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395B1 - 슬러지/스컴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스컴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395B1
KR101314395B1 KR1020130010509A KR20130010509A KR101314395B1 KR 101314395 B1 KR101314395 B1 KR 101314395B1 KR 1020130010509 A KR1020130010509 A KR 1020130010509A KR 20130010509 A KR20130010509 A KR 20130010509A KR 101314395 B1 KR101314395 B1 KR 101314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craper
slider
protruding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텍
Priority to KR1020130010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Abstract

슬러지 수집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장치는, 일측에 호퍼가 마련된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바닥에 있는 슬러지를 이송하는 슬러지 수집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슬러지 수집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 영역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슬러지를 스크래핑하기 위한 스크래퍼가 일체로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 가능하며, 외면에 돌출단이 마련된 라쳇 디스크; 상기 스크래퍼가 슬러지를 수집하기 위해 호퍼측 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돌출단과 걸림되어 상기 회전봉의 상측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에 마련되는 상측회전 제한부; 및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호퍼의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돌출단과 걸림되어 상기 회전봉의 하측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측회전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쳇 디스크의 돌출단, 상측회전 제한부 및 하측회전 제한부의 간단한 구조를 통해 회전봉, 스크래퍼의 수직 상태 유지 및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슬러지의 수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슬러지/스컴 수집장치{A SLUDGE/SCUM COL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바닥면에 대해 스크래퍼를 수직하게 배치하거나 경사지게 배치하는(스크래퍼가 바닥면에 밀착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작동시 오류 및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러지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침전지나 개량침전지는 대용량의 폐수를 침전 슬러지와 스컴(SCUM)으로 분리 배출하면서 짧은 시간에 정수처리하는 설비로서, 정수장,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의 침전지나 농축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침전지에는 회전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물의 비중보다 큰 침전슬러지를 침전지 바닥에서 긁어내어 수집하는 슬러지 수집기가 있다.
종래 슬러지 수집기는 슬러지 수집기의 바닥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러지 수집기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일측(호퍼측)으로 이송하는 스크래퍼가 포함된다.
이 스크래퍼는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일정속도로 움직이면서 수처리장의 바닥면에 침전되어있는 슬러지를 호파 측으로 이송하여 수집, 제거한다.
침전지의 일측에서 호파 측으로 이송할 때에는 스크래퍼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움직이게 되고, 호파 측에서 반대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스크래퍼가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높이 뜬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래퍼의 이동속도는 침전지 바닥면에 쌓여있는 슬러지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느린 속도로 천천히 움직이게 된다.
이처럼 슬러지 수집기의 일측 기점에서부터 슬러지를 타측의 호퍼측으로 이송할 때에는 스크래퍼가 슬러지 수집기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고, 스크래퍼가 다시 일측의 기점으로 이동할 때에는 슬러지 수집기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 수집기의 바닥 밀착 및 이격하기 위한 구조는 상당히 복잡하여 슬러지 수집기의 구동시 이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작동상 오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바닥면에 대해 스크래퍼를 수직하게 배치하거나 경사지게 배치하는(스크래퍼가 바닥면에 밀착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작동시 오류 및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러지 수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측에 호퍼가 마련된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바닥에 있는 슬러지를 이송하는 슬러지 수집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슬러지 수집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 영역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슬러지를 스크래핑하기 위한 스크래퍼가 일체로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 가능하며, 외면에 돌출단이 마련된 라쳇 디스크; 상기 스크래퍼가 슬러지를 수집하기 위해 호퍼측 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돌출단과 걸림되어 상기 회전봉의 상측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에 마련되는 상측회전 제한부; 및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호퍼의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돌출단과 걸림되어 상기 회전봉의 하측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측회전 제한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촉하는 이동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 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회전봉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연장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회전 제한부는 상기 하부연장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크래퍼의 호퍼 방향 이동시 상기 슬러지에 의한 저항에 따라 상기 스크래퍼가 상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영역의 상면에는 각각 돌출턱이 마련되며, 상기 하측회전 제한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축을 통해 힌지 회전 가능하며 필요시 상기 돌출단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마련되는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과 상기 돌출단이 서로 걸림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돌출턱이 마련된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롤러가 상기 돌출턱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과 상기 돌출단의 걸림 관계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벽면에는 각각 돌출유닛이 마련되며, 상기 상측회전 제한부와 상기 돌출단이 서로 걸림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돌출유닛이 