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503B1 -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 Google Patents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503B1
KR102151503B1 KR1020200008684A KR20200008684A KR102151503B1 KR 102151503 B1 KR102151503 B1 KR 102151503B1 KR 1020200008684 A KR1020200008684 A KR 1020200008684A KR 20200008684 A KR20200008684 A KR 20200008684A KR 102151503 B1 KR102151503 B1 KR 102151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hinge shaft
bogie
ca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곤
Original Assignee
이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는, 처리조의 폭방향 내벽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처리조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주행레일;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처리조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동대차;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대차를 일체로 연결하며,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하향프레임을 구비하는 대차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이동대차를 상기 주행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주행시키는 주행유닛; 다수 개의 링크가 다수 개의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하향프레임에 설치되는 크랭크유닛; 상기 크랭크유닛에 결합되는 스크래퍼; 상기 이동대차가 사전에 설정된 전방지점을 통과하도록 전진하였을 때 상기 크랭크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스크래퍼의 끝단을 상승시키는 전방브라켓; 상기 이동대차가 사전에 설정된 후방지점을 통과하도록 후진하였을 때 상기 크랭크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스크래퍼의 끝단을 하강시키는 전방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Apparatus for collecting sludge using transfer car}
본 발명은 처리조의 수면에 부상한 슬러지를 수집하여 제거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주행방향에 따라 스크래퍼의 경사각이 자동으로 조절되며 스크래퍼가 안정적으로 왕복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국민소득의 증대와 더불어 식생활이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하수로 흘러보내는 각종 폐수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폐수는 하천이나 강, 호수를 크게 오염시키고 있어 사회문제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하, 폐수를 정화하도록 하는 하수 및 폐수 처리장의 처리장치는 지금까지 여러 종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하, 폐수 처리 방법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처리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 폐수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면 제일 먼저 하수 내에 포함된 모래와 자갈 및 나무토막, 깡통 등 비교적 부피가 큰 물질을 침사지에서 제거한다. 침사지를 거친 하수는 유량조정조에서 균일하게 혼합되고, 또한 하수유입의 증감에 따른 유량부하의 완충을 하며, 일정량씩 최초침전조로 이송함으로써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하수처리에 적정환경을 유지하게 된다.
유량조정조에서 일정량씩 이송된 하수는 최초침전조에서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물질층과 가벼운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최초 침전조에서 침전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하수 속의 오염물질은 폭기조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며, 미생물과 오염물은 플럭을 형성하여 다음 공정인 최종침전조에서 가라앉게 된다. 폭기조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형성된 플럭은 최종침전조에서 다시 침전되며 최초침전조와는 달리 맑은 상등수를 얻게 되며 하천으로 방류된다. 이와 같이, 하, 폐수가 몇 단계로 처리되는 하수처리장에는 유입되는 폐수가 계속해서 흐르는 상태로 처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침전조의 수면에는 많은 부유 슬러지(이하 '슬러지'라 약칭한다)가 발생한다.
또한, 이와 같은 슬러지는 가압부상조에도 다량으로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가압부상조는, 원수에 약품(ALUM 또는 PAC)을 넣어 일정하게 교반하면 물속에 잔류된 이물질이 결합한 플록이 형성되고, 플록이 형성된 원수를 부상조에 유입시켜 부상조내에서 용존공기 순환수에서 발생된 기포와 결합시키면 상층부로 플록이 부상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물을 정화시키는 수처리장치를 말하는데, 상기 가압부상조에도 다량의 슬러지가 발생되므로 발생된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걷어내어 배출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구조의 슬러지 수집기가 제안된 바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슬러지 수집기는, 처리조나 가압부상조 등과 같은 처리조(이하 '처리조'라 통칭한다)의 상부에 위치되되 처리조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에 연결되는 견인와이어와, 상기 견인와이어를 권취하여 스크래퍼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와, 전진 시에는 스크래퍼가 수면에 접하고 후진 시에는 스크래퍼가 수면과 이격되도록 주행방향에 따라 스크래퍼의 각도를 조절하는 실린더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견인와이어가 권취됨에 따라 스크래퍼가 처리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처리수에 상부에 부유하는 슬러지를 긁어 분리벽측으로 쓸어내고 후진 시에는 스크래퍼가 슬러지를 쓸어내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슬러지 수집기는 별도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스크래퍼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바, 스크래퍼 각도 조절에 많은 부품과 동력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견인와이어를 스크래퍼의 가운데 부위에 연결하여 스크래퍼를 이송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견인와이어가 스크래퍼의 가운데 부위에 연결되면 상기 견인와이어를 권취하였을 때 스크래퍼가 길이방향 일측으로 비틀어져 처리조 상의 모든 슬러지를 긁어내지 못하는문제점도 발생되어 왔다. 