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453B1 -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 Google Patents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453B1
KR101398453B1 KR1020130143575A KR20130143575A KR101398453B1 KR 101398453 B1 KR101398453 B1 KR 101398453B1 KR 1020130143575 A KR1020130143575 A KR 1020130143575A KR 20130143575 A KR20130143575 A KR 20130143575A KR 101398453 B1 KR101398453 B1 KR 10139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groove
main member
presen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연하
Original Assignee
황연하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연하,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이엔지 filed Critical 황연하
Priority to KR102013014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이분 형성된 지주 사이에 다수개의 발판이 부착되고, 쌍으로 존재하는 상기 지주 상측 발판을 연결수단으로 연결하는 접이식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측 발판 양측에 탈착가능한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측면에서 이동사다리가 인입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져, 다양한 작업공간에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신속하게 작업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작업자가 손 쉽게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편의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다양한 고정장치와 이음장치로 안전장비의 역할도 가능하다.

Description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foldable ladder type structure with Capable of detaching and attaching}
본 발명은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접이식 사다리에 다양하게 가변되는 탈착부재를 형성시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이나 일반가정에서 천장이나 높은 벽면에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수리 및 보수를 할 때에 사다리를 이용하게 된다.
보통의 경우는 'A' 자와 같이 두개의 사다리를 힌지를 이용하여 연결하되, 사다리가 일정각 이상으로 벌어지지않도록 고정부를 형성하여 벽면에 기대어 놓지 않아도 고정되는 사다리를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다리는 길이를 가변할 수 없는 단점에 의해 사다리의 길이를 길게 형성한다.
그러나 필요 이상의 길이에 의해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할 때나 보관할 때 불편함을 느꼈다.또한 종래의 사다리는 일자형태 또는 'A' 자 형태로만 변형되어 너비조절에 한계 있었다.
또한, 항공기 및 대형 구조물 조립작업장에서 2층 작업대가 사용된다. 이 2층 작업대는 하부 공간에서의 작업과 상부 공간에서의 작업이 동시에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또는 대형 구조물의 상측 부분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며, 작업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하부와 상부를 서로 연결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하게 하기 위한 사다리가 별도로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2층 작업대에서 상, 하층의 이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사다리는 하단이 작업대의 1층 구조 부분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상단 또한 2층 구조 부분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사다리는 작업대에 고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작업공간에서 사다리는 항상 별도의 점유면적을 차지하여 작업공간을 협소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는 접이 사다리 용도로 밖에 사용할 수 없어 다양하게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10-0909655,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07747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작업이 필요한 작업장에서 세로 방향으로 긴 사다리는 너비조절에 한계가 있으나, 이를 극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작업공간이나 점유면적을 차지 않고 탈착으로 여러군데의 작업공간으로 옮길 수 있는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작업공간에서 다용도를 활용할 수 있으며, 편리성이 추가되어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분 형성된 지주 사이에 다수개의 발판이 부착되고, 쌍으로 존재하는 상기 지주 상측 발판을 연결수단으로 연결하는 접이식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측 발판 양측에 탈착가능한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측면에서 이동사다리가 인입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부재는, 측면 하부 양측으로 매설홈이 형성되어 상기 매설홈에 스프링이 형성되고,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끝단이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는 탈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지주 상측 발판 측면이 상기 탈착수단에 의해 탄성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부재는 상부면에는 일정간격 원호 형상으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체결홈의 위치에 대응되게 원호 형상으로 결합공이 한개 이상형성되며, 상기 메인부재 상면 중앙에 하부 끝단이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 하면 중앙에 상부 끝단이 축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된 후 상기 고정구가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측면에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에 텔레스코프식 방법으로 돌출 및 삽입되는 이동사다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사다리는 일정 부분에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측으로 회전되어 지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가 회전된 후 지지부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사다리는 끝단부에 이음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한 고리 형상의 이음구가 형성되되, 봉 형상으로 된 프레임이 육면체 형상의 테두리를 이루고 상면에 합판이 놓여지는 작업대가 구비되어 상기 이음구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작업공간에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신속하게 작업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작업자가 손 쉽게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편의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다양한 고정장치와 이음장치로 안전장비의 역할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사다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부재를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7를 본 발명에 따른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를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부재를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7를 본 발명에 따른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를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분 형성된 지주(10) 사이에 다수개의 발판(20)이 부착되고, 쌍으로 존재하는 상기 지주(10) 상측 발판(20)을 연결수단으로 연결하는 접이식 사다리(50)에 있어서, 상기 지주(10) 상측 발판(20) 양측에 탈착가능한 메인부재(100)와, 상기 메인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측면에서 이동사다리(500)가 인입되는 회전부재(200)로 구성된다.
보통, 상기 지주(10)는 스틱 형상으로 되어 일정간격 이격 된 사이로 다수개의 발판(20)이 하측에서 상측 끝단까지 부착되게 되며, 접이식으로 이루어지지 위해 상기 지주(10)는 쌍으로 이루어져, 끝단의 발판(20)이 연결수단인 경첩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접이식 사다리(50)를 폈을때 쌍으로 이루어진 지주(10)를 고정하는 고정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인부재(100)는 경도와 경도가 강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의 강한 충격에 잘 견디게 된다.
