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382Y1 -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0382Y1 KR200470382Y1 KR2020130003898U KR20130003898U KR200470382Y1 KR 200470382 Y1 KR200470382 Y1 KR 200470382Y1 KR 2020130003898 U KR2020130003898 U KR 2020130003898U KR 20130003898 U KR20130003898 U KR 20130003898U KR 200470382 Y1 KR200470382 Y1 KR 20047038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leg
- fixing part
- fixing
- mov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마사다리의 다리부 사이에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으로 긴 지지대를 설치하여 다리부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흔들림이 감소되어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는,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판(1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다리부(12) 및 제2다리부(13);로 이루어진 우마사다리(10)에 사용되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다리부(12) 및 상기 제2다리부(13)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지지대(100); 상기 제1지지대(100)에 교차되게 장착되는 제2지지대(200); 및 상기 제2지지대(200)의 양단에 각각 높이 방향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지지다리(300);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는,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판(1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다리부(12) 및 제2다리부(13);로 이루어진 우마사다리(10)에 사용되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다리부(12) 및 상기 제2다리부(13)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지지대(100); 상기 제1지지대(100)에 교차되게 장착되는 제2지지대(200); 및 상기 제2지지대(200)의 양단에 각각 높이 방향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지지다리(3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우마사다리의 다리부에 장착되어 우마사다리를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테리어, 정비소 등의 작업 현장 또는 건축 작업 현장 등에서는 작업자가 높은 벽 또는 천정 등에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다리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사다리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우마사다리, A자형 사다리, 일자형 사다리로 구분된다.
이러한 사다리의 종류 가운데 우마사다리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양쪽의 다리가 서로 포개지도록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선으로 표시된 우마사다리(10)는 평평한 판자 형상의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하방향으로 구비된 제1다리부(12) 및 제2다리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다리부(12) 및 상기 제2다리부(13)는 약간 경사지게 배치되며, 지면과 접하여 상기 상판(11)을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도록 지지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다리부(12) 및 상기 제2다리부(13)는 힌지 또는 경첩을 통해 상기 상판(11)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우마사다리(10)는 길이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되지만, 폭 방향, 즉 너비 방향으로는 지지해주는 다리부가 없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진다.
이로 인해 작업중 흔들림 형상에 의해 작업자에게 불암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심각한 경우 균형을 잃어 작업자가 사다리 위에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마사다리의 다리부 사이에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으로 긴 지지대를 설치하여 다리부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흔들림이 감소되어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는,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판(1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다리부(12) 및 제2다리부(13);로 이루어진 우마사다리(10)에 사용되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다리부(12) 및 상기 제2다리부(13)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지지대(100); 상기 제1지지대(100)에 교차되게 장착되는 제2지지대(200); 및 상기 제2지지대(200)의 양단에 각각 높이 방향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지지다리(300); 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다리(300)는 회전결합체(32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회전결합체(320)는,상기 지지다리(300)와 상기 제2지지대(200)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에 버튼(321a)이 형성된 버튼축(321); 상기 지지다리(300)와 상기 제2지지대(200)에 관통 결합된 상기 버튼축(321)의 타단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다리(300)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상기 지지다리(300)와 상기 제2지지대(200)에 삽입되는 고정구(322); 상기 버튼(321a)과 상기 제2지지대(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축(321)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구(322)가 상기 지지다리(300)와 상기 제2지지대(200)에 삽입되도록 상기 버튼축(321)을 상기 버튼(321a)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상기 제1지지대(100)는, 상기 제1다리부(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고정부(110)와; 상기 제1고정부(110)에 상기 제1고정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다리부(1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이동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상기 제1지지대(100)를 상기 제2지지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수단(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대(100)는 상기 제2지지대(20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제1지지대(100)를 관통하여 상기 제2지지대(200)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대(100)를 상기 제2지지대(2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축(450); 상기 회전축(450)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대(100)를 상기 제2지지대(200)에 회전되지 않도록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레버(4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지지대(200) 및 상기 지지다리(300)에 의해 우마사다리(10)를 너비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시 흔들림이 감소되어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줄이고, 작업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3고정부(310)가 상기 회전결합체(320)에 의해 상기 제2이동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보관하거나 이동시 상기 버튼(321a)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제3고정부(310)를 접거나 펼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지지대(100)는 상기 제1이동부(12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우마사다리(10)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고정부(110)가 상기 회전축(450)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210)와 나람하게 배치되도록 회전됨으로써, 제품의 미사용시 부피를 줄여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고정레버(460)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10)가 