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435B1 -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435B1
KR102642435B1 KR1020210087730A KR20210087730A KR102642435B1 KR 102642435 B1 KR102642435 B1 KR 102642435B1 KR 1020210087730 A KR1020210087730 A KR 1020210087730A KR 20210087730 A KR20210087730 A KR 20210087730A KR 102642435 B1 KR102642435 B1 KR 102642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curved
vertical
ba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015A (ko
Inventor
박창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수티엔시
박창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수티엔시, 박창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수티엔시
Priority to KR102021008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4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수도 원형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곡선바 및 제2 곡선바, 상기 제1 곡선바 및 상기 제2 곡선바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작업발판을 포함하는 곡선사다리부; 상기 곡선사다리부의 상기 제1 곡선바 및 상기 제2 곡선바의 양측 하단 각각에 회전 가능하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제1 수직바 및 제2 수직바를 가지는 수직대와, 상기 제1 수직바 및 상기 제2 수직바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평대를 포함하는 수직사다리부; 및, 상기 곡선사다리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난간수직바와, 상기 난간수직바에 교차되게 연결되는 곡선형 연결바를 가지는 안전 난간부;를 포함하는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Ladder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s}
본 발명은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수도 원형관의 접합, 점검, 보수 등의 작업을 원활히 수행하면서 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원형관은 다양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보통 3600 ~ 80mm의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작업자의 키보다 높은 직경을 가진 상하수도 원형관에서 접합, 점검,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반 사다리를 타고 원형관에 올라가야 하며, 안전줄 등과 같은 안전 수단 없이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보통 사다리는 발디딤을 위한 수평바가 복수개 배열된 것이며, 작업 위치에서 작업자가 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를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상하수도 원형관에 사다리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한 손에 작업 공구를 파지하고 나머지 한 손으로 사다리를 잡은 상태로 불편하게 작업할 수 밖에 없으며, 상하수도 원형관 위로 올라가 작업할 경우에는 작업 공간이 개방되어 있어 작업자의 부주의로 추락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7148호(2006.01.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수도 원형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안전 난간부 및 작업발판이 설치된 곡선사다리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고, 접합, 점검, 보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수도 원형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곡선바 및 제2 곡선바, 상기 제1 곡선바 및 상기 제2 곡선바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작업발판을 포함하는 곡선사다리부; 상기 곡선사다리부의 상기 제1 곡선바 및 상기 제2 곡선바의 양측 하단 각각에 회전 가능하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제1 수직바 및 제2 수직바를 가지는 수직대와, 상기 제1 수직바 및 상기 제2 수직바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평대를 포함하는 수직사다리부; 및, 상기 곡선사다리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난간수직바와, 상기 난간수직바에 교차되게 연결되는 곡선형 연결바를 가지는 안전 난간부;를 포함하는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곡선사다리부에는 상기 상하수도 원형관의 둘레에 하단이 접촉하는 제1 받침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받침부는 상기 곡선사다리부와 상기 상하수도 원형관의 둘레와의 간격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 높이조정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높이조정부는, 상기 곡선사다리부의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고정 파이프; 상기 고정 파이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파이프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 파이프; 상기 고정 파이프 및 상기 삽입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 상기 삽입 파이프 및 상기 고정 파이프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복수의 결합공 중 선택된 상기 결합공에 일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 및 서로 일치된 상태의 상기 삽입공과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직사다리부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접촉하는 제2 받침부가 연결되되,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지면에 대해 높이 조정이 가능한 제2 높이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높이조정부는, 상기 수직사다리부의 상기 수직대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 파이프; 상기 수직대 및 상기 삽입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 상기 삽입 파이프 및 상기 수직대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복수의 결합공 중 선택된 상기 결합공에 일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공; 및 서로 일치된 상태의 