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234B1 -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 Google Patents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234B1
KR102596234B1 KR1020230079383A KR20230079383A KR102596234B1 KR 102596234 B1 KR102596234 B1 KR 102596234B1 KR 1020230079383 A KR1020230079383 A KR 1020230079383A KR 20230079383 A KR20230079383 A KR 20230079383A KR 102596234 B1 KR102596234 B1 KR 10259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screen
chain
impurities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진
나현주
Original Assignee
청정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정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정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9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의 수거율을 향상시켜 협잡물을 수거 중에 유실되지 않게 하는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20)이 에이프런(50)을 타고 올라가게 연장하여 레이크(30)가 체인(40)의 완만한 구간의 초입까지 스크린(20)을 따라 협잡물을 상부로 이송하게 하고, 에이프런(50)을 컨베이어 벨트(51)로 구성하여 스크린(20)의 배후에 설치함으로써, 협잡물을 이송 중에 유실되지 않게 하고, 체인(40)의 완만한 구간에서 낙하시켜 협잡물을 수거하게 한다.

Description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DUST REMOVING MACHINE WITH SCREEN FOR IMPROVED DUST COLLECTING CAPABILITY}
본 발명은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의 수거율을 향상시켜 협잡물을 수거 중에 유실되지 않게 하는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제진기는 하수 처리장, 폐수 처리장, 오수 처리장, 상수도 취수장, 배수 펌프장, 양수 펌프장 등의 수처리 시설에서 처리할 원수가 유입되는 입구에 설치하여 협잡물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으로 로타리 제진기가 있다.
로타리 제진기는 원수가 통과하는 수로를 하부에 형성하고, 수로에 설치한 스크린에 걸러진 협잡물을 무한궤도처럼 순환하는 체인에 고정한 레이크를 이용하여 상부로 긁어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스크린을 수로 입구에 설치하는 방식과, 수로 출구에 설치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들 방식 중에 스크린을 수로 출구에 설치하는 방식은 레이크를 고정한 무한궤도를 스크린의 전방에 설치하며, 구조가 보다 간단하고 견고하면서 수로 바닥의 협잡물을 긁어 이송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방식을 채택한 제진기는 도 9에 도시한 등록특허 제10-1731288호의 제진기와 같이 양측 측면 프레임(110) 사이의 하부 수로 중에 출구에 설치한 스크린(120), 스크린(120)의 전방에서 양측 측면 프레임(110)에 각각 설치하여 상하로 순환하는 체인(140), 양 체인(140) 사이를 횡단하도록 양 체인(140)에 단부를 고정하며 체인(140)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한 복수의 레이크(130), 체인(140)에 의해 상부에서 선회하는 레이크(130)로부터 협잡물을 수거하는 탈거수단(170)을 포함한다.
이때, 체인(140)은 적어도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스프라켓(141, 142)에 맞물리고, 때로는 추가적인 스프라켓(143)을 설치하며, 상부 스프라켓(141)을 모터로 회전시킨다. 이에, 체인(140)에 고정한 레이크(130)는 스크린(120)을 따라 이동하며 스크린(120)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 상부로 이송하고, 스크린(120)을 벗어난 이후에는 배면측 벽면(S)을 따라 상부의 배출구(112)를 향해 이동한다.
여기서, 스크린(120) 위의 벽면(S)과 벽면(S)을 따라 이송하는 레이크(130) 사이에는 레이크(13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틈새를 주어야 하므로, 협잡물이 레이크(130)에 의해 상부로 이송하는 중에 일부 유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로 이송하는 협잡물의 유실을 줄이기 위해서 도 10에 도시한 등록특허 제10-1666028호의 제진기처럼 스크린(120)의 위에 판 형상의 에이프런(150)을 설치하여, 협잡물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체인(14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1)을 측면 프레임(110)에 설치하여, 레이크(130)의 이동을 보다 안정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레이크(13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 에이프런(150)과의 사이에 틈새를 주어야 하므로, 협잡물의 유실을 원천적으로 막지는 못한다. 더욱이, 제진기를 가동하는 중에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을 받아 그 틈새를 통한 협잡물 유실이 발생하기 쉽고, 에이프런(150)으로 떨어져 에이프런(150) 위에 잔류하거나 또는 하부로 미끄러져 에이프런(150)과 스크린(120) 사이에 끼이는 협잡물은 레이크(130)의 주행을 방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상부로 이동한 레이크(130)에서 협잡물을 떨어뜨리기 위해 배출구(111) 위치에 설치한 탈거수단(170)을 사용하는데, 협잡물은 매우 다양하여 일회성 탈거 과정만으로는 협잡물을 전량 떨어뜨리기 어려울 수 있다.
