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428A -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 Google Patents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428A
KR20080102428A KR1020087024816A KR20087024816A KR20080102428A KR 20080102428 A KR20080102428 A KR 20080102428A KR 1020087024816 A KR1020087024816 A KR 1020087024816A KR 20087024816 A KR20087024816 A KR 20087024816A KR 20080102428 A KR20080102428 A KR 20080102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oke
hoist
discharge gate
fram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후쿠오카
아키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신닛떼쯔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닛테츠 플랜트 디자이닝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떼쯔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닛테츠 플랜트 디자이닝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신닛떼쯔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14Ca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반송버킷을 버킷트럭에 실어서 반송버킷만을 선회시키면서 적열 코크스를 받을 수 있고, 소형 코크스로에도 적용 가능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닥부에 배출 게이트(11)를 포함하고 하측에 코니컬부(12)를 갖는 코크스의 반송버킷(13)과, 상기 반송버킷(13)의 코니컬부(12)를 둘러싸는 외곽부(14)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버킷(13)의 호이스팅 기능 및 상기 반송버킷(13)의 상기 배출 게이트(11)의 개폐 기능을 갖춘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를 가지며, 버킷 호이스팅 시에 상기 배출 게이트(11)가 코니컬부(12)의 하면에 접촉해서 반송버킷(13)을 들어올리고, 또한 버킷트럭(44)에 탑재 시에 상기 외곽부(14)가 하강하여 외곽부(14)에 고정된 호이스트 롤러(40)가 문 걸림부재(38)의 오목부(39)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반송버킷(13)이 상기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로서, 반송버킷(13)의 양측에 위치하는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의 외곽부(14)를 코니컬부(12)에 수납하여 이루어진다.
반송버킷, 버킷트럭, 적열 코크스, 배출 게이트, 코니컬부,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 외곽부

Description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RED-HOT COKE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은 코크스로(coke oven)로부터 적열(赤熱) 코크스를 받아서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에 반송(搬送)하는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코크스로로부터 배출되는 적열 코크스를 받아서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에 반송·삽입하기 위해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hoisting frame mechanism)를 통해서 들어올릴 수 있는 원통형의 반송버킷(conveying bucket)을 구비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가 사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적열 코크스의 수용장치에서는 반송버킷을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와 함께 버킷트럭의 회전테이블 위에 배치하여 회전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반송버킷을 선회시키면서 코크스로로부터 배출되는 적열 코크스를 받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송버킷 내에 적열 코크스를 균일하게 받을 수 있으며, 선회하지 않는 직사각형 형상의 반송버킷에 비해 코크스 용적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경량화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를 버킷트럭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9)는 바닥부에 배출 게이트를 갖는 반송버킷(91)과, 코크스를 받은 반송버킷(91)을 들어올리는 동시에 배출 게이트를 개폐하 는 기능을 갖는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92)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92)는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도시하지 않음)가 걸리는 걸림핀(93)을 갖는 호이스트 로드(94) 및 후크(95)와, 반송버킷(91)의 몸통부 측면에 마련된 배출 게이트 개폐기구(96) 및 캐칭블록(97)으로 2분할되어 있으며, 들어올릴 때에 후크(95)가 캐칭블록(97)과 걸어맞춰져 하나의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를 형성한다. 한편 버킷트럭에 배치했을 때에는 후크(95)가 캐칭블록(97)으로부터 떨어져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가 2분할된다.
