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725B1 -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 Google Patents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725B1
KR100894725B1 KR1020080118047A KR20080118047A KR100894725B1 KR 100894725 B1 KR100894725 B1 KR 100894725B1 KR 1020080118047 A KR1020080118047 A KR 1020080118047A KR 20080118047 A KR20080118047 A KR 20080118047A KR 100894725 B1 KR100894725 B1 KR 100894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cation tank
waste water
fixed
movab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
Original Assignee
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성 filed Critical 허성
Priority to KR102008011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마을 단위의 소규모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오폐수를 유입하는 정화탱크에 협잡물과 침전물 제거를 한꺼번에 행함으로써 오폐수의 정화작업성을 용이하게 하고, 처리과정에서 협잡물의 누출을 최소화하며, 협잡물과 침사물들을 효율적이면서 능률적으로 분리 수거할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오폐수, 협잡물, 침사

Description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GRIT AND WASTE TREATMENT}
본 발명은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를 유입하는 정화탱크에 협잡물과 침전물 제거를 한꺼번에 행함으로써 오폐수의 정화작업성을 용이하게 하고, 처리과정에서 협잡물의 누출을 최소화하며, 협잡물과 침사물들을 효율적이면서 능률적으로 분리 수거할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오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 및 오수에는 각종 협잡물과 침사 등이 혼합되어 있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지금 까지는 주로 바(BAR) 스크린 장치에 의한 협잡물 제거 장치와, 침사제거기 등에 의한 침사 제거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각각 설치 운영되고 있었다.
종래의 종합협잡물처리기는 하수처리량이 비교적 적은 마을단위의 소규모 오폐수 처리장에 주로 시설됨에 따라 수량이 적기 때문에 파이프라인을 통해 하수가 탱크로 유입 후 스크린부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야 하나, 탱크 바닥의 낮은 수위로 인해 흘러 들어오는 협잡물들은 구조상의 불합리한 여과장치 구조로 인해 효율적인 여과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량으로 흘러 들어오는 하수들도 계단형의 여과격자판 위에 틈새의 차단으로 누출 없이 쏟아 부어 통과시켜 여과시키는 구조로, 기존의 종합협잡물 처리기에서 바닥으로 낮게 흘러 들어오는 하수의 경우 제대로 여과되지 못하고 통과되는 사각지대 없이 협잡물 제거의 효과를 극대화한 구조의 종합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는: 유입구와 월류턱을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여 오폐수를 유입하여 정화 후 유출하는 정화탱크, 상기 정화탱크의 유입구 측에 형성되어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설정치 이상 부피를 갖는 대침전물을 걸러내는 협잡물제거기, 상기 협잡물제거기를 통과하여 상기 정화탱크의 바닥에 가라앉은 설정치 이하의 비중을 갖는 소침전물을 걸러내는 침사제거기 및 상기 유입구의 하측에 대응되는 상기 정화탱크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오폐수 전량(全量)을 상기 협잡물제거기로 안내하는 유로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협잡물제거기는, 상기 유입구에 대응되는 상기 정화탱크의 내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마주하는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고정빔, 상기 유입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상측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하측이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격자부재, 상기 고정격자부재 사이사이에 형성되고 상측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동격자부재, 모든 상기 가동격자부재를 지지하는 가동빔에 연결되는 회전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가동격자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격자부재를 원호 궤적을 따라 가동 조작하여 낙하하는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대침전물을 상기 고정격자부재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걸러내는 가동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격자부재는 상기 유로안내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하측 단부에 하부돌출격자를 형성한다.
