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862B1 - 거푸집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862B1
KR101314862B1 KR1020120087831A KR20120087831A KR101314862B1 KR 101314862 B1 KR101314862 B1 KR 101314862B1 KR 1020120087831 A KR1020120087831 A KR 1020120087831A KR 20120087831 A KR20120087831 A KR 20120087831A KR 101314862 B1 KR101314862 B1 KR 101314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mwork
state
workbench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국
배유민
Original Assignee
해강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강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강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7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거푸집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거푸집장치는,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향을 따라 옮겨지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 상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이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 위쪽에 성형 상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에 걸쳐진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브라켓트를 구비한 제1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 아래쪽에서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작업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에 일단이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를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지지구를 구비한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장치{Concrete form apparatus}
본 발명은 현수교(懸垂橋)나 사장교(斜張橋)의 주탑 시공 작업에 사용하는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수교나 사장교의 주탑들은, 대부분 일반 교량의 교각들보다 더 위로 연장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제공되며, 와이어나 체인 등으로 교량상판들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탑의 시공 작업은,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거푸집장치를 옮겨가는 상태로 셋팅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부터 성형해 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주탑 시공에 사용하는 거푸집장치로는 "특허등록 제10-1047527호의 주탑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장치."가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10-1047527호의 주탑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장치는, 잭장치의 동력에 의해 상부로 옮겨가면서 콘크리트 주탑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부와, 이 거푸집 장치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이동식 거푸집장치는,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장 형태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안정적인 이동 및 설치 환경을 제공하기 어렵다.
특히, 상기 이동식 거푸집장치의 구조에 의하면, 직선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곡선형의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에는 만족할 만한 장치의 효율성 및 작업 호환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더욱이, 근래에 시공되는 현수교나 사장교들의 주탑은, 단순한 직선형의 구조를 탈피하여 미감을 더 높일 수 있는 곡선형의 구조를 갖도록 시공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곡선형의 주탑 시공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이동 및 설치 구조를 갖는 거푸집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교량의 주탑 시공시 한층 향상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거푸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향을 따라 옮겨지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거푸집;
상기 거푸집이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 위쪽에 성형 상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에 걸쳐진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브라켓트를 구비한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 아래쪽에서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작업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에 일단이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를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지지구를 구비한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거푸집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거푸집이 설치되는 작업대 측에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제공되고, 특히 이 지지부들은 다양한 곡선형의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시 상기 작업대가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에 단순하게 걸쳐져서 비(非) 체결 고정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설치 구조를 제공하므로 한층 향상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작업대를 지칭하고, 도면 부호 4는 거푸집을 지칭한다.
상기 작업대(2)는 도 1에서와 같이 수평부(A1) 및 수직부(A2)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부(A1) 및 수직부(A2)가 대략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대(2)는 예를 들어, 형강이나 금속 파이프들을 통상의 결합 방법(용접, 볼팅)으로 연결 고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2)의 수평부(A1) 측에는 발판(B)이 설치되며, 상기 발판(B)은 작업자가 올라 탄 상태로 거푸집(4) 들의 설치 및 해체와 같은 작업들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작업 면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B)의 둘레를 따라 가드(B1)를 더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발판(B) 측에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로 작업을 진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예: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4)은, 일면에 성형면(C)을 구비한 평판형의 스틸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4)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성형면(C)이 외측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2)의 수평부(A1)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4)은, 상기 수평부(A1) 상에서 상기 성형면(C)이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상태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푸집(4)은 도 1에서와 같이 하부 측이 상기 작업대(2)의 수평부(A1) 일측과 통상의 힌지 결합으로 연결 고정되어, 이 힌지 결합 지점(C1)을 중심으로 도면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4)은, 별도의 연결바(D)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고, 이 연결바(D)의 조작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D)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축선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시 나사 결합(예: 오른나사 및 왼나사 결합)에 의해 양단의 길이가 변화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연결바(D)의 조작으로 상기 거푸집(4)을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각도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거푸집(4)의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교량의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W, 이하 "주탑 구조물"이라고 함.)의 시공시 상기 거푸집(4)의 성형 위치(각도)를 상기 주탑 구조물(W)의 연장 형태(예: 직선형 또는 곡선형)와 대응하는 상태로 간편하게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장치는, 상기 작업대(2)를 위쪽으로 옮겨가면서 주탑 구조물(W)을 위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할 때 상기 작업대(2)를 간편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지지부(6) 및 제2 지지부(8)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 지지부(6) 및 제2 지지부(8)는 상기 작업대(2)를 상기 주탑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에 비(非) 체결 고정 방식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부(6)는, 상기 작업대(2) 상부 측이 주탑 구조물(W)의 기 시공된 일측에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부(6)는, 돌기 및 홈 형태로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브라켓트(E1) 및 받침브라켓트(E2)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브라켓트(E1)는 상기 작업대(2)의 수직부(A2)상부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브라켓트(E2)는 주탑 구조물(W)의 기 시공된 부분의 외벽 측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주탑 구조물(W)의 상부 시공을 위하여 상기 작업대(2)를 위쪽으로 옮겨서 상부 시공이 가능하게 배치할 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6)의 걸림브라켓트(E1)를 상기 받침브라켓트(E2) 측에 걸쳐놓는 방식으로 상기 작업대(2) 상부를 걸림 접촉으로 잡아줄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8)는 상기 제1 지지부(6)에 의해 상기 작업대(W) 상부가 주탑 구조물(W) 측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2)의 걸쳐진 상태(기울어짐)를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지지부(8)는, 상기 작업대(2) 하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지지구(F1)와, 이 조절지지구(F1)의 슬라이드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구(F2)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지지구(F1)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대(2)의 수직부(A2) 하부 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서 일단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슬라이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 제어구(F2)는 걸림 접촉으로 상기 조절지지구(F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어구(F2)는 예를 들어, 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지지구(F1)의 길이 방향 내에는 상기 제어구(F2)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기 위한 조절용 홀(F3)들이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형성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작업대(2)의 수직부(A2) 하부에서 상기 조절지지구(F1)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 다음, 어느 하나의 조절용 홀(F3) 측에 상기 제어구(F2)를 끼워서 상기 수직부(A2)의 하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조절지지구(F1) 일단의 돌출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다.
