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431B1 - 로타리 제진기 - Google Patents

로타리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431B1
KR101099431B1 KR1020110035005A KR20110035005A KR101099431B1 KR 101099431 B1 KR101099431 B1 KR 101099431B1 KR 1020110035005 A KR1020110035005 A KR 1020110035005A KR 20110035005 A KR20110035005 A KR 20110035005A KR 101099431 B1 KR101099431 B1 KR 10109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creen
rake
potential screen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식
Original Assignee
금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전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5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타리 제진기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전위스크린의 전면에 퇴적되는 협잡물을 레이크의 회전반경 영역 안으로 안내하여 개수로 바닥면 가까이 침강되어 진입하는 협잡물을 완벽히 수거하고, 레이크에 가해지는 고 하중으로부터 부품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로타리 제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다수개의 수직격판을 구비하는 메인스크린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을 무한궤도형 체인에 설치된 다수개의 레이크를 이용하여 상부로 들어올려 수거하는 로타리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크린의 하단 전면부까지 연장 형성된 양쪽 상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축 결합되어, 상기 메인스크린의 하단 전면부를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의 선단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형 전위스크린;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형 전위스크린의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개수로의 바닥면에서 전후 직선 이동하는 이동대; 및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의 전방 바닥면에 배치되며, 전방 일측이 바닥면과 힌지 결합되고 배면 타측이 상기 이동대의 선단으로부터 지지대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대의 전후 직선이동과 연동하여 힌지를 중심을 회전하는 부상판으로 구성된 로타리 제진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로타리 제진기{Rotary type trash remover}
본 발명은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스크린과 전위스크린의 사이 공간 및 개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로 진입하는 협잡물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는 로타리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진기는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하수 처리장, 관계용 수로 등 다양한 개수로에 설치되어, 수류에 포함된 협잡물을 수로의 상부로 끌어올려 제거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종래 로타리 제진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 제진기는, 개수로의 좌우 폭 방향으로 양쪽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2)과 이 고정프레임(2) 사이에 수류의 흐름방향에 대해 바닥면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격판(3)으로 이루어진 메인스크린(1)과; 상기 고정프레임(2)의 상단과 하단에 축설된 스프라켓에 연결되는 무한궤도형 체인(4)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레이크(5)와; 상기 체인(4)이 연결된 구동축(7)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메인스크린(1)의 전방 하단과 바닥면 사이로 통과하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상기 메인스크린(1)의 수직격판(3)과 나란한 다수의 수직격판(91)을 갖는 전위스크린(9)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로타리 제진기는, 수류와 함께 떠내려 오는 협잡물 중 상기 수직격판(3)(91)의 간격보다 작은 협잡물은 수류와 함께 스크린(1)(9)의 뒤로 빠져나가도록 하고, 수직격판(3)(91)의 간격보다 큰 협잡물은 스크린(1)(9)의 전면에 걸리도록 한 다음, 스크린(1)(9)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은 구동장치(6)의 작동으로 연속 회전하는 체인(4)에 고정된 레이크(5)에 의하여 스크린(1)(9)의 수직격판(3)(91)의 전면에 걸러진 협잡물을 상부로 들어올려 제거하게 되며, 메인스크린(1)의 상부로 올려진 협잡물은 메인스크린(1)의 배면에 설치된 배출 컨베이어(8)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제진기는 목재 등과 같은 대형 협잡물(퇴적물)은 수류 와 함께 이동하며 바닥면에 가까이 침강된 상태로 제진기를 향해 진입하게 되며, 이렇게 제진기의 하부에 쌓이는 퇴적물은 제진기의 손상의 원인이 된다.