특허문헌 1:일본국 공고특허공보 소63-14032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열 코크스의 수용장치에서는, 반송버킷을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와 함께 선회시키면 반송버킷을 단독으로 선회시키는 경우에 비해 필요한 선회 반경이 커지게 되어, 코크스로 앞의 버킷을 받는 공간을 넓게 확보해야할 뿐만 아니라 선회에 필요한 구동용 동력도 크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적열 코크스를 받을 때에 반송버킷만의 선회가 가능하도록 반송버킷과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를 분리하고, 또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를 2분할해서 양측에서 반송버킷을 끼워서 들어올리는 구조로 하고 있으나,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를 2분할함으로써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로서의 강도가 저하하고, 나아가 반송버킷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에 반송버킷을 호이스트 롤러 4군데로 지지하는 외곽부를 마련하여, 선회시에 반송버킷과 외곽부를 분리 가능하게 한 것도 사용되고 있으나, 반송버킷의 바깥둘레측에 외곽부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소형 코크스로와 같이 코크스로 앞의 버킷 수용 공간의 폭이 좁고 높이도 낮을 경우에는 외곽부와 코크스로의 외벽이 간섭하여 외곽부를 구비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를 바깥둘레측에 배치한 반송버킷을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반송버킷을 버킷트럭에 실어서 반송버킷만을 선회시키면서 코크스로로부터 적열 코크스를 받을 수 있는 동시에 소형 코크스로에도 적용가능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에 따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는, 바닥부에 배출 게이트를 포함하고 하측에 코니컬부(conical portion)를 갖는 코크스의 반송버킷과, 상기 반송버킷의 코니컬부를 둘러싸는 외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버킷의 호이스팅 기능 및 상기 반송버킷의 상기 배출 게이트의 개폐 기능을 갖춘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를 가지며, 버킷 호이스팅 시에 상기 배출 게이트가 코니컬부 하면에 접촉해서 반송버킷을 들어올리고, 또한 버킷트럭에 탑재 시에 상기 외곽부가 코니컬부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반송버킷이 상기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로서, 상기 반송버킷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의 외곽부를 상기 코니컬부에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니컬부에 수납되는 상기 좌우 외곽부의 바깥치수를 상기 반송버킷의 최대지름과 동일 또는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에, 상기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를 들어올린 경우에 상기 배출 게이트를 위쪽으로 밀어올려서 폐지(閉止)하고, 상기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를 코크스 삽입호퍼 위에 배치한 경우에는 상기 배출 게이트를 아래쪽으로 여는 상기 배출 게이트 개폐용의 호이스트 롤러를 직접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는 코니컬부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며, 배출 게이트를 밀어올려서 코니컬부 하면에 접촉해 개구부를 폐지시키는 상승 위치, 상기 반송버킷을 코크스 삽입호퍼 위에 배치했을 때에 소정의 개방 각도로 배출 게이트가 열리도록 지지하는 제1의 하강 위치, 및 버킷트럭에 탑재했을 때에 배출 게이트로부터 떨어지는 제2의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4에 기재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에 있어서는,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의 외곽부를 반송버킷의 코니컬부에 수납했기 때문에, 반송버킷의 바깥둘레측에 외곽부를 배치해도 좌우 외곽부의 바깥치수를 반송버킷의 바깥치수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소형 코크스로에 있어서도 반송버킷을 버킷트럭에 실어서 선회시키면서 코크스로로부터 적열 코크스를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청구항 2에 기재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에 있어서는, 좌우 외곽부의 바깥치수를 반송버킷의 최대지름과 동일 또는 작게 했기 때문에, 코크스로 앞의 버킷 수용 공간의 폭이 좁고 높이도 낮은 소형 코크스로여도 반송버킷 단체(單體)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에 있어서는, 외곽부에 배출 게이트 개폐용의 호이스트 롤러를 직접 부착했기 때문에, 반송버킷에 대하여 외곽부를 상대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시킴으로써 호이스트 롤러를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어 배출 게이트의 개폐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배출 게이트의 개폐 기능을 간단히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제작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에 있어서는, 코니컬부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외곽부를 마련하여, 배출 게이트를 밀어올려서 코니컬부 하면에 접촉해 개구부를 폐지시키는 상승 위치, 상기 반송버킷을 코크스 삽입호퍼 위에 배치했을 때에 소정의 개방 각도로 배출 게이트가 열리도록 지지하는 제1의 하강 위치, 및 버킷트럭에 탑재했을 때에 배출 게이트로부터 떨어지는 제2의 하강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프레임에 의한 외곽부의 높이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만으로 배출 게이트의 개폐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반송버킷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일부 절단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일부 절단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버킷트럭으로부터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를 들어올리기 시작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로부터 적열 코크스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코크스 삽입호퍼에 배출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로부터 적열 코크스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코크스 삽입호퍼에 배출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10: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11:배출 게이트
