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413A - 텐트형 가설 건축물 - Google Patents

텐트형 가설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413A
KR20130141413A KR1020130143740A KR20130143740A KR20130141413A KR 20130141413 A KR20130141413 A KR 20130141413A KR 1020130143740 A KR1020130143740 A KR 1020130143740A KR 20130143740 A KR20130143740 A KR 20130143740A KR 20130141413 A KR20130141413 A KR 2013014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upper hinge
tent
frame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4673B1 (ko
Inventor
백훈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백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백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백상
Priority to KR102013014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673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와 같은 구조재를 사용한 두 개 이상의 기둥과 두 개 이상의 보와 한 개 이상의 가새와 상기 기둥과 보를 외부 경계로 하여 벽면을 구성한 후면 벽, 상기 후면 벽의 하부 양단에 후방 하부 힌지로 체결된 하부 골조, 상기 후면 벽의 상부 양단에 후방 상부 힌지로 체결된 상부 골조, 상기 상부 골조의 좌측과 우측에 전방 상부 힌지로 체결된 좌측 골조와 우측 골조를 포함하여 비계없이 조립하되, 모서리부분은 쐐기형 압입부, 절단부, 조임 부재를 구비한 모서리 구조재를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형 가설 건축물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텐트형 가설 건축물{Temporary tent type building}
본 발명은 가설 건축물의 축조에 관한 기술로서, 더 상세하게는 비계나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해체할 수 있는 가설 건축물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등록번호 10-0914742 (2009년08월24일) “조립식 건축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시공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78337 (2005년 03월 02일) “가설 건축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00388 (2000년 08월 08일) “조립식 건축물의 조립 구조”에 개시된 가설 건축물에 관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배경 기술에 나타난 장치와 방법으로서는 가설 건축물의 조립/해체시 작업자의 키가 미치지 못하는 곳에는 사다리나 비계를 사용하여야 하고, 하나하나의 부재들을 연결함에 있어 최소한 둘이 양단을 잡고 동시에 작업을 하여야 조립이 가능하며, 또한 현장 조립 요소가 너무 많아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현장에 조립할 때 비계나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사람 혼자서 또는 기계 단독으로도 시공이 가능하며, 현장 조립부위를 획기적으로 줄여 통상의 텐트를 조립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대형 건축물 또는 가설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골조를 하나의 접이식으로서 힌지(Hinge) 구조로 하여 하나의 덩어리가 되게 조립하고, 힌지를 중심으로 각 벽체와 지붕을 아래에서부터 위로 밀어 조립함으로서 비계나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힌지구조로 사전 연결하여 현장 조립부위를 사전에 조립하여 놓아 조립부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며, 모든 조립/해체 작업을 작업자가 높은데 올라가는 공정이 없어 오직 바닥에서만 수행함으로서 설치/해체의 생산성이 좋아져 경제적이면서도 작은 것은 오직 혼자서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벽과 지붕의 골조들, 벽과 벽의 골조들을 텐트를 설치하듯 조립하여 하나의 건축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비계나 사다리를 사용하는 시간과 안전상의 위해요소를 제거하고, 건축물을 구성하는 개별 부재들간의 조립시간을 줄여 가설 건축물의 안전과 작업 생산성에서 획기적인 기여를 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텐트형 가설 건축물의 일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텐트형 가설 건축물의 일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재간 연결 구조의 일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텐트형 가설 건축물의 조립 방법의 일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구조물의 일 실시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텐트형 가설 건축물의 지붕등의 일 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텐트형 가설 건축물의 일 실시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구조물의 일 실시도
용어의 정의
힌지(Hinge) : 본 발명에 의한 힌지는 부재와 부재를 결합함에 있어 하나의 부재에는 핀(Pin)을, 대응하는 부재에는 구멍을 뚫어 핀과 구멍이 서로 중심을 일치되게 조립하여 두 개의 부재가 핀과 구멍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통상의 기계간 연결 구조를 말한다. 두 개의 부재가 하나의 힌지를 형성할 때는 반드시 두 개의 부재의 접합점이 힌지의 중심이 되어 핀의 축 단면 중심이 두 개의 부재가 만나는 점과 동일하고, 이는 구멍의 중심과도 동일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후방 상부 힌지와 같이 만나는 부재의 수가 세 개 이상인 경우에는 도 5의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축 단면 중심에서만 만나도록 하지 않고, 하나의 핀의 근처에 또다른 핀과 구멍을 부설하여 서로 다른 점에서 만나게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5의 (1)과 같이 하지 않고, 동일 핀을 사용하면서, Y자 형태의 구멍이 있는 부재를 중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힌지는 부재간의 중첩이나 접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5의 (1)과 같이 힌지의 중심점을 부재의 단면 중심에서 일정 거리를 벗어나게 하여 실시할 경우 부재간의 접힘(Folding)이 용이하다.
