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291B1 - 바니쉬 함침 장치 - Google Patents

바니쉬 함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291B1
KR102010291B1 KR1020190038769A KR20190038769A KR102010291B1 KR 102010291 B1 KR102010291 B1 KR 102010291B1 KR 1020190038769 A KR1020190038769 A KR 1020190038769A KR 20190038769 A KR20190038769 A KR 20190038769A KR 102010291 B1 KR102010291 B1 KR 102010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cross
vacuum chamb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문성
Original Assignee
방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문성 filed Critical 방문성
Priority to KR102019003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2Insulating of windings
    • H01F41/1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0Drying; Impregn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가 적재되는 바스켓 및 바니쉬가 내부에 수용되며 진공 환경을 조성하는 진공챔버를 포함하는 바니쉬 함침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바니쉬 함침 장치{APPARATUS OF VARNISH IMPREGNATING}
본 발명은 바니쉬 함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상태에서 함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니쉬 함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재료들은 권선이나 납땜 등의 일련의 제조 공정을 거친 다음 함침 공정을 필수적으로 경유하게 된다.
트랜스, 코일 또는 콘덴서와 같은 전기재료들을 함침액에 함침할 경우, 함침액이 전기재료들의 각 부분을 봉입하므로 전기재료들의 내구성 및 전기적 특성이 매우 좋아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함침액은 바니쉬, 에폭시 등일 수 있다.
작업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함침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먼저 일련의 제조 공정을 거친 전기재료들을 하나의 함침 쟁반에 적재하고, 함침 쟁반을 진공 함침기의 내부로 끼워 넣은 다음 커버를 닫고 진공 함침기를 구동하여 전기재료들을 진공함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함침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커버와 진공 함침기는 각각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함침 쟁반을 진공 함침기의 내부로 끼워 넣거나, 함침 공정이 완료된 함침 쟁반을 진공 함침기로부터 꺼내는 경우, 열어둔 커버를 마땅히 보관할 공간이 없으며 진공 함침기 또는 그 주변 기기들이 커버로부터 흘러내는 함침액에 의해 오염될 수도 있어서 함침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트랜스의 바니쉬 함침을 위한 진공 환경을 조성하는 진공챔버의 커버에 의한 밀폐 또는 개방이 용이한 바니쉬 함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작업자가 바니쉬 함침 장치의 높은 위치로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바니쉬 함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바니쉬 함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크랙보수조성물을 포함하도록 구현된 바니쉬 함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가 적재되는 바스켓 및 바니쉬가 내부에 수용되며 진공 환경을 조성하는 진공챔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진공챔버는, 상면이 개구된 중공의 함체형상으로,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바스켓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이 형성되고,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바니쉬가 저장되는 바니쉬 저장조와 공급관에 의해 연통되어 상기 바니쉬 저장조로부터 바니쉬를 공급 받아 수용하고, 상기 진공챔버를 밀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진공챔버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진공챔버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를 밀폐시켜주는 밀폐부재가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걸게가 마련되어 상기 진공챔버의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 압력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게이지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를 회동시키는 커버이송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이송수단은 상기 진공챔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지지 로드 및 상기 수직 지지 로드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 지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지지 로드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 고정되어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커버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진공챔버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커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진공챔버가 밀폐되도록 하며, 상기 공급관에 마련되는 진공흡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흡입장치는 상기 진공챔버 또는 상기 바니쉬 저장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진공챔버 또는 상기 바니쉬 저장조를 진공 상태로 하고, 작업자가 상기 바니쉬 함침 장치를 정비할 수 있도록 상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정비가 필요한 위치까지 작업자를 승강시켜 주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는, 상측면에 작업자가 탑승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일측과 상기 하판의 일측 사이와 상기 상판의 다른 일측과 상기 하판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구동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구동 프레임; 및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하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전단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직선 운동부; 및 상기 제1 직선 운동부와 대칭구조로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후단에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직선 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 운동부 또는 상기 제2 직선 운동부는, 상기 구동홈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가 상기 피스톤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커버의 밀폐 또는 개방이 용이하여 함침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작업자가 바니쉬 함침 장치의 높은 위치로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승강시킴으로써, 바니쉬 함침 장치의 정비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기능 승강 장치의 지지 안정성을 보장하고,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우수한 조성물로 각 구성 요소를 구성하여 장치의 수명을 길게 하며, 유지 보수에 요구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니쉬 함침 장치에 의해 함침 공정이 이루어지는 트랜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에 포함되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은 도 3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도 4의 상판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4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4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1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은 도 12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상부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니쉬 함침 장치에 의해 함침 공정이 이루어지는 트랜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1000)는 진공챔버(110), 커버(120), 커버이송수단(130) 및 진공흡입장치(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1000)는 바니쉬 저장조(170)로부터 바니쉬 함침액을 공급받으며, 진공 환경을 조성하여 함침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1000)를 이용하여 도 2와 같은 트랜스(10)에 대한 함침 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트랜스(10)와 같은 전기재료들은 권선, 납땜 등의 일련의 제조 공정을 거친 다음 함침 공정을 필수적으로 경유하게 되는데, 트랜스(10)를 바니쉬와 같은 함침액에 함침할 경우, 바니쉬에 의해 트랜스(10)의 각 부분을 봉입되어 내구성이 좋아지며, 절연내력 상승 등 전기적 특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트랜스(10)는 도 2에서와 같이 바스켓(115)에 수용된 상태로 진공챔버(110)에 투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공챔버(110)의 내부 공간에는 바스켓(115)을 결합 또는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115)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10)가 적재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사각박스 타입으로, 각 모서리는 작업자가 바스켓(115)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측면에는 하측으로부터 바니쉬가 공급되도록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바스켓(115)에 6 개의 트랜스(10)가 수용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상 또는 이하의 트랜스(10)가 수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진공챔버(110)는 상면이 개구된 중공의 함체형상으로,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마련되며, 상술한 것처럼 바스켓(115)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진공챔버(110)는 내부에 바스켓(115)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10)가 배치될 수 있다.
