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041A -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 Google Patents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041A
KR20200020041A KR1020180095248A KR20180095248A KR20200020041A KR 20200020041 A KR20200020041 A KR 20200020041A KR 1020180095248 A KR1020180095248 A KR 1020180095248A KR 20180095248 A KR20180095248 A KR 20180095248A KR 20200020041 A KR20200020041 A KR 20200020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front screen
screen
contaminant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753B1 (ko
Inventor
박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Priority to KR1020180095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7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로터리 제진기는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 용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의 개수로(開水路)를 포함하는 장소에 설치되며, 무한궤도로 주행하면서 유입되는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상부로 인양하여 협잡물 컨베이어에 로딩하여 반출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수류의 흐름 방향에 대해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져 유입되는 협잡물이 걸리는 다수 개의 메인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메인 스크린부와, 상기 메인 스크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프론트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스크린부와; 무한궤도로 주행하면서 상기 스크린부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인양하는 레이크부와; 상기 스크린부와 레이크부가 설치되는 뼈대 역할을 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크부의 레이크 체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로터리 제진기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레이크에 협잡물이 감겨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로 배출되지 못하고 하부로 내려올 때 시계 방향으로 연속 회전하여 감긴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스크린부는 상기 메인 스크린부과 동일한 간격을 가져 상기 레이크의 갈퀴가 지나갈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단부가 상기 메인 스크린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프론트 스크린과, 상기 프론트 스크린의 하단부가 용접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스크린이 수직으로 자립할 수 있게 하는 프론트스크린 베이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로터리 제진기에 따르면 레이크에 연동되는 프론트 스크린부를 설치하여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펌프의 잦은 운전 정지와 빈번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설치하여 연속가동하여 레이크에 협잡물 감겨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로 배출되지 않는 협잡물을 연속으로 제거하여 레이크의 연속적인 운전과 레이크의 고장을 방지하여 로터리 제진기의 운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A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Equipped with Rotating Front Screen Working with Rake and Adulteration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 용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開水路)에 설치되는 제진기의 스크린 하부에 장착되어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스크린을 통해 빠져나가는 방지하기 위하여 수압에 의해 회전되며 메인스크린에 맞물려 스크린 간의 틈을 메워주어 협잡물의 유실을 방지하고 레이크의 운전시 밀어올려 레이크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회전 프론트 스크린과 레이크에 협잡물 감겨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로 배출되지 않는 협잡물을 연속으로 제거는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진기는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 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협잡물(挾雜物), 즉 부유 협잡물을 주 스크린과 일정거리 이격 설치된 전위스크린 의해 거른 다음 지푸라기,나뭇가지, 바인더, 비닐 또는 수초 등의 협잡물을 레이크에 의해 상부로 걷어올려 수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제진기(B)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진기는 수로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61)과, 상기 프레임(61)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62)과, 상기 가이드 레일(62)의 사이에 설치되며 수류와 함께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하여 바닥면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스크린 바를 구비하는 메인스크린(63)과, 상기 메인스크린(63)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어 메인스크린(63)과 바닥면 사이로 통과하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한 전위 스크린(64)과, 상기 메인스크린(63)과 전위 스크린(64) 사이의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메인스크린(63)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는 갈퀴용 레이크(65)와, 상기 갈퀴용 레이크(65)가 메인스크린(63) 상에서 연속 회전하도록 가이드 레일(62)의 안내에 의해 엔드리스 체인(66)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67)와, 상기 엔드리스 체인(66)에 의해 회전되는 갈퀴용 레이크(65)의 원활한 회전과 협잡물의 완벽한 제거를 위해 메인스크린(63)의 상측에 설치되는 에이프런(68)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진기는 수류와 함께 떠내려 오는 협잡물 중 상기 메인스크린(63)의 바 간격보다 작은 협잡물은 수류와 함께 메인스크린(63)의 뒤로 빠져나가도록 하고, 메인스크린(63)의 바 간격보다 큰 협잡물은 메인스크린(63)의 전면에 걸리도록 한 다음, 메인스크린(63)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은 상부에 설치된 구동 모터(67)를 구동시켜 구동 모터와 별도의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스프로켓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갈퀴용 레이크(65)가 장착된 엔드리스 체인(66)이 스크린 (63)의 양 측면에서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메인스크린(63)의 전면에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게 되며, 상기 메인스크린(63)에 의해 걸러져 갈퀴용 레이크(65)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는 협잡물은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엔드리스 체인(66)의 구동에 따라 메인스크린(63)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에이프런(68)에 절곡 형성된 절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메인스크린(63)의 배면에 설치된 별도의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아울러, 전위스크린(64)과 메인스크린(63)의 사이 간극(G)을 통하여 