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633B1 -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633B1
KR101520633B1 KR1020120085036A KR20120085036A KR101520633B1 KR 101520633 B1 KR101520633 B1 KR 101520633B1 KR 1020120085036 A KR1020120085036 A KR 1020120085036A KR 20120085036 A KR20120085036 A KR 20120085036A KR 101520633 B1 KR101520633 B1 KR 101520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suspended
stream
moving
wat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965A (ko
Inventor
신철항
Original Assignee
신철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항 filed Critical 신철항
Priority to KR102012008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6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천 바닥에서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상기 하천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하천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하여 상기 하천의 부유물을 상기 하천의 양안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형 수거부; 상기 하천 내에 선단이 위치되고 상기 양안에 후단이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에서 수거된 상기 부유물을 상기 하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부; 및 상기 수거부의 하부와, 상기 수거부와 이웃한 상기 배출부의 선단 하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수거부와 상기 배출부의 선단이 상기 하천의 수면과 설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 부유물을 수거한 후 하천 외부로 이송하여 부유물로 인한 하천 주변의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과정에서 하천에 대해 수거부의 각도를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수거부가 받는 하천 유속 저항을 감소시키며, 수거부의 거름부재 이동속도를 하천의 유속보다 빠르게 하여 부유물이 거름부재의 사이에 끼이지 않게 하고, 거름부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수거할 부유물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APPARATUS FOR ELIMINATING FLOATING GARBAGE}
본 발명은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에 부유하는 부유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은 시민의 식용수 및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원천으로서, 대중의 위생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하천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은 강조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장마철 호우 등으로 인하여 하천 주변의 지대가 침수되는 경우 침수 지역 일대의 인공적 또는 자연적인 쓰레기가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류로 갈수록 그 부유물의 쓰레기의 양이 대단히 많은 현상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특히, 부유물 쓰레기는 하천을 오염시켜 대중의 위생을 해하는 것은 물론 하천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켜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부유물 쓰레기의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천의 부유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들이 출원 및 공개되어 있으며, 부유물 제거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실용신안 제20-0255925호 및 등록특허 제10-1068742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55925호 및 등록특허 제10-1068742호에 개시된 부유물 수거 장치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55925(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의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에서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는 강변에 근접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11)의 외부에는 베어링(B)으로 지지되는 회전판(12)이 장착되어 모터(10a)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축(10)과; 강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21)의 외부에는 베어링(B)으로 지지되는 회전관(22)이 장착된 종동축(20)과; 상기 회전관(12)(22)들의 외부에 결합되는 회전체(31)의 축공(32)에는 가이드 홈(32a)들이 형성되어 회전관(12)(22)들의 외부에 돌출되어 가이드레일(12a)(22a)들이 삽입되어 부력으로 승강되는 풀리(30)와; 상기 회전체(31)들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프로킷(33)들에 장착되어 구동축(10)과 종동축(20) 사이에서 무한궤도를 이루어 회전되는 상, 하부 체인(41)들의 사이에 설치된 걸름망(40)과; 상기 회전체(31)의 내부 상, 하부에 각각 삽입된 부력재(50)와 상부 체인(41)에 연속 장착된 부구(42)들의 부력에 의하여 승강되는 걸름망(40)이 강물의 흐르는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어 설치되어 무한궤도를 이루어 회전되면서 부유물 쓰레기를 강의 일측으로 이송시켜 수거하여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는, 걸름망(40)의 간격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수거 가능한 부유물의 사이즈의 조절이 불가능하고, 상기 걸름망(40)이 하천 수면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걸름망(40)이 받는 하천 유속 저항이 너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등록특허 제10-1068742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의 하천의 부유물 수거장치의 기본 배치도이다.