12:코니컬부 13:반송버킷
14:외곽부 15:호이스트 프레임 기구
16:플랜지부 17:몸통부
18, 19:문 20:회동용 팔부
21:부착부재 22:핀
23, 24:제1의 파지부재(把持部材;grasping member)
25, 26:제2의 파지부재
27:연결부재 28, 29:기둥부재
30, 31:빔(beam)부재 32:테두리체
33:크레인 호이스트 후크 34:걸림핀
35:호이스트 이음쇠 36:승강 가이드 롤러
37:보강부재 38:문 걸림부재
39:오목부 40:호이스트 롤러
41:코크스 삽입호퍼 42:삽입호퍼 받침대
43:버킷 받침자리 44:버킷트럭
45:회전테이블 46:주행로
47:레일 48:탄화실
이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일부 절단 정면도, 도 2는 상기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일부 절단 측면도, 도 3은 상기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저면도, 도 4는 버킷트럭으로부터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를 들어올리기 시작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상기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로부터 적열 코크스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코크스 삽입호퍼에 배출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정면도, 도 6은 상기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로부터 적열 코크스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코크스 삽입호퍼에 배출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측면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는 바닥부에 배출 게이트(11)를 포함하고 하측에 코니컬부(12)를 갖는 코크스의 반송버킷(13)과, 반송버킷(13)을 둘러싸는 외곽부(14)를 가지며, 반송버킷(13)의 호이스팅 기능 및 반송버킷(13)의 배출 게이트(11)의 개폐 기능을 갖춘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를 갖고 있다. 이하, 이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송버킷(13)은 상부에 지름을 확장한 코크스 수용용 개구가 형성된 환형상의 플랜지부(16)와, 플랜지부(16)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통부(17)를 가지며, 몸통부(17)의 하단에 서서히 지름이 줄어드는 코니컬부(1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코니컬부(12)의 선단(先端)부에는 코크스 배출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게이트(11)는 닫칠 때에는 코크스 배출용 개구의 외측에서 덮어서 코크스 배출용 개구를 막고, 열릴 때(도 5 참조)에는 중앙부에서 분리되어 좌우 양쪽으로 열려서 코크스 배출용 개구를 노출시키는 쌍이 되는 평판형상의 문(18, 19)을 갖고 있다. 그리고 문(18, 19)의 기부에는, 그 전후 방향으로 회동용 팔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코니컬부(12)의 측면 좌우에 마련된 부착부재(21)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핀(22)으로 고정되어 있다.
외곽부(1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니컬부(12)를 좌우에서 끼워서 배치하고, 그 외측 단면(端面) 사이의 거리가 반송버킷(13)의 플랜지부(16)의 바깥지름(즉 반송버킷(13)의 최대지름)보다 작아지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의 파지부재(23, 24)와, 코니컬부(12)를 전후에서 끼워서 그 외측 단면 사이의 거리가 반송버킷(13)의 플랜지부(16)의 바깥지름보다 커지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2의 파지부재(25, 26)와, 제1, 제2의 파지부재(23~26)의 근접하는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7)를 갖고 있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파지부재(23, 24)는 단면(斷面)에서 봤을 때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의 파지부재(23, 24)의 내측면을 코니컬부(12)의 좌우 측면에 수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파지부재(25, 26)의 상부에는 제2의 파지부재(25, 26)의 양측에 각각 세워진 기둥부재(28, 29)와, 각 기둥부재(28, 29)의 중간부 및 상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빔부재(30, 31)를 포함한 테두리체(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테두리체(32)의 상단에는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가 걸리는 걸림핀(34)을 구비한 호이스트 이음쇠(35)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 빔부재(30, 31)의 외측면의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호이스팅기(hoisting apparatus)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를 들어올릴 때의 가이드가 되는 승강 가이드 롤러(3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부호 37은 기둥부재(28, 29)를 제2의 파지부재(25, 26)의 양측에 각각 세울 때의 보강부재이다.