가설 건축물 : 본 발명에 의한 가설 건축물은 반드시 통상의 가설 건축물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으며, 가설 건축물과 같은 골조는 반드시 구비하되, 이 골조를 이용하여 통상의 가설 건축물을 지을 수도 있고, 벽면이 없는 골조만 있거나 네 개의 벽면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또는 전체의 벽면이 없을 수도 있으며, 지붕판이나 바닥판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지붕 판이나 바닥판, 벽면용 판을 통상의 상업용 두꺼운 천을 이용하여 텐트(Tent)로서 사용하거나, 망(網, Net)으로 구성된 골프 연습대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벽면용 판에는 창문이나 출입문이 있을 수도 있고, 이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설 건축물은 통상의 주택과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통상의 텐트와 같은 것, 또는 통상의 골프 연습대와 같은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일수도 있는 것으로 매우 융통성이 큰 가설 건축물 또는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골조(骨組, Frame) : 가설 건축물 또는 대형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뼈대 구조로서 통상의 파이프와 같은 구조용 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여기에 국한하지 않고 임의의 단면과 임의의 지료로 구성된 직선형 구조재로서 건축물의 보와 기둥에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크기가 작은 것은 파이프와 같은 단일 구조재를 사용하고, 크기가 큰 구조물의 경우에는 트러스와 같은 큰 구조물을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통상의 가설 건축물과 같은 구조인 지붕과 바닥, 좌우측 벽면과 전후방 벽면의 네 벽면으로 구성된 가설 건축물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지붕 : 상부 골조(20)에 지붕 판이 조립됨.
바닥 : 하부 골조(30)에 바닥 판이 조립됨.
네 벽면 : 통상의 창문을 포함할 수도 있는 벽면용 판들을 전면 골조, 후면 골조, 좌측 골조(40), 우측 골조(50)에 조립함.
본 발명에 의한 가설 건축물의 골조는 기둥 부재와 보 부재가 사각 형태로 서로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사각 형태를 보강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새 부재(15A, 15B, 15C, 15D)들을 각 골조에 사용(후면 벽외에는 본 가새 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음)하여 골조의 강성(剛性, Stiffness)을 보강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구성 요소의 수자(數字)는 본 골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수이며, 실시자는 기둥 부재나 보 부재의 수를 증가시켜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창문이나 출입문등에 필요한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상부 골조(20) : 기둥 부재의 상단에 네 개의 보 부재(12, 21, 22, 23)로 구성
하부 골조(30) : 기둥 부재의 하단에 네 개의 보 부재(11, 31, 32, 33)로 구성
좌측 골조(40) : 두 개의 기둥 부재(14, 41)와 이 기둥부재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두 개의 보 부재(23, 33)로 구성
우측 골조(50) : 두 개의 기둥 부재(13, 51)와 이 기둥부재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두 개의 보 부재(22, 32)로 구성
전면 골조 : 두 개의 기둥 부재(51, 41)와 이 기둥부재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두 개의 보 부재(21, 31)로 구성
후면 골조 : 두 개의 기둥 부재(13, 14)와 이 기둥부재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두 개의 보 부재(11, 12)로 구성
후변 벽(10)은 후면 골조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필요시 후면 골조용 가새 부재(15A, 15B, 15C, 15D)를 도 1 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면 골조용 기둥 부재(13, 14)와 후면 골조용 보 부재(11, 12)와 용접등의 구조재 체결 방법으로 결합하여 견고히 벽면을 만든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면 골조용 보 부재(11, 12)의 상단에는 후방 상부 힌지(17)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후방 하부 힌지(18)가 구비될 수 있도록 구멍을 뚫는다.