마련된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스크래퍼가 회전하여 상기 상측회전 제한부와 상기 돌출단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회전봉에는 상기 돌출유닛과 필요시 접촉 가능하도록 스크래퍼 회전보조부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 회전보조부는, 상기 회전봉에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한 링크 형상의 회전보조몸체; 및 상기 회전보조몸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돌출유닛과 접촉 가능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이동롤러에는 상기 돌출레일이 삽입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슬러지 수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라쳇 디스크의 돌출단, 상측회전 제한부 및 하측회전 제한부의 간단한 구조를 통해 회전봉, 스크래퍼의 수직 상태 유지 및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슬러지의 수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마련된 돌출턱,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벽면에 마련된 돌출유닛에 의해 돌출단과 상측회전 제한부와의 걸림 관계, 돌출단과 하측회전 제한부와의 걸림 관계를 서로 변경하여 슬러지 수집을 위한 스크래퍼의 왕복 이동시 스크래퍼가 효율적으로 슬러지를 수집 및 재수집을 위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가이드레일의 돌출레일 및 이동롤러의 오목홈 구조를 통해 이동롤러가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더가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장치의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장치에서 스크래퍼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장치에서 스크래퍼가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장치의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장치에서 스크래퍼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장치에서 스크래퍼가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장치는, 종래보다 간단한 회전 제한 구조를 채용하여 스크래퍼의 회전상태(구체적으로,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바닥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상태와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치 운용상 수리작업 및 작동 오류 방지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장치는, 일측에 호퍼(미도시)가 마련된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가이드레일(200), 및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의 바닥에 있는 슬러지를 이송하는 슬러지 수집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러지 수집부(300)를 왕복 이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는,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의 일측에 마련된 구동모터(미도시), 구동모터의 양측에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와이어(310)가 권취되는 윈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와이어(310)는 대략 무한궤도 형태로 마련되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양측의 슬러지 수집부(300)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슬러지를 수집하는 것은 공지 사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인 슬러지 수집부(300)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슬러지 수집부(300)는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슬러지 수집부(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서는 스크래퍼(331)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 마련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슬러지 수집부(300)는,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320), 슬라이더(320)의 하부 영역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슬러지를 스크래핑하기 위한 스크래퍼(331)가 일체로 마련되는 회전봉(330), 회전봉(330)과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봉(330)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 가능하며 외면에 돌출단(341)이 마련된 라쳇 디스크(340), 스크래퍼(331)가 슬러지를 수집하기 위해 호퍼(미도시)측 방향으로 이동할 시 돌출단(341)과 걸림되어 회전봉(330)의 일방향(상측) 회전을 제한하도록 슬라이더(320)의 일부에 마련되는 상측회전 제한부(350), 및 스크래퍼(331)가 호퍼의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할 시 돌출단(341)과 걸림되어 회전봉(330)의 타방향(하측) 회전을 제한하도록 슬라이더(32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측회전 제한부(360)를 포함한다.
먼저, 가이드레일(200)은 하나의 스크래퍼(331)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00)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 영역의 상면에는 각각 돌출턱(21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200)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더(320)는 가이드레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슬라이더(320)는, 가이드레일(200)에 접촉하는 이동롤러(3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 본체(321), 슬라이더 본체(321)에 고정 결합되며 회전봉(3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연장 플레이트(3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00)의 내측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레일(220)이 마련된다. 또한 이동롤러(322)에는 돌출레일(220)이 삽입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홈(323)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이동롤러(322)가 돌출레일(220)에 안정적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더(320)는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가이드레일(200)로부터의 슬라이더(320) 이탈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슬라이더(320)가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슬러지 수집 효율이 저감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봉(330)은 슬라이더(320)의 하부 영역, 구체적으로 하부연장 플레이트(324)에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봉(330)에는 스크래퍼(331)가 별도의 결합장치를 통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회전봉(330)에는 후술하는 라쳇 디스크(340) 및 스크래퍼 회전보조부(370)가 일체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봉(330)에는 와이어(310)가 연결되며 와이어(310)의 인력에 의해 슬라이더(320)가 이동하게 되며, 회전봉(330)의 회전시 스크래퍼(331), 라쳇 디스크(340) 및 스크래퍼 회전보조부(370)는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쳇 디스크(340)는 회전봉(330)과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봉(330)의 회전시 동시 회전이 이루어지며 외면에 돌출단(341)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단(341)은 후술하는 상측회전 제한부(350) 또는 걸림턱(362)과 경우에 따라 걸림 가능하게 된다.