또한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파지부재(25, 26)의 내측면의 양단측에는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를 들어올렸을 경우에 배출 게이트(11)를 위쪽으로 밀어올려서 폐지하고,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를 코크스 삽입호퍼(41)(도 5 참조) 위에 배치했을 경우에는 배출 게이트(11)를 아래쪽으로 당겨 여는 배출 게이트(11) 개폐용의 호이스트 롤러(40)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문(18, 19)의 전후 양단부에는 각각 문 걸림부재(38)가 부착되고, 문 걸림부재(38)의 중앙부에는 외측 및 하측에 개구를 갖는 오목부(39)가 형성되며, 호이스트 롤러(40)의 끝쪽은 외곽 부(14)가 상승했을 때에 오목부(39)의 하측 개구로부터 그 내부에 진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9)의 상면을 바깥쪽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시키면, 롤러(40)의 승강 스트로크(stroke)를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니컬부(12)의 측면의 전후 중앙부에는 적열 코크스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코크스 삽입호퍼(41)에 배출할 때에 코크스 삽입호퍼(41)의 상단부에 마련된 삽입호퍼 받침대(42)(도 4, 도 5 참조)의 상면에 접촉해서 반송버킷(13)을 지지하는 버킷 받침자리(43)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테두리체(32)의 호이스트 이음쇠(35)의 걸림핀(34)에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를 걸어서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를 상승시키면, 반송버킷(13)의 코니컬부(12)를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는 외곽부(14)를 상승시킬 수 있고, 외곽부(14)에 고정된 호이스트 롤러(40)가 문 걸림부재(38)의 오목부(39)에 접촉함으로써 배출 게이트(18, 19)를 통해서 반송버킷(13)을 들어올릴 수 있어,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에 반송버킷(13)의 호이스팅 기능이 형성된다. 또한 제1의 파지부재(23, 24)의 외측 단면 사이의 거리가 반송버킷(13)의 플랜지부(16)의 바깥지름보다 작아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곽부(14)가 상승해도 외곽부(14)를 코니컬부(12)의 범위 내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외곽부(14)를 상승시키면 호이스트 롤러(40)가 상승하고, 호이스트 롤러(40)가 문 걸림부재(38)의 오목부(39)의 상면에 접촉해서 문 걸림부재(38)를 위쪽으로 밀어올림으로써 회동용 팔부(20)를 핀(22)의 주변에 회동시킬 수 있어, 문(18, 19)을 코니컬부(12)의 코크스 배출용 개구의 외측에서 덮어서 코크스 배출용 개구를 막을 수 있다. 한편 외곽부(14)를 하강시키면 호이스트 롤러(40)가 하강하고, 호이스트 롤러(40)의 하강에 수반하여 문(18, 19)이 중력의 작용으로 문 걸림부재(38)의 오목부(39)의 상면을 호이스트 롤러(40)에 접촉시키면서 회동용 팔부(20)를 통해서 핀(22)의 주변에 회동하여, 문(18, 19)이 좌우 양쪽으로 열리면서 코니컬부(12)의 코크스 배출용 개구가 노출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에 배출 게이트(11)의 개폐 기능이 형성된다.