상기한 제2 지지부(8)의 구조에 의하면, 특히 도 2에서와 같이 위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주탑 구조물(W)을 시공할 때 상기 조절지지구(F1)의 돌출 단부가 주탑 구조물(W)의 기 시공된 부분에 원활하게 접촉되면서 상기 작업대(2)의 발판(B)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수평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2 지지부(8)의 조작 작업은, 상기 작업대(2)를 주탑 구조물(W) 시공이 가능하게 통상의 방법(예: 타워크레인)으로 들어올리기 전에, 지상에서 상기 조절지지구(F1)의 돌출 상태를 미리 조절 및 셋팅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장치는, 상기 제2 지지부(8)와 대응하는 보조지지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10)는, 상기 제2 지지부(8)의 돌출 단부 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작업대(2)의 설치 상태(기울기)를 세부 조절할 수 있는 접촉 지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보조지지부(10)는, 상기 작업대(2)의 발판(B) 측에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지지부(10)는, 상기 제2 지지부(8)의 조절지지구(f1) 돌출 단부 측에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지지구(G1)와, 이 보조지지구(G1)를 상기 조절지지구(F1) 측에서 정,역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크류(G2)와, 이 스크류(G2)의 정,역 회전을 상기 작업대(2) 상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부(G3)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지지구(G1)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8)의 조절지지구(F1) 돌출 단부 측에 일측이 끼워져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보조지지구(G1)는 상기 조절지지구(F1)의 돌출 단부 측에서 이 조절지지구(F1)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스크류(G2)의 일단은 상기 보조지지구(G1) 내측에 정,역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조절지지구(F1) 측에 나사 결합되어 정,역 회전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스크류(G2)의 정,역 회전시 상기 조절지지구(F1) 측에서 상기 스크류(G2)의 전,후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보조지지구(G1)를 전방을 향하여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상기 조작부(G3)는, 조작구(G4)와, 이 조작구(G4)에 의해 기어물림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크류(G2)의 정,역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연결구(G5)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구(G4)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대(2)의 발판(B) 상에서 상기 스크류(G2)와 대응하는 지점까지 연장 형성된 길이를 갖는 봉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구(G4)는 상기 작업대(2)의 발판(B) 측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로 축선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도 5에서와 같이 위쪽 단부가 절곡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연결구(G5)는, 기어 중에서 두 축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기어물림이 이루어지는 워엄(G6) 및 워엄휠(G7)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작연결구(G5)는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구(G1)의 내측에서 상기 스크류(G2) 일측에 워엄힐(G7)이 설치되고, 이 워엄휠(G7)과 기어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로 워엄(G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워엄(G6)은 일단이 상기 작업대(2)의 발판(B) 쪽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엄(G6)의 위쪽 단부에는 상기 조작구(G4)의 일단 끝부분이 끼워지는 연결홈(G8)이 형성되고, 이 연결홈(G8) 및 상기 조작구(G4)의 끝단은 예를 들어, 다각형 모양의 홈 둘레 및 돌기 둘레를 갖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조작구(G4)를 축선을 중심으로 돌려서 조작할 때 상기 연결홈(G8) 측에서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조작력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조작연결구(G5)는 워엄(G6) 및 워엄휠(G7)을 사용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두 축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어(예: 베벨기어)들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구(G4)의 양쪽 단부 사이의 일측 지점은 연결 각도의 절환이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구(G4)의 일측 지점이 연결부재(G9)로 연결될 수 있고, 이 연결부재(G9)는 볼 죠인트나 유니버셜 죠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작업대(2) 상에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에서 상기 조작구(G4)의 끝단을 상기 조작연결구(G5)의 연결홈(8) 측에 끼운 상태로 원활하게 조작력이 전달될 수 있는 조작 연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보조지지부(10)는, 상기 작업대(2)의 발판(B) 상에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구(G1)의 작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업대(2) 상에서 상기 조작구(G4)의 일단을 손으로 잡은 상태로 타단을 상기 워엄(G6) 일단 즉, 연결홈(G8) 측에 끼운 다음, 일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도 8에서와 같이 워엄(G6) 및 워엄휠(G7)의 기어물림에 의해 상기 스크류(G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보조지지구(G1)가 전진 이동되는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구(G4)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스크류(G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보조지지구(G1)가 후진 이동되는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지지부(10)의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상기 작업대(2) 상에서 상기 보조지지구(G1)의 일단을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절 방식으로 상기 제2 지지부(8)의 접촉 지지 환경을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작업대(2) 상에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로 조작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면, 예를 들어, 지상에서 상기 제2 지지부(8)의 돌출 상태를 미리 셋팅한 다음, 상기 작업대(2)를 들어올려서 주탑 구조물(W) 측에 걸쳐진 상태로 고정할 때 상기 작업대(2)의 기울기가 비(非) 정상인 상태가 되더라도 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안전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2: 작업대 4: 거푸집 6: 제1 지지부
