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051B1 -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051B1
KR102431051B1 KR1020220029953A KR20220029953A KR102431051B1 KR 102431051 B1 KR102431051 B1 KR 102431051B1 KR 1020220029953 A KR1020220029953 A KR 1020220029953A KR 20220029953 A KR20220029953 A KR 20220029953A KR 102431051 B1 KR102431051 B1 KR 102431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coupled
foreign matt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2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8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9/8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탱크(10),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 협잡물탈수기(30), 제1, 2침전물수거기(40, 50)를 포함하는 협잡물의 종합 처리장치로서, 상기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는, 하단부위가 유도로(113)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1); 수직프레임(211) 각각의 내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1결합판(235)이 구비되는 제1고정매거진(23); 후측부위에 제1밀착홈(276)이 마련되어 제1삽입홈(233)을 통해 제1고정몸체(23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1걸림판(275)이 구비되는 고정격판(27); 제1걸림판(275) 각각의 제1밀착홈(276)에 밀착되는 제1가압단(243) 및 제1고정몸체(231)의 상측부위를 밀폐하는 제1덮개판(245)이 구비되는 제1가압매거진(24); 지지프레임(21) 전방의 하단부위와 제1고정격판(27) 각각의 전방 하단부위를 가압하며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9); 지지프레임(10) 내부공간의 좌우 양측부위에 위치하는 회전판(228) 각각의 내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2고정매거진(25); 각각의 후측부위에 제1밀착홈(276)이 마련되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제3삽입홈(252)을 통해 제2고정몸체(25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2걸림판(285) 각각이 구비되는 가동격판(28); 제2걸림판(285) 각각의 제2밀착홈(286) 각각에 밀착되는 제2가압단(263) 및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상측부위를 밀폐하는 제2덮개판(265)이 구비되는 제2가압매거진(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Adulteration overall disposal apparatus with improved collecting capability and dewatering capability}
본 발명은 협잡물을 종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협잡물의 수거 과정에서 고정격판과 가동격판 사이 공간으로 협잡물들이 빠져나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협잡물의 수거율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건조설비가 없더라도 협잡물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탈수시키는 것이 가능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 설비로 유입되는 하수나 폐수(이하 폐수)에는 음식물이나 비닐, 분뇨 등과 같은 각종 생활쓰레기와 같은 협잡물과 침사 등이 혼합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협잡물들은 퇴비화 자체가 곤란하여 폐수로부터 이들을 선별적으로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는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는 도 9와 같이, 폐수가 유입구(11)를 통해 정화탱크(10)로 유도되면, 유도로(100)를 따라 폐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협잡물들은 협잡물수거기(200, 20)에 의해 걸러지고, 폐수에 혼합되어 있는 침사 등은 정화탱크(10)로 낙하하여 별도의 침전물수거기(40)에 의해 수거된 다음, 협잡물과 침사 등이 제거된 폐수가 배출구(12)로 빠져나가 미도시된 정화장치에 의해 정화과정을 거쳐 배출되는 작동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협잡물들은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에 의해 걸러지는데,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는 도 10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톱니가 마련된 고정격판(130)을 지지프레임(110)에 고정한 상태에서, 복수 개의 톱니가 마련된 가동격판(140)이 구동모터(162)에 의한 회전력으로 고정격판(130) 사이 공간에서 작동하면, 협잡물들을 한 칸씩 고정격판(130)의 톱니 상방으로 이동하며 수거되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에 있어 고정격판(130)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의 하단부위는 폐수가 이동하는 유도로(100)의 저면부위에 위치하는 특성상, 가동격판(140)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협잡물 중 일부가 고정격판(130) 사이 공간으로 빠져나감에 따라 협잡물의 수거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폐수와 함께 빠져나간 협잡물들을 수거하기 위해 배출구(12) 부위에 별도의 수거수단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동격판(140)의 작동에 따라 함수율이 높은 협잡물들이 고정격판(130)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협잡물 중의 일부가 고정격판(130) 사이 공간으로 빠져나가, 지지프레임(110)의 후측 내부 공간에 쌓이면서 가동격판(140)의 작동을 방해함은 물론 가동격판(140) 자체를 훼손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협잡물수거기(20)에 의해 수거된 협잡물들은, 협잡물수거기(20) 후방부위에 설치되는 협잡물탈수기(30)로 전달되면, 협잡물탈수기(30)에 내장되는 탈수스크류로서 압축한 다음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탈수스크류의 회전에 따른 단순 압축으로는 함수율이 높은 협잡물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탈수시키는 것 자체가 곤란하여 별도의 건조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485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6784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94725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잡물의 수거율은 물론 배출되는 협잡물의 탈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단부위에 유입구(111)가 구비되고 타단부위에 배출구(113)가 구비되는 정화탱크(10), 