물론, 두 개의 구동모터가 스크래퍼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면 스크래퍼의 비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지만, 제조원가 및 유지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슬러지 수집기는 견인와이어가 늘어지거나 끊어지는 경우 구동모터가 작동하더라도 스크래퍼가 정상적으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없는데, 상기 견인와이어의 늘어짐이나 절단 여부를 감지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견인와이어의 상태를 작업자가 상시 점검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KR 10-199974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도 주행 방향에 따라 스크래퍼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며,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더라도 스크래퍼를 평행이동시킬 수 있고, 견인와이어가 파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는, 처리조의 폭방향 내벽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처리조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주행레일;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처리조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동대차;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대차를 일체로 연결하며,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하향프레임을 구비하는 대차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이동대차를 상기 주행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주행시키는 주행유닛;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하향프레임 상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제1 힌지축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 힌지축에 일체로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링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제1 링크의 길이방향 타단에 복수 개의 제2 힌지축으로 각각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링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제2 링크의 길이방향 타단에 복수 개의 제3 힌지축으로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 링크와,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하향프레임 하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3 링크의 길이방향 타단이 일체로 결합되는 하나의 제4 힌지축으로 구성되는 크랭크유닛; 상기 제4 힌지축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처리조의 수면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 스크래퍼;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 내벽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대차가 사전에 설정된 전방지점을 통과하도록 전진하였을 때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후방에 위치될 때까지 상기 제2 힌지축이 타고 올라가는 전방브라켓;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 내벽 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대차가 사전에 설정된 후방지점을 통과하도록 후진하였을 때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전방에 위치될 때까지 상기 제2 힌지축이 간섭되는 후방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브라켓은, 상기 이동대차가 전진하는 동안 상기 제2 힌지축이 타고 올라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축이 타고 올라가는 수직면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브라켓은, 상기 이동대차가 사전에 설정된 후방지점을 통과하도록 후진하였을 때 상기 제2 힌지축이 간섭되는 간섭프레임과,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될 때 상기 제2 힌지축이 안착되는 안착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안착프레임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힌지축 중 상기 처리조의 좌우측 내벽과 가장 가까운 제2 힌지축은,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처리조의 내벽을 향하는 일단이 상기 제1 링크보다 상기 처리조의 내벽과 가깝도록 돌출되고, 상기 처리조의 내벽을 향해 돌출된 제2 힌지축이 상기 전방브라켓 및 후방브라켓에 간섭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향프레임에 고정결합되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될 때 상기 제2 힌지축의 최저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주행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는 대차프레임과, 상기 대차프레임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상기 주행레일의 상면을 타고 구르는 주행롤러와, 회전축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대차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의 폭방향 양면을 타고 구르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대차는,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단이 상기 대차프레임의 폭방향 양측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을 상기 대차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크랭크축의 하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주행유닛은, 회전축이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처리조의 전방 끝단에 설치되는 구동드럼과, 상기 구동드럼보다 상기 처리조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종동드럼과, 상기 구동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회전축이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처리조의 후방 끝단에 설치되는 전환롤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구동드럼과 종동드럼에 교번으로 수 회 걸쳐진 후 상기 대차연결프레임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전환롤러에 권취된 후 상기 대차연결프레임에 연결되는 견인와이어를 구비한다.