상부 골조(20)는 상부 골조용 보 부재(21, 22, 23)를 도 2와 같이 ㄷ자 형태의 구조가 되도록 용접등의 구조재 체결 방법으로 결합하여 견고히 벽면을 만든다. ㄷ자 형태의 자유단 끝이 후방 상부 힌지(17)와 핀으로 체결되어 후방 상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멍을 뚫는다. ㄷ자 형태의 부재와 부재가 만난 위치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부 힌지(24)가 구비된다.
하부 골조(30)는 하부 골조용 보 부재(31, 32, 33)를 도 2와 같이 ㄷ자 형태의 구조가 되도록 용접등의 구조재 체결 방법으로 결합하여 견고히 벽면을 만든다. ㄷ자 형태의 자유단 끝이 후방 하부 힌지(18)와 핀으로 체결되어 후방 하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멍을 뚫는다. ㄷ자 형태의 부재와 부재가 만난 위치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부 체결부 (34)가 구비된다. 전방 하부 체결부(34)는 통상의 서로 다른 구조 부재를 체결하는 볼트/너트 구조이거나 구멍에 볼트/너트를 삽입하거나 쐐기형 삽입구조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좌측 골조(40)는 좌측에 있는 후방 상부 힌지(17B)에 좌측 골조용 가새 부재(42)의 상단 을 체결할 수 있도록 좌측 골조용 가새 부재(42)의 상단을 구멍을 뚫어 핀으로 조립한다. 좌측 골조용 가새 부재(42)의 하단에는 전방 하부 체결부(34B)와 결합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부 골조의 전방 상부 힌지(24B)에 좌측 골조용 기둥 부재(41)의 상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좌측 골조용 기둥 부재(41)의 상단을 구멍을 뚫어 핀으로 조립한다. 양단에 체결구를 구비한 좌측 골조용 가새 부재(42)의 상단 체결구의 구멍을 맞추어 후면 골조용 기둥 부재(14)와 좌측 골조용 가새 부재가 후방 상부 힌지(17B)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한다. 좌측 골조용 기둥 부재(41)의 하단은 전방 하부 체결부(34B)와 결합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이렇게 되면, 도 3의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부 힌지(24B)를 중심으로 보 부재(23)와 기둥 부재(41)는 화살표(AR2) 방향으로 서로 회전하며, 도 3의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방 상부 힌지(17B)를 중심으로 가새 부재(42)와 기둥 부재(14) 및 보 부재(23)는 화살표(AR1) 방향으로 서로 회전한다. 또한, 도 3의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방 하부 힌지(18B)를 중심으로 기둥 부재(14)와 보 부재(33)는 화살표(AR3) 방향으로 서로 회전한다.
우측 골조(50)는 우측에 있는 후방 상부 힌지(17A)에 우측 골조용 가새 부재(52)의 상단 을 체결할 수 있도록 우측 골조용 가새 부재(52)의 상단을 구멍을 뚫어 핀으로 조립한다. 우측 골조용 가새 부재(52)의 하단에는 전방 하부 체결부(34A)와 결합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부 골조의 전방 상부 힌지(24A)에 우측 골조용 기둥 부재(51)의 상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우측 골조용 기둥 부재(51)의 상단을 구멍을 뚫어 핀으로 조립한다. 양단에 체결구를 구비한 우측 골조용 가새 부재(52)의 상단 체결구의 구멍을 맞추어 후면 골조용 기둥 부재(13)와 우측 골조용 가새 부재가 후방 상부 힌지(17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한다. 우측 골조용 기둥 부재(51)의 하단은 전방 하부 체결부(34A)와 결합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이렇게 되면, 도 3의 (2)에 좌측골조에 대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부 힌지(24A)를 중심으로 보 부재(22)와 기둥 부재(51)는 화살표(AR2) 방향으로 서로 회전하며, 후방 상부 힌지(17A)를 중심으로 가새 부재(52)와 기둥 부재(13) 및 보 부재(22)는 화살표(AR1) 방향으로 서로 회전한다. 또한, 후방 하부 힌지(18A)를 중심으로 기둥 부재(13)와 보 부재(32)는 화살표(AR3) 방향으로 서로 회전한다.