종래기술 2의 하천의 부유물 수거장치는, 부유물수거시설장비로 차량(10), 크레인(20), 분리수거함(30), 상차컨베이어(40) 등이 구비된 하천 양안에 횡단 설치하는 부유물 수거장치에 있어서, 하천 양안의 어느 한쪽 지면에는 모터(102)의 원동체인기어(102a)와; 감속기(101)의 입력체인기어(101a)에 구동체인(102b)을 체결시키고, 상기 감속기(101)의 출력체인기어(101b)는 베어링(101d)이 상하로 내재된 출력축보강관(101c)을 일정높이 돌출된 출력축(101e)에 조립시켜 앵커볼트 체결되는 원동모터부기초석(103)을 설치하고, 하천 대향편에는 기설치된 원동모터부기초석(103)이 설치된 지점과는 하류 쪽으로 2개의 아이들체인기어기초석(104b)을 일정간격 설치하되, 각 설치된 아이들체인기어 기초석에는 앵커볼트로 아이들체인기어축베어링(105a)이 상하로 내재된 아이들체인기어보강관(104a)을 조립한 아이들체인기어축(105)에 아이들체인기어(104)를 조립시키고, 조립된 1개소의 출력체인기어(101b)와 2개소의 아이들체인기어(104)에는 어태치먼트붙이 하이피치체인(120)을 3점 설치시키되, 설치된 하이피체인의 어태치먼트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볼트(131)로 조립한 갈고리브라켓트(130)에는 갈고리부싱(141)과 일체로 직교설치된 갈고리(140)를 힌지축(143)으로 조립시키되, 부싱 상단과 일체로 형성된 갈고리체결꼭지(142)와 일정 체적의 부력볼(110) 하방에 일체로 형성된 볼체결꼭지(111)에는 소정길이의 링크체인(150)을 카라비나(151)로 체결시켜 이루어지는 1단계 수거장치(100)와; 상기 1단계 수거장치(100)와 인접된 하천 하류방향 양안의 각 지면에는 출력축에 양망보빈원동체인기어(224)를 조립한 감속기부착형 클러치모터(210)와 양망보빈 브라켓트(226)에 양망보빈축베어링(227)으로 축조립된 양망보빈(220)의 양망보빈축(221)에 조립된 양망보빈 종동체인기어(225)와 상기 양만보빈 원동체인기어에 양망체인(222)을 체결시켜, 앵커볼트로 양망보빈 기초석(223)에 조립시키고, 대향설치된 각 양망보빈(220)의 전측으로는 지면에 설치한 롤가이드(232) 사이 일정 높이 롤(231)을 설치한 롤컨베이어부(230)가 마련되며, 양망보빈(220) 폭의 네트본줄(241)에 일정간격으로 부레(242)가 설치된 수거네트(240)를 양편의 양망보빈(220)에 권취시켜 이루어지는 2단계 수거장치(2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하천의 부유물 수거장치는 1단계 수거장치(100)가 갈고리(140)를 통해 부유물을 포집하는 과정에서 표면이 미끈한 부유물의 포집은 난해하며, 1단계에서 수거하지 못하고 빠져나온 부유물을 역시 하천 양안에서 좌우반복 횡단 방식으로 순환하는 네트가 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천 유속 저항이 너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255925 Y1 KR 10-1068742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천 부유물을 수거한 후 하천 외부로 이송하여 부유물로 인한 하천 주변의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과정에서 하천에 대해 수거부의 각도를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수거부가 받는 하천 유속 저항을 감소시키며, 수거부의 거름부재 이동속도를 하천의 유속보다 빠르게 하여 부유물이 거름부재의 사이에 끼이지 않게 하고, 거름부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수거할 부유물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천 바닥에서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상기 하천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하천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하여 상기 하천의 부유물을 상기 하천의 양안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형 수거부; 상기 하천 내에 선단이 위치되고 상기 양안에 후단이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에서 수거된 상기 부유물을 상기 하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부; 및 상기 수거부의 하부와, 상기 수거부와 이웃한 상기 배출부의 선단 하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수거부와 상기 배출부의 선단이 상기 하천의 수면과 설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력부를 포함하는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수거부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에 양단이 연결된 이동부재의 일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장된 축 선상에 설치되는 이격된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평행하면서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에 설치되는 이격된 한 쌍의 종동 스프로킷;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구동력을 상기 종동 스프로킷에 전달하기 위해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 및 상기 한 쌍의 체인을 설정 간격마다 상호 연결하여 상기 하천의 부유물이 걸리게 하는 거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부의 거름부재 이동속도는 상기 하천의 유속보다 빠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부재는 간격이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 부유물을 수거한 후 하천 외부로 이송하여 부유물로 인한 하천 주변의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과정에서 하천에 대해 수거부의 각도를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수거부가 받는 하천 유속 저항을 감소시키며, 수거부의 거름부재 이동속도를 하천의 유속보다 빠르게 하여 부유물이 거름부재의 사이에 끼이지 않게 하고, 거름부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수거할 부유물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하천의 