정화탱크(10)의 유도로(113)에 설치되어 폐수와 함께 이동하는 협잡물들을 수거하는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의 타측부위에 설치되되 스크류(33)를 이용하여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로부터 전달되는 협잡물들을 탈수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협잡물탈수기(30), 정화탱크(10)의 하측부위에 설치되어 정화탱크(10)의 유도로(113)를 따라 폐수와 함께 이동하다 침전되는 침전물들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2침전물수거기(40, 50)를 포함하는 협잡물의 종합 처리장치로서, 상기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는, 내부에 일정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되 하단부위가 유도로(113)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1); 전면 및 상면 각각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제1삽입홈(232)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일정길이의 제1장공(233)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21)의 후방 양측부위 각각에서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프레임(211) 사이에 위치하는 제1고정몸체(231), 제1고정몸체(231)의 양단부위 각각에 마련되어 제1고정몸체(231)를 수직프레임(211) 각각의 내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1결합판(235)이 구비되는 제1고정매거진(23);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전단부위에는 계단형의 제1톱니(272)가 형성되고, 각각의 후측부위에는 제1밀착홈(276)이 마련되어 제1삽입홈(233)을 통해 제1고정몸체(23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1걸림판(275)이 구비되는 고정격판(27); 제1고정몸체(231)의 후면부위에 밀착 결합되는 제1밀착판(241), 제1밀착판(241)의 일면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제1장공(232)을 통해 제1고정몸체(23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1걸림판(275) 각각의 제1밀착홈(276)에 밀착되는 제1가압단(243), 전방부위에는 제1삽입홈(232) 각각에 대응되는 일정길이의 제2삽입홈(246)이 형성되며 제1밀착판(241)의 상단부위를 따라 결합되어 제1고정몸체(231)의 상측부위를 밀폐하는 제1덮개판(245)이 구비되는 제1가압매거진(24); 전방부위는 지지프레임(21) 전방의 하단부위를 이루는 바닥프레임(213)에 고정 결합되고, 후방부위는 제1고정격판(27) 각각의 전방 하단부위를 가압하며 고정되어, 인접하는 고정격판(27) 사이 공간으로 협잡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플레이트(29);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고정몸체(231) 하방에 위치하되 각각의 전면 및 상면 각각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제3삽입홈(252)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일정길이의 제2장공(253)이 형성되는 제2고정몸체(251),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양단부위에 마련되되 상단부위가 지지프레임(10) 상측부위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지지프레임(10) 내부공간의 좌우 양측부위에 위치하는 회전판(228) 각각의 내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2결합판(255)이 구비되는 제2고정매거진(25);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전단부위에는 계단형의 제2톱니(281)가 형성되고, 각각의 후측부위에는 제1밀착홈(276)이 마련되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제3삽입홈(252)을 통해 제2고정몸체(25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2걸림판(285) 각각이 구비되는 가동격판(28);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후면부위에 밀착 결합되는 제2밀착판(261), 제1밀착판(261) 각각의 일면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제2장공(253) 각각을 통해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2걸림판(285) 각각의 제2밀착홈(286) 각각에 밀착되는 제2가압단(263), 각각의 전방부위에는 제3삽입홈(252) 각각에 대응되는 일정길이의 제4삽입홈(256)이 형성되며 제2밀착판(261) 각각의 상단부위를 따라 결합되어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상측부위를 밀폐하는 제2덮개판(265)이 구비되는 제2가압매거진(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몸체(231)의 상면부위와 상기 제1덮개판(245)의 하면부위 사이에는 제1탄성스트립(249)이 매개되며, 상기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상면부위와 상기 제2덮개판(265) 각각의 하면부위 사이에는 제2탄성스트립(269)가 매개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단(243) 각각의 단부는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판(275) 각각의 제1밀착홈(276)은 제1가압단(243)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제2가압단(263) 각각의 단부는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판(285) 각각의 제2밀착홈(286)은 제2가압단(263)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의 바닥프레임(213) 전방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전방고정부(292), 전방고정부(292) 후측부위에서 절곡되며 고정격판(27) 각각의 전방 하단부위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격자홈(294)이 형성되는 후방간격유지부(293)로 이루어지는 간격유지플레이트(291); 전방고정부(292)와 결합되는 전방결합부(296), 전방결합부(296) 후측부위에서 절곡되어 고정격판(27) 각각의 전방 상측부위에 형성되는 고정홈(272) 각각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부(297)로 이루어지는 이탈방지플레이트(29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협잡물탈수기(30)는, 상측부위에는 협잡물투입구(311)가 마련되고 타측부위에는 협잡물배출구(315)가 마련되는 탈수기몸체(31), 탈수기몸체(31)에 내장되는 압축스크류(33), 탈수기몸체(31)의 일측부위에 설치되는 탈수기구동부, 압축스크류(33)의 타측부위와 협잡물배출구(315) 사이에 설치되는 2차압축부(37)로 이루어지되, 상기 2차압축부(37)는, 일측부위가 탈수기몸체(31)의 타단부위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링(371), 일측부위가 제1플레이트링(271)의 타면부위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링(372), 일측부위가 제2플레이트링(372)의 타측부위에 결합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배출가이드관(375), 