협잡물이 통과하게 되면 하수 처리장, 배수펌프장 등으로 통과된 협잡물이 유입되어 하수처리 및 배수펌프의 설비에 고장은 물론,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제진기의 문제점은 스크린 하부에 장착되어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진개물을 걸러내기 위한 제진기의 전위스크린의 간격이 150mm로 넓어 전위스크린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펌프장으로 협잡물이 넣어가 펌프가 자주 정지되고 또한 펌프의 수명이 단축되어 전위스크린과 메인스크린의 간격이 좁혀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비닐 등의 협잡물이 레이크에 감긴 상태로 운전시 협잡물을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지 못하면 스크린 후단부로 하강하여 수압과 물의 흐름에 의해 협잡물이 펌프 내로 유입되어 펌프 파손의 원인이 되므로, 레이크에 협잡물의 감김 현상 시 이를 감지하는 협잡물 감지장치가 필요하고, 이 협잡물 감지장치는 평상 운전 시에는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협잡물이 감지장치에 감지되었을 시 제거가 필요하므로 갈퀴용 레이크를 역회전할 수 있어야 하며, 감긴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 제거장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도 평상 운전 시에는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08865 (등록일자 : 2003년 03월 14일) 이동식 전위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459660 (등록일자 : 2014년 11월 03일) 승강식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599504 (등록일자 : 2016년 02월 25일) 로터리 제진기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731933 (등록일자 : 2017년 04월 25일) 협잡물의 누출을 방지한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695462 (등록일자 : 2017년 01월 05일)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 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214588 (등록일자 : 2012년 12월 14일) 로터리식 제진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며 고정 프론트스크린과 레이크와 연동하는 회전 프론트스크린을 포함하는 회전 프론트 스크린장치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이크에 협잡물 감긴 협잡물을 연속으로 제거하는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가진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로터리 제진기는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 용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의 개수로(開水路)를 포함하는 장소에 설치되며, 무한궤도로 주행하면서 유입되는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상부로 인양하여 협잡물 컨베이어에 로딩하여 반출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수류의 흐름 방향에 대해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져 유입되는 협잡물이 걸리는 다수 개의 메인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메인 스크린부와, 상기 메인 스크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프론트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스크린부와; 무한궤도로 주행하면서 상기 스크린부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인양하는 레이크부와; 상기 스크린부와 레이크부가 설치되는 뼈대 역할을 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크부의 레이크 체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로터리 제진기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 제진기는 상기 레이크에 협잡물이 감겨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로 배출되지 못하고 하부로 내려올 때 시계 방향으로 연속 회전하여 감긴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크부는 상기 스크린부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하기 위하여 말단에 갈퀴가 형성된 4개 이상의 레이크와; 상기 레이크가 부착되어 상기 레이크를 회전되게 하는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레이크 체인과, 상기 레이크 체인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스프로켓 휠을 가지는 주동축 및 감속기가 부착되며 상기 레이크에 협잡물이 감겨 제거되지 않을 때 상부로 역회전시켜 상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역회전이 가능한 기어드모터를 포함하는 레이크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스크린부는 상기 메인 스크린부과 동일한 간격을 가져 상기 레이크의 갈퀴가 지나갈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단부가 상기 메인 스크린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프론트 스크린과, 상기 프론트 스크린의 하단부가 용접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스크린이 수직으로 자립할 수 있게 하는 프론트스크린 베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스크린은 하단이 상기 프론트스크린 베이스에 하단부가 용접 결합되며 수직으로 직립되어 고정되는 고정 프론트스크린과;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의 상단에 힌지 결합하며, 상기 레이크와 연동하여 상기 레이크가 통과할 때는 상기 레이크에 의해 회전되면서 일정 각도까지 밀어 올려지고, 상기 레이크가 통과하고 나면 수류의 힘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메인 스크린에 상단부가 끼워져 상기 메인 스크린부와 프론트 스크린부의 간극을 없애주는 회전 프론트스크린과; 상기 고정 프론트 스크린과 회전 프론트스크린을 결합시켜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힌지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은 하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바 형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고 수직으로 형성된 하부수직바와; 상기 하부수직바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되지 않도록 곡면을 가지며, 상단에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이 결합되는 상부곡선바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곡선바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에 끼워지는 상부끼움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끼움부의 양면에는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이 회전될 수 있도록 양측이 일정 두께만큼 하부보다 얇아진다.
상기 상부끼움부의 하부는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이 회전할 수 있도록 곡선 형상이다.
상기 상부끼움부의 중앙에는 상기 힌지핀이 끼워지는 상부힌지끼움홀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은 플랫트바 형상으로 접촉시 상기 메인 스크린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PE 또는 PP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의 상부에는 수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메인 스크린에 평형하게 끼워져 상기 메인 스크린의 높이 방향으로 면접촉하도록 상기 메인 스크린의 설치각도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진 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 스크린에 끼워지는 일정 깊이의 상부끼움홈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끼움부가 끼워지며,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역회전방지 끼움홈이 형성된다.