부유물 수거장치의 기본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100)는 가이드(110), 수거부(120), 배출부(130), 부력부(140) 및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가이드(110)는 "∠" 형상인 좌우 한 쌍이 이격되게 구비되되, 하천의 바닥에 위치되는 수평 프레임(112)과 상기 수평 프레임(112)의 끝단에서 설정 각도만큼 경사져 하천 수면의 상측까지 연장되는 경사 프레임(114) 및 상기 수평 프레임(112)과 상기 경사 프레임(114)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1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110)의 경사 프레임(114)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으나, 부유물을 수거하기에 보다 최적화된 상태로는 수면과 45도 정도, 35도에서 70도 범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가이드(110)의 경사 프레임(114) 각도는 상기 경사 프레임(114)을 따라 이동하는 수거부(120)가 수면과의 적절한 각도를 이루는 경우에 부유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천의 일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즉, 수거부(120)가 수면과 이루는 각도가 너무 작으면 부유물이 상기 수거부(120)에 걸리지 않고 그대로 통과할 염려가 있고, 상기 수거부(120)가 수면과 이루는 각도가 너무 크면 상기 수거부(120)가 받는 하천 유속 저항이 너무 커지게 되는 것이다.
수거부(120)는 하천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하천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가이드(110)의 경사 프레임을 따라 수면과 대응되는 위치로 승강하여 무한궤도 방식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하천의 부유물을 상기 하천의 양안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수거부(120)는 수면 근처의 부유물을 수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길이가 너무 짧으면 수거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고, 길이가 너무 길면 불필요하게 하천의 유속 저항을 받게 되므로, 약 1 내지 2미터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길이의 증감이 가능하다.
더욱이, 수거부(120)는 수면 아래로 일부 침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침수되는 부분은 3분의 2가 적당하다. 이는 부유물이 수면 근처에서 부유하며, 부유물의 비중에 따라 일부가 수면 아래로 침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거부(120)는 평상시 하천 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거부(120)는 컨베이어 형태로 구성되며, 이동부재(121), 구동모터(122), 구동 스프로킷(123), 종동 스프로킷(124), 체인(125) 및 거름부재(126)를 포함한다. 이때, 수거부(120)는 부력부(140)의 부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거부(120)가 하천의 수면 근처에 위치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수거부(120)가 스프로킷과 체인을 통해 거름부재(126)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풀리와 벨트 등으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이동부재(121)는 가이드(110)의 경사 프레임(114)을 따라 승강하는 사각 프레임으로 저면의 양단 전후마다 한 쌍의 롤러(R)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롤러(R)는 경사 프레임(114)의 대향된 외주면에 한 쌍이 구름 접촉한 상태로 구비되어 이동부재(12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상기 롤러(R)는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수위에 따른 감지신호를 통해 자동으로 수면과 수거부(120)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R)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상하 롤러(R)에 각각 개별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방향은 대칭 방향으로 작용하게 한다.
또한, 상기 롤러(R)는 부력부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부력이 작용하는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구동모터(122)는 이동부재(121)의 수평단 끝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인가 전원에 의해 동력을 제공하며, 설치 위치의 특성상 표면이 방수처리되거나 수중 모터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구동 스프로킷(sprocket: 123)은 구동모터(122)의 구동축에서 연장된 축 선상에 한 쌍이 종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종동 스프로킷(124)은 구동 스프로킷(123)과 평행하면서 이동부재(121)의 반대쪽에 한 쌍이 종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123) 및 종동 스프로킷(124)은 각각 축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축은 별도의 지지부재를 통해 이동부재(121) 상에 지지된다.
체인(125)은 상하 구동 스프로킷(123)의 구동력을 상하 종동 스프로킷(124)에 전달하기 위해 한 쌍이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 체인(125)의 대향면에는 후술할 거름부재(126)의 양 끝단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도면에 미도시)가 등 간격으로 다수 구비된다. 이는 거름부재(126)의 간격(바람직하게는 15~20㎝)을 조절하기 위함으로 설치 수에 따라 상기 거름부재(126)의 간격을 촘촘하게 배열하거나 간격을 두고 배열할 수도 있다.