일측부위가 배출가이드관(375)의 타측부위에 결합되는 제3플레이트링(373), 일측부위가 제3플레이트링(373)의 타측부위에 결합되는 제4플레이트링(374), 일정길이를 가지며 배출가이드관(375)의 중심축 부위에 위치하는 지지봉(376), 지지봉(376)의 일단부위에서 돌출되어 압축스크류(33)의 타단부위에 삽입되는 결합봉(377), 상호 간에 일정각도 만큼씩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의 일측부위는 지지봉(376)의 외면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부위는 배출가이드관(375)의 내면부위에 결합되는 가이드판(37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협잡물수거기를 이루는 고정매거진의 내부공간에 안치되는 고정격판 및 가동격판 각각의 걸림판 부위를 가압매거진의 가압단이 면접촉하며 가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격판 및 가동격판 각각에 협잡물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걸림판 부위의 파손없이 장시간 매우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격판의 하측부위는 고정플레이트로 밀폐하며 고정시킴과 동시에 고정격판 및 가동격판 각각의 후방부위를 가압매거진의 덮개판으로 밀폐시키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고정격판 전방으로 접근하는 협잡물들을 가동격판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고정격판 톱니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동격판 및 고정격판 각각의 사이 공간으로 협잡물들이 빠져나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협잡물의 수거율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협잡물탈수기와 협잡물배출구 사이에 단순한 구성으로 협잡물을 부가적으로 압축하여 탈수할 수 있는 구성을 도입함으로써, 별도의 건조설비가 없더라도 협잡물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탈수시키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장비의 점검이나 교체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에 있어 계단식 협잡물수거기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에 있어 계단식 협잡물수거기의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수거기에 있어 고정격판 및 가동격판 각각과 가동매거진, 가압매거진 상호 간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수거기에 있어 고정매거진 및 가압매거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수거기에 있어 고정격판 및 가동격판 각각과 고정매거진 및 가압매거진 상호 간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5b는 도 5a에 있어 고정격판 및 가동격판 각각과 고정매거진 및 가압매거진 상호 간의 개략적인 일 결합 단면도.
도 5c는 도 5a에 있어 고정격판 및 가동격판 각각과 고정매거진 및 가압매거진 상호 간의 개략적인 다른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수거기에 있어 고정격판 및 고정플레이트 상호 간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에 있어 협잡물탈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탈수기에 있어 2차압축부의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탈수기에 있어 2차압축부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9는 종래 협잡물의 종합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10은 종래 계단식 협잡물수거기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폐수에 혼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협잡물의 종합 처리장치로서, 정화탱크(10),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 협잡물탈수기(30), 침전물수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종합 처리장치를 이루는 이들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 작동을 살펴본다.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정화탱크(10)는 그 일단부위에는 유입구(111)가 구비되고, 그 타단부위에는 배출구(113)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113은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폐수를 협잡물수거기(20)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로이다. 협잡물수거기(20)가 위치하는 유도로(113) 하측부위에는 침전물탱크가 마련된다.
협잡물수거기(20)는 정화탱크(10)의 유도로(113)에 설치되며, 폐수에 혼합되어 폐수와 함께 이동하는 협잡물들을 수거하는 기구이다. 협잡물수거기(20)는 도 9에 개시된 것과 같은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a 및 도 2b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종래 계단식 협잡물수거기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21), 구동부, 고정매거진, 고정격판(27), 가동격판(28) 각각이 구비된다. 지지프레임(21)은 그 내부에 일정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하단부위가 유도로(113)의 하면에 고정 결합된다.
구동부는 지지프레임(21)의 상측부위에 구비되며, 제1구동모터(221), 감속기(223), 구동축(225)을 포함한다. 감속기(223)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구동모터(221)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제1구동모터(221)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어한다.
구동축(225)은 감속기(223) 각각의 회전축과 치합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일측부위의 구동축(225)은 연결바(226)에 매개되어 지지프레임(10) 내부공간의 좌우 양측부위 각각에 위치하는 회전판(228) 각각의 상단 일측부위와 연결되고, 타측부위의 구동축(225)은 회전판(228) 각각의 상단 타측부위와 연결된다.
도 3과 같이, 고정격판(27)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지지프레임(21)에 고정 결합되고, 각각의 전단부위에는 제1톱니(271)가 형성된다. 가동격판(28)은 고정격판(27) 각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회전판(228)에 고정 결합되고, 각각의 전단부위에는 제2톱니(281)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구동모터(221)가 작동하면, 그 회전력은 감속기(223)에 의해 감속된 다음 구동축(225)으로 전달된다. 이때, 회전판(228)의 상단 일측부위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결바(226)에 의해 일측부위의 구동축과 연결되고, 회전판(228)의 상단 타측부위는 타측부위의 구동축과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구동축(225)이 회전하면 회전판(228)은 수직으로 장방형의 타원궤도로 회전한다.