상기 제2고정부(210)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제품의 사용시 상기 제2고정부(21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제2지지대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제2지지대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제1지지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B에서 바라본 회전수단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제2지지대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제2지지대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제1지지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B에서 바라본 회전수단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제2지지대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제2지지대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제1지지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는 제1지지대(100), 제2지지대(200), 지지다리(300) 및 회전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우마사디리 보조 지지장치는 일반적인 우마사다리(10)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마사다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올라타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인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양단에 각각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제1다리부(12) 및 제2다리부(1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다리부(12) 및 상기 제2다리부(13) 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대(100)는 상기 제1다리부(12)와 상기 제2다리부(13) 사이에 길게 배치되며,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제1다리부(12) 및 상기 제2다리부(1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대(1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10), 제1이동부(120) 및 제1결합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부(110)는 단면이 중공을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1)의 길이 방향, 즉 상기 제1다리부(12)와 상기 제2다리부(13)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110)의 제1다리부(12) 방향 끝단에는 상기 제1다리부(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제1끼움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끼움구(1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다리부(12)의 발받침대(12a)에 끼워져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110)의 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130)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1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부(120)는 단면이 상기 제1고정부(110) 보다 크기가 작은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고정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판(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이동부(120)는 상기 제1고정부(110) 방향의 일부가 상기 제1고정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고정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되고, 상기 제1고정부(110)의 반대 방향 끝단에는 상기 제2다리부(1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끼움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구(121)는 상기 제1끼움구(111)와 마찬가지로 하단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부(120)의 측면, 즉 상기 제1고정부(110)와 중첩되는 어느 한 면에는 상기 제1이동부(1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결합공(112)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2결합공(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공(12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공(122)은 상기 제1이동부(1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다수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결합공(122)에는 상기 제1결합공(112)을 관통한 상기 제1결합부재(130)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130)는 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공(112)과 상기 제2결합공(122)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이동부(120)가 상기 제2고정부(210)에 고정되어 임의로 슬라이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지지대(100)의 길이를 변경하고 싶을 때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130)를 풀어 상기 제2결합공(122)에서 이탈되게 하고, 상기 제1결합공(112)이 다른 위치에 있는 제2결합공(122)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이동부(1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제1결합부재(130)를 상기 제1결합공(112)과 연통된 제2결합공(122)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1지지대(100)는 상기 제1이동부(12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우마사다리(10)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00)는 후술할 상기 회전수단(40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100)에 교차되게, 즉 상기 제1지지대(100)와 수평 방향으로 직교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지지대(200)는 제2고정부(210), 제2이동부(220) 및 제2결합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고정부(210)는 상기 제1지지대(1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110)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중공을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210)는 길이 방향 중심부에 후술할 상기 회전수단(400)이 높이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며, 상기 회전수단(400)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10)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2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재(230)가 나사결합되는 제3결합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이동부(220)는 상기 제1이동부(120)와 동일하게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2고정부(21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고, 상기 제2고정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이동부(220)의 상기 제2고정부(210) 방향 끝단 부근에는 상기 제2결합부재(230)가 나사결합되는 제4결합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제4결합공(221)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이동부(2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결합공(21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230)는 상기 제1결합부재(130)와 마찬가지로 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결합공(211)과 상기 제4결합공(221)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2이동부(220)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2고정부(210)에 고정시킨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지지대(200)는 상기 제1지지대(1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결합부재(230)를 풀은 상태, 즉 상기 제2결합부재(230)를 상기 제4결합공(221)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이동부(22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대(200)의 