진공챔버(110)는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10)에 바니쉬가 함침 도포되도록 바니쉬 저장조(170)로부터 바니쉬를 공급 받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공챔버(110)는 바니쉬 저장조(170)와 공급관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니쉬 저장조(170)는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바니쉬가 저장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니쉬 저장조(170)는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바니쉬가 원활하게 교반이 유지된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바니쉬 저장조(170)는 일측에 공급관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관의 타단은 진공챔버(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바니쉬 저장조(170)와 진공챔버(110)를 연결하여 바니쉬 저장조(170)로부터 진공챔버(110)로의 바니쉬 이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급관은 일정 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바니쉬의 유동을 개폐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개폐밸브는 수동 또는 자동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니쉬 저장조(170)로부터 진공챔버(110)로의 바니쉬 이송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공흡입장치(150)를 이용하여 바니쉬 저장조(170) 및 진공챔버(110)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바니쉬 저장조(170)로부터 진공챔버(110)로 바니쉬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진공챔버(110)의 공기압을 바니쉬 저장조(170)보다 낮게 형성하고, 개폐밸브를 개방하면 공급관을 통해 바니쉬 저장조(170)로부터 진공챔버(110)로 바니쉬가 이송될 것이다.
또는, 공급관의 일정 지점에 흡입펌프 등을 결합하여, 흡입펌프를 통해 바니쉬 저장조(170)로부터 진공챔버(110)로 바니쉬를 이송할 수도 있다.
또는, 진공챔버(110)의 상부 측을 개방하여 바니쉬 저장조(170)뿐만 아니라 다른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바니쉬를 바로 유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진공챔버(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바니쉬를 공급 받아 수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10)가 바니쉬에 함침 도포될 수 있도록 진공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진공챔버(110)의 하측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가 구비되어 본체를 지지해줄 수 있다.
커버(120)는 진공챔버(110)를 밀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진공챔버(110)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0)는 진공챔버(110)와 접촉되는 면에 진공챔버(110)의 내부를 밀폐시켜주는 밀폐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걸게가 마련되어 진공챔버(110)의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커버(12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진공챔버(110)의 내부 압력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진공챔버(11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게이지가 장착될 수 있다.
커버이송수단(130)은 진공챔버(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지지 로드 및 수직 지지 로드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 지지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 지지 로드는 커버(1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120)는 이러한 커버이송수단(130)의 회동에 의해 진공챔버(110)를 밀폐 또는 개방할 수 있을 것이다.