회전판(228)에 결합되어 있는 가동격판(28)은 고정격판(27) 사이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회전판(228)이 장방향으로 타원궤도로 회전하면, 유도로(113)와 인접한 고정격판(27)의 상측에 쌓인 협잡물들은 가동격판(28)의 회전에 따라 고정격판(27)의 제1톱니(271)를 따라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작동 구성은 전술한 도 10에 개시된 종래 협잡물수거기와 대동소이하다.
이때, 본 발명은 도 2a 내지 도 6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고정매거진(23) 및 제1가압매거진(24) 그리고 고정플레이트(29)를 이용하여 고정격판(27) 각각을 지지프레임(21)에 고정 결합시키는 구성을 제안한다.
제1고정매거진(23)은 도 2a 및 도 2b 각각과 같이, 고정격판(27) 각각을 지지프레임(21)에 고정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제1고정몸체(231) 및 제1결합판(23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고정몸체(23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21)의 후방 양측부위 각각에서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프레임(211) 사이에 위치하고, 제1삽입홈(232) 및 제1장공(233) 각각이 형성된다.
제1삽입홈(232)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제1고정몸체(231)의 전면 및 상면 각각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1장공(233)은 제1고정몸체(231)의 후면부위를 따라 일정길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제1결합판(235)은 제1고정몸체(231)의 양단부위 각각에 마련되며, 제1고정몸체(231)를 수직프레임(211) 각각의 내면부위에 고정 결합시킨다.
고정격판(27) 각각의 후측부위에는 제1걸림판(275)이 구비된다. 제1걸림판(275)은 제1삽입홈(233)을 통해 제1고정몸체(23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그 후단부위에는 제1밀착홈(276)이 마련된다. 제1걸림판(275)은 고정격판(27)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가압매거진(24)은 제1고정매거진(23)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안치되는 고정격판(27) 각각을 가압 밀착시키는 부분으로, 제1밀착판(241), 제1가압단(243), 제1덮개판(245)으로 이루어진다.
제1밀착단(241)은 제1장공(232)이 형성되는 제1고정몸체(231)의 후면부위에 밀착 결합된다. 제1가압단(243)은 제1밀착판(241)의 일면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제1장공(232)을 통해 제1고정몸체(23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1고정몸체(231)의 내부공간에 안치된 제1걸림판(275) 각각의 제1밀착홈(276)에 밀착된다.
제1덮개판(245)은 인접하며 제1고정몸체(23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고정격판(27) 각각의 후방부위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부분으로, 제1삽입홈(232)이 형성되어 제1밀착판(241)의 상단부위를 따라 결합되어 제1고정몸체(231)의 상측부위를 밀폐한다. 제1삽입홈(232)은 제1덮개판(245)의 전방부위를 따라 제1삽입홈(232) 각각에 대응하며 형성된다.
이럴 경우, 도 5a 및 도 5b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고정격판(27) 각각의 후측부위에 마련되어 제1고정몸체(231) 내부공간에 안치되는 제1걸림판(275)은, 제1고정몸체(231)에 삽입되는 제1가압단(243)이 제1걸림판(275)의 제1밀착홈(276)에 면접촉하며 가압함에 따라, 고정격판(27) 각각의 제1톱니(271)에 협잡물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장시간 매우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몸체(231)에 고정되는 고정격판(27) 각각의 후단부위 상측을 제1덮개판(245)으로 밀폐함에 따라, 협잡물들이 고정격판(27)의 제1톱니(271)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격판(27) 사이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협잡물의 수거율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빠져나간 협잡물의 퇴적으로 인해 제1걸림판(275)이 파손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도 5c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가압단(243) 각각의 단부는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제1걸림판(275) 각각의 제1밀착홈(276) 역시 제1가압단(243) 각각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협잡물수거기(20)에 의해 수거되는 협잡물들은 함수율이 높으며, 고정격판(27)의 제1걸림판(275)은 고정격판(27)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협잡물들이 고정격판(27)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제1걸림판(275)에는 상대적으로 큰 힘이 작용한다.
이럴 경우, 상호 면접촉하며 결합되는 제1밀착홈(276) 및 제1가압단(243)의 단부를 도면과 같이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시키면, 제1걸림판(275)에 집중하며 전달되는 힘을 제1가압단(243)을 통해 분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협잡물들의 하중에 의해 고정격판(27)의 제1걸림판(275)이 파손되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b와 같이, 제1고정몸체(231)의 상면부위와 제1덮개판(245)의 하면부위 사이에 제1탄성스트립(249)이 매개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처럼, 제1탄성스트립(249)이 매개되면, 고정격판(27)의 제1걸림판(275)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정격판(27) 사이 공간으로 협잡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29)는 고정격판(27) 각각의 전단부위를 고정하는 부분으로, 도 2a 및 도 2b 각각과 같이, 그 전방부위는 지지프레임(21) 전방의 하단부위를 이루는 바닥프레임(213)에 고정 결합되고, 그 후방부위는 제1고정격판(27) 각각의 전방 하단부위를 가압하며 고정한다.