양단, 즉 2개의 상기 제2이동부(220)의 끝단에는 높이 방향으로 세워지게 상기 지지다리(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다리(300)는 제2지지대(200)의 양단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지지다리(300)는 제3고정부(310), 회전결합체(320), 제3이동부(330), 제3결합부재(340) 및 받침판(3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고정부(310)는 단면이 중공을 갖는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2이동부(220) 방향 끝단이 상기 회전결합체(320)에 의해 상기 제2이동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고정부(310)는 상기 제2이동부(220)와 일직선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약 90도 정도 지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에 세워지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고정부(310)의 상기 제2이동부(220) 방향 끝단에는 후술할 상기 회전결합체(320)의 고정돌기(322a)가 삽입되는 삽입공(31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311)은 '+'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고정부(310)의 상기 제2이동부(220) 반대방향 끝단 부근에는 상기 제3결합부재(340)가 삽입되는 제5결합공(31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결합체(320)는 버튼축(321), 고정구(322) 및 탄성부재(3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축(321)은 원통형 형상이며, 상기 제3고정부(310)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이동부(220)와 상기 제3고정부(310)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일단에는 원판 형상의 버튼(321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버튼축(321)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구(322)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322)는 납작한 원판 형상이며, 상기 버튼(321a) 방향으로 '+' 형상의 고정돌기(322a)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22a)는 상기 삽입공(311)에 삽입되며, 상기 제3고정부(310)가 상기 제2이동부(220)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322)의 중심부에는 상기 버튼축(321)과 나사결합되도록 나사홀(322b)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23)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튼축(321)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버튼(321a)과 상기 제3고정부(310)의 외측면 사이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323)는 상기 버튼축(321)을 상기 버튼(321a)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즉, 상기 버튼(321a)이 상기 제2이동부(220)의 외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 되도록 탄성 지지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전결합체(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321a)을 상기 고정구(322)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탄성부재(323)는 상기 제2이동부(220)의 외측면 방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고정돌기(322a)는 상기 삽입공(311)에서 이탈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3고정부(310)는 상기 제2이동부(220)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고정부(310)가 약 90도 정도 회전된 상태에서 가압을 해제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322a)는 상기 탄성부재(3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삽입공(311)에 다시 삽입되며, 상기 제3고정부(310)는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고정부(310)가 상기 회전결합체(320)에 의해 상기 제2이동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보관하거나 이동시 상기 제3고정부(310)를 상기 버튼(321a)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회전시켜 접거나 펼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제3이동부(330)는 단면이 상기 제3고정부(310) 보다 크기가 작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고정부(3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3고정부(3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3이동부(330)의 일면에는 상기 제1이동부(120) 및 상기 제2이동부(2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결합부재(340)가 나사결합되는 다수개의 제6결합공(331)이 형성된다.
상기 제3결합부재(340)는 상기 제1결합부재(130) 및 상기 제2결합부재(230)와 마찬가지로 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고정부(310)의 제5결합공(312)을 관통하여 상기 제6결합공(331)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3이동부(330)를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게 상기 제3고정부(310)에 고정시킨다.
상기 받침판(350)은 상기 제3이동부(330) 보다 큰 사각형의 판 형상이며, 상기 제3이동부(330)의 지면 방향 끝단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받침판(350)은 상기 제3이동부(330)가 지면 방향으로 약 90도 정도 회전되었을 때 지면과 면 접촉되며, 상기 제3이동부(330)와 지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지지다리(300)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회전수단(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410) 및 너트(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410)는 상기 제1고정부(110)를 통과하여 상기 제2고정부(210)의 중심부에 관통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420)는 상기 제1고정부(110)의 하부로 돌출된 상기 볼트(410)의 하단에 체결된다.
위 구성으로 인해 상기 제1지지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대(200)와 나란하게 되도록 절첩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부피를 줄여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경우에 따라, 상기 회전수단(4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50)과 고정레버(46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에서 바라본 회전수단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50)은 볼트와 유사한 형상으로, 상하로 긴 원통형이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450)은 상기 제2고정부(2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부(110)의 상부로 돌출되게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제2고정부(21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450)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10)는 상기 회전축(45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210)와 나란하게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450)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레버(460)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고정레버(460)는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제1고정부(110) 방향으로 돌출부(46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61)에는 상기 회전축(450)의 상단이 삽입 및 나사결합되는 결합홈(461a)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461a)의 깊이는 상기 제1고정부(110)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450)의 상단 높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레버(4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5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고정부(110)를 상기 제2고정부(210)에 밀착되게 고정시켜 상기 제2고정부(21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한다.