KR 10-1731288 B1 2017.04.24. KR 10-1666028 B1 2016.10.0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에서 레이크로 걷어 상부로 이송하는 중에 협잡물의 유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레이크로 걸어 올린 협잡물도 전량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에 있어서, 전방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후방으로 배출되게 하는 내부 수로(10a)를 하부에 형성하는 양측의 측면 프레임(10); 내부 수로(10a) 중에 유체가 배출되는 후방 측에 설치되고,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복수의 스크린바(21)를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하여 구성하여 유체에 의해 이송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20); 스크린(20)의 전방에서 스크린(20)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켜 협잡물을 긁어 올리기 위한 레이크(30); 레이크(30)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양측의 측면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측면 프레임(10) 상단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시키는 구동 스프라켓(41)에 맞물려 스크린(20)의 하단과 측면 프레임(10) 상단 사이를 순환하도록 측면 프레임(10)에 설치함으로써 협잡물을 레이크(30)에 의해 상단으로 인양한 후 낙하시키되, 스크린(20)의 경사각을 갖는 하부 경사부(40a)보다 완만한 경사각을 갖는 상부 완만부(40b)를 구비하여 상부에서 절곡된 경로를 갖게 한 체인(40); 체인(40)의 내부 수로(10a) 위의 상부 구간을 따라 설치되어 레이크(30)에 의해 인양되는 협잡물을 받쳐주는 에이프런(50);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20)은 상기 에이프런(50)을 간격을 두고 타고 올라 상기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의 초입에 이르도록 연장된다.
상기 에이프런(50)은 상기 스크린(20)의 연장 부위 배후에서 상기 스크린(20)의 연장 부위를 따라 경사지게 상승한 후 상기 스크린(20)의 상단 아래부터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의 아래까지 수평 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진행하고 이후 상기 스크린(20)의 연장 부위 하단에 이르는 순환 주행 경로를 갖고,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돌기(51a)를 표면에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51); 및 컨베이어 벨트(51)의 순환 경로의 꺾인 부분에 배치하여 컨벨이어 벨트(51)를 안내하는 복수의 풀리(52, 5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의 회전축에 고정한 제1 링크 스프라켓(43)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의 아래에 배치한 풀리(52)의 회전축에 고정한 제2 링크 스프라켓(54)에 맞물린 링크 체인(55)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51)를 주행시키고, 제1 링크 스프라켓(43)과 제2 링크 스프라켓(54)의 기어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51)가 상기 체인(40)에 비해 증가된 주행 속도를 갖게 한다.
상기 레이크(30)는 양단을 체인(40)에 고정한 고정 프레임(32)에 양측 체인(40) 사이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한 지지축(32a)을 축으로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되 회동할 시에 스프링(32b)을 눌러 회동 전으로 복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레이크(30)의 일단에는 지지축(32a)의 축 방향으로 연장한 축설부(31a)를 조성하여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래칫톱니(33a, 33b)를 조성한 래칫휠(33)이 회동 가능하게 외삽된다.
래칫휠(33)은 축설부(31a)의 단부 면에 설치하여 내주면 래칫톱니(33a)와 맞물리는 내부 멈춤쇠(34)에 의해서 상기 레이크(30)의 회동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레이크(30)의 복귀 방향으로 회동할 시에 내부 멈춤쇠(34)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고정 프레임(32)에 설치하여 외주면 래칫톱니(33b)에 맞물리는 외부 멈춤쇠(35)에 의해서 상기 레이크(30)의 복귀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게 하고 상기 레이크(30)의 회동 방향으로 회동할 시에 외부 멈춤쇠(35)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 표시부(33c)를 구비하여 레이크(30)가 수면 위로 올라온 상태에서 회동 표시부(33c)를 인식하여 레이크(30)의 회동 여부를 알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20)이 체인(40)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어, 에이프런(50)을 타고 올라가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 초입에 이르므로, 협잡물을 안정적으로 상부로 이송할 수 있고, 상부 이송 구간을 수평 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고 레이크(30)의 이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51)로 에이프런(50)을 구성하므로, 상부로 이송 중에 스크린(20)을 통과하며 낙하하는 협잡물과 스크린(20)을 통과한 레이크(30)에서 낙하하는 협잡물을 전량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20)을 통과한 후 주행하는 레이크(30)를 탄성적으로 누르며 하부로 쓸어내리는 방식으로 협잡물을 제거하는 제1 탈거수단(60)을 사용하고, 이후 잔류할 수 있는 협잡물을 재차 제거하는 제2 탈거수단(70)을 사용함으로써, 레이크(30)에 잔류하는 협잡물의 잔류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로의 상단에서 컨베이어 벨트(51)의 하부에 이르는 판 형태로 구성한 고정바(23)를 사용함으로써, 협잡물을 수면 위로 걷어 올리는 과정에서의 협잡물 유실을 방지하며, 이후 컨베이어 벨트(51)로 낙하는 협잡물을 수거하므로, 걷어 올린 협잡물의 유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20)에 낀 협잡물이 레이크(30)로 제거되지 않는 상황을 래칫으로 인식할 수 있어서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진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측면 프레임(10)을 생략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진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상부 부분(A)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에서 에이프런(50)의 하부 부위를 확대 도시하며, 레이크(30)를 형태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레이크(30)로 이송된 협잡물을 수거하기 위한 제1 탈거수단(60)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레이크(30)의 변형 실시 예 사시도.
