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831B1 -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 Google Patents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831B1
KR101887831B1 KR1020170162158A KR20170162158A KR101887831B1 KR 101887831 B1 KR101887831 B1 KR 101887831B1 KR 1020170162158 A KR1020170162158 A KR 1020170162158A KR 20170162158 A KR20170162158 A KR 20170162158A KR 101887831 B1 KR101887831 B1 KR 10188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bstacle
inflow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천
Original Assignee
최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천 filed Critical 최병천
Priority to KR1020170162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Other 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or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7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격자판들과 상기 고정격자판들 사이에 배치되며, 타원형을 그리며 이동되어 유입되는 협잡물을 상향으로 견인하는 이동격자판들로 이루어진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로서, 상기 계단식 여과기의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하단부가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이동격자판들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협잡물 전달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은 하부의 흐름에 의해 협잡물이 상기 고정격자판들과 상기 이동격자판들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격자판과 상기 이동격자판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에 따르면, 계단식 여과기의 베이스 프레임에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이 설치되고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이동격자판을 연결하며 협잡물 전달패널이 설치되어, 하수의 흐름에 의해 이동되는 협잡물을 고정격자판과 이동격자판으로 안내함으로써, 협잡물이 고정격자판과 이동격자판의 하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쌓인 협잡물로 인한 마찰과 이에 따른 과부하에 의해 타원구동장치 및 이동격자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Stepwise filter equipped with structure of preventing contaminant sedimentation}
본 발명은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식 여과기의 베이스 프레임에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이 설치되고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이동격자판을 연결하며 협잡물 전달패널이 설치되어, 하수의 흐름에 의해 이동되는 협잡물을 고정격자판과 이동격자판으로 안내함으로써, 협잡물이 고정격자판과 이동격자판의 하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쌓인 협잡물로 인한 마찰과 이에 따른 과부하에 의해 타원구동장치 및 이동격자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양, 배수 펌프장, 취수장 등의 유입수 중에는 많은 생활용품이나 산업쓰레기를 함유하고 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함께 쓸려 내려와 이를 그대로 여과장치 없이 흘려 보낼 경우 물의 오염 또는 펌프장의 펌프 막힘이나 파손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로의 수문에 계단식 여과기를 설치하여 오폐수에 섞여있는 오물을 인양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계단식 여과기는 정화하고자 하는 폐수가 흐르는 배수로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좌우측 고정프레임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격자판과 이동격자판이 배치되어 배수로를 타고 흐르는 폐수가 상기 계단식 여과기에 도달하면 폐수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고정격자판과 이동격자판 사이로 배출되고, 각종 오물은 격자판의 전면에 걸려지게 되고, 격자판의 전면에 걸러진 오물은 각각의 고정격자판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동격자판들에 의해 한 계단씩 들어 올려져 인양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격자판은 계단 상면에서 한 단계 높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호운동으로 각각의 계단 상면에 걸러진 오물을 한 계단 위쪽의 고정격자판 상면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계속해서 상기 고정격자판의 후면 아래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격자판의 전면에 걸러진 오물을 수중에서 계단식 여과기의 상부로 인양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계단식 여과기는 오물들이 계단식 여과지의 하부에 쌓이면서 이동식격자판이 타원형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쌓인 협잡물에 이동식격자판의 하부가 마찰되거나 타격되면서 이동식격자판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에 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마찰 또는 타격에 의해 이동식격자판이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상존하여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큰 상황이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313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784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652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7905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997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의 흐름에 의해 이동되는 협잡물을 고정격자판과 이동격자판으로 안내함으로써, 협잡물이 고정격자판과 이동격자판의 하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쌓인 협잡물로 인한 마찰과 이에 따른 과부하에 의해 타원구동장치 및 이동격자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격자판들과 상기 고정격자판들 사이에 배치되며, 타원형을 그리며 이동되어 유입되는 협잡물을 상향으로 견인하는 이동격자판들로 이루어진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로서,