상기 역회전방지 끼움홈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힌지핀이 끼워지는 하부힌지끼움홀이 형성된다.
상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는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협잡물을 제거할 때 레이크의 이빨 간극 사이 및 협잡물 컨베이어의 스커트바 사이로 통과하며, 협잡물 제거시 하부에서 상부로 반복편심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협잡물을 위로 걷어내어 제거하는 협잡물 리무벌부와;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의 양단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반복편심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에 회전축이 형성된 2개의 편심휠과; 상기 회전축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편심휠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된 2개의 지지베어링과; 일측의 상기 편심휠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감속기로 이루어지고, 정역회전을 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거장치 구동부와;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가 일정 높이에서 상기 레이크의 이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지베어링과 제거장치 구동부가 설치되고 베이스가 되는 리무벌디바이스 프레임부로 구성된다.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철로 제작되며 상기 협잡물을 위로 걷어 올리기 쉽게 삼각형 형상의 평철블레이드와 상기 평철블레이드에 연이어 형성되어 자루 역할을 하는 평철블레이드핸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크 이빨 사이와 협잡물 컨베이어의 스커트바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정렬되고, 상기 협잡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걷어내어 제거하는 다수 개의 삼각평철블레이드와; 각각의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의 일단부에 직각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가 상기 편심휠에 결합되어 다수 개가 일체가 되어 반복편심회전운동할 수 있게 하고 각각의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를 일정 간격으로 결합시키는 평철블레이드 회전축과;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의 일정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를 서로 일정 간격으로 결합시켜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와 삼각평철블레이드의 결합을 보강하며,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와 직각을 유지하는 평철블레이드 보강바로 구성된다.
상술한 로터리 제진기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터리 제진기에 따르면 레이크에 연동되는 프론트 스크린부를 설치하여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펌프의 잦은 운전 정지와 빈번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설치하여 연속가동하여 레이크에 협잡물 감겨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로 배출되지 않는 협잡물을 연속으로 제거하여 레이크의 연속적인 운전과 레이크의 고장을 방지하여 로터리 제진기의 운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제진기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따른 전체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따른 전체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따른 플론트 스크린부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프론트 스크린부에 따른 프론트 스크린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프론트 스크린부에 따른 플론트 스크닌 작동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프론트 스크린부에 따른 고정 프론트스크린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프론트 스크린부에 따른 회전 프론트스크린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따른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따른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의 레이크와 스카트바 사이 설치도
도 11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에 따른 협잡물 리무벌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에 따른 삼각평철블레이드 사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기존 제진기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따른 전체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따른 전체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따른 플론트 스크린부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프론트 스크린부에 따른 프론트 스크린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프론트 스크린부에 따른 플론트 스크닌 작동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프론트 스크린부에 따른 고정 프론트스크린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프론트 스크린부에 따른 회전 프론트스크린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따른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에 따른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의 레이크와 스카트바 사이 설치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에 따른 협잡물 리무벌부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의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에 따른 삼각평철블레이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로터리 제진기(A)는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 용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의 개수로(開水路)를 포함하는 장소에 설치되며, 무한궤도로 주행하면서 유입되는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상부로 인양하여 협잡물 컨베이어(B)에 로딩하여 반출할 수 있게 하낟.