상기 삽입공과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직사다리부에는 상기 수직대에 대해 힌지에 의해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에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부를 가지는 핸들이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에 의하면, 상하수도 원형관의 접합, 점검, 보수 등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면서 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면에 지지되는 수직사다리부가 곡선사다리부에 대해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지면 상태에 따라 지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해진 크기의 곡선사다리부를 가진 사다리를 다양한 직경을 가진 상하수도 원형관에 용이하게 지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의 곡선사다리부에 대해 수직사다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의 곡선사다리부에 대해 수직사다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에 지지되는 제1 받침부의 높이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2 받침부의 높이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사다리부와 수직사다리부 사이의 힌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의 곡선사다리부에 대해 수직사다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의 곡선사다리부에 대해 수직사다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에 지지되는 제1 받침부의 높이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2 받침부의 높이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사다리부와 수직사다리부 사이의 힌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는, 곡선사다리부(100), 수직사다리부(200) 및 안전 난간부(30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들은 별도로 분리한 상태로 보관 가능하고, 작업자에 의한 용접 작업 없이 상하수도 원형관(t)이 설치된 작업 현장으로 이동시킨 후 조립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곡선사다리부(100)는 상하수도 원형관(t)의 최상단 위치를 각도 0°로 정했을 때, 대략 90°와 270°를 경계로 그 상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곡선바(110) 및 제2 곡선바(120)를 가지는 곡선형 사다리 형태이다. 곡선사다리부(100)는 통상의 상하수도 원형관(t)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곡선사다리부(100)에는 복수의 작업발판(130)이 제1 곡선바(110) 및 제2 곡선바(120)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계단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곡선바(110) 및 제2 곡선바(120)에는 상하수도 원형관(t)의 둘레에 곡선사다리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받침부(140)가 설치된다.
제1 받침부(140)는 상하수도 원형관(t)과 맞닿는 곡선사다리부(100)에 상하수도 원형관(t)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받침부재(141)가 구비된다. 제1 받침부재(141)의 일측에는 예컨대, 고무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제1 완충부재(142)를 포함한다. 또한, 상하수도 원형관(t)의 곡선에 맞게 제1 받침부재(141)가 회전하여 제1 완충부재(142)가 상하수도 원형관(t)에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제1 받침부재(141)가 후술하는 삽입 파이프(152)에 힌지(1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받침부(140)는 상하수도 원형관(t)에 대한 곡선사다리부(100)의 지지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원형관(t)의 최상부에 대응하는 곡선사다리부(100)의 위치에 설치된다. 더불어 곡선사다리부(100)의 양쪽 측면부에도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제1 받침부(140)는 상하수도 원형관(t)의 중심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하수도 원형관(t)의 상면에 수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곡선사다리부(100)는 다양한 직경을 가진 상하수도 원형관(t)의 둘레와의 간격에 따라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부(14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받침부(140)의 높이 조정을 위한 제1 높이조정부(150)는, 곡선사다리부(100)의 제1 곡선바(110) 및 제2 곡선바(120)에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며 곡선사다리부(100)의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고정 파이프(151)와, 고정 파이프(151)에 삽입되어 고정 파이프(15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 파이프(152)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 파이프(151) 및 삽입 파이프(152) 중 어느 하나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150a)과, 삽입 파이프(152) 및 고정 파이프(151)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복수의 결합공(150a) 중 선택된 결합공(150a)에 일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150b)과, 서로 일치된 상태의 삽입공(150b)과 결합공(150a)에 끼워져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결합핀(153)을 포함한다.
따라서, 곡선사다리부(100)에 구비된 제1 받침부(140)의 높이를 조정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진 상하수도 원형관(t)에 지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높이조정부(150)의 삽입 파이프(152)를 고정 파이프(151)로부터 상하수도 원형관(t) 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입 파이프(152)를 적합한 길이로 조정한 상태에서, 고정 파이프(151) 및 삽입 파이프(152) 중 어느 하나의 결합공(150a)중 선택된 결합공(150a)에 삽입공(150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결합핀(153)을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곡선사다리부(100)의 제1 받침부(140)를 상하수도 원형관(t)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사다리부(200)의 하단부에도 높이 조정이 가능한 제2 받침부(210)의 적용이 가능하다.