도 8은 레이크(30)의 변형 실시 예 측면도.
도 9는 종래 제진기의 사시상태도.
도 10은 다른 종래 제진기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다양한 예시들을 보여주며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통해 실시될 수 있음도 분명하므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 배경기술로 언급한 문허문헌을 비롯하여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구성 및 그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자세히 기술하지 않고,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정도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측면 프레임(10)을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측면도로서, 내부 수로(10a)의 최대 수위를 보여주기도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 또는 도 3을 부분 확대한 도면으로서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보여주며 설명하는데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진기는 내부 수로(10a)를 하부에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10), 내부 수로 중에 유체가 배출되는 후방 측에 설치한 스크린(20), 스크린(20)의 전방에서 스크린(20)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켜 협잡물을 긁어 올리기 위한 레이크(30), 스크린(20)의 전방에서 레이크(30)을 상하로 왕복하며 순환시키기 위한 한쌍의 체인(40), 체인(40)의 상부 주행 구간을 따라 설치되어 레이크(30)에 의해 인양되는 협잡물을 받쳐주는 에이프런(50), 이동하는 레이크(30)에 의해 걷어올린 협잡물을 레이크(30)에서 떨어뜨리기 위한 제1 탈거수단(60), 레이크(30)에 잔류하는 협잡물을 떨어뜨리기 위한 제2 탈거수단(70) 및 에이프런(50)으로 수거된 협잡물을 받아 배출하기 위한 협잡물 배출수단(80)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10)은 유체를 하부로 통과하도록 폭방향 양측에 하나씩 세워 전방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후방으로 배출되게 하는 내부 수로(10a)를 하부에 형성하고, 체인(40)의 순환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1)이 마주하는 안쪽면에 테두리를 따라 연속 이어지게 구비한다. 이를 위한 가이드 레일(11)은 하기에서 설명할 체인(40)의 순환 경로의 형태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측면 프레임(10)은 그러한 가이드 레일(11)을 설치할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의 폭방향은 유체 흐름 방향과 수평면 상으로 직교하는 방향이고, 당연히 필요한 구조로서 자세하게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스크린(20)이 설치된 곳을 통해서만 유체를 배출하도록 유체 흐름을 유도하는 폭방향 양측의 구조, 양측 측면 프레임(10)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레이크(30)의 순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횡단 바, 횡단 덮개, 등도 구비한 몸체를 갖출 수 있다.
상기 스크린(20)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복수의 스크린바(21)를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내부 수로(10a)의 후방 측에 설치하여 내부 수로(10a)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이송되는 협잡물을 걸러내게 한다.
상기 스크린(20)의 배면에는 폭방향으로 횡단하며 각각의 스크린바(21)가 고정되어 스크린바(2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고정바(22, 23)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물론, 각각의 고정바(22, 23)는 상기 측면 프레임(10)이 설치된 몸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도 5에 확대하여 보여주는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바(22, 23) 중에 어느 하나는 수로의 상단(즉, 최대 수위)에서 시작하여 후술하는 에이프런(50)의 컨베이어 벨트(51)의 하부에 이르는 판 형태의 확장 고정바(2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확장 고정바(23)는 스크린(20)의 배후에서 지지하는 기능과, 내부 수로(10a)와 컨베이어 벨트(51) 사이의 구간에서 레이크(30)로 이송하는 협잡물을 받쳐주어 낙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레이크(30)는 상기 스크린(20)의 전방에서 스크린(20)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스크린(20)에 걸린 협잡물을 긁어 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스크린바(21) 사이로 부분 삽입되는 갈퀴(31)를 스크린(20)을 향하게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레이크(30)는 양측 체인(40) 사이를 횡단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양측 체인(40) 사이를 횡단하며 양단을 체인(40)에 고정한 고정 프레임(32)에 설치한다.
이때의 고정 프레임(32)에는 양측 체인(40) 사이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한 지지축(32a)과, 지지축(32a)에 외삽하며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을 사용한 스프링(32b)을 구비하여, 스프링(32b)이 고정 프레임(32)에 일단을 지지되게 하고 상기 레이크(30)를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타단으로 지지되게 한다. 이에, 상기 레이크(30)는 진행 중에 눌려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시에 스프링(32b)을 탄성 변형시키므로 회동 전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레이크(30)는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협잡물을 긁어 올리게 하고, 진행 중에 상기 고정바(22, 23)에 닿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회동하여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체인(40)은 폭방향 양측의 측면 프레임(10)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1)에 안내되어 무한궤도처럼 순환시키는 것으로서, 측면 프레임(10)의 상단에 설치한 구동 스프라켓(41)과 측면 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한 엔드 스프라켓(42)을 각각 폭방향의 축을 갖게 한 후 맞물리게 하여, 상단 및 하단에서 선회하며 상단 및 하단 사이를 왕복 순환되게 한다.