좌측 골조와 우측 골조의 부재들간의 회전과 부재들간의 체결 기구가 동일하고, 상부 골조를 구성하는 보 부재가 좌측 골조와 우측 골조의 보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 골조를 구성하는 보 부재 또한 좌측 골조와 우측 골조의 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골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후면 벽(10)과 상부 골조(20)는 후방 상부 힌지(17)를 중심으로 서로 회전하며, 후면 벽(10)과 하부 골조(30)는 후방 하부 힌지(18)를 중심으로 서로 회전하며, 상부 골조(20)와 전면 골조는 전방 상부 힌지(2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후방 상부 힌지(17)는 가새 부재의 상단이 동일 중심으로 체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부 골조(30)의 일단과 후면 벽(10)의 하단이 후방 하부 힌지(18)로 체결되어 있고, 후면 벽(10)의 상단과 상부 골조(20) 및 좌측 골조(40)와 우측 골조(50)를 구성하는 가새 부재(42, 52)의 일단이 후방 상부 힌지(17)로 체결되어 있으며, 상부 골조의 타단과 전면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 부재(41, 51)의 상단이 전방 상부 힌지(24)로 체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시공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설 건축물은 네 모서리 부위를 별도의 구조물(이하 “모서리 구조물”이라 한다)로 제작한다. 본 발명에 의한 텐트형 가설 구조물의 모서리 부위의 체결은 구조용 파이프등을 잘라 만든 수평부(PH), 상기 수평부에 직각이 되게 일체화한 수직부(PV), 상기 수직부에 힌지로 연결된 상부 힌지부(HH), 상기 상부 힌지부의 아래에 상기 수직부에 힌지로 연결된 하부 힌지부(HB)를 구비한 모서리 구조물을 사용한다.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와 상기 상부 힌지부와 상기 하부 힌지부의 자유단에는 갈라진 절단부(CU), 상기 절단부에서 모서리 방향으로 쐐기형 압입부(WG) 및 조임부재(BT)를 구비한 팔(BD)를 포함한다.
모서리와 모서리를 연결하는 부재는 도 5의 (2)에 일 실시예가 예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와 같은 통상의 직선형 구조재(IB)의 길이만을 다르게 하여 직선형 구조재(IB)의 끝 부분이 모서리 구조물의 팔(BD)과 접합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재의 팔(BD)은 도 5의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PH, PB, HH, HB로 구성되며, 직선형 구조재(IB)는 기둥 부재와 보 부재 및 가새 부재를 총칭한 표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구조물은 도 5의 (1)에 일 실시예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등의 구조재를 짧게 잘라 수평부(PH)와 수직부(PV)를 직각이 되게 용접등의 방법으로 일체화하고, 상부 힌지부(HH)와 하부 힌지부(HB)를 수직부(PV)에 상하로 서로 인접한 위치에 힌지로 연결하되, 상부 힌지부(HH)는 상부 골조의 보 부재의 일단에 연결하고, 하부 힌지부는 가새 부재의 일단에 연결하도록 한다. 모서리 구조물의 팔(BD)과 직선형 구조재의 끝 부분이 만나 접합되어 체결되는 방법은 파이프와 같은 중공(中空) 부재의 일단의 단면 중앙부를 도 5의 (2)에 일 실시예가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절단한 절단부(CU)를 구비하고, 이 절단부를 넘어서도록 직선형 구조재를 삽입하되, 끝 부분에는 쐐기형 압입부(WG)를 두어 직선형 구조재의 끝 부분을 눌러 주면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삽입된 부재를 압착할 수 있는 체결부 조임 부재(BT)를 구비한다. 쐐기형 압입부(WG)는 파이프와 같은 구조재인 구조재의 팔(BD)에 평철을 반달모양으로 가공하여 프레스(Press) 기계에 압착하여 반달모양의 돌기가 파이프의 내경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생기가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구조물은 팔(BD)의 내부에 쐐기형 압입부(WG)와 팔의 일단에 체결부 조임 부재(BT)를 구비하여, 일단에 체결부 조임 부재와 결합될 연결부를 구비한 직선형 구조재(IB)를 안내하여 견고히 압입, 체결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외형이 큰 텐트형 가설 건축물을 시공할 때 모서리 구조물을 도 5의 (1)과 같이 실시할 경우에는 바닥에서 모서리 구조물의 팔(BD)과 직선형 구조재(IB)를 처음 조립시 직선형 구조재(BD)들이 모두 바닥에 닿지 않는 불편이 제기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8에 일 실시예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힌지부(HH)와 하부 힌지부(HB)를 수직부(PV)에 도 5의 실시사진에 예시된 방향과 직각으로 배치하면 시공이 한결 쉬워진다. 