상기 계단식 여과기의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하단부가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이동격자판들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협잡물 전달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은 하부의 흐름에 의해 협잡물이 상기 고정격자판들과 상기 이동격자판들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격자판과 상기 이동격자판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은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상기 이동격자판들을 연결하며 상기 고정격자판과 상기 이동격자판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격자판의 하단부에는 일측에 돌출되게 연결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패널의 선단 상부에 힌지회동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격자판이 하향에서 상향으로 타원형을 그리며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은 점차 상향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에서 전달되는 협잡물을 상기 고정격자판과 상기 이동격자판으로 안내한 후 하향으로 경사지게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에는 일면에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과의 연결부분을 덮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연결패널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는 계단식 여과기의 베이스 프레임에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이 설치되고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이동격자판을 연결하며 협잡물 전달패널이 설치되어, 하수의 흐름에 의해 이동되는 협잡물을 고정격자판과 이동격자판으로 안내함으로써, 협잡물이 고정격자판과 이동격자판의 하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쌓인 협잡물로 인한 마찰과 이에 따른 과부하에 의해 타원구동장치 및 이동격자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에 있어, 이동격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에 있어, 고정격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계단식 여과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에 있어, 이동격자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에 있어, 고정격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계단식 여과기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10)는 고정격자판(200)들과 상기 고정격자판(200)들 사이에 배치되며,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을 그리며 이동되어 유입되는 협잡물을 상향으로 견인하는 이동격자판(300)들로 이루어진 계단식 여과기(100)에 설치되는 퇴적방지구조로서, 이에 이와 같은 협잡물 퇴적방지구조(10)는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과 협잡물 전달패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계단식 여과기(100)는 정화하고자 하는 폐수가 흐르는 배수로에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상기 계단식 여과기(100)의 하부는 배수로의 바닥부에 안착된다. 상기 계단식 여과기(100)의 베이스 프레임(400)의 상면 양측에는 좌측 프레임틀과 우측프레임틀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 프레임틀과 상기 우측 프레임틀의 상부에는 연결프레임틀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좌측프레임틀과 상기 우측프레임틀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격자판(200)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격자판(200) 사이에 이동격자판(300)이 배치되며, 상기 고정격자판(200)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00)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격자판(300)은 상기 계단식 여과기(100)에 설치되는 타원구동장치(500)의 모터(510)에 링크 또는 기어에 의해 연결된 작동프레임(520)에 축연결되어 상기 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도 5a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을 그리며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계단식 여과기(100)는 배수로를 타고 흐르는 폐수가 상기 계단식 여과기(100)의 하부에 도달하면 폐수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고정격자판(200)과 이동격자판(300) 사이로 배출되고, 각종 오물은 격자판의 전면에 걸려 오물을 수거하게 된다. 고정격자판(200)과 상기 이동격자판(300)의 전면에 걸러진 오물은 각각의 고정격자판(200)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동격자판(300)들의 회전에 의해 한 계단씩 들어 올려져 인양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격자판(300)은 계단 상면에서 한 단계 높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호운동으로 각각의 계단 상면에 걸러진 오물을 한 계단 위쪽의 고정격자판(200) 상면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계속해서 상기 고정격자판(200)의 후면 아래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격자판의 전면에 걸러진 오물을 수중에서 계단식 여과기(100)의 상부로 인양배출하게 된다.
상기 고정격자판(200)과 이동격자판(300)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인양돌기들이 형성된다.
