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721B1 -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721B1
KR102457721B1 KR1020220042304A KR20220042304A KR102457721B1 KR 102457721 B1 KR102457721 B1 KR 102457721B1 KR 1020220042304 A KR1020220042304 A KR 1020220042304A KR 20220042304 A KR20220042304 A KR 20220042304A KR 102457721 B1 KR102457721 B1 KR 10245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bogie
link
link rod
typ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충기
최용철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이앤티
Priority to KR1020220042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형태의 침전지 바닥에 설치되어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수중 바닥에 설치되는 대차가 이동하면서 수집하는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러지가 스크래퍼의 상단에 쌓이더라도 스크래퍼가 후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는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의 대차(A2) 지주(A3)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안내관(10); 그 안내관으로부터 와이어(A4)의 견인에 따라 전후방으로 일정간격 유격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유격이송대(20); 그 유격이송대(20)의 선단으로부터 대차(A2)의 전방에 힌지(H)결합되는 스크래퍼(A5)의 상단과 링크로 연결되는 링크로드(3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Bogie-type sludge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한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란, 정수장에서 정수과정 중 처리수에 약품을 투입한 물을 침전시키는 직사각형태의 침전지 바닥에 설치되어 약품에 의해 처리수로부터 응집되어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대차가 이동하면서 배출호퍼 측으로 수집하여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1과 같이 종래의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는 일측에 배출호퍼(미도시)를 구비하는 수로형태의 침전지(A); 그 침전지의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A1); 그 레일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대차(A2); 그 대차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주(A3); 그 지주의 전후방에 연결되어 대차를 견인하는 와이어(A4); 그 대차의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바닥의 슬러지를 수집하는 스크래퍼(A5); 그 스크래퍼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터치롤러(A6); 그 터치롤러와 접촉되어 스크래퍼의 기립 및 전도를 안내하도록 침전지의 전단과 후단에 설치되는 터치판(미도시);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대차가 전진할 때 스크래퍼가 기립되어 슬러지를 배출호퍼 측으로 수집하고, 후진할 때에는 스크래퍼가 전도되도록 하는 반복된 동작으로 슬러지를 수집하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는 터치롤러, 터치판, 전도받침판 등과 같은 구성요소가 많아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스크래퍼의 높이를 높게 하는 한계가 있고, 특히 대차의 이송에 따라 스크래퍼에 수집되는 슬러지의 양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스크래퍼에 수집되는 슬러지가 스크래퍼의 상부에 승강하면서 점차 쌓이게 되고, 이렇게 되면 스크래퍼의 상부 측에 중량이 가중되어 스크래퍼가 대차의 진행방향의 후방으로 의도하지 않게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대차*슬러지수집"을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4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등록공보 제10-2301135호 특허등록공보 제10-2318292호 특허등록공보 제10-2144499호 특허등록공보 제10-2151503호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슬러지가 스크래퍼의 상단에 쌓이더라도 스크래퍼가 후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래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의 대차 지주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안내관; 그 안내관으로부터 와이어의 견인에 따라 전후방으로 일정간격 