즉, 상기 고정레버(460)가 상기 회전축(45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돌출부(461)의 하단이 상기 제1고정부(110)를 상기 제2고정부(210)에 밀착되게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고정부(110)는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다.
물론, 상기 제1고정부(110)를 회전시키고 싶을 때에는 상기 돌출부(461)의 하단이 상기 제1고정부(110)와 이격되도록 상기 고정레버(460)를 돌리면 된다.
여기에서, 상기 돌출부(461)와 상기 제1고정부(110) 사이에는 상기 제1고정부(11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와셔부재(47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100)의 제1고정부(110)가 상기 회전축(45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대(200)의 제2고정부(210)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회전됨으로써, 제품의 미사용시 부피를 줄여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고정레버(460)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10)가 상기 제2고정부(210)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제품의 사용시 상기 제2고정부(21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대(200) 및 상기 지지다리(300)에 의해 상기 우마사다리(10)를 너비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이로 인해 작업시 흔들림이 감소되어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줄이고, 작업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고안인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제1지지대, 110 : 제1고정부,
111 : 제1끼움구, 112 : 제1결합공,
120 : 제1이동부, 121 : 제2끼움구,
122 : 제2결합공, 130 : 제1결합부재,
200 : 제2지지대, 210 : 제2고정부,
211 : 제3결합공, 220 : 제2이동부,
221 : 제4결합공, 230 : 제2결합부재,
300 : 지지다리, 310 : 제3고정부,
320 : 회전결합체, 321 : 버튼축,
321a : 버튼, 322 : 고정구,
322a : 고정돌기, 323 : 탄성부재,
330 : 제3이동부, 331 : 제6결합공,
340 : 제3결합부재, 350 : 받침판,
400 : 회전수단, 410 : 볼트,
420 : 너트, 450 : 회전축,
460 : 고정레버, 461 : 돌출부,
461a : 결합홈, 470 : 와셔부재,
111 : 제1끼움구, 112 : 제1결합공,
120 : 제1이동부, 121 : 제2끼움구,
122 : 제2결합공, 130 : 제1결합부재,
200 : 제2지지대, 210 : 제2고정부,
211 : 제3결합공, 220 : 제2이동부,
221 : 제4결합공, 230 : 제2결합부재,
300 : 지지다리, 310 : 제3고정부,
320 : 회전결합체, 321 : 버튼축,
321a : 버튼, 322 : 고정구,
322a : 고정돌기, 323 : 탄성부재,
330 : 제3이동부, 331 : 제6결합공,
340 : 제3결합부재, 350 : 받침판,
400 : 회전수단, 410 : 볼트,
420 : 너트, 450 : 회전축,
460 : 고정레버, 461 : 돌출부,
461a : 결합홈, 470 : 와셔부재,
Claims (5)
-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판(1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다리부(12) 및 제2다리부(13);로 이루어진 우마사다리(10)에 사용되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다리부(12) 및 상기 제2다리부(13)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지지대(100);
상기 제1지지대(100)에 교차되게 장착되는 제2지지대(200); 및
상기 제2지지대(200)의 양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지지다리(300);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300)는 회전결합체(32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대(200)에 회전 가능하여 접혀지거나 수직되게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대(100)는,
상기 상판(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다리부(12) 방향 끝단에는 상기 제1다리부(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단이 개방된 형상인 제1끼움구(111)가 형성되는 제1고정부(110);
상기 제1고정부(110)에 상기 제1고정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다리부(12) 방향 끝단에는 상기 제2다리부(1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단이 개방된 형상인 제2끼움구(121)가 형성되는 제1이동부(1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대(100)를 상기 제2지지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수단(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대(100)는 상기 제2지지대(20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회전되고,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제1지지대(100)를 관통하여 상기 제2지지대(200)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대(100)를 상기 제2지지대(2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축(450);
상기 회전축(450)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대(100)를 상기 제2지지대(200)에 회전되지 않도록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레버(460);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대(200)는,