8: 제2 지지부 10: 보조지지부 C: 타워크레인

Claims (10)

  1.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향을 따라 옮겨지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거푸집;
    상기 거푸집이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 위쪽에 성형 상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에 걸쳐진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브라켓트를 구비한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 아래쪽에서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작업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에 일단이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를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지지구를 구비한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와 대응하는 보조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조절지지구 돌출 단부 측에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지지구;
    상기 보조지지구를 상기 조절지지구 측에서 정,역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정,역 회전을 상기 작업대 상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부;
    를 포함하는 거푸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부에 발판을 구비하고,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향과 대응하도록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옮겨지는 거푸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브라켓트는,
    서로 걸림 접촉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브라켓트 및 받침브라켓트를 구비하고,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 시공된 부분에 상기 작업대 상부가 걸림 접촉으로 걸쳐질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거푸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의 조절지지구는,
    상기 작업대 측에서 제어구의 핀 결합에 의한 걸림 접촉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제한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거푸집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구는,
    상기 조절지지구의 슬라이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거푸집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작업대 상에서 상기 스크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로 연장 형성된 조작구와, 이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기어물림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크류의 정,역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연결구를 포함하는 거푸집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는,
    상기 작업대 상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하는 상태로 상기 조작연결구를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거푸집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는,
    길이방향 양단 사이의 일측 지점이 연결부재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볼 죠인트 또는 유니버셜 죠인트를 사용하는 거푸집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연결구는,
    워엄기어 또는, 베벨기어 중에서 사용하고, 일측이 상기 조작구의 단부와 끼움 결합으로 연결된 상태로 조작되면서 상기 스크류의 정,역 회전 제어가 가능한 기어물림이 이루어지도록 셋팅되는 거푸집장치.
KR1020120087831A 2012-08-10 2012-08-10 거푸집장치 KR101314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831A KR101314862B1 (ko) 2012-08-10 2012-08-10 거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831A KR101314862B1 (ko) 2012-08-10 2012-08-10 거푸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862B1 true KR101314862B1 (ko) 2013-10-04

Family

ID=4963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831A KR101314862B1 (ko) 2012-08-10 2012-08-10 거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0646A (zh) * 2018-10-10 2019-03-08 林丹 一种塔柱上横梁施工托架预埋牛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13U (ko) * 1998-07-30 2000-02-25 이덕희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101043920B1 (ko) * 2009-04-10 2011-06-29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13U (ko) * 1998-07-30 2000-02-25 이덕희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101043920B1 (ko) * 2009-04-10 2011-06-29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0646A (zh) * 2018-10-10 2019-03-08 林丹 一种塔柱上横梁施工托架预埋牛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506444A (ja) 足場組立体
JP2014043713A (ja) 斜面用足場装置
KR101314862B1 (ko) 거푸집장치
KR101655786B1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해제용 서포트
CN211314231U (zh) 一种可调节的隧道台车模板
KR200463126Y1 (ko) 모터를 이용하여 발판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계단
CN111319011A (zh) 用于混凝土结构植筋的操作装置及植筋钻孔方法
KR101612071B1 (ko) 주탑 시공용 리프팅장치
KR20080110373A (ko) 잭 베이스
CN204024078U (zh) 用于梁板底部植筋的钻机工作架
CN211342912U (zh) 一种适用于深海采矿的软管临时悬挂支撑装置
JP3841499B2 (ja) 斜面作業用足場及び斜面作業用足場の架設方法
CN209799338U (zh) 一种悬挑式脚手架支撑连接结构
KR102102440B1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EP0131588A1 (en) Bricklaying profiles
KR20130073339A (ko) 작업정반 승하용 높이조절 사다리
JP3128837U (ja) 梯子状脚体を有する足場装置
CN109138397B (zh) 一种悬挑式脚手架及其搭建方法
KR102642435B1 (ko)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JP2021055501A (ja) 仮設足場用階段
US20220290449A1 (en) Support means, ceiling supports, ceiling framework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 ceiling framework panel
JP3981604B2 (ja) 仮設階段用踊り場
JP2019112891A (ja) 仮設足場用部材
JP6292449B2 (ja) 壁つなぎ支持部材及び足場構造
JP6423256B2 (ja) 仮設足場用階段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