상기 로터리 제진기(A)는 수류의 흐름 방향에 대해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져 유입되는 협잡물이 걸리는 다수 개의 메인 스크린(111)으로 이루어진 메인 스크린부(11)와, 상기 메인 스크린부(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프론트 스크린부(12)를 포함하는 스크린부(1)와; 무한궤도로 주행하면서 상기 스크린부(1)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인양하는 레이크부(2)와; 상기 스크린부(1)와 레이크부(2)가 설치되는 뼈대 역할을 하는 메인 프레임(31)과, 상기 메인 프레임(3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크부(2)의 레이크 체인(221)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32)을 포함하는 프레임부(3)와; 상기 로터리 제진기(A)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 제진기는 상기 레이크(21)에 협잡물이 감겨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로 배출되지 못하고 하부로 내려올 때 시계 방향으로 연속 회전하여 감긴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에는 상기 레이크(21)에 상기 협잡물이 감겼을 때를 감지하는 협잡물 감지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4)의 운전은 시계 방향으로 연속 회전하여 감긴 협잡물을 제거하거나, 상기 협잡물 감지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협잡물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레이크(21)를 역회전시켜 일정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 운전하는 간헐적 운전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이크부(2)는 상기 스크린부(1)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하기 위하여 말단에 갈퀴(211)가 형성된 4개 이상의 레이크(21)와; 상기 레이크(21)가 부착되어 상기 레이크(21)를 회전되게 하는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레이크 체인(221)과, 상기 레이크 체인(221)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스프로켓 휠(2221)을 가지는 주동축(222) 및 감속기가 부착되며 상기 레이크(21)에 협잡물이 감겨 제거되지 않을 때 상부로 역회전시켜 상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역회전이 가능한 기어드모터(224)를 포함하는 레이크 구동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로터리 제진기(A)는 상기 프론트 스크린부(12)를 설치하여 상기 메인 스크린부(11)와 프론트 스크린부(12)의 간극을 없애주어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펌프의 잦은 운전 정지와 빈번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4)를 설치하여 상기 레이크(21)에 협잡물 감겨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로 배출되지 않는 협잡물을 연속으로 제거하여 상기 레이크(21)의 연속적인 운전과 레이크(21)의 고장을 방지하여 로터리 제진기(A)의 운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프론트 스크린부(12)는 상기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스크린부(11)과 동일한 간격을 가져 상기 레이크(21)의 갈퀴가 지나갈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단부가 상기 메인 스크린(111)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프론트 스크린(121)과; 상기 프론트 스크린(121)의 하단부가 용접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31)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스크린(121)이 수직으로 자립할 수 있게 하는 프론트스크린 베이스(122)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프론트 스크린(121)은 하단이 상기 프론트스크린 베이스(122)에 하단부가 용접 결합되며 수직으로 직립되어 고정되는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과;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의 상단에 힌지 결합하며, 상기 레이크(21)에 연동되어 상기 레이크(21)가 통과할 때는 상기 레이크(21)에 의해 회전되면서 일정 각도까지 밀어 올려지고, 상기 레이크(21)가 통과하고 나면 수류의 힘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메인 스크린(111)에 상단부가 끼워져 상기 메인 스크린부(11)와 프론트 스크린부(12)의 간극을 없애주는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과;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과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을 결합시켜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힌지핀(1213)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스크린부(12)는 상기 메인 스크린부(11)와 프론트 스크린부(12)의 간극을 없애주어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펌프의 잦은 운전 정지와 빈번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프론트 스크린(121)의 작동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번 작동과 같이 상기 프론트 스크린(121)은 평상시에는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메인 스크린(111)에 끼여있다.
2번 작동과 같이 레이크(21)가 프론트 스크린(121)에 접근하면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가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메인스크린(111)에서 빠지지 시작한다.
3번 작동과 같이 레이크(21)가 프론트 스크린(121)에 통과하면서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회전하여 메인 스크린(111)에서 완전히 빠진다
4번 작동과 같이 레이크(21)가 프론트 스크린(121)에 완전히 통과하면서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완전히 회전하여 최대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은 하단이 상기 프론트스크린 베이스(122)에 하단부가 용접 결합되며 수직으로 직립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은 하단이 상기 프레임부(3)에 고정되며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바 형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고 수직으로 형성된 하부수직바(12111)와; 상기 하부수직바(12111)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가이드 레일(32)에 접촉되지 않도록 곡면을 가지며, 상단에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결합되는 상부곡선바(12112)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곡선바(12112)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에 끼워지는 상부끼움부(12112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끼움부(121121)의 양면에는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회전될 수 있도록 양측이 일정 두께만큼 하부보다 얇아진다.
상기 상부끼움부(121121)의 하부는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회전할 수 있도록 곡선(1211211) 형상이다.
상기 상부끼움부(121121)의 중앙에는 상기 힌지핀(1213)이 끼워지는 상부 힌지핀끼움홀(1211212)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은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의 상단에 힌지 결합하며, 상기 레이크(21)에 연동되어 상기 레이크(21)가 통과할 때는 상기 레이크(21)에 의해 회전되면서 일정 각도까지 밀어 올려지고, 상기 레이크(21)가 통과하고 나면 수류의 힘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메인 스크린(111)에 상단부가 끼워져 상기 메인 스크린부(11)와 프론트 스크린부(12)의 간극을 없애준다.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의 상부에는 수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메인 스크린(111)에 평형하게 끼워져 상기 메인 스크린(111)의 높이 방향으로 면접촉하도록 상기 메인 스크린(111)의 설치각도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진 경사부(12121)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2121)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 스크린(111)에 끼워지는 일정 깊이의 상부끼움홈(12121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끼움부(121121)가 끼워지며,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역회전방지 끼움홈(121212)이 형성된다.