상기 제1지지대(1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수단(400)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10)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고정부(210);
상기 제2고정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2고정부(21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어 상기 제2고정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되는 제2이동부(220);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다리(300)는,
상기 제2이동부(220) 방향 끝단이 상기 회전결합체(320)에 의해 상기 제2이동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부(220)와 일직선으로 나란하게 접혀지거나 또는 수직되게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3고정부(310);
상기 제3고정부(3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3고정부(3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이동부(330); 및
상기 제3이동부(330)의 끝단에 장착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판(3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898U KR200470382Y1 (ko) | 2013-05-20 | 2013-05-20 |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898U KR200470382Y1 (ko) | 2013-05-20 | 2013-05-20 |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0382Y1 true KR200470382Y1 (ko) | 2013-12-11 |
Family
ID=5075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3898U KR200470382Y1 (ko) | 2013-05-20 | 2013-05-20 |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0382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889U (ko) | 2019-02-18 | 2020-08-26 | 임한솔 | 우마사다리용 다리지지대 |
CN111706113A (zh) * | 2020-04-30 | 2020-09-25 | 乐清市城镇建设工程公司 | 一种钢结构房屋建设用支撑装置 |
KR20200124859A (ko) * | 2019-04-25 | 2020-11-04 | 최현수 | 안전 보조대가 구비된 사다리 |
KR102327419B1 (ko) * | 2021-06-24 | 2021-11-16 | 최윤석 | 작업다이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9222A (ko) * | 2005-04-15 | 2006-10-19 | 서춘수 | 다기능의 사다리 |
KR20090009451U (ko) * | 2008-03-17 | 2009-09-22 | 김진희 | 우마 사다리 |
-
2013
- 2013-05-20 KR KR2020130003898U patent/KR200470382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9222A (ko) * | 2005-04-15 | 2006-10-19 | 서춘수 | 다기능의 사다리 |
KR20090009451U (ko) * | 2008-03-17 | 2009-09-22 | 김진희 | 우마 사다리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889U (ko) | 2019-02-18 | 2020-08-26 | 임한솔 | 우마사다리용 다리지지대 |
KR20200124859A (ko) * | 2019-04-25 | 2020-11-04 | 최현수 | 안전 보조대가 구비된 사다리 |
KR102189821B1 (ko) * | 2019-04-25 | 2020-12-11 | 최현수 | 안전 보조대가 구비된 사다리 |
CN111706113A (zh) * | 2020-04-30 | 2020-09-25 | 乐清市城镇建设工程公司 | 一种钢结构房屋建设用支撑装置 |
KR102327419B1 (ko) * | 2021-06-24 | 2021-11-16 | 최윤석 | 작업다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88884C2 (ru) | Телескопическая крепежная опора | |
KR200470382Y1 (ko) |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 |
US9066637B2 (en) | Shower rod with macro and micro adjustment | |
US20180242728A1 (en) | Furniture frame for securing a foldable furniture pillar | |
CA2658999A1 (en) | A stool with telescopic legs | |
KR20210097099A (ko) | 텔레스코픽 에지 보호 포스트 | |
US20160069367A1 (en) | Adjustable rod | |
US7237931B2 (en) | Orientation adjustable lamp | |
JP5149702B2 (ja) | 柵ヒンジアセンブリ | |
KR20100024818A (ko) |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 |
US9694487B2 (en) | Clamp horse | |
US9890898B2 (en) | Adjustable rod | |
KR20200002117U (ko) | 작업대의 전도 방지를 위한 지지대 고정용 클램프 | |
JP5511298B2 (ja) | 可搬式作業台 | |
KR101398453B1 (ko) |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 |
KR20090066633A (ko) | 접이식 스탠드 | |
JP3215705U (ja) | 飛散防止体支持具 | |
JP6188901B1 (ja) | フリーロックジョイント | |
KR101814713B1 (ko) | 이동식 작업대 | |
KR20100048091A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 |
JP2005299954A (ja) | エアコン用置き台 | |
WO2004104324A2 (en) | Coupling element for pipes and the like | |
JP3168305U (ja) | 工業用三脚 | |
JP4332883B2 (ja) | 天井から地面までのフレーム体定位構造 | |
KR20110103071A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