도 10에 개시된 일례를 포함하여 종래 계단식 협잡물수거기는 본 발명과 달리 고정격판(27)의 후측부위에 제1걸림판(275)를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배치한 다음, 이들 제1걸림판(275) 각각을 지지프레임의 좌우 수직프레임(또는 좌우 측판)에 고정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고정격판(27)을 지지프레임의 좌우 수직프레임에 고정 결합하게 되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격판(27)의 특성상 유도로(113)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고정격판(27)의 전방부위에는 틈(고정격판 사이 공간)이 형성되고, 폐수와 함께 이동하는 협잡물들은 이 틈들을 통해 침전물탱크나 배출구(115)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침전물탱크 및 배출구(115) 각각에는 별도의 협잡물 수거수단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은 고정격판(27)의 상측부위는 지지프레임(21)에 고정 결합시키고, 고정격판(27)의 하측부위는 고정플레이트(29)로 고정시키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고정격판(27) 전방으로 접근하는 협잡물들을 도 2a의 화살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협잡물의 수거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고정플레이트(29)가,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간격유지플레이트(291)와 이탈방지플레이트(295)로 분리 구성된 다음, 볼트(298)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간격유지플레이트(291)는 전방고정부(292) 및 후방간격유지부(29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고정부(292)는 지지프레임(10)의 바닥프레임(213) 전방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부분이다. 후방간격유지부(293)는 전방고정부(292)의 후측부위에서 절곡되며, 복수 개의 격자홈(294)이 형성된다. 격자홈(294)은 고정격판(27) 각각의 간격을 유지하는 부분으로, 격자홈(294) 각각에는 고정격판(27) 각각의 전방 하단부위가 삽입된다.
이탈방지플레이트(295)는 전방결합부(296) 및 이탈방지부(29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결합부(296)는 간격유지플레이트(291)의 전방고정부(292)와 결합된다. 이탈방지부(297)는 전방결합부(296)의 후측부위에서 절곡되며, 그 단부가 고정격판(27) 각각의 전방 상측부위에 형성되는 고정홈(272) 각각에 삽입되어 고정격판(27) 각각에 밀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제1고정매거진(23) 및 제2가압매거진(24) 각각과 유사하게, 제2고정매거진(25) 및 제2가압매거진(26)을 이용하여 가동격판(28) 각각을 회전판(228)에 고정 결합시키는 구성을 제안한다.
제2고정매거진(25)은 도 2a 및 도 2b 각각과 같이, 가동격판(28) 각각을 회전판(228)에 고정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제2고정몸체(251) 및 제2결합판(25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고정몸체(25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고정몸체(231) 하방에 위치한다. 제2고정몸체(251) 각각에는 제3삽입홈(252) 및 제2장공(253) 각각이 형성된다.
제3삽입홈(252)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전면 및 상면 각각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2장공(253)은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후면부위를 따라 일정길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제2결합판(255) 각각은 제2고정몸체(251)의 양단부위 각각에 마련되며, 회전판(228) 각각의 내면부위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격판(28) 각각의 후측부위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제2걸림판(285)이 구비된다. 제2걸림판(275) 각각은 제3삽입홈(253)을 통해 제2고정몸체(25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그 후단부위에는 제2밀착홈(286)이 마련된다. 제2걸림판(285) 각각은 가동격판(27)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가압매거진(26)은 제2고정매거진(25)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안치되는 가동격판(28) 각각을 가압 밀착시키는 부분으로, 제2밀착판(261), 제2가압단(263), 제2덮개판(265)으로 이루어진다.
제2밀착단(261)은 제2장공(252)이 형성되는 제2고정몸체(251)의 후면부위에 밀착 결합된다. 제2가압단(263)은 제2밀착판(261)의 일면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제2장공(252)을 통해 제2고정몸체(25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2고정몸체(251)의 내부공간에 안치된 제2걸림판(285) 각각의 제2밀착홈(286)에 밀착된다.
제2덮개판(265)은 인접한 상태로 제2고정몸체(25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가동격판(28) 각각의 후방부위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부분으로, 제4삽입홈(262)이 형성되어 제2밀착판(261)의 상단부위를 따라 결합되어 제2고정몸체(251)의 상측부위를 밀폐한다. 제4삽입홈(262)은 제2덮개판(265)의 전방부위를 따라 제3삽입홈(252) 각각에 대응하며 형성된다.