상기 주행유닛은, 상기 구동드럼에 권취된 후 상기 대차연결프레임을 향해 인출되는 견인와이어의 높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롤러와, 상기 제1 지지롤러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드럼으로 공급되는 견인와이어의 높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처리조의 상부를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상기 구동드럼과 상기 전환롤러에 걸쳐지도록 배열된 견인와이어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견인와이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바와, 상기 견인와이어가 상기 감지바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드럼과 종동드럼은 상기 견인와이어가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안착홈의 내경은 상기 견인와이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는,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도 주행 방향에 따라 스크래퍼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며,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더라도 스크래퍼를 평행이동시킬 수 있고, 견인와이어가 파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가 자동으로 정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에 포함되는 크랭크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스크래퍼가 전방으로 이송된 형상을 도시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2 힌지축이 전방브라켓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에 포함되는 이동대차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이동대차에 포함되는 크랭크축과 고정너트와 가이드롤러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에 포함되는 주행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주행유닛에 포함되는 구동드럼에 견인와이어가 권취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스크래퍼가 전방으로 이송되었을 때 상기 스크래퍼가 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스크래퍼가 후방으로 이송된 형상을 도시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제2 힌지축이 후방브라켓을 향해 이동하는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4는 스크래퍼가 후방으로 이송되었을 때 상기 스크래퍼가 수면에 접하도록 회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에 포함되는 크랭크유닛의 측면도이며, 도 5는 스크래퍼가 전방으로 이송된 형상을 도시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제2 힌지축이 전방브라켓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는 처리조(10)의 수면에 떠 있는 슬러지를 분리벽(12)으로 밀어 넘기기 위한 수처리장치의 일종으로서, 처리조(10)의 폭방향 내벽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처리조(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주행레일(100)과,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100)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처리조(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동대차(200)와, 상기 처리조(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대차(200)를 일체로 연결하며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하향프레임(310)을 구비하는 대차연결프레임(300)과, 상기 한 쌍의 이동대차(200)를 상기 주행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주행시키는 주행유닛(400)과, 상기 대차연결프레임(300)의 전방측에 설치된 크랭크유닛(500)과, 상기 크랭크유닛(500)에 연결되어 수면에 떠 있는 슬러지를 긁어내는 스크래퍼(6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100)은, 처리조(10)의 폭방향 내벽에 고정결합된 다수 개의 거치프레임(110) 상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주행유닛(400)에 의해 이동대차(200)가 주행레일(1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대차(200)에 결합된 대차연결프레임(300) 및 이에 연결된 스크래퍼(600)가 함께 이동하게 되는바, 처리조(10)의 수면에 떠 있는 슬러지가 스크래퍼(600)에 의해 밀려 분리벽(12) 너머로 넘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스크래퍼(600)의 작동은 종래의 슬러지 수집기에도 유사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스크래퍼(600)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수면에 떠 있는 슬러지가 분리벽(12) 너머로 넘어가면, 새로 발생된 슬러지를 다시 분리벽(12) 너머로 넘기기 위해 상기 이동대차(200)와 대차연결프레임(300), 크랭크유닛(500), 스크래퍼(600)는 처리조(10)의 후방으로 돌아와야 한다. 이때 상기 스크래퍼(600)의 끝단이 수면에 접하고 있으면 수면에 떠 있는 슬러지가 처리조(10)의 후방으로 밀려가게 되므로, 상기 이동대차(200)가 후방으로 주행하는 동안 상기 스크래퍼(600)는 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는 스크래퍼(600)가 분리벽(12) 근처까지 이송되었을 때 자동으로 수면 위로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상기 스크래퍼(600)를 회동시키는 크랭크유닛(500)을 구비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상기 크랭크유닛(500)은, 상기 처리조(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하향프레임(310) 상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제1 힌지축(510)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 힌지축(510)에 일체로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링크(520)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 링크(520)의 길이방향 타단에 복수 개의 제2 힌지축(530)으로 각각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링크(540)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제2 링크(540)의 길이방향 타단에 복수 개의 제3 힌지축(550)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3 링크(560)와, 상기 처리조(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하향프레임(310) 하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3 링크(560)의 길이방향 타단이 일체로 결합되는 하나의 제4 힌지축(57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래퍼(600)는 상기 제4 힌지축(570)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처리조(10)의 