아울러, 이렇게 바닥면에 가까이 침강된 상태로 제진기를 향해 진입하는 협잡물은 상기 전위스크린(9)의 전면에 걸려진 상태에서 퇴적된 상태를 고수하여 메인스크린(1)의 전면을 향해 이동하는 레이크(5)의 회전반경 영역 안으로 이송되지 못해 원활히 수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결국, 이렇게 전위스크린(9)의 전면에 장시간 퇴적된 협잡물은 전위스크린(9)과 메인스크린(1)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어 수직격판(3)(91)에 의하여 걸려지지 못하고 제진기를 통과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전위스크린(9)의 전면에 장시간 퇴적된 협잡물이 차후 레이크(5)의 회전반경 영역까지 퇴적된 상태를 이루게 될 경우에는 레이크(5)에 큰 하중이 가해져 레이크(5)를 파손시키거나 혹은 구동장치(6)에 과부하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위스크린의 메인스크린의 사이공간으로 협잡물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전위스크린의 전면에 퇴적되는 협잡물을 레이크의 회전반경 영역 안으로 안내하여 개수로 바닥면 가까이 침강되어 진입하는 협잡물을 완벽히 수거할 수 있으며, 레이크에 가해지는 고 하중으로부터 부품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로타리 제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다수개의 수직격판을 구비하는 메인스크린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을 무한궤도형 체인에 설치된 다수개의 레이크를 이용하여 상부로 들어올려 수거하는 로타리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크린의 하단 전면부까지 연장 형성된 양쪽 상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축 결합되어, 상기 메인스크린의 하단 전면부를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의 선단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형 전위스크린;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형 전위스크린의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개수로의 바닥면에서 전후 직선 이동하는 이동대; 및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의 전방 바닥면에 배치되며, 전방 일측이 바닥면과 힌지결합되고 배면 타측이 상기 이동대의 선단으로부터 지지대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대의 전후 직선이동과 연동하여 힌지를 중심을 회전하는 부상판;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은, 바닥면으로부터 메인스크린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스크린의 하단 전면부를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의 선회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레이크의 선단을 측면 사이공간으로 수용하는 격판부; 및 상기 수직부와 격판부의 연결부위에는 레이크의 선단이 밀착 지지되는 볼록 형상된 가압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식 제진기.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부터 본 발명은 레이크의 이동을 구동력으로 하여 레이크에 밀착되어 간헐적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는 회전형 전위스크린에 의하여 전위스크린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이 해당 전위스크린을 지나치는 레이크의 상면으로 자연스레 유도되어 전위스크린의 전면에 협잡물의 퇴적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형 전위스크린과 연동하여 간헐적으로 상승하는 부상판을 통하여 전위스크린의 전방부근에 퇴적된 협잡물이나 혹은 바닥 가까이 침강된 상태에서 전위스크린을 향해 진입하는 협잡물을 순간적으로 상승(부유)시켜 메인스크린의 전면으로 진입하는 레이크의 회전반경 영역 안으로 협잡물을 이송시켜 바닥 가까이 침강된 상태로 진입하는 협잡물이 퇴적되어 정체됨 없이 원활히 수거할 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형 전위스크린과 연동하여 간헐적으로 상승하는 부상판을 통하여 메인스크린의 하단 전면부로 레이크가 진입하는 시점에 맞추어 해당 레이크의 회전반경 영역 상면으로 매번 적정량의 협잡물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레이크에 가해지는 균일하지 못한 하중으로부터 레이크가 파손되거나 구동장치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등의 장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개개의 레이크에 의하여 수거되는 협잡물의 량을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어 수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로타리 제진기의 일예
도 2는 도 1에 의한 로타리 제진기의 부분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로타리 제진기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위스크린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위스크린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로타리 제진기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부분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부분 예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로타리 제진기는, 기본적으로 수류 내 포함된 협잡물을 거르기 위한 메인스크린(1)과, 이 메인스크린(1) 상에 걸러진 협잡물을 개수로 외부(상부)로 취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폐순환 회전하는 체인(4) 상에 결합된 레이크(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스크린(1)은 개수로의 양쪽 벽면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과, 이 고정프레임(2) 사이에 설치되어 수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격판(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이크(5)는 상기 양쪽 고정프레임(2)의 상 하단에 축설된 구동축(7)과 피동축에 스프라켓을 매개로 연결된 무한궤도형 체인(4)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 구성된다.