유격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유격이송대; 그 유격이송대의 선단으로부터 대차의 전방에 힌지결합되는 스크래퍼의 상단과 링크로 연결되는 링크로드;를 구성하여서, 상기 와이어의 견인에 따라 수평안내관으로부터 유격이송대가 이송되는 방향에 의해 링크로드로부터 대차의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스크래퍼를 기립 및 전도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르면, 와이어의 견인력에 의해 슬러지수집장치의 스크래퍼가 기립되므로 스크래퍼에 수집되는 슬러지가 스크래퍼의 상단에 쌓이더라도 스크래퍼가 후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와 더불어 종래의 슬러지수집장치로부터 터치롤러, 터치판, 전도받침판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 물론 스크래퍼의 전복방지가 보장되어 스크래퍼의 높이를 상당하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1회 이송시 종래보다 더 많은 양의 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대차 후방에 보조스크래퍼를 부가한 예시도
도 5는 도 2의 유격이송대에 완충장치를 부가한 예시도
도 6은 도 2의 링크로드를 3방로드로 적용한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스크래퍼를 절첩되도록 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구성의 모양을 특별하게 특정하지 않은 이상 그 평면의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이럴 경우 평면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에 배출호퍼(미도시)를 구비하는 수로형태의 침전지(A); 그 침전지의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A1); 그 레일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대차(A2); 그 대차(A2)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주(A3); 그 지주(A3)의 전후방에 연결되어 대차(A2)를 견인하는 와이어(A4); 그 대차(A2)의 전방에 힌지(H)결합되어 바닥의 슬러지를 수집하는 스크래퍼(A5); 그 스크래퍼(A5)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터치롤러(A6); 그 터치롤러와 접촉되어 스크래퍼(A5)의 기립 및 전도를 안내하도록 침전지의 전단과 후단에 설치되는 터치판(미도시);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대차(A2)가 전진할 때 스크래퍼(A5)가 기립되어 슬러지를 배출호퍼 측으로 수집하고, 후진할 때에는 스크래퍼(A5)가 전도되도록 하는 반복된 동작으로 슬러지를 수집하도록 한 종래의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를 기초로 한다.
이하, 도2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초로 하는 종래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의 대차(A2) 지주(A3)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안내관(10); 그 안내관으로부터 와이어의 견인에 따라 전후방으로 일정간격 유격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유격이송대(20); 그 유격이송대(20)의 선단으로부터 대차(A2)의 전방에 힌지(H)결합되는 스크래퍼(A5)의 상단과 링크로 연결되는 링크로드(3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견인에 따라 수평안내관(10)으로부터 유격이송대(20)가 이송되는 방향에 의해 링크로드(30)로부터 대차(A2)의 힌지(H)를 중심으로 하여 스크래퍼(A5)를 기립 및 전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렇게 하면, 발명의 효과에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의 견인력에 의해 슬러지수집장치의 스크래퍼(A5)가 기립되므로 스크래퍼(A5)에 수집되는 슬러지가 스크래퍼(A5)의 상단에 쌓이더라도 스크래퍼(A5)가 후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와 더불어 종래의 슬러지수집장치로부터 터치롤러, 터치판, 전도받침판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 물론 스크래퍼(A5)의 전복방지가 보장되어 스크래퍼(A5)의 높이를 상당하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1회 이송시 종래보다 더 많은 양의 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대차(A2)의 후방에 힌지(H)결합되는 보조스크래퍼(40); 그 보조스크래퍼(40)의 상단으로부터 유격이송대(20)의 후단과 링크로 연결되는 반전링크로드(50); 그 반전링크로드(50)의 반전 중심에 설치되는 반전힌지브라켓(60);을 부가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견인에 따라 대차(A2)의 스크래퍼(A5)가 기립 또는 전도될 때 이와 동일하게 보조스크래퍼(40)가 기립 또는 전도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렇게 하면, 슬러지의 수집시 스크래퍼(A5)의 상단을 등반하여 넘치는 슬러지를 보조스크래퍼(40)에서 수집하여 