상기 유로안내부재는 전측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유입구의 가장자리 전체에 대응되는 상기 정화탱크의 내측벽에 면접되어 연결되고, 후단 외측에 실링패드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프레임과의 최소 틈새를 유지하면서 오폐수의 노출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돌출격자는 상기 고정격자부재의 하측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한 쌍 구비되어 상기 고정격자부재의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는 오폐수를 유입하는 정화탱크에 협잡물과 침전물 제거를 한꺼번에 행함으로써 오폐수의 정화작업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협잡물제거기로 오폐수 전량을 유동 안내함에 따라 협잡물을 최대한 걸러낼 수 있어 협잡물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 설치된 협잡물제거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제거기에서 유로안내부재를 분리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제거기에서 고정격자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제거기에서 가동격자부재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제거기에서 가동격자부재의 구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는 정화탱크(10), 협잡물제거기(100), 침사제거기(200) 및 유로안내부재(172)를 포함한다.
정화탱크(10)는 마을 단위의 소규모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로써 구비되어 오폐수를 유입하여 협잡물과 침전물을 제거한 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정화탱크(10)는 오폐수를 유입하는 유입구(12)와 이 오폐수에서 협잡물과 침전물을 제거한 오폐수를 배출하는 유출구(14)를 갖는다. 이때, 유출구(14)에 인접한 정화탱크(10)의 내측에는 월류턱(13)이 형성된다. 이 월류턱(13)은 정화탱크(10)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정화탱크(10) 내에서 오폐수의 흐름속도를 줄여 최대한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오폐수 중의 비중을 갖는 침전물의 침강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 정화탱크(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정화탱크(10)는 유입구(12) 측에 대응되는 내측에 협잡물제거기(100)를 구비한다. 이 협잡물제거기(100)는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설정치 이상 부피를 갖는 대침전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협잡물은 오폐수의 비 중보다 작아 오폐수에 부유(浮游)하는 이물질을 말하고, 설정치 이상의 부피를 갖는 대침전물은, 후술할, 고정격자부재(130)와 가동격자부재(140) 사이로 빠지지 않는 크기의 부피를 갖고 오폐수의 비중보다 커서 정화탱크(10) 바닥으로 침전하려는 침전물을 말한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협잡물제거기(100)는 프레임(110), 고정빔(120), 고정격자부재(130), 가동격자부재(140), 회전프레임(150) 및 가동조작부(16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유입구(12)에 대응되는 정화탱크(10)의 내측에 형성된다. 즉, 프레임(110)은 정화탱크(10)의 유입구(12)를 형성한 측벽에 근접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프레임(110)은 고정빔(120), 고정격자부재(130), 가동격자부재(140), 회전프레임(150) 및 가동조작부(160)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프레임(110)은 오폐수에 잠겨지도록 정화탱크(10)에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식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정화탱크(10)는 내부 바닥에 집중이송부재(210)를 구비하기 때문에 프레임(110)은 정화탱크(1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유격되게 설치되어야 한다. 그래서, 프레임(110)은 정화탱크(10)의 내측벽에 지지되어 정화탱크(10)의 바닥면과 소정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110)은 정화탱크(10)의 내측벽과 볼트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용홈부(230)의 바닥면에는 내마모성을 갖는 경질판재(231)가 구비된다. 이 경질판재(231)는 수용홈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u'자 형상 으로 형성되고,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회전하는 집중이송부재(210)가 수용홈부(23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음에 따라 수용홈부(230)는 내측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은 마주하는 양측에 고정빔(120)을 형성한다. 이때, 프레임(110)의 마주하는 양측은 오폐수가 흘러가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해당되는 측부위를 말한다. 따라서, 고정빔(120)은 한 쌍 구비되고, 프레임(110)의 폭만큼 유격된다. 이 고정빔(120)은 프레임(110)의 마주하는 양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각 고정빔(120)은 연결부재(122)에 의해 연결된다.