결국, 구동장치(6)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체인(4)상에 설치된 레이크(5)는 메인스크린(1)의 전면과 배면을 반복하여 폐순환하며, 메인스크린(1)의 수직격판(3) 전면에 걸러지는 협잡물을 메인스크린(1)의 상부로 연속하여 들어올리고 메인스크린(1)의 상부 배면에 설치되는 배출 컨베이어(8)를 통하여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이크(5)는 회전반경(S) 영역을 확보할 수 있게 수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띄어진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데, 본 발명 또한 종래 제진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로의 바닥면과 메인스크린(1)의 전면 하부 사이공간으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차단하기 위한 전위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전위스크린이 설치되는 개수로의 바닥면과 메인스크린의 사이 공간에 대하여 바닥면 가까이 침강되어 제진기를 향해 진입하는 협잡물에 대한 원활한 제거를 구현하기 위한 제진기의 하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제진기에는 회전형 전위스크린(10)과, 이동대(20), 및 부상판(30)이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은 종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를 이루는 고정식 전위스크린(9:도 1 참조)이 아닌 양쪽 상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축(11)결합된 회전형 전위스크린(1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은, 바닥면의 이동대(20)와 결합되어 메인스크린(1)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수직부(12)와, 상기 수직부(12)로부터 연장되어 메인스크린(1)의 하단 전면부를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5)의 선회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레이크(5)의 선단을 사이 공간으로 안내 수용하는 격판부(14), 및 상기 수직부(12)와 격판부(14)의 연결부위에는 레이크(5)의 선단에 밀착 지지되게 볼록 형상된 가압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이동대(20)는, 바닥면에 형성된 레일(21)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회전정도(각운동)에 대응하여 바닥면의 레일(21)을 따라 전후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회전운동(각운동)과 연동하여 이동대(20)가 바닥면의 레일(21)을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수직부(12) 하단과 이동대(20)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각운동에 대한 수직성분을 상쇄시킬 수 있게 힌지축이 수직방향의 장공 내 축설되도록 한다.
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대(20)는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좌우 양쪽 단에 2개소로 설치 구성되고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달리 제진기의 사양(수로 폭)에 따라 전위스크린(10)과 부상판(30)의 좌우방향으로 다수개로 설치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부상판(30)은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전방 바닥면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가까이 침강되어 제진기로 진입하는 협잡물을 레이크(5)의 회전반경 영역 안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선단 한쪽이 바닥면에 힌지(31)결합되고 배면 일측이 상기 이동대(20)의 선단과 지지대(25)로 결합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대(25)는 양쪽 단은 이동대(20)와 부상판(30)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동대(20)의 전방이동과 연동하여 부상판(30)의 배면을 밀어 올리며 결국 힌지(31)를 중심으로 부상판(30)을 회전 상승시키게 된다.
미 설명부호 '34'는 부상판(30)의 전, 후단에 설치된'유연성 실링부재'로써, 부상판(30)의 선단에 설치되는 힌지(31)연결부에 협잡물이 유입 퇴적되어 기계적인 결함발생을 초래하는 것을 예방하고, 부상판(30)의 후단과 전위스크린(10)을 연결하여 부상판(30)과 전위스크린(10)의 사이공간으로 협잡물이 유입 퇴적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한다.
또, 이러한 부상판(30) 후단의 최대높이, 즉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볼록 형상된 가압부(13)의 최대변위부에 레이크(5)의 선단이 밀착되는 순간, 부상판(30)의 후단은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가압부(13) 높이보다 적어도 높게 유지되도록 함이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 중인 레이크(5)의 선단이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가압부(13)를 가압하여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은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각운동)하고, 이후 계속된 레이크(5)의 회전으로 인하여 해당 레이크(5)의 선단이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가압부(13)를 지나 격판부(14)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되는 순간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은 자중 및 수압에 의하여 다시 반대로 회전하며 자연스레 원위치 복귀된다. 마찬가지 회전형 전위스크린(10)과 연동하여 바닥면으로부터 힌지(31)를 중심으로 회전 상승한 부상판(30) 역시 자중 및 수압에 의하여 다시 반대로 회전하며 자연스레 원위치 복귀된다.