다음, 상측회전 제한부(350)는, 스크래퍼(331)가 슬러지를 수집하기 위해 호퍼(미도시)측 방향으로 이동할 시 돌출단(341)과 걸림되어 회전봉(330)의 상측 회전을 제한하도록 슬라이더(320)의 일부에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스크래퍼(331)가 대략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슬러지를 수집하기 위해 호퍼 측으로 이동할 시 슬러지의 저항에 의해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스크래퍼(331)는 정상적으로 슬러지를 호퍼 측으로 수집하기 힘든 문제가 발생한다.
상측회전 제한부(35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스크래퍼(331)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즉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최대한 억제한 상태로 호퍼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회전 제한부(350)는 하부연장 플레이트(324)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스크래퍼(331)의 호퍼 측 방향 이동시 슬러지에 의한 저항에 따라 스크래퍼(331)가 상측, 즉 도면상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다음,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회전 제한부(360)는, 스크래퍼(331)가 호퍼의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할 시, 즉 슬러지를 호퍼 측으로 수집한 후 슬러지의 재수집을 위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돌출단(341)과 걸림되어 회전봉(330)의 하측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체적으로 도면상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라이더(32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하측회전 제한부(360)는 스크래퍼(331)가 호퍼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시 스크래퍼(331)가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가 아니라 일정 각도(대략 30~60도 정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영역의 상면에 각각 돌출턱(210)이 마련된다.
하측회전 제한부(360)는, 슬라이더(320)가 가이드레일(200)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 영역 근처에 도달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래퍼 회전보조부(370)가 돌출유닛(110)에 걸림되어 회전봉(330)이 슬라이더(320)의 이동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순간 이동할 시 라쳇 디스크(340)의 돌출단(341)에 걸림 가능하게 된다.
도 2,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회전 제한부(360)는, 슬라이더(320)에 힌지축(363)을 통해 힌지 회전 가능하며 필요시 돌출단(341)에 걸림되는 걸림턱(362)이 마련되는 회전몸체(361), 및 회전몸체(361)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롤러(364)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몸체(361)는 대략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며 롤러(364)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롤러(364)가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돌출턱(210)과의 접촉 시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완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362)과 돌출단(341)이 서로 걸림된 상태로 슬라이더(320)가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우측 대략 끝단 지점에 위치한 돌출턱(210)이 마련된 지점에 도달하면, 롤러(364)가 돌출턱(21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회전몸체(361)가 힌지축(36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걸림턱(362)과 돌출단(341)의 걸림 관계가 해제된다. 이때, 스크래퍼(331)의 자중에 의해 회전봉(330)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러지 재수집을 위해 스크래퍼(331)의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래퍼(331)의 수직 상태 유지는 상측회전 제한부(35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다만, 위에서 스크래퍼(331)의 자중에 의해 회전봉(330)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러지 재수집을 위해 스크래퍼(331)의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라고 기재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자중에 의한 회전이 아니라 스크래퍼 회전보조부(370)의 롤러(372)가 우측 돌출유닛(110)과 접촉하여 스크래퍼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의 벽면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부에는 각각 돌출유닛(110)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해당하는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의 벽면에는 각각 돌출유닛(110)이 마련되어 있다. 도 7에서는 편의상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의 벽면 중 왼쪽 끝단에 위치한 돌출유닛(11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오른쪽 벽면에도 동일한 돌출유닛(11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회전 제한부(350)와 돌출단(341)이 서로 걸림된 상태로 슬라이더(320)가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하여, 도면상 좌측(호퍼 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유닛(110)이 마련된 지점에 도달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래퍼(331)가 회전하여 상측회전 제한부(350)와 돌출단(341)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회전봉(330)에는 돌출유닛(110)과 필요시 접촉 가능하도록 스크래퍼 회전보조부(370)가 일체로 마련된다. 즉, 스크래퍼 회전보조부(370) 또한 회전봉(330)과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크래퍼 회전보조부(370)는, 회전봉(330)에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한 링크 형상의 회전보조몸체(371), 및 회전보조몸체(371)의 단부에 마련되어 돌출유닛(110)과 접촉 가능한 롤러(372)를 포함한다. 여기서, 롤러(372)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출유닛(110)과의 접촉 시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완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동작 관계를 다시 정리하면, 상측회전 제한부(350)와 라쳇 디스크(340)의 돌출단(341)이 서로 걸림된 상태에서 스크래퍼(331)는 슬러집 수집처리조(100)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를 가지면서 호퍼측으로 접근한다.