상기 체인(40)은 상기 레이크(30)의 고정 프레임(32) 양단이 고정되고,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구동 스라켓(41)을 구동모터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기 레이크(30)는 순환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도 3의 측면도와 구간 명칭을 표기한 도 4의 확대도를 참조하며 상기 체인(40)의 순환 경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크린(20)의 전방에 근접한 구간으로 스크린(20)의 경사각을 갖는 하부 경사부(40a)를 갖는다. 하부 경사부(40a)는 상기 레이크(30)의 갈퀴(31)가 부분적으로 스크린바(21) 사이로 끼워지게 한 상태로 상기 레이크(30)를 상승시켜서 상기 스크린(20) 중에 내부 수로(10a)에 잠긴 부분에 걸린 협잡물을 상기 레이크(30)에 의해 긁어 올리게 하며, 내부 수로(10a) 위로 연장되어서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되게 한다.
하부 경사부(40a)는 도 4에 표기한 바와 같이 하부 경사부(40a)의 상단을 절곡하여 하부 경사부(40a)보다 완만한 경사각을 갖는 상부 완만부(40b)로 이어지고, 상부 완만부(40b)의 상단은 구동 스프라켓(41)에 의해 선회하는 구간으로 이어진다. 이에, 협잡물은 레이크(30)에 의해 상단으로 인양하는 중에 상부 완만부(40b)에서 아래로 쉽게 떨구어 낙하시킬 수 있게 한다.
구동 스프라켓(41)에 의해 선회한 이후에는 상부 완만부(40b)와 하부 경사부(40a)보다 전방으로 치우친 경로를 따라 하강한 후 엔드 스라라켓(42)에 의해 선회하여 하부 경사부(40a)로 이어짐으로써 상하를 왕복하며 순환하는 경로가 완성된다. 그리고, 측면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체인(40)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은 이러한 순환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와, 도 3의 측면도를 부분 확대 도시한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의 회전축에는 제1 링크 스프라켓(43)이 설치되어 구동 스프라켓(41)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제1 링크 스르라켓(43)은 후술하는 에이프런(50)의 컨베이어 벨트(51)를 상기 체인(40)과 연동하여 주행시기는데 사용된다.
상기 에이프런(50)은 체인(40)의 상승 구간 중에, 내부 수로(10a)의 상부 구간을 따라 체인(40)의 배후에 설치되어 레이크(20)에 의해 인양되는 협잡물을 낙하하지 않게 받쳐주는 것으로서, 하부 경사부(40a)의 내부 수로(10a) 위의 구간과 상부 완만부(40b)의 전구간에 걸쳐 배후에 설치된다.
종래에는 상기 에이프런(50)을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20)은 상기 에어프런(50)의 하단까지만 이르게 설치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20)은 상기 에이프런(50)의 전방에서 상기 에이프런(50)과 간격을 두고 타고 올라가 상기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의 초입에 이르도록 연장된다. 즉, 상기 스크린(20)은 상부 완만부(40b)가 시작되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레이크(30)가 갈퀴(31)를 부분적으로 스크린바(21) 사이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스크린(20)의 연장된 상단까지 상승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이프런(50)은 상기 스크린(20)에서 내부 수로(10a) 위의 연장된 부위의 배후에서 순환하는 컨베이어 벨트(51)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51)는 상기 스크린(20)의 연장 부위의 경사각을 갖게 하여 상기 스크린(20)의 연장 부위를 따라 경사지게 상승하는 경사 구간과, 경사 구간 이후 상기 스크린(20)의 상단에서 연직방향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곳부터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에서 연직방향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곳까지 수평(본 발명의 실시 형태) 또는 후방으로 완만하게 하향하는 완만 구간과, 완만 구간 이후 상기 스크린(20)의 연장 부위 하단 또는 내부 수로(10a)보다 약간 높은 위치까지 하향하는 복귀 구간을 포함하는 순환 주행 경로를 따라 순환한다.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51)의 완만 구간은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와 상하로 마주하는 구간으로서, 스크린(20)에서 벗어나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를 따라 진행하는 레이크(30)에서 협잡물이 낙하할 시에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 전구간에 걸쳐 낙하하는 협잡물을 받은 후 이송하고, 더욱이, 받아낸 협잡물이 컨베이어 벨트(51)의 경사 구간으로 미끄러져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터 벨트(51)의 표면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한 돌기(51a)를 구비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51)의 순환 주행 경로의 꺾인 부분에 배치하여 컨베이어 벨트(51)를 순환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게 안내하는 복수의 풀리(52, 53)가 설치된다.