수면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4 힌지축(57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스크래퍼(600)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크래퍼(600)의 끝단이 수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제4 힌지축(570)은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대차연결프레임(300)에 설치된 크랭크유닛(500)이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제2 힌지축(530)이 전방에 고정된 전방브라켓(700)에 간섭되어 위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상기 제4 힌지축(570)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전방브라켓(700)은 처리조(10)의 폭방향 내벽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대차(200)가 사전에 설정된 전방지점을 통과하도록 전진하였을 때 상기 제2 힌지축(530)은 상기 전방브라켓(700)을 타고 올라가게 된다. 상기 제2 힌지축(530)이 전방브라켓(700)을 타고 올라가면, 상기 제2 힌지축(530)에 연결된 제2 링크(540) 역시 상측으로 올려지고, 상기 제2 링크(540)에 연결된 제3 링크(560) 및 이에 고정결합된 제4 힌지축(570)은 스크래퍼(600)의 끝단이 상승하는 방향(도 4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래퍼(600)가 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이동대차(200) 및 이에 연결된 스크래퍼(600)가 후방으로 이송될 때 상기 스크래퍼(600)가 다시 수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되돌아오지 못하도록, 상기 전방브라켓(700)을 타고 올라가던 제2 힌지축(530)은 제1 힌지축(510)보다 후방에 위치할 때까지 넘어가게 되는데, 이와 같은 크랭크유닛(500)의 동작은 이하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제거기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스크래퍼(600)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동대차(200)를 이송하는 힘을 이용하여 스크래퍼(600)를 회전시키는바, 스크래퍼(6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 단순해지고 스크래퍼(6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유지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힌지축(530)이 타고 올라가는 전방브라켓(700)은, 상기 제2 힌지축(530)이 처음에는 천천히 들어 올려지다가 나중에는 빠르게 제1 힌지축(510)을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이동대차(200)가 전진하는 동안 상기 제2 힌지축(530)이 타고 올라가는 경사면(710)과, 상기 경사면(710)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축(530)이 타고 올라가는 수직면(720)을 구비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제2 힌지축(530)이 경사면(710)과 수직면(720)을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2 힌지축(530)이 타고 넘어가는 전방브라켓(700)이 처리조(10)의 폭방향 중간에 설치되면 수면에 떠 있는 슬러지가 분리벽(12)을 향해 밀려갈 때 상기 전방브라켓(700)에 간섭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브라켓(700)은 처리조(10)의 폭방향 내벽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2 힌지축(530) 중 상기 처리조(10)의 좌우측 내벽과 가장 가까운 제2 힌지축(530)은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처리조(10)의 내벽을 향하는(더 명확하게는 전방브라켓(700)을 향하는) 일단이 제1 링크(520)보다 상기 처리조(10)의 내벽과 가깝도록 돌출되는바(도 6 참조), 상기 처리조(10)의 내벽을 향해 돌출된 제2 힌지축(530)의 일단은 상기 전방브라켓(700)의 경사면(710) 및 수직면(720)을 타고 올라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 힌지축(530)이 더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제3 링크(560) 및 제4 힌지축(570), 스크래퍼(600)는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는바, 상기 스크래퍼(600)가 수면에 떠 있는 슬러지를 정상적으로 긁어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제거기는 상기 스크래퍼(600)의 끝단이 수직 하방을 향할 때까지만 제2 힌지축(530)이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힌지축(530)의 최저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58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580)는, 상기 하향프레임(310)에 고정결합되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 힌지축(530)이 상기 제1 힌지축(510)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될 때 상기 제2 힌지축(530)이 일정 높이 이하로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2 힌지축(5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에 포함되는 이동대차(200)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8은 이동대차(200)에 포함되는 크랭크축(230)과 고정너트(240)와 가이드롤러(25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상기 이동대차(200)는 주행레일(100)을 타고 주행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상기 주행레일(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대차프레임(210)과, 상기 대차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상기 주행레일(100)의 상면을 타고 구르는 주행롤러(22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상기 주행롤러(220)의 회전축과 대차프레임(210) 사이에는 마찰력 감소를 위한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베어링의 장착위치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대차(200)가 주행레일(100)의 폭방향으로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회전축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대차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100)의 폭방향 양면을 타고 구르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50)를 구비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주행레일(100)의 폭방향 양면을 타고 구르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50)가 구비되면, 상기 이동대차(200)는 주행레일(100)의 폭방향으로 흔들릴 우려 없이 상기 주행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주행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대차(200)는 주행레일(100)의 폭방향 양면과 가이드롤러(250) 