슬라이더(320)가 호퍼 측 근방의 가이드레일(200)에 도착하게 되면, 하측회전 제한부(360)의 롤러(364)는 가이드레일(200)의 제1 단부 측 상면에 마련된 돌출턱(210)을 타고 넘으면서 회전하게 되고, 직후 스크래퍼 회전보조부(370)는 가이드레일(200)의 제1 측에 마련된 돌출유닛(110)에 접촉하여 스크래퍼(331)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때 스크래퍼(331)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하측회전 제한부(360)의 걸림턱(362)과 돌출단(341)이 서로 걸림된 상태를 갖게 되며, 이때 스크래퍼(331)는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스크래퍼(331)의 자중에 의해 회전봉(330)은 회전하고자 하나 걸림턱(362)과 돌출단(341)의 걸림 관계에 의해 전술한 회전봉(330)의 회전은 제한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크래퍼(331)는 슬러지의 재수집을 위해 가이드레일(200)의 반대측인 제2 단부 측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320)가 호퍼와 반대인 가이드레일(200)의 제2 측 단부 영역에 도착하게 되면, 하측회전 제한부(360)의 롤러(364)는 가이드레일(200)의 제2 단부 측 상면에 마련된 돌출턱(210)을 타고 넘으면서 회전하게 되고, 직후 스크래퍼 회전보조부(370)는 가이드레일(200)의 제2 측에 마련된 돌출유닛(110)에 접촉하여 스크래퍼(331)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때 스크래퍼(331)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하측회전 제한부(360)의 걸림턱(362)과 돌출단(341)이 서로 걸림된 상태는 해제되는 반면에 상측회전 제한부(350)와 돌출단(341)의 걸림 관계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스크래퍼(331)는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의 바닥면에 대해 대략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크래퍼(331)는 다시 가이드레일(200)의 제1 측인 호퍼 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슬러지 재수집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래퍼(331)가 제1 측 단부 영역에 도달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래퍼(331)의 수직한 상태 및 경사진 상태가 반복적으로 변경되면서 슬러지 수집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라쳇 디스크(340)의 돌출단(341), 상측회전 제한부(350) 및 하측회전 제한부(360)의 간단한 구조를 통해 회전봉(330), 스크래퍼(331)의 수직 상태 유지 및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슬러지의 수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레일(200)의 상면에 마련된 돌출턱(210), 슬러지 수집처리조(100)의 벽면에 마련된 돌출유닛(110)에 의해 돌출단(341)과 상측회전 제한부(350)와의 걸림 관계, 돌출단(341)과 하측회전 제한부(360)와의 걸림 관계를 서로 변경하여 슬러지 수집을 위한 스크래퍼(331)의 왕복 이동시 스크래퍼(331)가 효율적으로 슬러지를 수집 및 재수집을 위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가이드레일(200)의 돌출레일(220) 및 이동롤러(322)의 오목홈(323) 구조를 통해 이동롤러(322)가 가이드레일(2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더(320)가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래퍼의 상측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돌출단(341)과 전술한 하측회전 제한부가 서로 걸림될 수 있으며, 하측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돌출단과 전술한 상측회전 제한부가 서로 걸림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슬러지 수집처리조 110: 돌출유닛
200: 가이드레일 210: 돌출턱
220: 돌출레일 300: 슬러지 수집부
320: 슬라이더 331: 스크래퍼
340: 라쳇 디스크 341: 돌출단
350; 상측회전 제한부 360: 하측회전 제한부
362: 걸림턱 370: 스크래퍼 회전보조부

Claims (6)

  1. 일측에 호퍼가 마련된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바닥에 있는 슬러지를 이송하는 슬러지 수집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슬러지 수집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 영역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슬러지를 스크래핑하기 위한 스크래퍼가 일체로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라쳇 디스크;