또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의 전후에 마련된 호이스트 이음쇠(35)의 걸림핀(34)에 각각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를 걸어서 들어올린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를,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를 하강시켜서 버킷트럭(44)의 중앙부에 마련된 회전테이블(45) 위에 내리게 되면, 배출 게이트(11)의 하면이 회전테이블(45)에 접촉하여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가 회전테이블(45) 위에 배치된다. 또한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를 하강시키면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만이 하강하고, 외곽부(14)가 코니컬부(12)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호이스트 롤러(40)가 문 걸림부재(38)의 오목부 내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반송버킷(13)과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가 분리되고,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는 배출 게이트(11)의 하면이 회전테이블(45)에 접촉하고나서 소정 거리, 예컨대 Ll 하강한 시점에서 외곽부(14)의 하면이 버킷트럭(44)의 바깥둘레부에 접촉해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버킷트럭(44)에 반송버킷(13)과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를 분리해서 배치할 수 있고, 적열 코크스를 반송버킷(13)으로 받을 때에 회전테이블(45)을 회전시킴으로써 호이스트 프 레임 기구(15)와는 독립적으로 반송버킷(13)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가 마련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의 호이스트 롤러(40)를 문 걸림부재(38)의 오목부(39)에 접촉시켜서 반송버킷(13)을 들어올려 이동시킴으로써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를 버킷트럭(44)에 탑재한다. 그리고 버킷트럭(44)을 주행로(46) 내에 부설(敷設)된 레일(47) 위를 주행시켜 코크스를 배출하고자 하는 탄화실(48) 옆의 버킷 수용 공간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회전테이블(44)을 회전 구동시켜서 반송버킷(13)을 선회시키면서 탄화실(48)로부터 배출되는 적열 코크스를 받는다. 반송버킷(13)이 선회함으로써 반송버킷(13) 내에서의 적열 코크스의 받는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적열 코크스는 반송버킷(13) 내에서 균등한 높이 수준을 유지하면서 받아지게 된다. 적열 코크스를 받는 것이 완료되면 회전테이블(45)을 정지시켜 버킷트럭(44)을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수용입구까지 이동시켜 정지시킨다.
버킷트럭(44)이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수용입구에서 정지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의 전후에 마련된 호이스트 이음쇠(35)에 각각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를 걸어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를 들어올린다.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의 상승에 수반하여 외곽부(14)에 마련된 호이스트 롤러(40)는 문 걸림부재(38)의 오목부(39) 내에 진입하게 되고, 외곽부(14)가 버킷트럭(44) 위로부터 소정 거리(Ll) 상승한 시점에서 호 이스트 롤러(40)는 문 걸림부재(38)의 오목부(39)의 상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배출 게이트가 반송버킷(13)의 코니컬부(12)의 하면에 접촉한다.
또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를 들어올리면, 호이스트 롤러(40)가 문 걸림부재(38)를 위쪽으로 밀어올림으로써 문(18, 19)이 코니컬부(12)의 코크스 배출용 개구에 외측으로부터 누름 접촉하여 코크스 배출용 개구를 막으면서 외곽부(14)가 상승함으로써 반송버킷(13)이 들어올려지고, 반송버킷(13)과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는 일체가 되어 상승한다. 여기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의 테두리체(32)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승강 가이드 롤러(36)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도시하지 않는 호이스팅 경로 내에서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들어올려진다. 이때 코니컬부(12)를 둘러싸는 외곽부(14)에 고정된 4군데의 호이스트 롤러(40)에 의해 반송버킷을 들어올리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반송버킷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특허문헌 1과 같이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를 2분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로서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소정 높이 위치까지 들어올려진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는 옆으로 이동되어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코크스 삽입호퍼(41)의 위쪽으로 반송되고, 이어서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를 하강시켜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를 하강시킨다.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가 코크스 삽입호퍼(41)에 근접하면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반송버킷(13)의 전후에 마련된 버킷 받침자리(43)가 코크스 삽입호퍼(41)의 상단부에 마련된 삽입호퍼 받침대(42)의 상면에 접촉해서 착상한다. 이것 에 의해 반송버킷(13)이 코크스 삽입호퍼(41)의 상단부에서 지지되어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를 하강시키면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만이 하강하게 된다.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가 하강하면 외곽부(14)에 마련된 호이스트 롤러(40)도 하강하고, 호이스트 롤러(40)의 하강량에 따라 문(18, 19)이 중력의 작용으로 문 걸림부재(38)의 오목부(39)의 상면을 호이스트 롤러(40)에 접촉시키면서 회동용 팔부(20)를 통해서 핀(22)의 주변에 회동하여, 문(18, 19)이 좌우 양쪽으로 열리면서 코니컬부(12)의 코크스 배출용 개구가 서서히 노출된다. 이것에 의해 적열 코크스의 배출이 개시된다. 그리고 버킷 받침자리(43)가 삽입호퍼 받침대(42)에 착상하고나서 외곽부(14)가 소정 거리, 예컨대 L2 하강한 시점에서 외곽부(14)의 하면이 코크스 삽입호퍼(41)의 상단에 접촉해서 배치되며, 문(18, 19)의 이동이 정지하여 이 상태에서 적열 코크스가 코크스 삽입호퍼(41) 내에 전량 배출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18, 19)이 약 40도 이상의 경사각으로 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코크스를 순조롭게 낙하시킬 수 있다.