조임부재(BT)는 도 5의 (1)에 예시된 사진에 보이는 볼트/너트이며, 통상적으로 핀 형상의 볼트, 다시 말하면 길이가 긴 볼트를 사용하되, 천막등을 지붕과 벽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둥근머리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부 힌지부는 도 5와 같이, 하부 힌지부는 도 8과 같이 실시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모서리 구조물은 본 발명에 의한 텐트형 가설 건축물의 모서리 부분의 강도와 견고성 및 조립의 편리함을 위하여 기둥 부재와 보 부재 및 가새 부재의 양단을 모서리 구조재와 체결함으로서 조립과 해체를 강하면서도 용이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6의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골조(20)를 지붕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고, 벽체로서는 도 6의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벽체에 날개를 더 넓혀 연장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가설 건축물을 텐트를 조립하는 것과 같이 조립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하부 골조의 일단과 후면 벽의 하단을 후방 하부 힌지를 중심으로 도 4의 (1)에 예시된 일 실시 예와 같이 바닥에서 접고, 상부 골조의 일단과 후면 벽의 상단을 후방 상부 힌지를 중심으로 바닥에서 접는다. 또한, 도 4의 (2)에 예시된 일 실시 예와 같이 상부 골조의 타단과 전면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 부재의 상단을 전방 상부 힌지를 중심으로 바닥에서 접는다. 하부 골조를 바닥에 고정하고, 후방 상부 힌지에 체결되어 있는 가새 부재(42,52)를 후면 벽 방향으로 밀면서 들어 올린다. 후면 벽이 수직으로 서게 되면 하부 골조와 가새 부재의 양단에 있는 전방 하부 체결부(34)를 서로 결합한다. 이렇게 되면 도 4의 (3)에 예시한 일 실시 예와 같이 된다. 전면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 부재(41, 51)를 후방 상부 힌지와 전방 상부 힌지를 중심으로 들어 올려, 도 4의 (4)에 예시된 일 실시 예와 같이 전면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 부재(41, 51)의 하단과 하부 골조의 전방 하부 체결부(34)를 서로 결합한다. 해체는 조립의 역순이다.
본 발명의 효과적인 적용예로서는 골프 연습을 위한 골프 연습대로서 벽체를 망으로 하여 텐트를 조립하듯 신속히 조립하고, 혼자서도 조립하게 됨으로서 건물 옥상등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텐트형 가설 구조물의 골조 부분을 시공한 일실시 사진이다. 이 실시 예에서는 모서리 구조물로서 통상의 비계용 강관과 클램프(Clamp)를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설 구조물 또는 가설 건축물을 텐트를 조립하듯이 혼자서 비계나 사다리의 사용이 없이 바닥에서 시공할 수도 있도록 높은 곳에 올라가는 공정을 없애버림으로서 안전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작업 경제성을 높힌 기술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적용으로 가설 건축물이 혼자서 취급하기에 크고 무거운 경우에는 여럿이 할 수도 있으며, 더 큰 것은 기계를 사용하여 시공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10 : 후면 벽
20 : 상부 골조
30 : 하부 골조
40 : 좌측 골조
50 : 우측 골조
17 : 후방 상부 힌지
18 : 후방 하부 힌지
24 : 전방 상부 힌지
34 : 전방 하부 체결부

Claims (4)

  1. 두 개 이상의 기둥과 두 개 이상의 보와 한 개 이상의 가새와 상기 기둥과 보를 외부 경계로하여 벽면을 구성한 후면 벽(10);
    상기 후면 벽의 하부 양단에 후방 하부 힌지(18)로 체결된 하부 골조(30);
    상기 후면 벽의 상부 양단에 후방 상부 힌지(17)로 체결된 상부 골조(20);
    상기 상부 골조의 좌측과 우측에 전방 상부 힌지(24)로 체결된 좌측 골조(40)와 우측 골조(50);를 포함하여 비계없이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형 가설 건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은

    수평부(PH);
    상기 수평부에 직각이 되게 일체화한 수직부(PV);
    상기 수직부에 힌지로 연결된 상부 힌지부(HH);
    상기 상부 힌지부의 아래에 상기 수직부에 힌지로 연결된 하부 힌지부(HB);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와 상기 상부 힌지부와 상기 하부 힌지부의 자유단에는 갈라진 절단부(CU), 상기 절단부에서 모서리 방향으로 쐐기형 압입부(WG) 및 조임부배(BT)를 구비한 팔(BD);를 포함하는 모서리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형 가설 건축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형 가설 건축물은

    골프 연습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형 가설 건축물
  4. 하부 골조의 일단과 후면 벽의 하단을 후방 하부 힌지를 중심으로 바닥에서 접는 단계;
    상부 골조의 일단과 후면 벽의 상단을 후방 상부 힌지를 중심으로 바닥에서 접는 단계;