수직사다리부(200)는, 곡선사다리부(100)의 양측에 작업자가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제2 받침부(210)를 통해 지면에 세워지는 일자형 사다리 형태로서, 양측으로 평행한 한 쌍의 제1 수직바(221) 및 제2 수직바(222)를 포함하는 수직대(220)와, 제1 수직바(221) 및 제2 수직바(222)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수평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사다리부(200)는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곡선사다리부(100)에 대해 힌지(260)에 의해 회전 가능하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수직사다리부(200)에는 수직대(220)의 일측에 수직바와 수평바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핸들(240)이 구비된다. 핸들(240)은 수직대(200)에 대해 힌지(241)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241)에는 핸들(240)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미도시)를 가진다. 잠금부는 돌기 및 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잠금부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직사다리부(200)에 대해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이식 핸들(240)을 파지한 상태로 안전하게 사다리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면과 맞닿는 수직사다리부(200)의 하단부에 제2 받침부(210)가 구성된다.
제2 받침부(210)는 수직사다리부(200)의 하단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받침부재(211)가 구비된다. 제2 받침부재(211)의 일측에는 예컨대, 고무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제2 완충부재(212)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받침부(210)가 회전하여 제2 완충부재(212)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제2 받침부재(211)가 후술하는 삽입 파이프(251)에 힌지(2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 받침부(210)는 지면에 대해 지지되며, 수직사다리부(200)의 수직대(220)의 제1 수직바(221) 및 제2 수직바(222)에 각각 결합된다.
수직사다리부(200)는 곡선사다리부(100)에 대해 힌지(260)에 의해 회전한 상태로 지면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사다리부(200)는 지면 상태에 따라 각도 조절을 통해 지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2 받침부(21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받침부(210)의 높이 조정을 위한 제2 높이조정부(250)는, 수직사다리부(200)의 수직대(220)에 삽입되어 수직대(2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 파이프(251)와, 수직대(220) 및 삽입 파이프(251) 중 어느 하나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250a)과, 삽입 파이프(251) 및 수직대(220)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결합공(250a) 중 선택된 결합공(250a)에 일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250b)과, 서로 일치된 상태의 삽입공(250b)과 결합공(250a)에 끼워져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결합핀(252)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사다리부(200)와 곡선사다리부(100)의 연결 부위에는 곡선사다리부(100)에 대해 수직사다리부(20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260)가 설치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260)는 곡선사다리부(100)와 수직사다리부(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암형 연결부(261)와, 수직사다리부(200)와 곡선사다리부(1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암형 연결부(261)와 상호 작용하여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수형 연결부(262)를 포함하며, 암형 연결부(261)와 수형 연결부(262)가 결합된 상태에서 암,수형 연결부(261,262)를 상호 공유하는 힌지공(263)에 결합되는 힌지핀(264)을 포함한다. 힌지핀(264)은 힌지공(263)에 쉽게 탈결합 가능하며, 이로 인해 곡선사다리부(100)와 수직사다리부(200)를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수도 원형관(t)에 지지되는 곡선사다리부(100)에 대해 수직사다리부(200)를 힌지(26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하수도 원형관(t)의 외측으로 벌리도록 하여 지면에 지지 가능하게 한다. 즉, 수직사다리부(200)를 지지하는데 있어 지면 상태에 따라 수직사다리부(200)의 각도 조절을 통해 최적 상태의 지면을 선택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직사다리부(200)의 길이가 길거나 짧을 경우, 수직사다리부(200)의 제2 받침부(210)의 높이를 조정하여 제2 받침부(210)를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안전 난간부(300)는 작업발판(130)에 올라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자 곡선사다리부(100)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곡선바(110) 및 제2 곡선바(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안전 난간부(300)는, 하단부가 곡선사다리부(100)의 연결파이프(160)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복수의 난간수직바(310)와, 난간수직바(310)에 복층 구조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곡선형 연결바(320)를 포함한다.