즉, 도 6에서처럼, 연결부재(122)는 각 단부를 고정빔(120)에 연결한다. 이 연결부재(122)는 해당되는 고정빔(1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고정빔(120)은 프레임(110) 사이에서 우상향(右上向, 도 4 참조)된다. 이는, 한 쌍의 고정빔(1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22)가 우상향되게 경사진 고정격자부재(130)의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 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 연결부재(122)에는 다수 개의 고정격자부재(130)가 일정 간격 유격된 채 지지된다. 고정격자부재(130)는 유입구(12)에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프레임(110) 내측에 형성된다. 즉, 고정격자부재(130)는 유입구(12)에 대응되는 정화탱크(10)의 내측벽에 근접되는 일측에서 오폐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우상향 경사지도록 프레임(110) 내측에 형성된다. 특히, 모든 고정격자부재(130)는 하측을 연결부 재(122)에 지지한다. 이때, 고정격자부재(130)는 용접 등에 의해 연결부재(122)에 고정되거나 연결부재(122)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격자부재(130)는 상측을 계단 형상의 외주연을 갖는다. 이는, 협잡물과 대침전물을 한 계단씩 우상향으로 안내하기 위함이다. 물론, 고정격자부재(130)는 측면상 직삼각형 형상 등 다양하게 형상 변형 가능하나, 편의상, 얇고 긴 판재 형상으로 도시한다.
한편, 각 고정격자부재(130) 사이에는 가동격자부재(140)가 구비된다. 이 가동격자부재(140)의 형상은 고정격자부재(130)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7 및 도 8에서처럼, 가동격자부재(140)는 가동조작부(160)와 연결되어 있어 임의의 부위가 폐곡선 상의 원형을 그리도록 작동되고, 이에 따라, 가동격자부재(140)는 협잡물과 대침전물을 고정격자부재(130)에서 한 계단씩 우상향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이 협잡물과 대침전물을 오폐수로부터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한 쌍의 회전프레임(150)은 가동빔(152)으로 연결된다. 이 가동빔(152)은 모든 가동격자부재(140)를 지지한다. 특히, 가동빔(152)은 양쪽에 위치한 각각의 회전프레임(150)과 모든 가동격자부재(140)를 볼트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하거나 끼워 고정한다. 여기서, 회전프레임(150)은 가동격자부재(140)를 지지함과 동시에 협잡물제거기(100)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측벽 수로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넓은 판재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회전프레임(150)은 가동조작부(160)에 연결되어 임의의 부위가 원형 궤적을 그리도록 작동한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프레임(150)에 연결된 가동격자부재(140)는 원호궤적을 따라 가동(A1→A2)되면서 유입되는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대침전물을 고정격자부재(130)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걸러내게 된다.
일례로써, 가동조작부(160)는 프레임(110)의 상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62), 프레임(110)의 양측에 하나 이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모터(16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휠(164), 이 회전휠(164)의 회전시 회전프레임(150)을 전체적으로 원호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회전휠(164) 각각에 편심되게 형성되고 회전프레임(150)에 연결되는 편심가동부재(166)를 포함한다.
이때, 하나의 회전프레임(150)를 가동하기 위한 회전휠(164)과 편심가동부재(166)는 회전프레임(150)의 무게에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는데, 회전프레임(150)을 안정적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최소한 2개 구비되어 하나의 구동모터(162)로부터 작동력을 전달받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가동조작부(160)는 다양한 기계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정화탱크(10)는 유입구(12)의 하측에 대응되는 내측벽에 연결되는 유로안내부재(172)를 형성하고, 고정격자부재(130)는 하측 단부에 하부돌출격자(174)를 연장한다.
이때, 도 5에서처럼, 유로안내부재(172)는 일측을 정화탱크(10) 내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을 프레임(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유로안내부재(172)는 전측에 플랜지(171)를 형성한다. 이 플랜 지(171)는 유입구(12)의 가장자리 전체에 대응되는 정화탱크(10)의 내측벽에 면접되고, 체결부재(171a)에 의해 정화탱크(10)의 내측벽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유로안내부재(172)는 전측을 정화탱크(10)의 내측벽에 밀착시킴에 따라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 전량(全量)을 협잡물제거기(100)의 고정격자부재(13)와 가동격자부재(140) 방향으로 유동 안내한다.