배출호퍼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는 대차(A2)의 차기 이송시 스크래퍼(A5)에 쌓이는 중량을 줄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유격이송대(20)를 수평안내관(10)에 삽입되는 부분이 전후방으로 이중의 관체가 삽입되어 신축되도록 연결되는 신축관체(21); 그 신축관체(21)의 내부로부터 전후방 사이에 탄설되도록 연결되는 탄성부재(22);를 구성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탄성부재(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스프링에 의해 유격이송대(20)가 신축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렇게 하면, 바닥에 쌓인 슬러지로부터 스크래퍼(A5)가 받는 충격, 스크래퍼(A5)에 슬러지가 과중하게 쌓이는 부하, 강한 견인력에 의한 와이어가 부하 및 와이어가 받는 충격 등을 완충할 수 있으므로 대차(A2)의 구동력이 부드러워짐은 물론 스크래퍼(A5)가 훼손되거나, 와이어가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링크로드(30)를 유격이송대(20)의 선단으로부터 스크래퍼(A5)의 상단과 전방 사이에 링크로 연결되는 3방향링크로드(31);로 구성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도1에 비해 유격이송대(20)의 이송거리가 현저하게 짧아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는 작은 움직임으로 스크래퍼(A5)의 기립 및 전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크래퍼(A5)를 상하 두 곳을 지지하여 견인하기 때문에 스크래퍼(A5)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스크래퍼(A5)의 견인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스크래퍼(A5)를 힌지(H)의 상부로부터 상하를 분기하여 절첩(71)되도록 구성한 절첩스크래퍼(70); 그 절첩스크래퍼(70)의 절첩(71)부 상부와 하부로부터 유격이송대(20)의 선단 사이에 링크로 연결되는 3방향링크로드(31);로 구성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대차(A2)가 전진할 때 스크래퍼(A5)가 우산처럼 펼쳐지면서 기립되고, 후진할 때는 접혀지면서 전도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스크래퍼(40)는 전방의 스크래퍼(A5)와 동일한 형태로 대향되게 구성하면서 유격이송대(20)의 후단와 연결되는 3방향링크로드(31)의 연결로드를 도4, 도6과 같이 반전힌지브라켓(60) 및 반전링크로드(50)를 적용하여 보조스크래퍼(40)를 스크래퍼(A5)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도1에 비해 유격이송대(20)의 이송거리가 더욱더 현저하게 짧아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는 더욱더 작은 움직임으로 스크래퍼(A5)의 기립 및 전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1에 비해 유격이송대(20)의 선단을 스크래퍼(A5)의 후방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는 스크래퍼(A5)의 높이를 유격이송대(20)와 근접되는 부위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스크래퍼(A5)의 높이를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A2)가 전진할 때 스크래퍼(A5)의 상단 후측을 유격이송대(20)의 선단으로 받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래퍼(A5)의 견인력과 받침력이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1에 비해 보조스크래퍼(40)의 높이를 스크래퍼(A5)의 높이와 동등한 높이까지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대차(A2)의 길이를 작게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 및 하술 될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의 대차(A2) 지주(A3)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안내관(10); 그 안내관으로부터 와이어(A4)의 견인에 따라 전후방으로 일정간격 유격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유격이송대(20); 그 유격이송대(20)의 선단으로부터 대차(A2)의 전방에 힌지(H)결합되는 스크래퍼(A5)의 상단과 링크로 연결되는 링크로드(30);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로드(30)는 유격이송대(20)의 선단으로부터 스크래퍼(A5)의 상단과 전방 사이에 링크로 연결되는 3방향링크로드(31); 또는 상기 스크래퍼(A5)는 힌지(H)의 상부로부터 상하를 분기하여 절첩(71)되도록 구성한 절첩스크래퍼(70); 그 절첩스크래퍼(70)의 절첩(71)부 상부와 하부로부터 유격이송대(20)의 선단 사이에 링크로 연결되는 3방향링크로드(3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A2)의 후방에 힌지(H)결합되는 보조스크래퍼(40); 그 보조스크래퍼(40)의 상단으로부터 유격이송대(20)의 후단과 링크로 연결되는 반전링크로드(50); 그 반전링크로드(50)의 반전 중심에 설치되는 반전힌지브라켓(60);을 부가한 것;
