)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가이드바퀴(321)를 장착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회동대(32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대(120)의 지지돌기(130)에 안착 걸림되도록 스토퍼(322)가 돌출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스토퍼(322)는 상기 지지돌기(13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지지돌기(130)에 안착 걸림되면서, 상기 제어회동대(320)가 일정한 위치에서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되게 한다. 즉, 상기 스토퍼(322)는 상기 고정대(310)의 걸림고리(311)가 상기 걸림대(310)의 걸림고리(311)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회동대(320)의 상방 이동에 의해서만 상기 고정대(310)의 걸림고리(311)와 상기 걸림대(310)의 걸림고리(311)가 상호 걸림 체결된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본체(100)를 상기 침전지(10) 내 바닥의 상기 호퍼(20) 방향, 즉 전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그러면, 수직상태로 직립된 상기 스크레이퍼(200)에 의해 상기 침전지(10) 내 슬러지는 밀림되면서 상기 호퍼(20)로 이송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가 상기 호퍼(20)에 인접하게 이동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접촉바가 상기 침전지(10) 내 경사블럭에 접촉되면 상기 스크레이퍼(200)는 기울어지면서 젖혀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걸림대(210)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211)이 상기 본체(100)에 장착된 상기 고정부(300)의 고정대(310)에 형성된 상기 걸림고리(311)와 걸림 체결된다. 이렇게,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걸림홈(211)과 상기 고정부(300)의 걸림고리(311)가 상호 체결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200)는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스크레이퍼(200)가 상기 고정부(300)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본체(100)는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같이, 상기 본체(100)의 후방 이동시, 상기 고정부(300)에 의해 상기 스크레이퍼(200)가 기울어진 상태로 걸림 유지되는 바, 상기 스크레이퍼(200)에 의한 상기 침전지(10) 내 슬러지가 후방으로 밀림 재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가 상기 침전지(10)의 후단 테두리부에 인접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걸림홈(211)과 상기 고정부(300)의 걸림고리(311)를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해제되게 한다. 즉, 상기 고정부(300)의 고정대(310)가 상기 본체(100)의 지지대(120)를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걸림홈(211)에서 걸림고리(311)가 이탈되게 한다. 이때, 상기 침전지(10)에 상승가이드블럭(30)이 마련된 경우에는, 상기 본체(1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300)의 승강가이드바퀴(321)가 상기 상승가이드블럭(30)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회동대(320)도 이에 대응되게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대(310)를 상방으로 밀면서 상기 본체(100)의 지지대(120)를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걸림홈(211)에서 걸림고리(311)가 이탈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걸림홈(211)에서 걸림고리(311)가 이탈되면서, 다시, 상기 스크레이퍼(200)는 수직상태로 직립되면서 이후 상기 본체(100)가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침전지(10) 내 슬러지를 다시 상기 호퍼(20)로 밀림 이송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는, 상기 본체(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침전지(10) 내 상기 호퍼(20)에 인접 배치될 경우, 상기 스크레이퍼(200)는 상기 침전지(10) 내 경사블럭에 접촉되며 기울어지면서 젖혀지게 된다. 이때, 젖혀진 상기 스크레이퍼(200)의 걸림대(210)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211)과 상기 고정부(300)의 고정대(310)에 형성된 걸림고리(311)가 상호 걸림체결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200)는 젖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본체(100)의 후방 이동시, 상기 스크레이퍼(200)에 의한 슬러지의 후방 이송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침전지 20: 호퍼
30: 상승가이드블럭 100: 본체
110: 이동바퀴 120: 지지대
130: 지지돌기 200: 스크레이퍼
210: 걸림대 211: 걸림홈
220: 센서인식대 300: 고정부
310: 고정대 311: 걸림고리
320: 제어회동대 321: 승강가이드바퀴
322: 스토퍼 400: 위치센서

Claims (5)

  1. 침전지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침전지에 형성된 호퍼로 이송 배출되게 하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바닥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대가 마련된 스크레이퍼;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가 상기 호퍼에 인접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가 수직 배치된 상태에서 기울어질 경우, 상기 걸림대의 걸림홈에 걸림 체결되며 상기 스크레이퍼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 유지시키는 걸림고리가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단에는 지지대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지지대 상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걸림고리가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수직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본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단은 상기 고정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하단에는 승강가이드바퀴가 장착된 제어회동대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바닥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침전지의 후방 단부에 인접 이동시, 상기 제어회동대의 승강가이드바퀴가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제어회동대가 대응되게 상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고정대의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대의 걸림홈을 상호 체결상태에서 해제되게 하는 상승가이드블럭을 더 구비하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어회동대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돌기에 걸림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어회동대가 상기 지지돌기에 걸림된 상태로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하는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 인접한 상기 침전지 내부에는 위치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레이퍼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호퍼에 인접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스크레이퍼가 수직 배치된 상태에서 기울어지도록 젖혀진 경우, 상기 위치센서에서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인식대가 더 구비된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KR1020110037434A 2011-04-21 2011-04-21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KR20120119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434A KR20120119483A (ko) 2011-04-21 2011-04-21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434A KR20120119483A (ko) 2011-04-21 2011-04-21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483A true KR20120119483A (ko) 2012-10-31

Family

ID=4728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434A KR20120119483A (ko) 2011-04-21 2011-04-21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94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395B1 (ko) * 2013-01-30 2013-10-04 주식회사 에버텍 슬러지/스컴 수집장치
CN114748897A (zh) * 2022-04-26 2022-07-15 芜湖华衍水务有限公司 一种沉淀池底部刮泥设备
CN117225022A (zh) * 2023-11-15 2023-12-15 山东特保罗环保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结垢盐浆增稠用沉降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395B1 (ko) * 2013-01-30 2013-10-04 주식회사 에버텍 슬러지/스컴 수집장치
CN114748897A (zh) * 2022-04-26 2022-07-15 芜湖华衍水务有限公司 一种沉淀池底部刮泥设备
CN117225022A (zh) * 2023-11-15 2023-12-15 山东特保罗环保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结垢盐浆增稠用沉降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0988B2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vehicles onto conveyor
AU2011232908B2 (en) Latching mechanisms for removable chocks
CN102019910A (zh) 用于车辆、尤其是电瓶车的电池取出设备和用于该电池取出设备的锁定装置
RU2009141587A (ru)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ележки
JP2012513926A (ja) 垂直運動によって脱着可能な給電バッテリを装備した自動車両、ならびにこのようなバッテリの設置・取外し装置
CN1576193A (zh) 搬运装置
KR20120119483A (ko)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CN104889961B (zh) 一种便捷式铝板存放箱
WO2016115600A1 (en) An assembly for storing bicycles
JP2019087349A (ja) バッテリー取付構造およびバッテリー取付方法
KR200460491Y1 (ko)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CN105692507A (zh) 一种基于叉车运输的物料周转箱自动翻转装置
KR101975900B1 (ko) 중력을 이용한 자재 적재 기구
JP5272976B2 (ja) 車両のバッテリ交換装置
KR20080102428A (ko)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KR101471375B1 (ko)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JP2015074303A (ja) トラック荷台昇降用ステップ及びステップを装着したトラック荷台
JP2014080805A (ja) 駐車装置用リフト装置
EP1647653A2 (en) Bicycle storage device
CN210976764U (zh) 一种自行车载车板及自行车立体车库
CN209621326U (zh) 一种地铁盾构渣土运输装置
KR101725925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KR20090018284A (ko) 팰릿이송장치
JP5123653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パレットロック装置
KR20110019005A (ko) 자전거 보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