아울러, 유로안내부재(172)는 후단 외측에 실링패드(173)를 구비한다. 이 실링패드(173)는 유로안내부재(172)와 회전프레임(150) 사이에 개재된다. 그래서, 유로안내부재(172)와 회전프레임(150) 사이의 틈새 발생을 방지한다. 따라서, 유로안내부재(172)를 통해 유동하는 오폐수 전량(全量)이 협잡물제거기(100)의 고정격자부재(130)와 가동격자부재(140)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실링패드(173)는 회전프레임(150) 사이에서 적은 틈새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마찰함을 고려하여 내마모성 경질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로안내부재(172)는 플랜지(171)에 의해 정화탱크(10) 내측벽과 밀착되고, 실링패드(173)에 의해 마주하는 회전프레임(150)의 각 내측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가 소량(少量)일지라도 전량을 협잡물제거기(100)로 안내한다.
한편, 유로안내부재(172)의 타측은 하부돌출격자(174)에 직접적으로 접하여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 하부돌출격자(174)는 고정격자부재(130)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때, 하부돌출격자(174)는 하단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유로안내부재(172)를 견고하게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부돌출격자(174)는 고정격자부재(130)의 하측에 스폿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부돌출격자(174)는 고정격자부재(130)와 하나의 판재로 일체형의 격자부재로 제작되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되는 오폐수에 함유된 협잡물과 대침전물은 가동격자부재(140)의 가동에 의해 고정격자부재(130)를 따라 이동하면서 최대한 걸러지게 된다. 물론, 유로안내부재(17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고정격자부재(130)와 가동격자부재(14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송된 협잡물과 대침전물은 정화탱크(10)의 외측으로 배출 안내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프레임(110)은 협잡물제거기(100)를 통해 제거되는 협잡물과 대침전물을 담는 호퍼(182)를 구비하고, 이 호퍼(182)는 제거된 협잡물과 대전침전물을 설정방향으로 강제 배출하기 위해 배출부재(184)를 형성한다. 이때, 호퍼(182)는 평면상 정화탱크(10)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 또는 해당 단부의 하측을 개방한다. 그래서, 배출부재(184)는 호퍼(182)로 공급된 협잡물과 대침전물을 개방된 단부로 강제 이송한다. 여기서, 배출부재(184)는 호퍼(182) 내부에서 외부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 컨베이어 등 다양한 이송용 기계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물론, 호퍼(18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정화탱크(10)는 침사제거기(200)를 구비한다. 이 침사제거기(200)는 상술한 협잡물제거기(100)를 통과하여 정화탱크(10)의 바닥에 가라앉은 설정치 이하의 부피를 갖는 소침전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설정치 이하의 부피를 갖는 소침전물이라 함은 고정격자부재(130)와 가동격자부재(140) 사이로 빠지는 부피를 갖고, 오폐수의 비중보다 커서 가라앉게 되는 침전물을 말한다.
특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침사제거기(200)는 집중이송부재(210) 및 배출이송부재(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집중이송부재(210)는 정화탱크(10)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소침전물을 설정 위치로 강제로 집중적으로 모으는 역할을 하고, 배출이송부재(220)는 케이스(24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아울러 경사지게 장착되어 소침전물을 정화탱크(10) 외측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정화탱크(10)의 바닥면에는 소침전물을 모으며, 집중이송부재(210)를 수용하는 수용홈부(230)를 형성한다. 이때, 수용홈부(230)는 정화탱크(10) 바닥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소침전물을 집중이송부재(21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집중이송부재(21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을 서로 대칭되게 기울어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정화탱크(10)는 외측으로 케이스(240)를 연장 형성한다. 이 케이스(240)는 측방향에서 봤을 때 정화탱크(10)와 겹치는 부위를 정화탱크(10)와 연통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스(240)는 배출이송부재(220)를 수용한다. 이때, 배출이송부재(220)는 케이스(24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거나 정화탱크(10) 내부에서 우상향 경사지게 장착될 수도 있다.
배출이송부재(220)가 케이스(240)에 장착될 경우, 케이스(240)는 우상향 경 사지도록 정화탱크(10)의 일측에 연결된다.