전술한 고정격판(27)의 경우와 유사하게, 가동격판(28) 각각의 후측부위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2고정몸체(251) 내부공간에 안치되는 제2걸림판(285) 각각은, 제2고정몸체(251)에 삽입되는 제2가압단(263)이 제2걸림판(285) 각각의 제2밀착홈(286)에 면접촉하며 가압함에 따라, 가동격판(28) 각각의 제2톱니(281)에 협잡물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장시간 매우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몸체(251)에 고정되는 가동격판(28) 각각의 후단부위 상측을 제2덮개판(265)으로 밀폐함에 따라, 가동격판(28) 각각이 협잡물들을 한 계단씩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가동격판(28) 사이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협잡물의 수거율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빠져나간 협잡물의 퇴적으로 인해 제2걸림판(285) 각각이 파손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제1가압단(243) 및 제1밀착홈(276)의 경우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있어 제2가압단(263) 각각의 단부는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제2걸림판(285) 각각에 있어 제2밀착홈(286)은 제2가압단(263) 각각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몸체(231) 및 제1덮개판(245) 사이에 제1탄성스트립(249)이 매개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있어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상면부위와 제2덮개판(265) 각각의 하면부위 사이에는 제2탄성스트립(269)이 매개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협잡물들의 하중에 의해 가동격판(28)의 제2걸림판(285) 각각이 파손되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후자의 경우 가동격판(28)의 제2걸림판(285) 각각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가동격판(28) 사이 공간으로 협잡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협잡물탈수기(30)는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로부터 전달되는 협잡물들을 탈수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으로,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의 타측부위에 설치된다. 도 7과 같이, 협잡물탈수기(30)는 탈수기몸체(31), 압축스크류(33), 탈수기구동부, 2차압축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탈수기몸체(31)의 상측부위에는 협잡물투입구(311)가 마련되고, 타측부위에는 협잡물배출구(315)가 마련된다. 압축스크류(33)는 협착물투입구(311)로 전달되는 협잡물을 압축시키는 부분으로, 탈수기몸체(31)의 내부에 설치된다. 압축스크류(33)는 통상적인 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탈수기구동부는 압축스크류(33)를 구동시키는 부분으로, 탈수기몸체(31)의 일측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구동모터(34), 제2구동모터(34)와 탈수기몸체(31) 일측부위 사이에 설치되는 감속기(36)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속기(36)는 압축스크류(33)의 구동축 일단부위와 연결된다.
2차압축부(37)는 압축스크류(33)에 의해 압축된 협잡물을 부가적으로 압축하는 부분으로, 압축스크류(33)의 타측부위와 협잡물배출구(315) 사이에 설치된다. 2차압축부(37)는 제1, 2플레이트링(371, 372), 제3, 4플레이트링(373, 374), 배출가이드관(375), 지지봉(376), 결합봉(377), 가이드판(378)으로 이루어진다.
제1플레이트링(371)은 그 일측부위가 탈수기몸체(31)의 타단부위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제2플레이트링(372)는 그 일측부위가 제1플레이트링(271)의 타면부위에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배출가이드관(375)는 그 일측부위가 제2플레이트링(372)의 타측부위에 결합되어 일정길이 연장된다.
제3플레이트링(373)은 그 일측부위가 배출가이드관(375)의 타측부위에 결합되고, 제4플레이트링(374)은 그 일측부위가 제3플레이트링(373)의 타측부위에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지지봉(376)은 일정길이를 가지며 배출가이드관(375)의 중심축 부위에 위치한다.
결합봉(377)은 지지봉(376)의 일단부위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압축스크류(33)의 타단부위에 삽입된다. 결합봉(377)은 지지봉(376)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이에 따라 압축스크류(33)의 타단부위는 고정된 지지봉(376)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판(378)은 도 8a와 같이, 상호 간에 일정각도 만큼씩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의 일측부위는 지지봉(376)의 외면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부위는 배출가이드관(375)의 내면부위에 결합된다. 도 8a 및 도 8b 각각에 있어, 가이드판(378)에 의해 지지봉(376)과 배출가이드관(375) 사이에 형성되는 도면부호 379는 협잡물배출로이다.
제2구동모터(34)의 작동에 따라 압축스크류(3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함수율이 높은 협잡물이 협잡물투입구(311)로 투입되면, 협잡물은 압축스크류(33)의 나선가이드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서서히 압축되면서 탈수되고, 압축스크류(33)에 의해 1차 탈수된 협잡물은 순차적으로 2차압축부(37)로 유입된다.