간의 거리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단이 상기 대차프레임(210)의 폭방향 양측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축(230)과, 상기 크랭크축(230)을 상기 대차프레임(210)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너트(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250)는 상기 크랭크축(23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롤러(250)가 하단에 장착되는 크랭크축(230)이 직선형 샤프트가 아니라 2회에 걸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면, 작업자는 상기 크랭크축(230)의 상단이 대차프레임(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축(230)의 상단을 중심으로 크랭크축(230)을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롤러(250)와 주행레일(100) 간의 거리를 증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작업자는 크랭크축(230)이 회전 가능할 정도로만 고정너트(240)를 푼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러(250)가 자신이 원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크랭크축(230)을 회전시킨 후, 다시 고정너트(240)를 조이는 작업만으로 가이드롤러(250)와 주행레일(10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동대차(200)의 유지 보수가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에 포함되는 주행유닛(400)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주행유닛(400)에 포함되는 구동드럼(410)에 견인와이어(450)가 권취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상기 주행유닛(400)은 대차연결프레임(300)에 연결된 견인와이어(450)를 감아 상기 대차프레임(210) 및 이에 결합된 한 쌍의 이동대차(200)를 주행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견인와이어(450)가 맞닿아 마찰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주행유닛(400)은, 회전축이 상기 처리조(10)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처리조(10)의 전방 끝단에 설치되는 구동드럼(410)과, 상기 구동드럼(410)보다 상기 처리조(10)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종동드럼(420)과, 상기 구동드럼(4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30)와, 회전축이 상기 처리조(10)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처리조(10)의 후방 끝단에 설치되는 전환롤러(440)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구동드럼(410)과 종동드럼(420)에 교번으로 수 회 걸쳐진 후 상기 대차연결프레임(30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전환롤러(440)에 권취된 후 상기 대차연결프레임(300)에 연결되는 견인와이어(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견인와이어(450)가 구동드럼(410)에 걸쳐졌다가 종동드럼(420)에 걸쳐진 후 다시 구동드럼(410)에 걸쳐지도록 권취되면, 견인와이어(450)가 서로 맞닿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450)가 보조드럼(420)에 걸쳐진 후 구동드럼(410)으로 진입될 때 보조드럼(420)에 형성된 와이어 안착홈(422)과 구동드럼(410)에 형성된 와이어 안착홈(412)의 위치가 일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드럼(420)은 일측으로 비틀어져 배치된다(도 10 참조). 상기 보조드럼(420)이 비틀어지는 경사각은 각 드럼(410, 420)의 규격 및 장착위치, 견인와이어(450)의 규격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유닛(400)은 구동드럼(410)과 종동드럼(420)을 향해 공급되는 견인와이어(450)와 상기 구동드럼(410)과 종동드럼(420)으로부터 인출되는 견인와이어(450)가 안정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행유닛(400)은, 상기 구동드럼(410)에 권취된 후 상기 대차연결프레임(300)을 향해 인출되는 견인와이어(450)의 높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롤러(460)와, 상기 제1 지지롤러(46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드럼(410)으로 공급되는 견인와이어(450)의 높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롤러(47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드럼(410)와 종동드럼(420)에는 상기 견인와이어(450)가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홈과 견인와이어(450)의 접촉면적이 증가될수록 상기 견인와이어(450)가 쉽게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드럼(410)과 종동드럼(420)에 형성되는 와이어 안착홈(412, 422)의 내경은 상기 견인와이어(4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와이어 안착홈의 내경이 견인와이어(4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안착홈과 견인와이어(450)의 접촉면적이 매우 좁아지므로, 상기 견인와이어(450)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는 견인와이어(450)가 늘어지거나 끊어졌을 때 이를 감지하여 슬러지제거 작동이 자동으로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는, 상기 처리조(10)의 상부를 상기 처리조(10)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상기 구동드럼(410)과 상기 전환롤러(440)에 걸쳐지도록 배열된 견인와이어(45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견인와이어(45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바(452)와, 상기 견인와이어(450)가 상기 감지바(452)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구동모터(430)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바(452)는 견인와이어(45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센서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견인와이어(450)의 하측에 감지바(452)가 구비되면, 상기 견인와이어(450)가 늘어져 아래로 처지거나 상기 견인와이어(450)가 끊어져 아래로 떨어졌을 때 상기 감지바(452)는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터(430)를 정지시켜 슬러지제거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견인와이어(450)가 늘어나거나 끊어졌을 때 상기 제어부는 경광등을 작동시키거나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은 스크래퍼(600)가 전방으로 이송되었을 때 상기 스크래퍼(600)가 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동대차(200) 및 대차연결프레임(300)이 처리조(1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 힌지축(530)이 상승브라켓에 접하게 되면, 상기 제2 힌지축(530)은 경사면(710)의 하단측을 올라타게 되는바, 이동대차(200) 및 대차연결프레임(300)의 전진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2 힌지축(53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710)을 타고 올라가게 되고 제1 링크(5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 힌지축(530)이 경사면(710)을 타고 올라가면, 제2 링크(540) 및 제3 링크(560)는 제2 힌지축(530)을 따라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고, 제3 링크(560)와 고정결합된 제4 힌지축(57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4 힌지축(570)과 일체로 결합된 스크래퍼(600)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측 끝단이 들어 올려진다.