상기한 계단식 여과기(100)는 폐수를 계단식으로 인양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배수로에 설치되는 통상의 장치이며, 이미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어지는 것이므로 자세한 결합관계 및 구동관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은 도 2에서와 같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은 상기 계단식 여과기(100)의 베이스 프레임(400)의 상부에 하단부가 힌지회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달패널은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이동격자판(300)들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힌지회동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격자판(300)의 하단부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측에 돌출되게 연결패널(4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패널(40)의 선단 상부에 힌지회동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은 하부의 흐름에 의해 협잡물이 상기 고정격자판(200)들과 상기 이동격자판(300)들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격자판(200)과 상기 이동격자판(3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은 최초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과 상기 이동격자판(300)들을 연결하며 상기 고정격자판(200)과 상기 이동격자판(30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과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에는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회전되게 이송날개를 갖는 이송롤러를 축결합하고, 상기 이솔롤러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를 더 설치하여,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30)과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를 통해 이동되는 협잡물이 상기 고정격자판과 상기 이동격자판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과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의 저면에는 바이브레이터를 나사 체결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해 이동되는 협잡물이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계단식 여과기(100)에 적용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1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5a에서와 같이 최초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은 상기 고정격자판(200)과 상기 이동격자판(3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은 상기 고정격자판(200)과 상기 이동격자판(30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패널(40)은 최초 " A "위치에 배치되며, 배수로의 하수 흐름을 따라 협잡물이 이동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에 걸림되어 쌓이게 된다.
이후,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타원구동장치(500)의 구동에 의해 이동격자판(300)이 타원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안내패널이 " B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격자판(300)이 점차 회전하면서 도 5c 및 도 5d에서와 같이 상기 협잡물 안내패널이 회전하면서 상기 협잡물 안내패널의 단부가 상기 고정격자판(200)과 상기 이동격자판(3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회동됨과 아울러 하수의 흐름에 의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과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에 협잡물이 안내되어 상기 고정격자판(200)과 상기 이동격자판(300)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5e에서와 같이 반복적으로 타원형으로 회전하는 상기 이동격자판(300)에 의해 계단식으로 고정격자판(200)을 따라 상향으로 협잡물이 이동되어 처리되며, 이러한 타원구동장치(5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회동된 후 하향으로 경사지게 회동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협잡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이 상기 고정격자판(200)과 상기 이동격자판(3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이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격자판(200)과 상기 이동격자판(30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하수의 흐름에 의해 협잡물이 고정격자판(200)과 이동격자판(300)의 하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격자판(300)과의 마찰에 의한 부하에 의해 타원구동장치(500) 및 이동격자판(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에는 일면에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과의 연결부분을 덮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안내패널(50)이 더 형성되어,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과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30)의 연결부분에 협잡물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내패널(50)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일단이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20)의 상부에 융착되어 고정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는,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협잡물 전달패널이 이동격자판에 설치됨으로써, 하수의 흐름에 의해 협잡물이 고정격자판과 이동격자판의 하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격자판과의 마찰에 의한 부하에 의해 타원구동장치 및 이동격자판이 파손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협잡물 퇴적방지구조 20 : 유입협잡물 안내패널
30 : 협잡물 전달패널 40 : 연결패널
50 : 안내패널
100 : 계단식 여과기 200 : 고정격자판
300 : 이동격자판 400 : 베이스 프레임
500 : 타원구동장치 510 : 모터
520 : 작동프레임

Claims (5)

  1. 고정격자판들과 상기 고정격자판들 사이에 배치되며, 타원형을 그리며 이동되어 유입되는 협잡물을 상향으로 견인하는 이동격자판들로 이루어진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로서,
    상기 계단식 여과기의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하단부가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이동격자판들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협잡물 전달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은 하부의 흐름에 의해 협잡물이 상기 고정격자판들과 상기 이동격자판들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격자판과 상기 이동격자판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은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상기 이동격자판들을 연결하며 상기 고정격자판과 상기 이동격자판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격자판의 하단부에는 일측에 돌출되게 연결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패널의 선단 상부에 힌지회동되게 연결되며,