상기 풀리(52, 53)는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의 아래에 배치하여 완만 구간에서 복귀 구간으로 안내하는 구동 풀리(52)와, 자유 회전하는 나머지 가이드 풀리(53)로 구성되고, 구동 풀리(52)의 회전축에는 제2 링크 스프라켓(54)이 고정되어서 구동 풀리(52)를 제2 링크 스프라켓(54)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체인(40)의 구동 스프라켓(41)의 회전축에 고정한 제1 링크 스프라켓(43)과 상기 제2 링크 스프라켓(54)에 각각 맞물리는 링크 체인(55)를 설치하여서, 구동 스프라켓(41)을 회전시켜 상기 체인(40) 또는 레이크(30)를 주행시킬 시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51)도 동시에 주행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링크 스프라켓(43)과 제2 링크 스프라켓(54)의 기어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51)가 상기 체인(40)(또는 레이크(30))에 비해 증가된 주행 속도를 갖게 한다. 즉, 동일한 링크 체인(55)에 맞물리는 상기 제1 링크 스프라켓(43)과 제2 링크 스프라켓(54)은 동일 피치를 갖고, 양 스프라켓(43, 54)의 기어 잇수의 비율로 나타내는 기어비는 상기 체인(40)의 주행 속도에 영향을 주는 구동 스프라켓(41) 지름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51)의 주행 속도에 영향을 주는 구동 풀리(52) 지름을 고려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51)를 상기 체인(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주행시키는 기어비를 갖게 하는 것이다.
한편, 스크린(20)을 고정하는 상기 확장 고정바(23)의 상단은 적어도 상기 컨베이어 벨트(51)의 상승 구간에 해당되는 경사 구간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린(20)을 상기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 초입까지 연장하고, 연장한 상기 확장 고정바(23)를 구비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40) 및 스크린(20)과의 상대적 위치를 갖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51)로 에이프런(50)을 구성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51)의 주행 속도를 상기 체인(40)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협잡물을 상부로 이송할 수 있다.
첫째, 스크린(20) 중에 내부 수로(10a)에 잠긴 부분에서 레이크(30)로 걷어 올린 협잡물을 유실되지 않게 하며 내부 수로(10a) 위로 이송하여서, 컨베이어 벨트(51)에 이르게 한다.
둘째, 레이크(30)가 스크린(20)의 상단까지 진행하는 동안 스크린바(21) 사이로 낙하하는 협잡물이 있더라도 에이프런(50)으로 받아 이송하여 유실되지 않게 하고, 상대적 속도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51)을 따라 미끄러져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많은 양의 협잡물이 레이크(30)로 이송하더라도 스크린(20)을 따라 이송하여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에 이르게 하므로 이송 중에 체인(40)의 하부 경사부(40a)로 낙하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 초입에서 끝나는 스크린(20)을 벗어난 레이크(30)에서 상부 완만부(40b)의 완만한 경사각에 의해 협잡물을 보다 수월하게 떨어낼 수 있고, 상부 완만부(40b) 구간 내내 낙하하는 협잡물을 받아내어 한 곳으로 이송 수거할 수 있게 하며, 협잡물이 많더라도 컨베이어 벨트(51)의 상대적 속도에 의해서 유실시키지 아니한다.
상기 제1 탈거수단(60)은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에 맞춰 설치되어 상부 완만부(40b)를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30)의 표면을 하부를 향해 쓸어내며, 이에 물기를 머금고 있어 레이크(30)로 잘 이탈되지 않는 협잡물도 떨어지게 한다.
상기 제1 탈거수단(60)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도 2 및 도 3과,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 6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상기 제1 탈거수단(60)은 상기 스크린(20)에서 벗어나 진행하려는 상기 레이크(30)의 상단을 향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며, 상단에 구비한 회동축(61a)의 양단을 측면 프레임(10)에 축설하여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한 스크레이퍼(61)와, 스크린(20)에서 벗어나는 레이크(30)의 상단을 향해 향해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스프링(62a)이 설치된 브라켓(6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크레이퍼(61)는 판 형태로 구성하여서, 적어도 레이크(30)에 폭방향으로 선접촉되게 한다.
상기 브라켓(62)은 양측 측면 프레임(10)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62a)이 지지되게 하여서 상기 스크레이퍼(61)를 전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밀어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의 상기 스프링(62a)은 상기 스크레이퍼(61)의 회동축(61a)에 외삽하고, 일단을 상기 브라켓(62)에 지지되게 하고 타단을 상기 스크레이퍼(61)에 고정하는 토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62)에는 상기 스프링(62a)에 밀려 전방으로 회동하는 상기 스크레이퍼(61)에 걸리는 리밋 돌기(62b)에 의해서 스크린(20)에서 벗어난 직후의 레이크(30)의 상단에 닿는 위치로 회동 범위를 제한되게 한다.