적열 코크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를 상승시켜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를 들어올린다.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의 상승에 수반하여 외곽부(14)에 마련된 호이스트 롤러(40)가 문 걸림부재(38)를 들어올려서 문(18, 19)이 서서히 닫히게 되고, 외곽부(14)가 코크스 삽입호퍼(4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L2) 상승한 시점에서 외곽부(14)에 고정된 4군데의 호이스트 롤러(40)가 문 걸림부재(38)를 위쪽으로 밀어올림으로써 문(18, 19)이 코니컬부(12)의 코크스 배출용 개구에 하면측으로부터 누름 접촉해서 코크스 배출용 개구가 막아진다. 또 한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가 상승하면 비게 된 반송버킷(13)이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15)와 함께 상승하여,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가 코크스 삽입호퍼(41)의 상단으로부터 이탈한다.
소정 높이 위치까지 들어올려진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는 옆으로 이동해서 호이스팅 경로 출구의 위쪽까지 반송되고, 이어서 크레인 호이스트 후크(33)를 하강시켜 호이스팅 경로 내에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10)를 하강시킴으로써,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수용입구에서 정지하고 있는 버킷트럭(44)에 탑재한다. 그리고 빈 반송버킷(13)이 탑재된 버킷트럭(44)을 다음에 적열 코크스가 배출될 탄화실을 향해서 이동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한 각각의 실시의 형태나 변형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시켜서 본 발명의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를 구성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예컨대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의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의 외곽부의 바깥치수를 반송버킷의 최대지름보다 작게 했으나, 반송버킷의 최대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해도 된다.

Claims (4)

  1. 바닥부에 배출 게이트를 포함하고 하측에 코니컬부를 갖는 코크스의 반송버킷;과,
    상기 반송버킷의 코니컬부를 둘러싸는 외곽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버킷의 호이스팅 기능 및 상기 반송버킷의 상기 배출 게이트의 개폐 기능을 갖춘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를 포함하며,
    버킷 호이스팅 시에 상기 호이스트 기구의 호이스트 롤러가 문 걸림부재의 오목부에 진입해서 반송버킷을 들어올리고, 또한 버킷트럭에 탑재 시에 상기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의 호이스트 롤러가 오목부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반송버킷이 상기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로서,
    상기 반송버킷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호이스트 프레임 기구의 외곽부를 상기 코니컬부에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니컬부에 수납되는 상기 좌우 외곽부의 바깥치수를 상기 반송버킷의 최대지름과 동일 또는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에, 상기 반송버킷을 코크스 삽입호퍼 위에 배치했을 경우에는 상기 배출 게이트를 아래쪽으로 열고, 또한 배출 게이트를 위쪽으로 밀어올려서 폐지(閉止)하기 위한 호이스트 롤러를 직접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는 코니컬부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여, 배출 게이트를 밀어올려서 코니컬부 하면에 접촉해 코크스 배출용 개구부를 폐지시키는 상승 위치, 상기 반송버킷을 코크스 삽입호퍼 위에 배치했을 때에 소정의 개방 각도로 배출 게이트가 열리도록 지지하는 제1의 하강 위치, 및 버킷트럭에 탑재했을 때에 배출 게이트로부터 떨어지는 제2의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KR1020087024816A 2006-03-10 2007-03-05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KR200801024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6024 2006-03-10
JPJP-P-2006-066024 2006-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428A true KR20080102428A (ko) 2008-11-25

Family

ID=3850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816A KR20080102428A (ko) 2006-03-10 2007-03-05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031041A4 (ko)