안전 난간부(300)의 난간수직바(310)를 곡선사다리부(100)에 세우기 위해, 곡선사다리부(100)의 제1 곡선바(110) 및 제2 곡선바(120) 중 어느 하나에 간격을 두고 상향 개방되는 복수의 연결파이프(160)가 형성된다. 따라서, 곡선사다리부(100)의 연결파이프(160)에 난간수직바(310)를 삽입하여 곡선사다리부(100) 상에 안전 난간부(300)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곡선사다리부(1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받침부(140)의 고정 파이프(151)는 상향 개방된 형태로 연결파이프(160)의 기능도 함께 하며, 이에 따라 난간수직바(31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곡선사다리부(100)의 중앙 위치, 즉 최상단에 위치하는 연결파이프(160)는 제1 높이조정부(150)의 고정 파이프(151)일 수 있으며, 연결파이프(160)에 삽입되는 난간수직바(310)는 제1 높이조정부(150)의 고정 파이프(151)에 삽입되는 삽입 파이프(152)와 간섭되지 않도록 주변의 다른 난간수직바(310)와 대비하여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곡선형 연결바(320)는 상하수도 원형관(t)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확대되는 호 형상의 곡선형 바로서, 복층 구조, 본 발명에서는 2층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전 난간부(300)는 작업자의 출입을 차단하고, 작업자의 신체에 연결된 안전줄을 안전 고리를 이용하여 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곡선사다리부(100)의 작업발판(130) 및 수직사다리부(200)의 수평대(230)에는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미끄럼방지부재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소재나 요철 등의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수도 원형관(t)에 대한 접합, 점검, 보수 등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면서 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는 수직사다리부(200)가 곡선사다리부(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지면 상태에 따라 지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정해진 크기의 곡선사다리부(100)를 가진 사다리를 다양한 직경을 가진 상하수도 원형관(t)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곡선사다리부 110 : 제1 곡선바
120 : 제2 곡선바 130 : 작업발판
140 : 제1 받침부 141 : 제1 받침부재
142 : 제1 완충부재 143 : 힌지
150 : 제1 높이조정부 150a : 결합공
150b : 삽입공 151 : 고정 파이프
152 : 삽입 파이프 153 : 결합핀
160 : 연결파이프 200 : 수직사다리부
210 : 제2 받침부 211 : 제2 받침부재
212 : 제2 완충부재 213 : 힌지
220 : 수직대 221 : 제1 수직바
222 : 제2 수직바 230 : 수평대
240 : 핸들 241 : 힌지
250 : 제2 높이조정부 250a : 결합공
250b : 삽입공 251 : 삽입 파이프
252 : 결합핀 260 : 힌지
261 : 암형 연결부 262 : 수형 연결부
263 : 힌지공 264 : 힌지핀
300 : 안전 난간부 310 : 난간수직바
320 : 곡선형 연결바

Claims (7)

  1. 다양한 직경의 상하수도 원형관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안전한 이동과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로서,
    상하수도 원형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곡선바 및 제2 곡선바, 상기 제1 곡선바 및 상기 제2 곡선바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작업발판을 포함하는 곡선사다리부;
    상기 곡선사다리부에 제공되는 것으로, 하단에 상기 상하수도 원형관의 둘레에 하면이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상하수도 원형관의 직경과 상기 곡선사다리부의 직경 차이에 따른 상하수도관 원형관 둘레와의 높이차에 대응하여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상하수도 원형관에 정해진 크기의 곡선사다리부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제1 높이 조정부를 구비한 제1 받침부;
    여기서, 상기 제1 높이조정부는,
    상기 곡선사다리부의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된 고정 파이프;
    상기 고정 파이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파이프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 파이프;
    상기 고정 파이프 및 상기 삽입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
    상기 삽입 파이프 및 상기 고정 파이프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복수의 결합공 중 선택된 상기 결합공에 일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 및
    서로 일치된 상태의 상기 삽입공과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하며,
    상기 곡선사다리부의 상기 제1 곡선바 및 상기 제2 곡선바의 양측 하단 각각에 회전 가능하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제1 수직바 및 제2 수직바를 가지는 수직대와, 상기 제1 수직바 및 상기 제2 수직바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평대를 포함하는 수직사다리부- 상기 수직사다리부는 힌지(260)에 의해 회전되어, 지면 상태에 따라 지지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형성됨;