이에, 상기 스크레이퍼(61)는 도 6의 작동 상태도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스크린(20)을 벗어나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로 진입하는 레이크(30)의 상단에 닿은 후 레이크(30)의 진행에 따라 레이크(30)의 밀리며 상기 레이크(30)의 표면을 하부로 쓸게 되고, 레이크(30)가 회동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스프링(62a)에 의해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장착한 상기 제1 탈거수단(60)은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를 진행하는 레이크(30)에서 물기에 의해 잘 떨어지지 않는 협잡물을 스프링(62a)에 의해 레이크(30) 표면을 쓸어내는 방식으로 하부로 쓸어 떨어지게 함으로써, 협잡물의 수거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탈거수단(70)은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의 위치에 맞춰 설치되어,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에 의해 선회하는 레이크(30)의 잔류 협잡물을 선회 초입에 떨어뜨리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기술에서도 사용하던 것이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2 탈거수단(70)은 중간 부위를 기준으로 구동 스프라켓(41)을 선회하는 상기 레이크(30)의 상단을 향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하부 부위와, 하부 부위와 반대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며 상단에 회동축(71a)을 구비한 상부 부위로 이루어져 중간 부위가 꺾인 판 형태의 스크레이퍼(71)와, 스크레이퍼(71)의 꺾인 중간 부위를 걸쳐지게 하여 걸쳐진 상태에서 선회하는 상기 레이크(30)의 상부 부위에 닿게 하는 지지대(72)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레이크(30)는 선회 초입에서 상기 스크레이퍼(71)가 상부에 닿게 되고, 선회하는 중에 상기 스크레이퍼(71)를 밀어내며 선회하여, 상기 스크레이퍼(71)가 표면을 쓸게 하고, 선회한 이후에는 자중에 의해 지지대(72)에 걸쳐지는 초기 위치로 복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탈거수단(70) 이외에도 제1 탈거수단(60)을 구비함으로써, 아래를 향하는 레이크(30)에서 협잡물을 1차적으로 잘 제거하고, 이후 제2 탈거수단(70)으로 협잡물을 재차 제거하므로, 협잡물이 레이크(30)에 잔류하지 않게 한다.
상기 협잡물 배출수단(80)은 상기 에이프런(50)의 컨베이어 벨트(51)로 운반되는 협잡물과, 상기 제2 탈거수단(70)에 의해 낙하하는 협잡물을 받아 배출하는 것으로서, 박스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종래기술처럼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및 8은 상기 레이크(30)의 변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상기 레이크(30)가 수중의 스크린(20)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올리지 못하고 회동할 시에, 수면 위에서 그 회동 여부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32)에 설치한 지지축(32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회동할 시에 스프링(32b)을 눌러 회동 전으로 복귀할 수 있게 한 레이크(30)는 양측 체인(40) 중에 어느 한쪽 체인 방향의 단부에 지지축(32a)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축설부(31a)를 구비한다. 즉, 축설부(31a)는 레이크(30) 중에 지지축(32a)에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위에 설치하여 레이크(30)와 함께 회동하게 한다.
이 축설부(31a)에는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래칫톱니(33a, 33b)를 조성한 래칫휠(33)이 회동 가능하게 부분 외삽된다. 즉, 내주면 래칫톱니(33a)는 축설부(31a)에 외삽되지 않고 노출되도록 래칫휠(33)이 부분 외삽된다.
그리고, 내주면 래칫톱니(33a)와 맞물리는 내부 멈춤쇠(34)가 축설부(31a)의 단부 면에 설치되고, 외주면 래칫톱니(33b)와 맞물리는 외부 멈춤쇠(34)가 고정 프레임(32)에 설치된다. 자세하게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내부 멈춤쇠(34)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체에 의해 내주면 래칫톱니(33a) 사이의 골에 끼워지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체를 탄성변형하며 눌릴 수 있고, 외부 멈춤쇠(35)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어내는 탄성체에 의해 외주면 래칫톱니(33b) 사이의 골에 끼워지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체를 탄성변형하며 눌릴 수 있다.
내주면 래칫톱니(33a)는 상기 레이크(30)가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회동 방향)으로 회동할 시에 내부 멈춤쇠(34)와 맞물려 래칫휠(33)이 회동하게 하고, 상기 레이크(30)가 회동 이후 진행 방향(복귀 방향)으로 회동할 시에 내부 멈춤쇠(34)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눌려 내부 멈춤쇠(34)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게 하는 형태로 조성된다.
외주면 래칫톱니(33b)는 상기 레이크(30)가 복귀 방향으로 회동할 시에 외부 멈춤쇠(35)와 맞물려 래칫휠(33)이 상기 레이크(30)를 따라 회동하지 않게 하고, 래칫휠(33)이 회동 방향으로 회동할 시에 외부 멈춤쇠(35)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눌러 외부 멈춤쇠(35)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게 하는 형태로 조성된다.