    상기 이동격자판이 하향에서 상향으로 타원형을 그리며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은 점차 상향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에서 전달되는 협잡물을 상기 고정격자판과 상기 이동격자판으로 안내한 후 하향으로 경사지게 회동되고,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에는 일면에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과의 연결부분을 덮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안내패널이 더 형성되며,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에는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회전되게 이송날개를 갖는 이송롤러를 축결합하고,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를 더 설치하여,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를 통해 이동되는 협잡물이 상기 고정격자판과 상기 이동격자판으로 이동하도록 되고,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과 상기 협잡물 전달패널의 저면에는 바이브레이터를 나사 체결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해 이동되는 협잡물이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며,
    상기 안내패널은 일단이 상기 유입협잡물 안내패널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62158A 2017-11-29 2017-11-29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1887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58A KR101887831B1 (ko) 2017-11-29 2017-11-29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58A KR101887831B1 (ko) 2017-11-29 2017-11-29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831B1 true KR101887831B1 (ko) 2018-09-10

Family

ID=6359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158A KR101887831B1 (ko) 2017-11-29 2017-11-29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2127A (zh) * 2021-07-13 2021-09-17 福泉环保城发展有限公司 一体化污水处理装置及过滤机构
CN114656093A (zh) * 2022-04-22 2022-06-24 倍杰特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焦化废水零排放预处理装置及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2262A (en) * 1988-06-10 1991-07-16 Hydropress Wallander & Co. Ab Device in rinsing screens
KR100231300B1 (ko) 1997-09-12 1999-11-15 허성 계단식여과기에 있어서 톱니형격자판
KR100265245B1 (ko) 1997-09-12 2000-09-15 허성 타원 구동방식의 급경사 톱니형 계단식여과기
KR100279056B1 (ko) 2000-02-22 2001-01-15 허성 급경사톱니형 계단식여과기의 타원운동구동장치
KR200429976Y1 (ko) 2006-08-11 2006-11-02 허성 유압식 톱니형 여과기
US20070209985A1 (en) * 2004-04-26 2007-09-13 Per Mellegard Bottom Seal
KR101099431B1 (ko) * 2011-04-15 2011-12-27 금전기업 주식회사 로타리 제진기
KR101167841B1 (ko) 2012-03-15 2012-07-23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계단식 여과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2262A (en) * 1988-06-10 1991-07-16 Hydropress Wallander & Co. Ab Device in rinsing screens
KR100231300B1 (ko) 1997-09-12 1999-11-15 허성 계단식여과기에 있어서 톱니형격자판
KR100265245B1 (ko) 1997-09-12 2000-09-15 허성 타원 구동방식의 급경사 톱니형 계단식여과기
KR100279056B1 (ko) 2000-02-22 2001-01-15 허성 급경사톱니형 계단식여과기의 타원운동구동장치
US20070209985A1 (en) * 2004-04-26 2007-09-13 Per Mellegard Bottom Seal
KR200429976Y1 (ko) 2006-08-11 2006-11-02 허성 유압식 톱니형 여과기
KR101099431B1 (ko) * 2011-04-15 2011-12-27 금전기업 주식회사 로타리 제진기
KR101167841B1 (ko) 2012-03-15 2012-07-23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계단식 여과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2127A (zh) * 2021-07-13 2021-09-17 福泉环保城发展有限公司 一体化污水处理装置及过滤机构
CN114656093A (zh) * 2022-04-22 2022-06-24 倍杰特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焦化废水零排放预处理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812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101767872B1 (ko)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KR101893203B1 (ko)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JP6472095B2 (ja) 連続ベルトスクリーン
KR100893393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200472427Y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254450B1 (ko) 대형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제진기
KR102243084B1 (ko) 제진기
KR101735693B1 (ko) 목 메임 방지용 로터리식 제진기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403773B1 (ko) 제진기 틈새로 유입되는 잔존협잡물 차단기능을 구비한 자동제진기.
KR101330187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0351873Y1 (ko) 보조 스크린이 설치된 제진기
KR101254694B1 (ko) 제진기
KR102230093B1 (ko)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KR100655920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200406021Y1 (ko) 개폐식 전위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20070038777A (ko) 각형 풀리식 협잡물 제거장치
KR101575784B1 (ko)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
KR102068225B1 (ko)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기
KR200262880Y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101877854B1 (ko) 체인 인양식 멀티 레이크 스크린장치
KR102152401B1 (ko)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KR20100115969A (ko) 협잡물 제거용 수직 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