2차압축부(37)에 있어 협잡물배출로(379)는 지지봉(376) 및 가이드판(378)에 의해 구획되며, 이로 인해 2차압축부(37)의 단면적은 2차압축부(37)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탈수기몸체(31)의 단면적보다 작다. 도면과 달리, 상황에 따라 2차압축부(37)의 단면적은 탈수기몸체(31)의 단면적보다 훨씬 작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압축스크류(33)에 의해 1차 탈수된 협잡물이 순차적으로 협잡물배출로(379)로 유입되면, 협잡물은 압축스크류(33)의 작용으로 인한 전진압력을 받으며 상대적으로 감소된 공간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협잡물배출로(379)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협잡물들은 자연스럽게 압축되어 부가적으로 탈수되며, 북적인 탈수가 완료된 협잡물들은 협잡물배출구(313)를 통해 순차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협잡물탈수기와 협잡물배출구 사이에 단순한 구성으로 협잡물을 부가적으로 압축하여 탈수할 수 있는 구성을 도입함으로써, 별도의 건조설비가 없더라도 협잡물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탈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2차압축부에 있어 플레이트링을 볼트로 결합하여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비의 점검이나 교체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침전물수거기는 정화탱크(10)의 하측부위에 설치되어 정화탱크(10)의 유도로(113)를 따라 유수와 함께 이동하다 침전되는 침전물들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침전물수거기는 도면과 같이, 제1, 2침전물수거기(40, 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침전물수거기와 관련된 구성은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정화탱크 20 : 계단식 협잡물수거기
30 : 협착물탈수기 40, 50 : 제1, 2침전물수거기

Claims (5)

  1. 일단부위에 유입구(111)가 구비되고 타단부위에 배출구(113)가 구비되는 정화탱크(10), 정화탱크(10)의 유도로(113)에 설치되어 폐수와 함께 이동하는 협잡물들을 수거하는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의 타측부위에 설치되되 스크류(33)를 이용하여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로부터 전달되는 협잡물들을 탈수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협잡물탈수기(30), 정화탱크(10)의 하측부위에 설치되어 정화탱크(10)의 유도로(113)를 따라 폐수와 함께 이동하다 침전되는 침전물들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2침전물수거기(40, 50)를 포함하는 협잡물의 종합 처리장치로서,
    상기 계단식 협잡물수거기(20)는,
    내부에 일정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되 하단부위가 유도로(113)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1);
    전면 및 상면 각각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제1삽입홈(232)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일정길이의 제1장공(233)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21)의 후방 양측부위 각각에서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프레임(211) 사이에 위치하는 제1고정몸체(231), 제1고정몸체(231)의 양단부위 각각에 마련되어 제1고정몸체(231)를 수직프레임(211) 각각의 내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1결합판(235)이 구비되는 제1고정매거진(23);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전단부위에는 계단형의 제1톱니(272)가 형성되고, 각각의 후측부위에는 제1밀착홈(276)이 마련되어 제1삽입홈(233)을 통해 제1고정몸체(23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1걸림판(275)이 구비되는 고정격판(27);
    제1고정몸체(231)의 후면부위에 밀착 결합되는 제1밀착판(241), 제1밀착판(241)의 일면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제1장공(232)을 통해 제1고정몸체(23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1걸림판(275) 각각의 제1밀착홈(276)에 밀착되는 제1가압단(243), 전방부위에는 제1삽입홈(232) 각각에 대응되는 일정길이의 제2삽입홈(246)이 형성되며 제1밀착판(241)의 상단부위를 따라 결합되어 제1고정몸체(231)의 상측부위를 밀폐하는 제1덮개판(245)이 구비되는 제1가압매거진(24);
    전방부위는 지지프레임(21) 전방의 하단부위를 이루는 바닥프레임(213)에 고정 결합되고, 후방부위는 제1고정격판(27) 각각의 전방 하단부위를 가압하며 고정되어, 인접하는 고정격판(27) 사이 공간으로 협잡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플레이트(29);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고정몸체(231) 하방에 위치하되 각각의 전면 및 상면 각각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제3삽입홈(252)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일정길이의 제2장공(253)이 형성되는 제2고정몸체(251),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양단부위에 마련되되 상단부위가 지지프레임(10) 상측부위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지지프레임(10) 내부공간의 좌우 양측부위에 위치하는 회전판(228) 각각의 내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2결합판(255)이 구비되는 제2고정매거진(25);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전단부위에는 계단형의 제2톱니(281)가 형성되고, 각각의 후측부위에는 제1밀착홈(276)이 마련되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제3삽입홈(252)을 통해 제2고정몸체(25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2걸림판(285) 각각이 구비되는 가동격판(28);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후면부위에 밀착 결합되는 제2밀착판(261), 제1밀착판(261) 각각의 일면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제2장공(253) 각각을 통해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2걸림판(285) 각각의 제2밀착홈(286) 각각에 밀착되는 제2가압단(263), 각각의 전방부위에는 제3삽입홈(252) 각각에 대응되는 일정길이의 제4삽입홈(256)이 형성되며 제2밀착판(261) 각각의 상단부위를 따라 결합되어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상측부위를 밀폐하는 제2덮개판(265)이 구비되는 제2가압매거진(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몸체(231)의 상면부위와 상기 제1덮개판(245)의 하면부위 사이에는 제1탄성스트립(249)이 매개되며, 상기 제2고정몸체(251) 각각의 상면부위와 상기 제2덮개판(265) 각각의 하면부위 사이에는 제2탄성스트립(269)가 매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단(243) 각각의 단부는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판(275) 각각의 제1밀착홈(276)은 제1가압단(243)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제2가압단(263) 각각의 단부는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판(285) 각각의 제2밀착홈(286)은 제2가압단(263)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9)는,