이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닥면의 레일(21)에 안착된 이동대(20)를 제진기의 후방으로 가압 지지하는 탄성가압부재(22)를 설치 구성할 수 있다. 즉, 회전 중인 레이크(5)가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가압부(13)를 가압하여 회전형 전위스크린(10), 이동대(20), 부상판(30)을 이동시키고, 이후 해당 레이크(5)가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격판부(14) 사이로 진입되는 순간 부상판(30), 이동대(20), 전위스크린(10)이 모두 신속하게 정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을 향하는 다음 레이크(5)의 진입 시 항상 안정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진기의 구동장치(6)를 작동시켜 레이크(5)를 이동시키면, 메인스크린(1)의 하단 전면부를 돌아 나가는 레이크(5)의 선단이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가압부(13)를 가압하고, 이와 동시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은 상부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하단이 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은 레이크(5)가 가압부(13)를 가압함 동시에 상부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하단이 전방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순간 회전 작용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놓여지는 전위스크린(10)의 수직부(12) 및 격판부(14)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이 가압부(13)를 지나는 레이크(5)의 회전반경(S) 영역 상면으로 자연스레 유도된다.
또, 레이크(5)에 의하여 회전 중인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은 자중, 수압 혹은 탄성가압부재(22)에 의한 복귀력에 의하여 볼록 형상된 가압부(13)와 레이크(5)의 선단을 항상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고 , 이로 인하여 회전형 전위스크린(10)과 레이크(5)의 사이공간으로 협잡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 상기 회전 중인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하단에 결합된 이동대(20)는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21)을 따라 전방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또, 상기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대(20)의 직선운동과 연동하여 배면 일측이 상기 이동대(20)의 선단과 지지대(25)로 연결 설치된 부상판(30)은 바닥면의 힌지(31)결합부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승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부상판(30)의 회전 상승작용과 함께 부상판(30)의 상면에 퇴적된 상태를 이루거나 혹은 부상판(30)의 상면 가까이 침강된 상태로 전위스크린(10)을 향해 진입하는 협잡물은 순간 소정높이로 부유된다.
즉, 레이크(5)의 선단이 전위스크린(10)의 가압부(13)의 최대변위점에 지지되는 순간 부상판(30)은 최대높이로 상승 회전되어, 전위스크린(10)을 지나고 있는 해당 레이크(5)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로 협잡물을 부유시키게 된다.
결국, 부상판(30)을 통하여 부유된 협잡물은 전위스크린(10)의 가압부(13)를 지나 전위스크린(10)의 격판부(14) 사이로 진입한 해당 레이크(5)의 상부 영역에 협잡물을 위치시키게 되며, 이러한 협잡물은 레이크(5)에 의하여 메인스크린(1)의 수직격판(3)을 지나 상부로 수거된다.
계속해서, 상기 레이크(5)가 전위스크린(10)의 가압부(13)를 지나치게 되면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은 자중, 수압 혹은 탄성가압부재(22)에 의한 복귀력에 의하여 반대로 회전하여 다시 최초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반대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하단에 결합된 이동대(20)는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21)을 따라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최초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이동대(20)의 반대 직선운동과 연동하여 이동대(20)의 선단과 지지대(25)로 연결된 부상판(30)은 힌지(31)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 하강하여 최초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메인스크린(1)의 하단 전면부를 돌아 나가는 다음 레이크(5)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회전형 전위스크린(10), 이동대(20) 및 부상판(30)의 간헐적인 작동이 반복적으로 구현된다.