이에 따라, 래칫휠(33)은 레이크(30)가 회동 방향으로 회동할 때마다 회동 방향으로만 점진적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래칫휠(33)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 표시부(33c)를 구비하여, 레이크(30)가 수면 위로 올라온 상태에서 회동 표시부(33c)를 인식하여 레이크(30)의 회동 여부를 알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회동 표시부(33c)는 인식 수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둘레 방향으로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색상을 갖는 표식을 함으로써, 카메라 인식 기술로 인식하여 레이크(30)의 회동 여부를 알 수 있다. 물론, 각각의 레이크(30)에 대해 인식한 회동 표시부(33c)를 기억하여 두어서, 반복하여 돌아오는 동일 레이크(30)에 대해 이전 인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회동 여부를 알 수 있다. 즉, 스크린(20)에는 레이크(30)로 걷어올려지지 않는 협잡물이 걸려 있을 경우를 고려하여 협잡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그 작업 시기를 알 수 있게 한다
10 : 측면 프레임 10a : 내부 수로 11 : 가이드 레일
20 : 스크린 21 : 스크린바 22 : 고정바
23 : 확장 고정바
30 : 레이크 31 : 갈퀴 31a : 축설부
32 : 고정 프레임 32a : 지지축 32b : 스프링
33 : 래칫휠 33a,33b : 래칫톱니 33c : 회동 표시부
34 : 내부 멈춤쇠 35 : 외부 멈춤쇠
40 : 체인 40a : 하부 경사부 40b : 상부 완만부
41 : 구동 스프라켓 42 : 엔드 스프라켓 43 : 제1 링크 스프라켓
50 : 에이프런 50a : 하부 경사부 50b : 상부 수거부
51 : 컨베이어 벨트 51a : 돌기 52 : 구동 풀리
53 : 가이드 풀리 54 : 제2 링크 스프라켓 55 : 링크 체인
60 : 제1 탈거수단 61 : 스크레이퍼 61a : 회동축
62 : 브라켓 62a : 스프링 62b : 리밋 돌기
70 : 제2 탈거수단 71 : 스크레이퍼 71a : 회동축
72 : 지지대
80 : 협잡물 배출수단

Claims (5)

  1. 전방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후방으로 배출되게 하는 내부 수로(10a)를 하부에 형성하는 양측의 측면 프레임(10);
    내부 수로(10a) 중에 유체가 배출되는 후방 측에 설치되고,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복수의 스크린바(21)를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하여 구성하여 유체에 의해 이송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20);
    스크린(20)의 전방에서 스크린(20)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켜 협잡물을 긁어 올리기 위한 레이크(30);
    레이크(30)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양측의 측면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측면 프레임(10) 상단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시키는 구동 스프라켓(41)에 맞물려 스크린(20)의 하단과 측면 프레임(10) 상단 사이를 순환하도록 측면 프레임(10)에 설치함으로써 협잡물을 레이크(30)에 의해 상단으로 인양한 후 낙하시키되, 스크린(20)의 경사각을 갖는 하부 경사부(40a)보다 완만한 경사각을 갖는 상부 완만부(40b)를 구비하여 상부에서 절곡된 경로를 갖게 한 체인(40);
    체인(40)의 내부 수로(10a) 위의 상부 구간을 따라 설치되어 레이크(30)에 의해 인양되는 협잡물을 받쳐주는 에이프런(50);
    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20)은
    상기 에이프런(50)을 간격을 두고 타고 올라 상기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의 초입에 이르도록 연장되고,
    상기 에이프런(50)은
    상기 스크린(20)의 연장 부위 배후에서 상기 스크린(20)의 연장 부위를 따라 경사지게 상승한 후 상기 스크린(20)의 상단 아래부터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의 아래까지 수평 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진행하고 이후 상기 스크린(20)의 연장 부위 하단에 이르는 순환 주행 경로를 갖고,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돌기(51a)를 표면에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51); 및
    컨베이어 벨트(51)의 순환 경로의 꺾인 부분에 배치하여 컨벨이어 벨트(51)를 안내하는 복수의 풀리(52, 53);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의 회전축에 고정한 제1 링크 스프라켓(43)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의 아래에 배치한 풀리(52)의 회전축에 고정한 제2 링크 스프라켓(54)에 맞물린 링크 체인(55)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51)를 주행시키고,
    제1 링크 스프라켓(43)과 제2 링크 스프라켓(54)의 기어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51)가 상기 체인(40)에 비해 증가된 주행 속도를 갖게 하는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 위치에 맞춰 설치되는 제1 탈거수단(60)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의 위치에 맞춰 설치되는 제2 탈거수단(7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탈거수단(60)은
    상기 스크린(20)에서 벗어나 상기 체인(40)의 상부 완만부(40b)로 진행하는 상기 레이크(30)의 상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고, 상단에 구비한 회동축(61a)에 의해서 상기 레이크(30)에 밀리며 회동 가능하게 한 판 형태의 스크레이퍼(61);
    상기 스크린(20)에서 벗어난 상기 레이크(30)의 상단을 향해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스프링(62a)이 지지되고, 상기 스크린(20)에서 벗어난 상기 레이크(30)의 상단에 닿는 위치로 회동 범위를 제한하여서, 상기 스크레이퍼(61)가 상기 레이크(30)에 밀리며 상기 레이크(30)의 표면을 쓸게 한 브라켓(62);
    을 포함하는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탈거수단(70)은