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대차(200) 및 대차연결프레임(300)이 더 전진하게 되면, 상기 제2 힌지축(530)은 수직면(720)을 타고 더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는바, 상기 스크래퍼(600)는 하측 끝단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대차(200) 및 대차연결프레임(300)이 더 전진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520)는 수직으로 세워졌다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끝단이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제2 힌지축(530)은 제1 힌지축(510)의 수직 상부를 지나 제1 힌지축(51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힌지축(530)이 제1 힌지축(51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 링크(520)는 자중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 힌지축(530)은 대차연결프레임(300)에 간섭되는바 상기 제1 링크(520)는 도 16에 도시된 상태보다 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상태가 되면, 각 링크의 자중은 제1 링크(5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인가되므로, 별도의 외력 없이 상기 제1 링크(5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스크래퍼(600)는 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래퍼(600)가 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이동대차(200) 및 대차연결프레임(300)이 처리조(10)의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수면에 떠 있는 슬러지들이 후방으로 밀려가지 아니하게 된다.
도 17은 스크래퍼(600)가 후방으로 이송된 형상을 도시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제2 힌지축(530)이 후방브라켓(800)을 향해 이동하는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이동대차(200)와 대차연결프레임(300)이 처리조(10)의 최후방 지점까지 이동한 이후에는 수면에 떠 있는 슬러지를 분리벽(12) 너머로 이동시키는 스크래핑 과정을 다시 반복해야 하는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600)의 끝단이 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수면에 떠 있는 슬러지를 긁어내지 못하는바, 상기 스크래퍼(600)를 도 11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려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는 이와 같이 스크래퍼(600)를 원위치시키는 동작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즉, 이동대차(200)와 대차연결프레임(300)을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스크래퍼(600)가 원위치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200)와 대차연결프레임(300)이 처리조(10)의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크랭크유닛(500)에 간섭되는 후방브라켓(800)이 상기 처리조(10)의 폭방향 내벽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부방브라켓은 처리조(10)의 폭방향 내벽 후방측에 위치되며, 제2 힌지축(530)이 상기 제1 힌지축(510)보다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대차(200)가 사전에 설정된 후방지점을 통과하도록 후진하였을 때 상기 제2 힌지축(530)이 간섭되는 간섭프레임(820)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 힌지축(530)이 상기 간섭프레임(820)에 접촉된 이후 상기 이동대차(200) 및 대차연결프레임(300)의 후진이 더 이루어졌을 때, 상기 제1 링크(5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링크(540)는 하강하게 되는바, 제3 링크(560) 및 제4 힌지축(57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4 힌지축(57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래퍼(600)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상기 스크래퍼(600)는 수면에 떠 있는 슬러지를 긁어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수면과 이격되도록 회전되었던 스크래퍼(600)가 수면에 접하도록 원위치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4는 스크래퍼(600)가 후방으로 이송되었을 때 상기 스크래퍼(600)가 수면에 접하도록 회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동대차(200) 및 대차연결프레임(300)이 후진하여 사전에 설정된 후방지점을 통과할 때 상기 제2 힌지축(53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브라켓(800)의 간섭프레임(820)에 접촉된다.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대차(200) 및 대차연결프레임(300)이 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힌지축(530)은 간섭프레임(820)에 간섭되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링크(520)는 제1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축(510)보다 제2 힌지축(530)이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 링크(52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링크들의 자중에 의해 하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크래퍼(600)는 끝단이 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링크(520)가 한 번에 급격히 회전되면 제2 힌지축(530)이 스토퍼(580)에 강하게 충돌하게 되므로, 각 링크와 힌지축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브라켓(800)은 상기 제2 힌지축(530)이 상기 제1 힌지축(510)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될 때 상기 제2 힌지축(530)이 곧바로 스토퍼(580)에 충돌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2 힌지축(530)이 안착되는 안착프레임(810)을 구비한다(도 22 참조).