커버이송수단(130)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동하거나, 소정의 모터 구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커버(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파지하고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진공챔버(110)를 개방하고, 다시 커버(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파지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진공챔버(110)를 밀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1000)는 이러한 커버이송수단(130)에 의해 커버(120)를 이용한 진공챔버(110)의 밀폐 또는 개방이 용이하여 함침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진공흡입장치(150)는 진공챔버(110) 또는 바니쉬 저장조(170)를 진공 상태로 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하나의 진공흡입장치(150)가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진공흡입장치(150)는 진공챔버(110) 또는 바니쉬 저장조(17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공흡입장치(150)는 진공챔버(110) 및 바니쉬 저장조(170)를 연결하는 공급관에 마련되어 공급관을 통해 진공챔버(110) 또는 바니쉬 저장조(17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챔버(110) 또는 바니쉬 저장조(170)를 진공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1000)를 이용한 트랜스(10)의 바니쉬 함침 공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바스켓(115)에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10)를 적재할 수 있다. 트랜스(10)가 적재된 바스켓(115)을 진공챔버(110)의 내부에 설치하고, 트랜스(10)가 충분히 함침되도록 진공챔버(110)에 바니쉬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20)를 이용하여 진공챔버(110)를 밀폐시킨 뒤 진공흡입장치(150)를 제어하여 진공챔버(110)를 진공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에 포함되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진공챔버(110), 커버(120), 커버이송수단(130) 및 진공흡입장치(150) 외에도 다기능 승강 장치(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진공챔버(110), 커버(120), 커버이송수단(130) 및 진공흡입장치(15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작업자가 바니쉬 함침 장치를 정비할 수 있도록 상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정비가 필요한 위치까지 작업자를 승강시켜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바니쉬 함침 장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곳에 위치한 구성 요소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기능 승강 장치(20)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승강시킴으로써, 바니쉬 함침 장치(1000)의 정비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상판(310), 하판(320) 및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상판(310)은, 상측면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판(3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에 따라 하판(3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320)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상판(310)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320)과는 달리, 작업자의 작업 필요성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3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3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3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선반의 경우에는, 승하강 구동장치가 하판의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상판의 상측에만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반 발명에서는 상판(310)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판(320)의 상측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상판(310)의 일측과 하판(320)의 일측 사이와 상판(310)의 다른 일측과 하판(3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310) 및 하판(3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4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승강부(40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으로 인하여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강부(400)는, 상판 체결부(410), 구동부(420), 구동 프레임(430) 및 하판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411)에 힌지부(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4의 상판 체결부(41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판 체결부(4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413)을 형성한다.
구동부(420)는,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4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430)은,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 및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4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441)를 구비한다(도 6 참조).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4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4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부(420)는, 안착부(421), 제1 직선 운동부(422) 및 제2 직선 운동부(423)를 포함한다.
안착부(4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421a, 4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440)에 의하여 하판(3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421)는, 하판 체결부(440)의 회동에 따라 하판(3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421)는, 전단 및 후단의 상측면에 평평한 형태의 안착면(421c, 421d)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50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안착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2a)(도 9 참조)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4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4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423)는, 구동홈(421a, 4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24a), 및 지지 플레이트(4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424)가 피스톤(4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4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4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의 사이의 공간(4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424)는, 지지 플레이트(424a)가 바로 피스톤(4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4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4a)의 후단에 피스톤(4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4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4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431)을 구동홈(4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도 9 참조).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4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판(310)이 낙하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31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0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하여 다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0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13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3은 도 11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4은 도 12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5는 도 13의 상부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 및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원통형 몸체(5333_1), 와셔형 단부(5333_3) 및 저항력 강화 링(5333_5)을 포함한다.
원통형 몸체(5333_1)는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엮어 길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셔형 단부(5333_3)는 원통형 몸체(5333_1) 양측 길이방향 단부에 외향 절곡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셔형 단부(5333_3)는 원통형 몸체(5333_1)와 직각을 이룰 수 있으며, 그 내각을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항력 강화 링(5333_5)은 와셔형 단부(5333_3)의 바깥 둘레에 직경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저항력 강화 링(5333_5)의 겹침 횟수는 증감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 가변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5333)는 와셔형 단부(5333_3) 및 저항력 강화 링(5333_5)에 의해 상부 지지부(5332) 및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서 이탈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와셔형 단부(5333_3)는 원통형 몸체(5333_1)로부터 양측으로 확장되어 원통형 몸체(5333_1)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므로, 상부 지지부(5332) 및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폭 넓게 지지하는 동시에 그 바깥 둘레에 다중으로 겹쳐 형성한 저항력 강화 링(5333_5)에 의해 원통형 몸체(5333_1)의 수축과 같은 변형이 규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니쉬 함침 장치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진공챔버(110), 커버(120), 커버이송수단(130) 및 진공흡입장치(150)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건축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건축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건축 토목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건축 구조물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34049329-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바니쉬 함침 장치
110: 진공챔버
115: 바스켓
120: 커버
130: 커버이송수단
150: 진공흡입장치
170: 바니쉬 저장조

Claims (2)

  1.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가 적재되는 바스켓 및 바니쉬가 내부에 수용되며 진공 환경을 조성하는 진공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챔버는, 상면이 개구된 중공의 함체형상으로,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바스켓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이 형성되고,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바니쉬가 저장되는 바니쉬 저장조와 공급관에 의해 연통되어 상기 바니쉬 저장조로부터 바니쉬를 공급 받아 수용하고,
    상기 진공챔버를 밀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진공챔버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진공챔버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를 밀폐시켜주는 밀폐부재가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걸게가 마련되어 상기 진공챔버의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 압력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게이지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를 회동시키는 커버이송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이송수단은 상기 진공챔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지지 로드 및 상기 수직 지지 로드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 지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지지 로드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 고정되어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커버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진공챔버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커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진공챔버가 밀폐되도록 하며,
    상기 공급관에 마련되는 진공흡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흡입장치는 상기 진공챔버 또는 상기 바니쉬 저장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진공챔버 또는 상기 바니쉬 저장조를 진공 상태로 하고,
    작업자가 바니쉬 함침 장치를 정비할 수 있도록 상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정비가 필요한 위치까지 작업자를 승강시켜 주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는, 상측면에 작업자가 탑승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상기 상판의 일측과 상기 하판의 일측 사이와 상기 상판의 다른 일측과 상기 하판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승강부; 및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기 상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구동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구동 프레임; 및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하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전단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직선 운동부; 및 상기 제1 직선 운동부와 대칭구조로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후단에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직선 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 운동부 또는 상기 제2 직선 운동부는, 상기 구동홈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가 상기 피스톤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상판이 낙하할 경우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네 쌍의 지지 프레임; 및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둥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십자홈; 상기 십자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홈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십자 탄성부; 상기 기둥 바디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는 십자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부;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십자홈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십자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기 상부 탄성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십자홈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상기 십자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부; 상기 측면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측면 탄성부;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측면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수직홈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상기 측면 탄성 지지부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홈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수직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측면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는, 바니쉬 함침 장치.