도 8의 황색부분이 상기 역회전방지 끼움홈(121212)이 형성된 부분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까지만 상기 역회전방비 끼움홈(121212)이 형성되어 상기 역회전방비 끼움홈(121212)의 좌측 부분이 상기 상부끼움부(121121)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아 뒤쪽으로 넘어가는 역회전이 일어나지 않아 상기 레이크(21)가 지나갈 때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을 들어올려도 다시 상기 메인 스크린(111) 쪽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메인 스크린(111)과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메인 스크린부(11)와 프론트 스크린부(12) 사이에 틈이 없어서 하부에 깔려 수류와 같이 흐르는 협잡물이 상기 스크린부(1)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상기 역회전방지 끼움홈(121212)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힌지핀(1213)이 끼워지는 하부 힌지핀끼움홀(121212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은 플랫트바 형상으로 접촉시 상기 메인 스크린(111)의 마모를 방지하고, 상기 상부끼움홈(121211)과 역회전방지 끼움홈(121212)을 금형으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또는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 PP)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4)는 상기 레이크(21)에 협잡물이 감겨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로 배출되지 못하고 하부로 내려올 때 시계 방향으로 연속 회전하여 감긴 협잡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4)는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협잡물을 제거할 때 레이크(21)의 이빨 간극 사이 및 협잡물 컨베이어(B)의 스커트바(B1) 사이로 통과하며, 협잡물 제거시 하부에서 상부로 반복편심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협잡물을 위로 걷어내어 제거하는 협잡물 리무벌부(41)와;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의 양단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가 하부에서 상부로 반복편심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에 회전축(421)이 형성된 2개의 편심휠(42)과; 상기 회전축(421)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편심휠(4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된 2개의 지지베어링(43)과; 일측의 상기 편심휠(42)의 회전축(421)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421)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감속기로 이루어지고, 정역회전을 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거장치 구동부(44)와;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가 일정 높이에서 상기 레이크(21)의 이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지베어링(43)과 제거장치 구동부(44)가 설치되고 베이스가 되는 리무벌디바이스 프레임부(45)로 구성된다.
상기 레이크(21)에 감긴 협잡물의 제거방법은 도 10과 같이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의 평철블레이드(4111)가 상기 편심휠(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이크(21)의 이빨 사이와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B)의 스커트바(B1) 사이를 통과하면서 편심회전운동을 하여 위로 계속 걷어내어 상기 스커트바(B1)의 위쪽으로 넘겨서 상기 스커트바(B1)를 타고 아래로 떨어져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B)로 배출된다.
상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4)의 운전은 시계 방향으로 연속 회전하여 감긴 협잡물을 제거하거나, 상기 협잡물 감지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협잡물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레이크(21)를 역회전시켜 일정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 운전하는 간헐적 운전을 할 수도 있다.
상기 협잡물 감지장치는 일정 길이가 상기 레이크의 이빨 간극 사이로 통과하여 평상시 레이크 운전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일단부를 고정점으로 하여 일정 각도로 움직여 상기 레이크에 협잡물이 감겨 있으면 협잡물에 의해 눌려져 하부로 움직이는 협잡물 눌림부와; 상기 협잡물 눌림부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 눌림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협잡물 눌림부를 평상시에는 감지하고 있다가 상기 협잡물 눌림부가 하부로 내려가 감지하지 못할 때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감지센서와; 인장 탄성변형에 의해 평상시에는 상기 협잡물 눌림부가 인장력에 의해 위로 올라가 있게 하고, 상기 레이크에 협잡물이 감겨 있으면 상기 레이크의 회전으로 상기 협잡물 눌림부를 눌러 상기 협잡물 눌림부가 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압축탄성변형을 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과; 상기 협잡물 눌림부의 일단부의 피벗힌지 역할을 하게 상기 협잡물 눌림부의 일단부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협잡물 눌림부가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된 2개소의 지지베어링과; 상기 협잡물 눌림부가 일정 높이에서 상기 레이크의 이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감지센서와, 스프링 및 지지베어링가 설치되고 베이스가 되는 감지장치 프레임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일정 검출거리를 가져 상기 협잡물 눌림부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비접촉 타입의 근접센서이다.