거름부재(126)는 상하 한 쌍의 체인(125)의 대향면을 따라 설정 간격마다 상호 연결하여 하천의 부유물이 걸리게 하며,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이렇게, 거름부재(126)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걸리게 되는 부유물의 크기 조절 역시 가능하다.
즉, 거름부재(126)는 양 끝단이 상하 체인(125)의 대향면에 설치된 고정부재마다 각각 고정되는 경우 간격이 가장 좁게 되며, 상기 거름부재(126)를 상기 고정부재에 전부 고정시키지 않고 설정 간격마다 고정시키면 상기 거름부재(126)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거름부재(126)는 유속 및 부유물과의 충돌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재질 등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하천 부유물의 걸림 정도를 향상시키는 돌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30)는 수거부(120)의 구동방향 전방에 선단이 위치되어 상기 수거부(120)에서 수거된 부유물을 하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일 예로 컨베이어 등이 이에 적용된다.
한편, 배출부(130)는 하천 내에 선단이 위치되고 양안에 경사진 후단이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수거된 하천 부유물을 하천 외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물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수거부(120)의 구조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부(130)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후단은 하천 양안에서 축 연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축을 기점으로 선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배출부(130)는 선단이 하천 수면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야 하므로 지지된 기둥과 후단을 축으로 연결하여 상기 축이 회전 기점이 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부(130)는 수거부(120)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도 없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부력부(140)는 수거부(120)의 이동부재(121) 하부와, 상기 수거부(120)와 이웃한 배출부(130)의 선단 하부에 각각 다수 설치되어 상기 수거부(120)와 상기 배출부(130)의 선단이 하천의 수면과 설정 높이(하천의 수면 근처)를 유지하도록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다.
또한, 부력부(140)는 내부에 채워진 공기를 통해 부력이 발생하게 할 수도 있고, 다르게는 부력부(140)를 사용하지 않고, 수위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롤러(R)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제어부에서 제어하여 구동력을 통해 인위적으로 수거부(120)와 배출부(130)의 선단에 대한 높낮이를 각각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경사 프레임(114)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수위센서(도면에 미도시)와 유속센서(도면에 미도시), 구동모터(122) 및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수위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여 수거부(120)와 수면과의 높이 조절을 제어할 수 있고, 유속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 구동모터(122)의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는 유속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천 유속을 통해 구동모터(122)의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수거부(120)의 거름부재(126) 이동속도를 하천의 유속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제어부는 거름부재(126)의 회전 속도를 하천의 유속보다 빠르게 제어하여 하천의 부유물이 거름부재(126)의 사이에 끼이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10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하천의 부유물이 감지된 경우 또는 장마철의 집중 호우 등으로 다량의 부유물이 떠내려올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 조작하여 수거부(120)가 롤러(R)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시켜 하강되게 하거나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제거하면 상기 수거부(120)의 하단 일부가 수면 아래로 침수된다.
다음으로, 하천 수면에 하단일 침수된 수거부(120)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구동모터(122)가 구동되고, 상기 구동모터(122)의 구동축이 구동 스프로킷(123)을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123)이 체인(125)을 통해 종동 스프로킷(124)을 연동시키며, 상기 체인(125)의 작동 방향과 직교 방향이면서 등간격으로 연결된 거름부재(126)가 이동하면서 상기 거름부재(126)의 사이에 하천 부유물이 걸리게 된다.