  2. 삭제
KR1020190038769A 2019-04-03 2019-04-03 바니쉬 함침 장치 KR102010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769A KR102010291B1 (ko) 2019-04-03 2019-04-03 바니쉬 함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769A KR102010291B1 (ko) 2019-04-03 2019-04-03 바니쉬 함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291B1 true KR102010291B1 (ko) 2019-10-21

Family

ID=6846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769A KR102010291B1 (ko) 2019-04-03 2019-04-03 바니쉬 함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9215A (zh) * 2022-10-12 2023-01-06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滁州供电公司 一种用于配电网变电站的变压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344B1 (ko) * 2004-02-11 2005-08-04 크로바하이텍(주) 진공함침기
KR20140067467A (ko) * 2012-11-26 2014-06-05 고병기 이송대차
KR101553179B1 (ko) * 2014-09-11 2015-09-14 조희영 대형타이어 교환 리프트장치
KR101779240B1 (ko) * 2010-10-27 2017-09-18 램 리서치 아게 웨이퍼 습식 프로세싱을 위한 폐쇄형 챔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344B1 (ko) * 2004-02-11 2005-08-04 크로바하이텍(주) 진공함침기
KR101779240B1 (ko) * 2010-10-27 2017-09-18 램 리서치 아게 웨이퍼 습식 프로세싱을 위한 폐쇄형 챔버
KR20140067467A (ko) * 2012-11-26 2014-06-05 고병기 이송대차
KR101553179B1 (ko) * 2014-09-11 2015-09-14 조희영 대형타이어 교환 리프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9215A (zh) * 2022-10-12 2023-01-06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滁州供电公司 一种用于配电网变电站的变压器
CN115579215B (zh) * 2022-10-12 2023-08-2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滁州供电公司 一种用于配电网变电站的变压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291B1 (ko) 바니쉬 함침 장치
FI74629B (fi) Organofila lergelningsmedel,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daerav och sammansaettningar innehaollande dessa.
KR101989191B1 (ko) 그릇 도색 장치
KR102018028B1 (ko) 다목적 크레인 차량
KR102000656B1 (ko)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KR102015416B1 (ko) 물류 이송 장치
CN211064088U (zh) 一种农业种植浸种装置
KR102024052B1 (ko) 사료 배합 장치
KR102001474B1 (ko) 자동차 부품 보관 창고
KR102003032B1 (ko) 철거 작업용 비계
KR102016316B1 (ko) 다기능 절단 장치
KR102033960B1 (ko) 배관 보관용 창고형 설비
CN113108122B (zh) 一种下吊结构及填埋式水利管道安装用辅助装置
KR102011142B1 (ko) 다기능 조명 검사 장치
KR102025539B1 (ko) 연속식 사출 성형 장치
KR102023142B1 (ko) 개량형 조립식레일을 갖는 창호틀
KR102031242B1 (ko) 제단장치
KR102008511B1 (ko)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101999217B1 (ko) 프레스 장치
KR102029409B1 (ko) 폐기물 이송 차량
CN206494085U (zh) 一种半潜式平台
CN106741697A (zh) 一种半潜式平台
CN213444354U (zh) 一种大型磷酸储罐
KR102016032B1 (ko) 열융착을 이용한 포장용기 씰링장치 및 방법
CN105054497A (zh) 一种制鞋用鞋楦升降转向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