    지지프레임(10)의 바닥프레임(213) 전방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전방고정부(292), 전방고정부(292) 후측부위에서 절곡되며 고정격판(27) 각각의 전방 하단부위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격자홈(294)이 형성되는 후방간격유지부(293)로 이루어지는 간격유지플레이트(291); 전방고정부(292)와 결합되는 전방결합부(296), 전방결합부(296) 후측부위에서 절곡되어 고정격판(27) 각각의 전방 상측부위에 형성되는 고정홈(272) 각각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부(297)로 이루어지는 이탈방지플레이트(29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탈수기(30)는, 상측부위에는 협잡물투입구(311)가 마련되고 타측부위에는 협잡물배출구(315)가 마련되는 탈수기몸체(31), 탈수기몸체(31)에 내장되는 압축스크류(33), 탈수기몸체(31)의 일측부위에 설치되는 탈수기구동부, 압축스크류(33)의 타측부위와 협잡물배출구(315) 사이에 설치되는 2차압축부(37)로 이루어지되,
    상기 2차압축부(37)는, 일측부위가 탈수기몸체(31)의 타단부위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링(371), 일측부위가 제1플레이트링(271)의 타면부위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링(372), 일측부위가 제2플레이트링(372)의 타측부위에 결합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배출가이드관(375), 일측부위가 배출가이드관(375)의 타측부위에 결합되는 제3플레이트링(373), 일측부위가 제3플레이트링(373)의 타측부위에 결합되는 제4플레이트링(374), 일정길이를 가지며 배출가이드관(375)의 중심축 부위에 위치하는 지지봉(376), 지지봉(376)의 일단부위에서 돌출되어 압축스크류(33)의 타단부위에 삽입되는 결합봉(377), 상호 간에 일정각도 만큼씩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의 일측부위는 지지봉(376)의 외면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부위는 배출가이드관(375)의 내면부위에 결합되는 가이드판(37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KR1020220029953A 2022-03-10 2022-03-10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KR102431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953A KR102431051B1 (ko) 2022-03-10 2022-03-10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953A KR102431051B1 (ko) 2022-03-10 2022-03-10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051B1 true KR102431051B1 (ko) 2022-08-11

Family

ID=8280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953A KR102431051B1 (ko) 2022-03-10 2022-03-10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05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58B1 (ko) * 2009-01-22 2009-04-09 최정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100894725B1 (ko) 2008-11-26 2009-04-24 허성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KR100944719B1 (ko) * 2009-06-19 2010-02-26 주식회사 수환경알앤디 침사분리장치
KR101099431B1 (ko) * 2011-04-15 2011-12-27 금전기업 주식회사 로타리 제진기
KR101167841B1 (ko) 2012-03-15 2012-07-23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계단식 여과기
KR101648580B1 (ko) 2015-12-31 2016-08-17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대용량 협잡물 종합 처리기
KR102141076B1 (ko) * 2020-04-08 2020-08-04 주식회사 에취켓 무빙스크린을 이용한 종합처리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25B1 (ko) 2008-11-26 2009-04-24 허성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KR100892258B1 (ko) * 2009-01-22 2009-04-09 최정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100944719B1 (ko) * 2009-06-19 2010-02-26 주식회사 수환경알앤디 침사분리장치
KR101099431B1 (ko) * 2011-04-15 2011-12-27 금전기업 주식회사 로타리 제진기
KR101167841B1 (ko) 2012-03-15 2012-07-23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계단식 여과기
KR101648580B1 (ko) 2015-12-31 2016-08-17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대용량 협잡물 종합 처리기
KR102141076B1 (ko) * 2020-04-08 2020-08-04 주식회사 에취켓 무빙스크린을 이용한 종합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379863U (zh) 用于浓缩污泥的全自动高压隔膜压滤系统
CN217498926U (zh) 一种小流域生态水质修复系统
KR102431051B1 (ko)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CN216273693U (zh) 一种含油污泥三相分离装置
CN208455591U (zh) 一种水利工程用格栅除污系统
CN212680172U (zh) 一种污水处理用排泥装置
CN113772911A (zh) 污泥压滤机及污泥压滤方法
CN210559728U (zh) 一种工业污水处理用固液分离装置
CN214913698U (zh) 一种自带输送结构的厢式压滤机
CN114804242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回转式格栅清污装置
CN210617373U (zh) 一种垃圾渗滤液导排装置
CN114163038A (zh) 一种高含盐废水零排放的处理工艺及其处理设备
KR101142929B1 (ko) 미세 협잡물처리용 웨지형 바 스크린을 포함하는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Farcaş-Flamaropol et al. Sludge Dewatering Installations
CN112875892A (zh) 一种高浓度有机污水深度处理及回用装备
AT394995B (de) Vorrichtung zum abscheiden und verdichten von feststoffen
CN2243328Y (zh) 复合式真空带式压榨过滤机
RU192467U1 (ru) Шнековый фильтр - пресс
CN221141290U (zh) 一种回转式阶梯孔板格栅
CN218130281U (zh) 一种污水处理格栅机
CN220644388U (zh) 一种水利工程用清污装置
CN108854254A (zh) 一种新式高效率污水处理装置
CN220098668U (zh) 一种煤化工循环水电化学水处理刮垢装置
CN117626904B (zh) 一种环境治理用污水过滤装置
CN220334816U (zh) 一种高效脱总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