    상부 골조의 타단과 전면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 부재의 상단을 전방 상부 힌지를 중심으로 바닥에서 접는 단계;
    하부 골조를 바닥에 고정하고, 후방 상부 힌지에 체결되어 있는 가새 부재를 후면 벽 방향으로 밀면서 들어 올리는 단계;
    후면 벽이 수직으로 서게 되면 하부 골조와 가새 부재의 양단에 있는 전방 하부 체결부를 서로 결합하는 단계;
    전면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 부재를 후방 상부 힌지와 전방 상부 힌지를 중심으로 들어 올려, 전면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 부재의 하단과 하부 골조의 전방 하부 체결부를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형 가설 건축물의 축조 방법
KR1020130143740A 2013-11-25 2013-11-25 텐트형 가설 건축물 KR101454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740A KR101454673B1 (ko) 2013-11-25 2013-11-25 텐트형 가설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740A KR101454673B1 (ko) 2013-11-25 2013-11-25 텐트형 가설 건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413A true KR20130141413A (ko) 2013-12-26
KR101454673B1 KR101454673B1 (ko) 2014-10-27

Family

ID=4998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740A KR101454673B1 (ko) 2013-11-25 2013-11-25 텐트형 가설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032B1 (ko) 2019-03-28 2019-07-23 이성구 철거 작업용 비계
KR102065458B1 (ko) 2019-06-04 2020-01-13 김길성 인테리어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801A (ko) 2018-05-17 2019-11-27 박영진 소변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102253768B1 (ko) 2019-04-03 2021-05-24 장호열 의료영상 리코딩 시스템 및 리코딩 로봇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16884U1 (ko) * 1988-01-12 1991-02-07 Octanorm-Vertriebs-Gmbh Fuer Bauelemente, 7024 Filderstadt, De
KR100914742B1 (ko) 2007-07-02 2009-08-31 강종구 조립식 건축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시공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032B1 (ko) 2019-03-28 2019-07-23 이성구 철거 작업용 비계
KR102065458B1 (ko) 2019-06-04 2020-01-13 김길성 인테리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673B1 (ko)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665B2 (en) Construction configurations and construction methods of steel houses
KR101454673B1 (ko) 텐트형 가설 건축물
RU2397295C2 (ru) Каркас для здания
JP5271739B2 (ja) 屋上付帯構造物及びユニット建物
CN104213637A (zh) 集成式钢结构建筑
US20070119111A1 (en) Panel structure of steel house and panel contructing method
KR101623848B1 (ko) 외부 부착형 철골프레임에 의한 개구부 내진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JP5362310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2009030321A (ja)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AU2014280871A1 (en) Frame Fitting
JP2006241938A (ja) 通し柱と梁との連結金具および木造建築物の軸組構造体
CA3067529A1 (en)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ame
KR101075914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간 접합 구조
JPH0874412A (ja) 建築用足場及びその構築方法
JP3175215U (ja) 組み立て家屋
JP2004316076A (ja) 立体構築物
KR100758595B1 (ko) 에이치빔용 연결소켓
JP3138112U (ja) 屋根ユニット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用金物
JP2015200175A (ja) 付帯構造物及びユニット建物
JP3168247B2 (ja) 耐震木造住宅
KR200255525Y1 (ko) 조립식 건물의 지붕 구조
JP2008127902A (ja) 屋根パネルの支持金具および屋根パネルの支持構造
JP2001262701A (ja) 接合金物および木造軸組
KR200405183Y1 (ko) 건물골조
JP2023016525A (ja) 出隅部の梁と柱に関するリフォー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