결국 본 발명은 메인스크린(1)의 하단 전면부를 돌아 나가며 협잡물을 수거하기 위하여 진입하는 해당 레이크(5)의 진입시점과 동시에 부상판(30)을 이용하여 바닥면에 퇴적된 협잡물이나 혹은 바닥면 가까이 침강된 상태로 제진기를 향해 진입하는 협잡물을 부유시키게 되고, 또한 적정량의 협잡물을 해당 레이크(5)의 회전반경(S) 상부 영역으로 균등하게 공급하여 줌으로써 각 레이크(5)에 가해지는 불균일한 하중분포를 해소하여 레이크 및 구동장치의 손상과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메인스크린 (2) : 고정프레임
(3) : 수직격판 (4) : 체인
(5) : 레이크 (6) : 구동장치
(10) : 회전형 전위스크린 (12) : 수직부
(13) : 가압부 (14) : 격판부
(20) : 이동대 (21) : 레일
(22) : 탄성가압부재 (25) : 지지대
(30) : 부상판 (S) : (레이크)의 회전반경

Claims (5)

  1. 고정프레임(2)의 사이에 다수개의 수직격판(3)을 구비하는 메인스크린(1)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을 무한궤도형 체인(4)에 설치된 다수개의 레이크(5)를 이용하여 상부로 들어올려 수거하는 로타리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크린(1)의 하단 전면부까지 연장 형성된 양쪽 상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축(11)결합되어, 상기 메인스크린(1)의 하단 전면부를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5)의 선단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형 전위스크린(10);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형 전위스크린의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개수로의 바닥면에서 전후 직선 이동하는 이동대(20); 및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전방 바닥면에 배치되며, 전방 일측이 바닥면과 힌지(31)결합되고 배면 타측이 상기 이동대(20)의 선단으로부터 지지대(25)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대(20)의 전후 직선이동과 연동하여 힌지(31)를 중심을 회전하는 부상판(30);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은, 바닥면으로부터 메인스크린(1)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수직부(12)와;
    상기 수직부(1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스크린(1)의 하단 전면부를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5)의 선회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레이크(5)의 선단을 측면 사이공간으로 수용하는 격판부(14); 및
    상기 수직부(12)와 격판부(14)의 연결부위에는 레이크(5)의 선단이 밀착 지지되는 볼록 형상된 가압부(1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제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30)는 전위스크린(10)의 후방을 향해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제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판(30)의 최대 회전 상승된 후단의 높이는, 상기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의 가압부(13)에 밀착 지지된 레이크(5)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제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판(30)의 후단과 회전형 전위스크린(10)을 연결하는 유연성 실링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제진기.
KR1020110035005A 2011-04-15 2011-04-15 로타리 제진기 KR10109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005A KR101099431B1 (ko) 2011-04-15 2011-04-15 로타리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005A KR101099431B1 (ko) 2011-04-15 2011-04-15 로타리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431B1 true KR101099431B1 (ko) 2011-12-27

Family

ID=4550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005A KR101099431B1 (ko) 2011-04-15 2011-04-15 로타리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431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773B1 (ko) * 2013-01-14 2013-02-25 주식회사삼영이앤티 로터리 제진기
KR101351276B1 (ko) * 2013-05-30 2014-01-15 성우산업 주식회사 레이크의 인양 사각을 줄인 제진기
KR101365038B1 (ko) 2013-09-10 2014-02-21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협잡물 처리용 로타리 제진기
KR101513599B1 (ko) * 2013-04-25 2015-04-22 원훈희 로터리 제진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KR101673320B1 (ko) * 2016-08-23 2016-11-08 (주)효성엔바이로 탄성지지력 및 감지 중량 조절 기술이 적용된 평면 스크린 장치
KR101887831B1 (ko) * 2017-11-29 2018-09-10 최병천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WO2019007633A1 (de) * 2017-07-04 2019-01-10 E.Ray Europa Gmbh Abweiserelement und abweisereinrichtung
KR102240714B1 (ko) * 2020-12-31 2021-04-14 윤병화 수로용 제진기의 전방보조스크린 앞에 쌓이는 쓰레기를 제거하는 장치
KR102240715B1 (ko) * 2020-12-31 2021-04-14 윤병화 수로용 제진기의 전방보조스크린 앞에 쌓이는 쓰레기를 제거하는 장치