    상기 라쳇 디스크의 외주면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단;
    상기 돌출단과 걸림되어 상기 회전봉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에 마련되는 상측회전 제한부; 및
    상기 돌출단과 걸림되어 상기 회전봉의 타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측회전 제한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촉하는 이동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 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회전봉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연장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회전 제한부는 상기 하부연장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크래퍼의 호퍼 방향 이동시 상기 슬러지에 의한 저항에 따라 상기 스크래퍼가 상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슬러지 수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영역의 상면에는 각각 돌출턱이 마련되며,
    상기 하측회전 제한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축을 통해 힌지 회전 가능하며 필요시 상기 돌출단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마련되는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과 상기 돌출단이 서로 걸림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돌출턱이 마련된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롤러가 상기 돌출턱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과 상기 돌출단의 걸림 관계가 해제되는 슬러지 수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슬러지 수집처리조의 벽면에는 각각 돌출유닛이 마련되며,
    상기 상측회전 제한부와 상기 돌출단이 서로 걸림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돌출유닛이 마련된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스크래퍼가 회전하여 상기 상측회전 제한부와 상기 돌출단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회전봉에는 상기 돌출유닛과 필요시 접촉 가능하도록 스크래퍼 회전보조부가 일체로 마련되는 슬러지 수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 회전보조부는,
    상기 회전봉에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한 링크 형상의 회전보조몸체; 및
    상기 회전보조몸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돌출유닛과 접촉 가능한 롤러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이동롤러에는 상기 돌출레일이 삽입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홈이 마련되는 슬러지 수집장치.
KR1020130010509A 2013-01-30 2013-01-30 슬러지/스컴 수집장치 KR101314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509A KR101314395B1 (ko) 2013-01-30 2013-01-30 슬러지/스컴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509A KR101314395B1 (ko) 2013-01-30 2013-01-30 슬러지/스컴 수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395B1 true KR101314395B1 (ko) 2013-10-04

Family

ID=4963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509A KR101314395B1 (ko) 2013-01-30 2013-01-30 슬러지/스컴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39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8181A (zh) * 2013-10-09 2014-01-15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梭式卸料胶带机自动清料装置
KR20160086706A (ko) * 2015-01-12 2016-07-20 (주)미시간기술 하수처리장의 부상 슬러지 제거장치
KR101679640B1 (ko) * 2016-08-04 2016-12-02 에코이앤오주식회사 왕복식 슬러지 이송형 수처리용 침전지
KR101679641B1 (ko) * 2016-08-04 2016-12-02 에코이앤오주식회사 왕복식 스컴 포집형 수처리용 침전지
KR101845723B1 (ko) * 2018-01-16 2018-04-05 윤팔석 헬리컬 스크래퍼 부착형 슬러지 수집기
KR102033128B1 (ko) * 2019-02-19 2019-10-16 자이에너지운영 주식회사 슬러지 수집 장치