또한, 수용홈부(230)와 케이스(240)는 연결통로(250)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통로(250)는 수용홈부(230)의 소침전물이 집중적으로 모이는 부위에서 케이스(24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정화탱크(10)의 바닥에 떨어진 소침전물은 자연스럽게 수용홈부(230)로 내려가고, 이후 집중이송부재(210)의 회전으로 연결통로(250)에 대응되는 수용홈부(230)로 집중적으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소침전물은 경사진 연결통로(250)를 통해 자연적으로 케이스(240)로 이동하게 된다. 연이어, 케이스(240)로 이동된 소침전물은 배출이송부재(220)의 구동으로 인해 케이스(24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케이스(240)는 상측의 높이가 정화탱크(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소침전물이 낙하하면서 흩날릴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케이스(240)는 유도구(242)를 하향 연장 형성하여 낙하하는 소침전물을 유도함에 따라 소침전물의 흩날림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집중이송부재(210)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12) 및 이 회전축(212)에 나선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소침전물을 연결통로(250)까지 강제 이동시키는 스크류윙(213)을 포함한다.
특히, 스크류윙(213)은 회전축(212)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결통로(250)에 대응되는 둘레면까지 시계방향으로 나선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제 1스크류윙(214) 및 이 회전축(212)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연결통로(250)에 대응되는 둘레면까지 반 시계방향으로 나선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제 2스크류윙(216)을 포함한다.
즉, 회전축(212)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제 1스크류윙(214)과 제 2스크류윙(216)을 형성한다. 이는, 회전축(212) 회전시 소침전물을 정화탱크(10)의 어느 일측 가장자리로 집중시키는 것보다 정화탱크(10)의 대략 중앙부분에 집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연결통로(250)가 수용홈부(230)의 양측 중 어느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경우, 스크류윙(213)은 소침전물을 연결통로(250) 방향으로 집중 이송시키기 위해 어느 한 방향으로 나선 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집중이송부재(210)와 배출이송부재(220)는 회전모터(260)에 의해 작동되는데, 하나의 회전모터(260)가 집중이송부재(210)와 배출이송부재(220)를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고, 각각의 회전모터(260)가 대응되는 집중이송부재(210)와 배출이송부재(220)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아울러, 배출이송부재(220)는 외부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 컨베이어 등 다양한 이송용 기계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배출부재(184), 집중이송부재(210) 및 배출이송부재(220)는 이송 용량에 따라 설치 개수가 정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는 유로안내부재(172)를 구비하여 유입구(12)를 통해 소량의 오폐수가 유입시에도 이 오폐수 전량을 가동격자부재(140)와 고정격자부재(130) 방향으로 직접 상향 유동 안내하게 됨으로써 협잡물과 침전물을 누출없이 최대한 걸러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 설치된 협잡물제거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제거기에서 유로안내부재를 분리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제거기에서 고정격자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제거기에서 가동격자부재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제거기에서 가동격자부재의 구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정화탱크 100: 협잡물제거기
110: 프레임 120: 고정빔
130: 고정격자부재 140: 가동격자부재
150: 회전프레임 160: 가동조작부
172: 유로안내부재 174: 하부돌출격자
182: 호퍼 184: 배출부재
200: 침사제거기 210: 집중이송부재
220: 배출이송부재 230: 수용홈부
240: 케이스 250: 연결통로

Claims (5)

  1. 유입구와 월류턱을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여 오폐수를 유입하여 정화 후 유출하는 정화탱크;
    상기 정화탱크의 유입구 측에 형성되어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설정치 이상 부피를 갖는 대침전물을 걸러내는 협잡물제거기;
    상기 협잡물제거기를 통과하여 상기 정화탱크의 바닥에 가라앉은 설정치 이하의 비중을 갖는 소침전물을 걸러내는 침사제거기; 및
    상기 유입구의 하측에 대응되는 상기 정화탱크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오폐수 전량(全量)을 상기 협잡물제거기로 안내하는 유로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협잡물제거기는,
    상기 유입구에 대응되는 상기 정화탱크의 내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마주하는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고정빔;
    상기 유입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상측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하측이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격자부재;
    상기 고정격자부재 사이사이에 형성되고, 상측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동격자부재;