상기 안착프레임(810)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도 22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대차(200) 및 대차연결프레임(300)이 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 힌지축(530)은 안착프레임(810)을 타고 서서히 내려가다가, 종국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80)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제2 힌지축(530)이 안착프레임(810)을 타고 서서히 내려가다가 스토퍼(580)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면, 각 링크 및 힌지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스크래퍼(600)가 수면에 서서히 접하게 되므로 수면에 떠 있던 슬러지가 스크래퍼(600)에 의해 크게 흔들리거나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처리조 12 : 분리벽
100 : 주행레일 110 : 거치프레임
200 : 이동대차 210 : 대차프레임
220 : 주행롤러 230 : 크랭크축
240 : 고정너트 250 : 가이드롤러
300 : 대차연결프레임 310 : 하향프레임
400 : 주행유닛 410 : 구동드럼
420 : 종동드럼 430 : 구동모터
440 : 전환롤러 450 : 견인와이어
460 : 제1 지지롤러 470 : 제2 지지롤러
500 : 크랭크유닛 510 : 제1 힌지축
520 : 제1 링크 530 : 제2 힌지축
540 : 제2 링크 550 : 제3 힌지축
560 : 제3 링크 570 : 제4 힌지축
580 : 스토퍼 600 : 스크래퍼
700 : 전방브라켓 710 : 경사면
720 : 수직면 800 : 후방브라켓
810 : 안착프레임 820 : 간섭프레임

Claims (10)

  1. 처리조의 폭방향 내벽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처리조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주행레일;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처리조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동대차;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대차를 일체로 연결하며,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하향프레임을 구비하는 대차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이동대차를 상기 주행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주행시키는 주행유닛;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하향프레임 상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제1 힌지축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 힌지축에 일체로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링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제1 링크의 길이방향 타단에 복수 개의 제2 힌지축으로 각각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링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제2 링크의 길이방향 타단에 복수 개의 제3 힌지축으로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 링크와,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하향프레임 하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3 링크의 길이방향 타단이 일체로 결합되는 하나의 제4 힌지축으로 구성되는 크랭크유닛;
    상기 제4 힌지축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처리조의 수면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 스크래퍼;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 내벽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대차가 사전에 설정된 전방지점을 통과하도록 전진하였을 때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후방에 위치될 때까지 상기 제2 힌지축이 타고 올라가는 전방브라켓;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 내벽 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대차가 사전에 설정된 후방지점을 통과하도록 후진하였을 때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전방에 위치될 때까지 상기 제2 힌지축이 간섭되는 후방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브라켓은, 상기 이동대차가 전진하는 동안 상기 제2 힌지축이 타고 올라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축이 타고 올라가는 수직면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브라켓은, 상기 이동대차가 사전에 설정된 후방지점을 통과하도록 후진하였을 때 상기 제2 힌지축이 간섭되는 간섭프레임과,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될 때 상기 제2 힌지축이 안착되는 안착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안착프레임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힌지축 중 상기 처리조의 좌우측 내벽과 가장 가까운 제2 힌지축은,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처리조의 내벽을 향하는 일단이 상기 제1 링크보다 상기 처리조의 내벽과 가깝도록 돌출되고,
    상기 처리조의 내벽을 향해 돌출된 제2 힌지축의 일단이 상기 전방브라켓 및 후방브라켓에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향프레임에 고정결합되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될 때 상기 제2 힌지축의 최저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주행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는 대차프레임과, 상기 대차프레임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상기 주행레일의 상면을 타고 구르는 주행롤러와, 회전축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대차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의 폭방향 양면을 타고 구르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는,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단이 상기 대차프레임의 폭방향 양측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을 상기 대차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크랭크축의 하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유닛은, 회전축이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처리조의 전방 끝단에 설치되는 구동드럼과, 상기 구동드럼보다 상기 처리조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종동드럼과, 상기 