상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4)는 상기 레이크(21)에 협잡물 감겨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로 배출되지 않는 협잡물을 연속으로 제거하여 상기 레이크(21)의 연속적인 운전과 레이크(21)의 고장을 방지하여 로터리 제진기(A)의 운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는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협잡물을 제거할 때 레이크(21)의 이빨 간극 사이 및 협잡물 컨베이어(B)의 스커트바(B1) 사이로 통과하며, 협잡물 제거시 하부에서 상부로 반복편심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협잡물을 위로 걷어내어 제거한다.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철로 제작되며 상기 협잡물을 위로 걷어 올리기 쉽게 삼각형 형상의 평철블레이드(4111)와 상기 평철블레이드(4111)에 연이어 형성되어 자루 역할을 하는 평철블레이드핸들(4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크(21) 이빨 사이와 협잡물 컨베이어(B)의 스커트바(B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정렬되고, 상기 협잡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걷어내어 제거하는 다수 개의 삼각평철블레이드(411)와; 각각의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의 일단부에 직각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 제거부(41)가 상기 편심휠(42)에 결합되어 다수 개가 일체가 되어 반복편심회전운동할 수 있게 하고 각각의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를 일정 간격으로 결합시키는 평철블레이드 회전축(412)과;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의 일정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를 서로 일정 간격으로 결합시켜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와 삼각평철블레이드(411)의 결합을 보강하며,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와 직각을 유지하는 평철블레이드 보강바(413)로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는 상기 레이크(21) 이빨 사이와 협잡물 컨베이어(B)의 스커트바(B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정렬되고, 상기 협잡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걷어내어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철로 제작되며 상기 협잡물을 위로 걷어 올리기 쉽게 삼각형 형상의 평철블레이드(4111)와, 상기 평철블레이드(4111)에 연이어 형성되어 자루 역할을 하는 평철블레이드핸들(4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크(21) 이빨 사이와 협잡물 컨베이어(B)의 스커트바(B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정렬되고, 상기 협잡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걷어내어 제거한다.
상기 블레이드핸들(4112)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여 용접결합되는 회전축 결합홀(41121)이 형성된다.
부언하면, 상기 레이크(21)에 감긴 협잡물의 제거방법은 도 10과 같이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의 평철블레이드(4111)가 상기 편심휠(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이크(21)의 이빨 사이와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B)의 스커트바(B1) 사이를 통과하면서 편심회전운동을 하여 위로 계속 걷어내어 상기 스커트바(B1)의 위쪽으로 넘겨서 상기 스커트바(B1)를 타고 아래로 떨어져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B)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상기 로터리 제진기(A)는 상기 프론트 스크린부(12)를 설치하여 상기 메인 스크린부(11)와 프론트 스크린부(12)의 간극을 없애주어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펌프의 잦은 운전 정지와 빈번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4)를 설치하여 상기 레이크(21)에 협잡물 감겨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로 배출되지 않는 협잡물을 연속으로 제거하여 상기 레이크(21)의 연속적인 운전과 레이크(21)의 고장을 방지하여 로터리 제진기(A)의 운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A : 로터리 제진기 B : 협잡물 컨베이어
B1 : 스커트바 C : 펌프장 구조물
C1 : 배수펌프
1 : 스크린부 11 : 메인 스크린부
111 : 메인 스크린 12 : 프론트 스크린부
121 : 프론트 스크린 1211 : 고정 프론트스크린
12111 : 하부수직바 12112 : 상부곡선바
121121 : 곡선부 121121 : 상부끼움부
1211211 : 곡선 1211212 : 상부 힌지핀끼움홀
1212 : 회전 프론트스크린 12121 : 경사부
121211 :상부끼움홈 121212 : 역회전방지 끼움홈
1212121 : 하부 힌지핀끼움홀 1213 : 힌지핀
122 : 프론트스크린 베이스
2 : 레이크부
21 : 레이크 211 : 갈퀴
22 : 레이크 구동부 221 : 레이크 체인
222 : 주동축 2221 : 스프로켓 휠
223 : 종동축 224 : 기어드모터
3 : 프레임부
31 : 메인 프레임 32 : 가이드 레일
4 :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
41 : 협잡물 리무벌부 411 : 삼각평철블레이드
4111 : 평철블레이드 4112 : 평철블레이드핸들
41121 : 회전축 결합홀 412 : 평철블레이드 회전축
413 : 평철블레이드 보강바 42 : 편심휠
421 : 회전축 43 : 지지베어링
44 : 제거장치 구동부 441 : 모터
442 : 기어
5 : 제어부
7 : 기존제진기 71 : 프레임
72 : 가이드 레일 73 : 메인스크린
74 : 전위 스크린 75 : 갈퀴용 레이크
76 : 엔드리스 체인 77 : 모터
771 : 주종축 772 : 종동축
78 : 에이프런

Claims (6)

  1.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 용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의 개수로(開水路)를 포함하는 장소에 설치되며, 무한궤도로 주행하면서 유입되는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상부로 인양하여 협잡물 컨베이어(B)에 로딩하여 반출할 수 있게 하는 로터리 제진기(A)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제진기(A)는 수류의 흐름 방향에 대해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져 유입되는 협잡물이 걸리는 다수 개의 메인 스크린(111)으로 이루어진 메인 스크린부(11)와, 상기 메인 스크린부(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프론트 스크린부(12)를 포함하는 스크린부(1)와;
    무한궤도로 주행하면서 상기 스크린부(1)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인양하는 레이크부(2)와;
    상기 스크린부(1)와 레이크부(2)가 설치되는 뼈대 역할을 하는 메인 프레임(31)과, 상기 메인 프레임(3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크부(2)의 레이크 체인(221)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32)을 포함하는 프레임부(3)와;
    상기 로터리 제진기(A)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이크부(2)는 상기 스크린부(1)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하기 위하여 말단에 갈퀴(211)가 형성된 4개 이상의 레이크(21)와;