JP (1) JP5191881B2 (ko)
KR (1) KR20080102428A (ko)
CN (1) CN101400764B (ko)
RU (1) RU2430139C2 (ko)
UA (1) UA96439C2 (ko)
WO (1) WO200710551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319B1 (ko) * 2009-09-29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버켓 탑재장치
KR101221995B1 (ko) * 2011-06-17 2013-01-15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버켓 장치
KR101607029B1 (ko) * 2014-12-26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8951B1 (en) * 2010-06-17 2016-05-04 JP Steel Plantech Co. Receiving/conveyance device for red-hot coke
JP2012087271A (ja) * 2010-10-22 2012-05-10 Jfe Steel Corp コークス炉バケット車運転方法
CN105059855B (zh) * 2015-08-10 2017-10-27 湖南省九方环保机械有限公司 一种物料自动装卸转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53036B2 (en) * 1983-09-26 1986-07-03 Fuji Car Manufacturing Co. Ltd. Hot coke car
JPS6151084A (ja) * 1984-08-17 1986-03-13 Nippon Steel Corp 赤熱コ−クスの受骸装置
JPS6198789A (ja) * 1984-10-22 1986-05-17 Nippon Steel Corp 赤熱コ−クスの受骸装置
JPH0136898Y2 (ko) * 1984-12-25 1989-11-08
JP3571872B2 (ja) * 1997-03-27 2004-09-2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ークバケットの回転ずれ防止機能を有する赤熱コークス受骸装置
JP3947449B2 (ja) * 2002-10-02 2007-07-18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Cdqへの赤熱コークスの投入方法及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319B1 (ko) * 2009-09-29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버켓 탑재장치
KR101221995B1 (ko) * 2011-06-17 2013-01-15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버켓 장치
KR101607029B1 (ko) * 2014-12-26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96439C2 (ru) 2011-11-10
RU2008140027A (ru) 2010-04-20
JPWO2007105513A1 (ja) 2009-07-30
RU2430139C2 (ru) 2011-09-27
JP5191881B2 (ja) 2013-05-08
CN101400764B (zh) 2013-04-03
EP2031041A1 (en) 2009-03-04
EP2031041A4 (en) 2014-05-07
CN101400764A (zh) 2009-04-01
WO2007105513A1 (ja)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2428A (ko)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CN102292413B (zh) 红热焦炭接收搬运装置
KR101975900B1 (ko) 중력을 이용한 자재 적재 기구
US2888157A (en) Lift and discharge for wheeled cart
JP7206992B2 (ja) スライド式台車
US4343586A (en) Dump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1109574A5 (ko)
EP0562688B1 (en) Device for unloading a container for parcel goods, more particularly for postal parcels
KR20230031018A (ko) 운반 장치
JP2010013204A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EP3315615A1 (en) Manipulator for a ladle
US3418019A (en) Charging device for a metallurgical furnace
JP2900158B1 (ja) 傾斜式液体容器排出装置
FR2562523A1 (fr) Systeme de transfert d'objets entre deux dispositifs dont l'un comporte un ensemble de plateaux verticalement espaces
CN107758486B (zh) 用于集装箱卸料的吊具和利用吊具进行集装箱卸料的方法
JP2003012260A (ja) スキップ装置
US1351167A (en) Cargo-handling apparatus
KR102627956B1 (ko) 자동화된 드럼 쉐이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7212379B2 (ja) 廃材ボックス
KR102359241B1 (ko) 용기 장치 및 용융물 운반 방법
KR20230053303A (ko) 장입 장치 및 방법
CA1236974A (en) Charging bucket assembly
JP2003341848A (ja) 蓋付き容器、バケット、蓋開閉システム
KR20240056140A (ko) 수거박스 및 이를 이용한 배출방법
JPH03408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