다음으로, 구동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체인(125)에 거름부재(126)가 연결되므로 상기 거름부재(126)의 사이에 하천 부유물이 걸리게 되면서 상기 하천 부유물을 하천과 양안의 경계쪽에 설치된 배출부(130)로 이동시키며, 상기 배출부(130)에서 상기 하천 부유물을 전달받아 하천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하천의 부유물의 제거가 완료되면, 수거부(120)는 롤러(R)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회전시켜 경사 프레임(114)의 상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110: 가이드
120: 수거부 121: 이동부재
122: 구동모터 123: 구동 스프로킷
124: 종동 스프로킷 125: 체인
126: 거름부재 130: 배출부
140: 부력부

Claims (4)

  1. 하천 바닥에서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
    상기 하천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하천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를 따라 경사 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하천의 부유물을 상기 하천의 양안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형 수거부;
    상기 하천 내에 선단이 위치되고 상기 양안에 후단이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에서 수거된 상기 부유물을 상기 하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부; 및
    상기 수거부의 하부와, 상기 수거부와 이웃한 상기 배출부의 선단 하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수거부와 상기 배출부의 선단이 상기 하천의 수면과 설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에 승, 하강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재에 하천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체인이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하고, 체인의 작동 방향과 직교하면서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거름부재에 의해 걸린 부유물이 하천의 양안 일측으로 이동하는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에 양단이 연결된 이동부재의 일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장된 축선상에 설치되는 이격된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평행하면서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에 설치되는 이격된 한 쌍의 종동 스프로킷;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구동력을 상기 종동 스프로킷에 전달하기 위해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 및
    상기 한 쌍의 체인을 설정 간격마다 상호 연결하여 상기 하천의 부유물이 걸리게 하는 거름부재를 포함하는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의 거름부재 이동속도는 상기 하천의 유속보다 빠른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재는 간격이 조절 가능한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KR1020120085036A 2012-08-03 2012-08-03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KR101520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036A KR101520633B1 (ko) 2012-08-03 2012-08-03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036A KR101520633B1 (ko) 2012-08-03 2012-08-03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65A KR20140017965A (ko) 2014-02-12
KR101520633B1 true KR101520633B1 (ko) 2015-05-15

Family

ID=5026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036A KR101520633B1 (ko) 2012-08-03 2012-08-03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221B1 (ko) * 2016-05-30 2016-12-29 주식회사 코엔텍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CN107816023B (zh) * 2017-10-27 2019-09-17 云南迈润环保科技有限公司 水面漂浮物清理装置
CN110258467B (zh) * 2019-06-25 2024-03-12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河流截污装置及其施工方法
CN113262557B (zh) * 2021-05-07 2023-10-27 湖北文理学院 适用于排水沟的活动式拦渣装置
US20240084536A1 (en) * 2022-09-12 2024-03-14 Evolutive Labs Co., Ltd. Waste collection apparatus
CN117684528B (zh) * 2024-01-26 2024-04-30 四川省众诚瀚蓝环保服务有限公司 一种自然水体环保处理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947Y1 (ko) * 2000-05-25 2000-11-01 김해동 자동 스크린식 제진장치
KR200215797Y1 (ko) * 2000-09-28 2001-03-15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하천 부유물 제거기
KR100406506B1 (ko) * 2001-08-27 2003-11-19 차운철 하천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무동력 자동 스크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947Y1 (ko) * 2000-05-25 2000-11-01 김해동 자동 스크린식 제진장치
KR200215797Y1 (ko) * 2000-09-28 2001-03-15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하천 부유물 제거기
KR100406506B1 (ko) * 2001-08-27 2003-11-19 차운철 하천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무동력 자동 스크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65A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633B1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KR102151503B1 (ko)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CN212000966U (zh) 生态修复用河道垃圾收集结构
WO2021014339A1 (en) A system for removal of solid waste from water bodies
JP2015174084A (ja) 汚泥掻寄装置
CN106996124A (zh) 智能水下清淤装置
KR101820284B1 (ko) 절전과 작업 효율이 좋은 제진기
KR101182753B1 (ko) 부유식 고속스크린 장치
CN106621492A (zh) 一种桁车式挖泥机
CN206737007U (zh) 智能水下清淤装置
KR100856851B1 (ko) 침전지의 스컴배출장치
KR100408854B1 (ko)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오니흡입제거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KR200342240Y1 (ko) 침전지의 대차식 슬러지 수집장치
KR20200020041A (ko)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CN202899110U (zh) 折叠式河道垃圾清理机
CN107711682B (zh) 一种索道牵引吸污装置
CN205875110U (zh) 一种水上清污网链输送装置
CN111074868A (zh) 河道水表垃圾收集装置
AU2007100270A4 (en) Screen Cleaner
CN211621517U (zh) 一种港口漂浮类污染物自动清理装置
CN207685807U (zh) 基于清污机的集污系统
CN205995093U (zh) 一种桁车式挖泥机
CN206220076U (zh) 一种打捞渣斗式清污格栅
CN220394478U (zh) 水电站大坝进水口漂浮物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