    상기 유격이송대(20)는 수평안내관(10)에 삽입되는 부분이 전후방으로 이중의 관체가 삽입되어 신축되도록 연결되는 신축관체(21); 그 신축관체(21)의 내부로부터 전후방 사이에 탄설되도록 연결되는 탄성부재(22);로 구성한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하는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42304A 2022-04-05 2022-04-05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 KR102457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304A KR102457721B1 (ko) 2022-04-05 2022-04-05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304A KR102457721B1 (ko) 2022-04-05 2022-04-05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721B1 true KR102457721B1 (ko) 2022-10-21

Family

ID=8380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304A KR102457721B1 (ko) 2022-04-05 2022-04-05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72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09B1 (ko) * 2005-12-21 2007-04-27 한국수자원공사 침전조의 슬러지 제거 시스템
KR20080104446A (ko) * 2007-05-28 2008-12-03 수엔비텍 주식회사 슬러지 수집장치의 수중대차구조
KR102144499B1 (ko) 2020-02-27 2020-08-14 (주)가온텍 하부 이동방식이 적용되는 수중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2151503B1 (ko) 2020-01-22 2020-09-03 이에스피 주식회사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2288702B1 (ko) * 2021-04-09 2021-08-11 주식회사 신정기공 원형침전지의 블레이드 가압장치
KR102301135B1 (ko) 2021-06-03 2021-09-10 주식회사 비엠아이 수중대차식 슬러지수집기의 와이어 부하감지장치
KR102318292B1 (ko) 2021-05-14 2021-10-2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슬러지 파쇄기능이 구비된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09B1 (ko) * 2005-12-21 2007-04-27 한국수자원공사 침전조의 슬러지 제거 시스템
KR20080104446A (ko) * 2007-05-28 2008-12-03 수엔비텍 주식회사 슬러지 수집장치의 수중대차구조
KR102151503B1 (ko) 2020-01-22 2020-09-03 이에스피 주식회사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2144499B1 (ko) 2020-02-27 2020-08-14 (주)가온텍 하부 이동방식이 적용되는 수중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2288702B1 (ko) * 2021-04-09 2021-08-11 주식회사 신정기공 원형침전지의 블레이드 가압장치
KR102318292B1 (ko) 2021-05-14 2021-10-2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슬러지 파쇄기능이 구비된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KR102301135B1 (ko) 2021-06-03 2021-09-10 주식회사 비엠아이 수중대차식 슬러지수집기의 와이어 부하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9117B (zh) 多自由度调节的移动式清洁装置及其控制方法
CN104218887B (zh) 立体式光伏面板清洗车
US4493122A (en) Motor vehicle for transporting and laying a fixed bridge
CN102373670B (zh) 移动平台运架一体机及桥梁架设方法
CN102009642A (zh) 车辆自动搭桥越障机构
WO2016201900A1 (zh) 一种变轨迹受流器及电动车辆
CN202139897U (zh) 一种折叠式围栏
CN205637748U (zh) 骑跨马路双(单)排单层悬挂式停车场
CN104494748A (zh) 自行式变形旅行箱
KR102457721B1 (ko)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
CN204492281U (zh) 联动式无避让立体车库
CN211869461U (zh) 一种建筑工地用小型运输斗车
CN108407915B (zh) 一种通用机械越障装置及使用方法
CN103241300A (zh) 一种带电清洗系统的载体小车装置
KR102457722B1 (ko) 대차식 슬러지수집장치의 슬러지수집시스템
CN213565582U (zh) 一种土木工程施工用高效牵引车
CN214369439U (zh) 一种太阳能蓄电照明设备
CN212478669U (zh) 一种市政公交站用便于对积雪进行清理的防护棚
CN205045781U (zh) 三门架取料机
CN106394762A (zh) 一种新型倒三轮电动车
CN206189335U (zh) 一种手动调节铲雪车
CN115320685B (zh) 一种煤矿巷道运输装置及方法
CN109347429B (zh) 行走机器人用多排太阳能光伏板的连接变轨机构及变轨方法
CN204626314U (zh) 一种多功能道路清雪车
CN219989268U (zh) 一种折叠电动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