KR102272299B1 (ko) * 2021-02-26 2021-07-02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KR102328807B1 (ko) * 2021-05-04 2021-11-22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제진기의 거대협잡물 제거장치
KR102431051B1 (ko) * 2022-03-10 2022-08-11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KR102432839B1 (ko) * 2021-07-19 2022-08-30 주식회사 은강기업 후방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102547336B1 (ko) * 2023-01-20 2023-06-22 동근한 저부 협잡물 제거 기능 및 틸팅센서를 이용한 자동 복구 시스템을 구비한 버킷형 로터리 제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793Y1 (ko) 2001-06-15 2001-10-18 보성환경산업(주) 스크린 제진기
KR200411808Y1 (ko) 2005-12-23 2006-03-17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 방지장치
KR100987812B1 (ko) 2008-03-27 2010-10-13 (주)한성개발공사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793Y1 (ko) 2001-06-15 2001-10-18 보성환경산업(주) 스크린 제진기
KR200411808Y1 (ko) 2005-12-23 2006-03-17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 방지장치
KR100987812B1 (ko) 2008-03-27 2010-10-13 (주)한성개발공사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773B1 (ko) * 2013-01-14 2013-02-25 주식회사삼영이앤티 로터리 제진기
KR101513599B1 (ko) * 2013-04-25 2015-04-22 원훈희 로터리 제진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KR101351276B1 (ko) * 2013-05-30 2014-01-15 성우산업 주식회사 레이크의 인양 사각을 줄인 제진기
KR101365038B1 (ko) 2013-09-10 2014-02-21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협잡물 처리용 로타리 제진기
KR101673320B1 (ko) * 2016-08-23 2016-11-08 (주)효성엔바이로 탄성지지력 및 감지 중량 조절 기술이 적용된 평면 스크린 장치
WO2019007633A1 (de) * 2017-07-04 2019-01-10 E.Ray Europa Gmbh Abweiserelement und abweisereinrichtung
KR101887831B1 (ko) * 2017-11-29 2018-09-10 최병천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2240714B1 (ko) * 2020-12-31 2021-04-14 윤병화 수로용 제진기의 전방보조스크린 앞에 쌓이는 쓰레기를 제거하는 장치
KR102240715B1 (ko) * 2020-12-31 2021-04-14 윤병화 수로용 제진기의 전방보조스크린 앞에 쌓이는 쓰레기를 제거하는 장치
KR102272299B1 (ko) * 2021-02-26 2021-07-02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KR102328807B1 (ko) * 2021-05-04 2021-11-22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제진기의 거대협잡물 제거장치
KR102432839B1 (ko) * 2021-07-19 2022-08-30 주식회사 은강기업 후방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102431051B1 (ko) * 2022-03-10 2022-08-11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KR102547336B1 (ko) * 2023-01-20 2023-06-22 동근한 저부 협잡물 제거 기능 및 틸팅센서를 이용한 자동 복구 시스템을 구비한 버킷형 로터리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431B1 (ko) 로타리 제진기
KR101099430B1 (ko) 로타리 제진기
KR100987812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101084319B1 (ko) 제진기의 잔류 진개물 제거장치
US7820062B2 (en) Tertiary filter
KR101893203B1 (ko)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US7510650B2 (en) Perforated plate element screen with sealed element design
CN102000456B (zh) 平面筛板格栅清污机
US7267763B2 (en) Water intake screen with circular filter panel
KR102161407B1 (ko)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KR101964591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2285379B1 (ko) 협잡물겸 침사 수거용 제진기
KR100944815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기계식 제진기
KR101167841B1 (ko) 계단식 여과기
KR100911346B1 (ko) 이동식 제진기
KR102243084B1 (ko) 제진기
KR101738635B1 (ko) 제진기에 마련된 전위 스크린의 전, 후 왕복 장치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190119750A (ko) 수로 분리형 제진기
KR100902816B1 (ko)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KR101025328B1 (ko) 원통형 슬러지 수집장치
US20070114166A1 (en) Dual element vacuum filtration system for metal-working fluids
KR101403773B1 (ko) 제진기 틈새로 유입되는 잔존협잡물 차단기능을 구비한 자동제진기.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332278B1 (ko) 동조기어장치를 가지는 상승개폐식 로터리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