구동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회전축이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처리조의 후방 끝단에 설치되는 전환롤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구동드럼과 종동드럼에 교번으로 수 회 걸쳐진 후 상기 대차연결프레임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전환롤러에 권취된 후 상기 대차연결프레임에 연결되는 견인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행유닛은, 상기 구동드럼에 권취된 후 상기 대차연결프레임을 향해 인출되는 견인와이어의 높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롤러와, 상기 제1 지지롤러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드럼으로 공급되는 견인와이어의 높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상부를 상기 처리조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상기 구동드럼과 상기 전환롤러에 걸쳐지도록 배열된 견인와이어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견인와이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바와, 상기 견인와이어가 상기 감지바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드럼과 종동드럼은 상기 견인와이어가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안착홈의 내경은 상기 견인와이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20200008684A 2020-01-22 2020-01-22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2151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84A KR102151503B1 (ko) 2020-01-22 2020-01-22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84A KR102151503B1 (ko) 2020-01-22 2020-01-22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503B1 true KR102151503B1 (ko) 2020-09-03

Family

ID=7245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684A KR102151503B1 (ko) 2020-01-22 2020-01-22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5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6574A (zh) * 2020-11-03 2021-03-09 天长市京发铝业有限公司 一种铝板氧化废液回收处理装置
KR102301135B1 (ko) 2021-06-03 2021-09-10 주식회사 비엠아이 수중대차식 슬러지수집기의 와이어 부하감지장치
KR102457722B1 (ko) 2022-04-05 2022-10-21 주식회사 삼영이앤티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의 슬러지수집시스템
KR102457721B1 (ko) 2022-04-05 2022-10-21 주식회사 삼영이앤티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473B1 (ko) * 2007-10-05 2009-03-18 주식회사 청호엔텍 수중 대차형 슬러지 수집장치
KR100973792B1 (ko) * 2010-03-05 2010-08-04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러지수집용 수중대차 및 이를 채용하는 정수처리설비
KR101314395B1 (ko) * 2013-01-30 2013-10-04 주식회사 에버텍 슬러지/스컴 수집장치
KR101999743B1 (ko) 2019-03-25 2019-07-12 이에스피 주식회사 가압부상조용 스컴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473B1 (ko) * 2007-10-05 2009-03-18 주식회사 청호엔텍 수중 대차형 슬러지 수집장치
KR100973792B1 (ko) * 2010-03-05 2010-08-04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러지수집용 수중대차 및 이를 채용하는 정수처리설비
KR101314395B1 (ko) * 2013-01-30 2013-10-04 주식회사 에버텍 슬러지/스컴 수집장치
KR101999743B1 (ko) 2019-03-25 2019-07-12 이에스피 주식회사 가압부상조용 스컴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6574A (zh) * 2020-11-03 2021-03-09 天长市京发铝业有限公司 一种铝板氧化废液回收处理装置
CN112456574B (zh) * 2020-11-03 2023-10-24 天长市京发铝业有限公司 一种铝板氧化废液回收处理装置
KR102301135B1 (ko) 2021-06-03 2021-09-10 주식회사 비엠아이 수중대차식 슬러지수집기의 와이어 부하감지장치
KR102457722B1 (ko) 2022-04-05 2022-10-21 주식회사 삼영이앤티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의 슬러지수집시스템
KR102457721B1 (ko) 2022-04-05 2022-10-21 주식회사 삼영이앤티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503B1 (ko)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1016488B1 (ko)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1999743B1 (ko) 가압부상조용 스컴제거장치
KR100808469B1 (ko)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US4005019A (en) Gravitational separator
DE102004055981A1 (de) Vorrichtung zum Abschaben und Sammeln von Schlamm
KR101214548B1 (ko) 생 오니 응집 고도처리 침전 및 배출 시스템
KR101520633B1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KR101281001B1 (ko) 하수처리용 스크린 장치
JP4272635B2 (ja) ベルト式濃縮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EP0498037A1 (en) Tertiary filtration section for refining waste water
JP6330210B2 (ja) 排水処理設備
KR200342240Y1 (ko) 침전지의 대차식 슬러지 수집장치
KR200427920Y1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0798300B1 (ko) 스크래퍼의 작동범위조절이 용이한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및 그 구동방식
JP3490177B2 (ja) 沈殿池
TWI326614B (ko)
KR100642202B1 (ko) 스크롤형 주행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1816904B1 (ko) 침사 및 부유물을 동시에 처리 가능한 대차형 침사처리장치
KR100321800B1 (ko)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한 정수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정수처리방법
KR101616674B1 (ko) 슬러지 및 스컴 수집 장치
CN213895290U (zh) 一种新型石油化工废水平流式隔离池
CN211411110U (zh) 一种行走式刮泥机
JPH0551407U (ja) 沈殿槽における汚泥等の処理装置
KR100808608B1 (ko) 하수 처리기의 침전조 부유물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