    지지대(72)에 걸친 중간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 스프라켓(41)을 선회하는 상기 레이크(30)의 상단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부 부위와, 하부 부위와 반대로 상향 경사지며 상단에 회동축(71a)을 구비한 상부 부위로 이루어진 스크레이퍼(71)로 구성되어, 선회하는 상기 레이크(30)의 상단에 닿은 후 상부로 밀리며 상기 레이크(30)의 표면을 쓸게 하고 상기 레이크(30)가 선회한 이후에는 자중에 의해 지지대(72)에 걸치는 위치로 복원하게 한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0)의 복수 스크린바(21)을 배면에서 간격 유지하게 고정하는 폭방향의 고정바(22, 23)는
    내부 수로(10a)의 상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에이프런(50)의 컨베이어 벨트(51)의 하부에 이르는 판 형태로 구성한 확장 고정바(23)를 포함하는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30)는
    양단을 체인(40)에 고정한 고정 프레임(32)에 양측 체인(40) 사이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한 지지축(32a)을 축으로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되 회동할 시에 스프링(32b)을 눌러 회동 전으로 복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레이크(30)의 일단에는 지지축(32a)의 축 방향으로 연장한 축설부(31a)를 조성하여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래칫톱니(33a, 33b)를 조성한 래칫휠(33)이 회동 가능하게 외삽되고,
    래칫휠(33)은
    축설부(31a)의 단부 면에 설치하여 내주면 래칫톱니(33a)와 맞물리는 내부 멈춤쇠(34)에 의해서 상기 레이크(30)의 회동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레이크(30)의 복귀 방향으로 회동할 시에 내부 멈춤쇠(34)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고정 프레임(32)에 설치하여 외주면 래칫톱니(33b)에 맞물리는 외부 멈춤쇠(35)에 의해서 상기 레이크(30)의 복귀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게 하고 상기 레이크(30)의 회동 방향으로 회동할 시에 외부 멈춤쇠(35)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 표시부(33c)를 구비하여 레이크(30)가 수면 위로 올라온 상태에서 회동 표시부(33c)를 인식하여 레이크(30)의 회동 여부를 알 수 있게 한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KR1020230079383A 2023-06-21 2023-06-21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KR10259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383A KR102596234B1 (ko) 2023-06-21 2023-06-21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383A KR102596234B1 (ko) 2023-06-21 2023-06-21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234B1 true KR102596234B1 (ko) 2023-10-31

Family

ID=8854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383A KR102596234B1 (ko) 2023-06-21 2023-06-21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2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566U (ko) * 2009-08-07 2011-02-15 손선애 에이프런 상단이 회전되는 제진기
KR101426664B1 (ko) * 2013-12-18 2014-08-06 주식회사 건우테크 회전형 에이프런을 구비하는 제진기
KR101642238B1 (ko) * 2015-12-31 2016-07-22 김선아 협잡물 이송을 위한 로타리식 제진기
KR101666028B1 (ko) 2014-06-26 2016-10-14 도림이엔지 주식회사 로터리식 제진기
KR101731288B1 (ko) 2016-12-12 2017-04-28 주식회사 조은환경 협잡물 파쇄용 스크린바가 구비된 로타리 제진기
KR20170061474A (ko) * 2015-11-26 2017-06-05 주식회사 블루웨일스크린 하폐수 처리용 수직형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566U (ko) * 2009-08-07 2011-02-15 손선애 에이프런 상단이 회전되는 제진기
KR101426664B1 (ko) * 2013-12-18 2014-08-06 주식회사 건우테크 회전형 에이프런을 구비하는 제진기
KR101666028B1 (ko) 2014-06-26 2016-10-14 도림이엔지 주식회사 로터리식 제진기
KR20170061474A (ko) * 2015-11-26 2017-06-05 주식회사 블루웨일스크린 하폐수 처리용 수직형 스크린 장치
KR101642238B1 (ko) * 2015-12-31 2016-07-22 김선아 협잡물 이송을 위한 로타리식 제진기
KR101731288B1 (ko) 2016-12-12 2017-04-28 주식회사 조은환경 협잡물 파쇄용 스크린바가 구비된 로타리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812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102285379B1 (ko) 협잡물겸 침사 수거용 제진기
KR100709332B1 (ko) 오폐수처리시설용 스크린장치
KR101331968B1 (ko) 커터장치가 설치된 로타리 제진기
KR102596234B1 (ko) 협잡물 수거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KR200332449Y1 (ko) 로터리식 제진기
GB2045634A (en) Screening apparatus
KR200349383Y1 (ko) 제진기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US1483667A (en) Vaijia
KR200175037Y1 (ko) 제진기
KR101330187B1 (ko) 로터리 제진기
JP4412551B2 (ja) 除塵装置
KR101254694B1 (ko) 제진기
JP4750050B2 (ja) スクリーン循環式除塵機
KR100655920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102152401B1 (ko)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KR200246063Y1 (ko) 오,폐수에함유된슬러지제거장치
KR200327207Y1 (ko) 이젝터를 개량한 로터리식 제진기
JP2001159119A (ja) 除塵機
JP2006068703A (ja) 除塵装置、及び、沈砂及び篩渣の除去方法
KR101426664B1 (ko) 회전형 에이프런을 구비하는 제진기
KR100363985B1 (ko) 협잡물 제거장치
JP2006070651A (ja) 除塵装置、及び、沈砂及び篩渣の除去方法
JPH06346423A (ja) 自動除塵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