    모든 상기 가동격자부재를 지지하는 가동빔에 연결되는 회전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가동격자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격자부재를 원호 궤적을 따라 가동 조작하여 낙하하는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대침전물을 상기 고정격자부재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걸러내는 가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격자부재는 상기 유로안내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하측 단부에 하부돌출격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안내부재는 전측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유입구의 가장자리 전체에 대응되는 상기 정화탱크의 내측벽에 면접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안내부재는 후단 외측에 실링패드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프레임과의 최소 틈새를 유지하면서 오폐수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출격자는 상기 고정격자부재의 하측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한 쌍 구비되어 상기 고정격자부재의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KR1020080118047A 2008-11-26 2008-11-26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KR100894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47A KR100894725B1 (ko) 2008-11-26 2008-11-26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47A KR100894725B1 (ko) 2008-11-26 2008-11-26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725B1 true KR100894725B1 (ko) 2009-04-24

Family

ID=4075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047A KR100894725B1 (ko) 2008-11-26 2008-11-26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7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580B1 (ko) 2015-12-31 2016-08-17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대용량 협잡물 종합 처리기
KR102414265B1 (ko) * 2021-05-21 2022-06-27 정명숙 하수 유도 유동판을 구비한 스크린
KR102431051B1 (ko) 2022-03-10 2022-08-11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CN116908172A (zh) * 2023-07-20 2023-10-20 湖南锦络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片式钽电容废水处理用排液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300B1 (ko) 1997-09-12 1999-11-15 허성 계단식여과기에 있어서 톱니형격자판
KR200303793Y1 (ko) 2002-11-15 2003-02-11 주식회사 타 셋 하수 및 오수처리장의 종합 협잡물 처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300B1 (ko) 1997-09-12 1999-11-15 허성 계단식여과기에 있어서 톱니형격자판
KR200303793Y1 (ko) 2002-11-15 2003-02-11 주식회사 타 셋 하수 및 오수처리장의 종합 협잡물 처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580B1 (ko) 2015-12-31 2016-08-17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대용량 협잡물 종합 처리기
KR102414265B1 (ko) * 2021-05-21 2022-06-27 정명숙 하수 유도 유동판을 구비한 스크린
KR102431051B1 (ko) 2022-03-10 2022-08-11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협잡물의 수거율 및 탈수율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CN116908172A (zh) * 2023-07-20 2023-10-20 湖南锦络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片式钽电容废水处理用排液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8260B1 (ko) 여과장치 및 여과시스템
CN101547725B (zh) 污液处理装置
KR100894725B1 (ko)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JP6653811B2 (ja) 移送システム
JP2010064164A (ja) 金属切削加工に使用した使用済切削油に混入された切粉の中の小さな切粉を取り除いて濾過済切削油とする濾過機具、前記濾過機具を組み込んだ濾過装置
RU2074929C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кремнистых частиц из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230340B1 (ko) 탈부착 스크린을 갖는 협잡물 종합 처리기
JP4274497B2 (ja) 切粉搬送式濾過装置
CN109548850A (zh) 一种工业用虾滤壳机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JP2019214048A (ja) 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固液分離方法
KR20110133749A (ko)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JP2007105577A (ja) 沈砂分離設備
JP5044619B2 (ja) 磁気式液中異物分離装置
JP6481852B2 (ja) 固液分離システム
JP5135013B2 (ja) クーラント処理装置
JP3080726U (ja) 傾斜板式沈殿槽装置
US8136673B2 (en) Grit elevator
KR102481167B1 (ko) 삼방향종합물질제거기
CN205461276U (zh) 一种带式机械格栅机
CN209428258U (zh) 一种煤化工废水处理用沉淀装置
CN210331824U (zh) 一种废水处理装置
CN217398682U (zh) 便于沙水分离的旋流沉沙池用清洁排沙装置
KR102543741B1 (ko) 침사 및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JP6924534B1 (ja) 固液分離装置及び汚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