    상기 레이크(21)가 부착되어 상기 레이크(21)를 회전되게 하는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레이크 체인(221)과, 상기 레이크 체인(221)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스프로켓 휠(2221)을 가지는 주동축(222) 및 감속기가 부착되며 상기 레이크(21)에 협잡물이 감겨 제거되지 않을 때 상부로 역회전시켜 상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역회전이 가능한 기어드모터(224)를 포함하는 레이크 구동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스크린부(12)는 상기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류와 함께 흘러가는 협잡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스크린부(11)과 동일한 간격을 가져 상기 레이크(21)의 갈퀴가 지나갈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단부가 상기 메인 스크린(111)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프론트 스크린(121)과;
    상기 프론트 스크린(121)의 하단부가 용접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31)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스크린(121)이 수직으로 자립할 수 있게 하는 프론트스크린 베이스(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스크린(121)은 하단이 상기 프론트스크린 베이스(122)에 하단부가 용접 결합되며 수직으로 직립되어 고정되는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과;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의 상단에 힌지 결합하며, 상기 레이크(21)에 연동되어 상기 레이크(21)가 통과할 때는 상기 레이크(21)에 의해 회전되면서 일정 각도까지 밀어 올려지고, 상기 레이크(21)가 통과하고 나면 수류의 힘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메인 스크린(111)에 상단부가 끼워져 상기 메인 스크린부(11)와 프론트 스크린부(12)의 간극을 없애주는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과;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과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을 결합시켜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힌지핀(1213)으로 구성되는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은 하단이 상기 프레임부(3)에 고정되며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바 형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고 수직으로 형성된 하부수직바(12111)와;
    상기 하부수직바(12111)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가이드 레일(32)에 접촉되지 않도록 곡면을 가지며, 상단에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결합되는 상부곡선바(12112)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곡선바(12112)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에 끼워지는 상부끼움부(1211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끼움부(121121)의 양면에는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회전될 수 있도록 양측이 일정 두께만큼 하부보다 얇아지며,
    상기 상부끼움부(121121)의 하부는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회전할 수 있도록 곡선(1211211)이 형상이며,
    상기 상부끼움부(121121)의 중앙에는 상기 힌지핀(1213)이 끼워지는 상부 힌지핀끼움홀(12112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은 플랫트바 형상으로 접촉시 상기 메인 스크린(111)의 마모를 방지하고,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또는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 PP)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의 상부에는 수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메인 스크린(111)에 평형하게 끼워져 상기 메인 스크린(111)의 높이 방향으로 면접촉하도록 상기 메인 스크린(111)의 설치각도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진 경사부(1212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2121)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 스크린(111)에 끼워지는 일정 깊이의 상부끼움홈(12121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끼움부(121121)가 끼워지며, 상기 회전 프론트스크린(1212)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역회전방지 끼움홈(121212)이 형성되고,
    상기 역회전방지 끼움홈(121212)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 프론트스크린(1211)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힌지핀(1213)이 끼워지는 하부 힌지핀끼움홀(1212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제진기는 상기 레이크(21)에 협잡물이 감겨 상기 협잡물 컨베이어로 배출되지 못하고 하부로 내려올 때 시계 방향으로 연속 회전하여 감긴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4)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4)는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협잡물을 제거할 때 레이크(21)의 이빨 간극 사이 및 협잡물 컨베이어(B)의 스커트바(B1) 사이로 통과하며, 협잡물 제거시 하부에서 상부로 반복편심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협잡물을 위로 걷어내어 제거하는 협잡물 리무벌부(41)와;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의 양단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가 하부에서 상부로 반복편심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에 회전축(421)이 형성된 2개의 편심휠(42)과;
    상기 회전축(421)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편심휠(4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된 2개의 지지베어링(43)과;
    일측의 상기 편심휠(42)의 회전축(421)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421)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감속기로 이루어지고, 정역회전을 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거장치 구동부(44)와;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가 일정 높이에서 상기 레이크(21)의 이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지베어링(43)과 제거장치 구동부(44)가 설치되고 베이스가 되는 리무벌디바이스 프레임부(45)로 구성되는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철로 제작되며 상기 협잡물을 위로 걷어 올리기 쉽게 삼각형 형상의 평철블레이드(4111)와 상기 평철블레이드(4111)에 연이어 형성되어 자루 역할을 하는 평철블레이드핸들(4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크(21) 이빨 사이와 협잡물 컨베이어(B)의 스커트바(B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정렬되고, 상기 협잡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걷어내어 제거하는 다수 개의 삼각평철블레이드(411)와;