KR102028841B1 (ko) * 2018-09-18 2019-11-14 이화자 슬러지 제거장치
KR102151503B1 (ko) * 2020-01-22 2020-09-03 이에스피 주식회사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CN113354136A (zh) * 2021-05-14 2021-09-07 青岛千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污水快速处理装置和方法
KR102330457B1 (ko) 2021-07-06 2021-12-01 주식회사 가온텍 링크타입 왕복형 슬러지 수집기
KR102369312B1 (ko) 2021-09-29 2022-03-02 장용현 침전지 슬러지 처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4937B2 (ja) 1996-06-12 2006-04-12 エヌ・テック株式会社 スカム掻き寄せ装置
KR20080008711A (ko) * 2006-07-21 2008-01-24 조창균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0888699B1 (ko) 2008-10-28 2009-03-16 주식회사 제이엔텍 더블 스크래퍼형 슬러지 수집기
KR20120119483A (ko) * 2011-04-21 2012-10-31 이광향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4937B2 (ja) 1996-06-12 2006-04-12 エヌ・テック株式会社 スカム掻き寄せ装置
KR20080008711A (ko) * 2006-07-21 2008-01-24 조창균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0888699B1 (ko) 2008-10-28 2009-03-16 주식회사 제이엔텍 더블 스크래퍼형 슬러지 수집기
KR20120119483A (ko) * 2011-04-21 2012-10-31 이광향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8181A (zh) * 2013-10-09 2014-01-15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梭式卸料胶带机自动清料装置
KR20160086706A (ko) * 2015-01-12 2016-07-20 (주)미시간기술 하수처리장의 부상 슬러지 제거장치
KR101659599B1 (ko) * 2015-01-12 2016-09-23 (주)미시간기술 하수처리장의 부상 슬러지 제거장치
KR101679640B1 (ko) * 2016-08-04 2016-12-02 에코이앤오주식회사 왕복식 슬러지 이송형 수처리용 침전지
KR101679641B1 (ko) * 2016-08-04 2016-12-02 에코이앤오주식회사 왕복식 스컴 포집형 수처리용 침전지
KR101845723B1 (ko) * 2018-01-16 2018-04-05 윤팔석 헬리컬 스크래퍼 부착형 슬러지 수집기
KR102028841B1 (ko) * 2018-09-18 2019-11-14 이화자 슬러지 제거장치
KR102033128B1 (ko) * 2019-02-19 2019-10-16 자이에너지운영 주식회사 슬러지 수집 장치
KR102151503B1 (ko) * 2020-01-22 2020-09-03 이에스피 주식회사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CN113354136A (zh) * 2021-05-14 2021-09-07 青岛千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污水快速处理装置和方法
KR102330457B1 (ko) 2021-07-06 2021-12-01 주식회사 가온텍 링크타입 왕복형 슬러지 수집기
KR102369312B1 (ko) 2021-09-29 2022-03-02 장용현 침전지 슬러지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395B1 (ko) 슬러지/스컴 수집장치
CN206970271U (zh) 一种刮渣机
KR101648703B1 (ko) 원형 슬러지 수집기
CN212200541U (zh) 一种水利工程用污泥刮除装置
KR100888699B1 (ko) 더블 스크래퍼형 슬러지 수집기
KR20070008925A (ko) 오폐수처리시설용 스크린장치
US8720378B2 (en) Manure scraper system and apparatus
JP2017148791A (ja) 汚泥掻寄装置
KR100800069B1 (ko) 롤러형 슬러지 수집기
JP2004223427A (ja) 夾雑物処理装置
CN115613507A (zh) 一种地铁施工轨道清理装置
JP4247876B2 (ja) コンベヤ用液切り装置
KR100894829B1 (ko) 높이 가변형 플라이트를 이용한 슬러지 수집기 및 이를적용한 침전지
KR20080104446A (ko) 슬러지 수집장치의 수중대차구조
CN213647569U (zh) 一种机器人视觉引导设备及机器人
KR19990035448U (ko) 넌레일식슬러지제거장치
JP2008142619A (ja) 浮上物掻き寄せ装置
KR101412196B1 (ko) 다각 스크레이퍼형 슬러지 수집기
JP6058509B2 (ja) 汚泥掻寄機
KR101357548B1 (ko) 리크레이머
KR20140117080A (ko) 낙엽 청소기
KR102596234B1 (ko)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JP4584887B2 (ja) 汚泥掻寄装置
CN218963514U (zh) 一种石油输油管道清洗除蜡设备
JPS63137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