    상기 수직사다리부의 하단에는 지면에 접촉하는 제2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지지 위치에 맞추어 상기 지면에 대해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하는 제2 높이조정부를 포함하는 제2 받침부; 및
    상기 곡선사다리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난간수직바와, 상기 난간수직바에 교차되게 연결되는 곡선형 연결바를 가지는 안전 난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조정부는, 상기 수직사다리부의 상기 수직대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 파이프;
    상기 수직대 및 상기 삽입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
    상기 삽입 파이프 및 상기 수직대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복수의 결합공 중 선택된 상기 결합공에 일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 및
    서로 일치된 상태의 상기 삽입공과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사다리부에는 상기 수직대에 대해 힌지(241)에 의해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241)에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부를 가지는 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87730A 2021-07-05 2021-07-05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KR102642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730A KR102642435B1 (ko) 2021-07-05 2021-07-05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730A KR102642435B1 (ko) 2021-07-05 2021-07-05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015A KR20230007015A (ko) 2023-01-12
KR102642435B1 true KR102642435B1 (ko) 2024-03-04

Family

ID=8492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730A KR102642435B1 (ko) 2021-07-05 2021-07-05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4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000A (ja) * 2006-01-26 2007-08-09 Alinco Inc トレーラー用昇降梯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2546A (en) * 1998-03-05 2000-01-11 Bee; Dana A. Safety ladder
KR100407148B1 (ko) 2001-01-10 2003-11-28 경신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조립 및 검사 방법
KR20060028464A (ko) * 2006-03-09 2006-03-29 남준식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KR20120057363A (ko) * 2010-11-26 2012-06-05 윤석오 터널형 구조물 작업용 사다리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000A (ja) * 2006-01-26 2007-08-09 Alinco Inc トレーラー用昇降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015A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56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a shoring tower
US8636108B2 (en) Steep roof assist
AU2016309949B2 (en) An extendable work platform
KR101788153B1 (ko) 90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게 기능하는 이음연결쇠 및 이의 이용방법
KR102642435B1 (ko)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KR100666212B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KR200393396Y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US9976347B2 (en) Pit ladder with safety device
KR100984871B1 (ko) 공동구 환기구의 접이식 안전 사다리
CN204532035U (zh) 移动折叠检修平台
JP2826290B2 (ja) 点検用足置き及び該足置きを有する埋設槽
KR20110002720U (ko) 고소 작업용 우마 사다리
KR102556974B1 (ko) 설치가 용이한 맨홀용 안전 사다리
KR101314862B1 (ko) 거푸집장치
JP2021055501A (ja) 仮設足場用階段
EP3015624B1 (en) Side railing for a shoring tower
KR20010078628A (ko)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JP2006077462A (ja) 梯子構造
KR200459011Y1 (ko) 계단 난간대의 동자 절단을 위한 측정자
AU2020102598A4 (en) Improved Portable Ladder Configuration
JP3129687U (ja) 梯子
JP4722891B2 (ja) 天井作業用梯子
JP2002147016A (ja) 埋設ボックス用仮足場装置
CN104453689B (zh) 移动折叠检修平台
JP2022027348A (ja) 梯子用脱着式アウトリ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