    각각의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의 일단부에 직각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 리무벌부(41)가 상기 편심휠(42)에 결합되어 다수 개가 일체가 되어 반복편심회전운동할 수 있게 하고 각각의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를 일정 간격으로 결합시키는 평철블레이드 회전축(412)과;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의 일정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를 서로 일정 간격으로 결합시켜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와 삼각평철블레이드(411)의 결합을 보강하며, 상기 삼각평철블레이드(411)와 직각을 유지하는 평철블레이드 보강바(4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KR1020180095248A 2018-08-16 2018-08-16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KR102093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48A KR102093753B1 (ko) 2018-08-16 2018-08-16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48A KR102093753B1 (ko) 2018-08-16 2018-08-16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41A true KR20200020041A (ko) 2020-02-26
KR102093753B1 KR102093753B1 (ko) 2020-04-23

Family

ID=6963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248A KR102093753B1 (ko) 2018-08-16 2018-08-16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7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576B1 (ko) * 2020-06-30 2020-09-01 최두환 로터리 제진기의 보조스크린 협잡물 여과시스템
CN111560845B (zh) * 2020-05-22 2021-11-26 黑龙江省公路勘察设计院 一种公路桥梁桥面排水设施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865Y1 (ko) 2002-12-31 2003-03-28 주식회사 미래종합이엔지 이동식 전위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20090103216A (ko)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JP2010121313A (ja) * 2008-11-18 2010-06-03 Nitto Kasen Kogyo Kk 除塵機
KR101214588B1 (ko) 2012-06-26 2012-12-24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로터리식 제진기
KR20130011254A (ko) * 2011-07-21 2013-01-30 김이수 수직 개폐형 로터리 제진기
KR101459660B1 (ko) 2014-07-22 2014-11-20 정근수 승강식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101599504B1 (ko) 2013-08-20 2016-03-09 주식회사신화기공 로터리 제진기
KR101695462B1 (ko) 2016-03-24 2017-01-23 주식회사 가온텍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
KR101731933B1 (ko) 2017-02-10 2017-05-02 이상민 협잡물의 누출을 방지한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KR101886651B1 (ko) * 2018-02-05 2018-08-09 (주)금아 로터리식 제진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865Y1 (ko) 2002-12-31 2003-03-28 주식회사 미래종합이엔지 이동식 전위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20090103216A (ko)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JP2010121313A (ja) * 2008-11-18 2010-06-03 Nitto Kasen Kogyo Kk 除塵機
KR20130011254A (ko) * 2011-07-21 2013-01-30 김이수 수직 개폐형 로터리 제진기
KR101214588B1 (ko) 2012-06-26 2012-12-24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로터리식 제진기
KR101599504B1 (ko) 2013-08-20 2016-03-09 주식회사신화기공 로터리 제진기
KR101459660B1 (ko) 2014-07-22 2014-11-20 정근수 승강식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101695462B1 (ko) 2016-03-24 2017-01-23 주식회사 가온텍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
KR101731933B1 (ko) 2017-02-10 2017-05-02 이상민 협잡물의 누출을 방지한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KR101886651B1 (ko) * 2018-02-05 2018-08-09 (주)금아 로터리식 제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0845B (zh) * 2020-05-22 2021-11-26 黑龙江省公路勘察设计院 一种公路桥梁桥面排水设施
KR102150576B1 (ko) * 2020-06-30 2020-09-01 최두환 로터리 제진기의 보조스크린 협잡물 여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753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812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101390257B1 (ko) 로터리 제진기
CN109610621B (zh) 一种下水道主动防堵箅子
KR101099431B1 (ko) 로타리 제진기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KR101893203B1 (ko)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KR101666028B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2161407B1 (ko)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KR101906201B1 (ko) 레이크에 감긴 협잡물의 감지장치 및 제거장치를 갖춘 로터리 제진기
KR101373531B1 (ko) 협잡물 찌꺼기 자동제거유닛을 갖는 로터리식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20200020041A (ko)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KR101427980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1599504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140017965A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KR101599999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439225B1 (ko) 수로 개폐형 협잡물 제진장치
KR101820284B1 (ko) 절전과 작업 효율이 좋은 제진기
KR101403773B1 (ko) 제진기 틈새로 유입되는 잔존협잡물 차단기능을 구비한 자동제진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101824663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2221382B1 (ko) 각종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제진기
JP3073924B2 (ja) 除塵装置
KR101427981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2152401B1 (ko)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