상기 메인부재(100)는 상기 지주(10)의 상측 발판(20)과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게 된다. 이는, 다양한 접이식 사다리(50)에 적용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메인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측면에서 이동사다리(500)가 인입되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메인부재(100)가 상기 접이식 사다리(50)에 결합된 후, 다양한 위치에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함으로, 상기 회전부재(200)를 작업이 필요한 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이동사다리(500)를 인출시켜 작업이 필요한 위치에 접촉되게 한다. 즉, 바로 올라가기 어려운 장소를 본 발명에 의해 쉽게 올라갈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부재(100)는, 측면 하부 양측으로 매설홈(110)이 형성되어 상기 매설홈(110)에 스프링(310)이 형성되고,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끝단이 상기 스프링(310)에 결합되는 탈착수단(300)이 구비되어, 상기 지주(10) 상측 발판(20) 측면이 상기 탈착수단(300)에 의해 탄성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는,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접이식 사다리(50)에 탈착가능하게 위함이다.
상술하면, 상기 메인부재(100)는 측면 하부 방향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매설홈(110)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매설홈(110)은 상기 메인부재(100)의 양측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10)이 상기 매설홈(110) 내부에 결합되어 탄성력이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탈착수단(300)은 상기 메인부재(100)의 재질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단면이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측 가로부분의 단부가 상기 스프링(310)의 단부와 결합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탈착수단(300)은 일정부분 외측으로 움직일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탈착수단(300)은 상기 접이식 사다리(50)가 고정되면, 상기 메인부재(100)를 상기 접이식 사다리(50)에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탈착수단(300)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접이식 사다리(50)의 발판(20)에 체결시키면 상기 스프링(31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부재(100)는 상부면에는 일정간격 원호 형상으로 체결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체결홈(120)의 위치에 대응되게 원호 형상으로 결합공(210)이 한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메인부재(100) 상면 중앙에 하부 끝단이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200) 하면 중앙에 상부 끝단이 축결합되는 회전축(400)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200)가 회전된 후 상기 고정구(220)가 상기 결합공(210)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홈(120)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400)이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는, 작업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작업공간을 움직이기 위함으로, 상기 메인부재(100)가 상기 접이식 사다리(5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부재(200)를 다른 작업공간으로 향하게 배치시킨 후 상기 고정구(220)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재(200)를 상기 메인부재(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술하면, 상기 메인부재(100)는 상부면에 일정간격 원형으로 체결홈(120)이 다수게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체결홈(120)은 상기 메인부재(100) 하부면까지 통공되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개구된 결합공(210)이 한개 이상 천공되게 되며, 상기 결합공(210)은 상기 체결홈(120)이 위치한 부분에 대응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200)가 원활하게 회전되기 위해, 상기 회전축(400)은 상기 메인부재(100) 상면 중앙에 하부 끝단이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200) 하면 중앙에 상부 끝단이 축결합되어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200)가 일정 반경 회전된 후, 'ㄱ'자 형사으로 이루어진 고정구(220)가 상기 결합공(210)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홈(120)에 하부 끝단이 안착되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200)의 고정이 완료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재(200)는 측면에 인입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250)에 텔레스코프식 방법으로 돌출 및 삽입되는 이동사다리(500)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사다리(500)는 일정 부분에 힌지(510)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510)를 축으로 하측으로 회전되어 지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5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520)가 회전된 후 지지부(520)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체가 더 구비되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회전부재(200)에 의해 회전이 완료되게 되면, 다른 작업공간(작업대가 위치한 장소)로 이동되어야 하는데, 접이식 사다리(50)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작업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접이식 사다리(50) 옆으로 다양한 위험 요소들이 내재되어 있을 경우 접이식 사다리(50) 상부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작업대를 내려오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회전부재(200)는 측면에 인입홈(250)이 일정높이와 너비만큼 함몰되어 있다. 상기 인입홈(250)으로 이동사다리(500)가 삽입 형성되며, 상기 이동사다리(500)는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사다리(500)는 텔레스코프식 방법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사다리(500)는 상기 인입홈(250) 내측에서 볼팅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의 결합방법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행해질 수 있다.
특징적으로, 상기 이동사다리(500)는 일정 부분에 힌지(510)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510)를 축으로 하측으로 회전되어 지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5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520)가 회전된 후 지지부(520)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체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이동사다리(500)는 다른 작업공간으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20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직접적으로 다른 작업대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상기 이동사다리(500) 자체적으로 지면에 접촉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사다리(500)는 1/3~2/3되는 지점에 힌지(510)가 구비되어 하측으로 회전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사다리(500)의 하측부분으로 회전되는 부분은 지지부(520)로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이동사다리(500)가 지면에서 이격된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520)를 고정하는 고정체(미도시)가 더 구비되게 되며, 상기 고정체는 도넛 형상으로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이 많은 부재로 중앙으로 상기 지지부(520)의 끝단부를 삽입시켜 상기 지지부(52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완전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고정체의 중앙부분의 홈은 상기 지지부(520)의 끝단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사다리(500)는 상기 인입홈(250) 내부에 바로 결합될 수도 있고, 일반 사디리가 상기 인입홈(250)에 삽입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 사다리를 이용할 경우는 상기 인입홈(250)에서 빠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체결하여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사다리(500)는 끝단부에 이음힌지(555)에 의해 회전가능한 고리 형상의 이음구(550)가 형성되되, 봉 형상으로 된 프레임(560)이 육면체 형상의 테두리를 이루고 상면에 합판(530)이 놓여지는 작업대가 구비되어 상기 이음구(550)와 상기 프레임(560)이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는, 다음 작업장소에 위치한 작업대에 직접적으로 결합하기 위함으로, 상기 이동사다리(500)를 인출시킨 후, 상기 지지부(52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바로 상기 이음구(550)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560)에 걸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음구(550)는 상기 고정체가 없을 경우에 상기 지지부(52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접이식 사다리에 탈착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메인부재
110: 매설홈
200: 회전부재
300: 회전축
400: 탈착수단
500: 이동사다리

Claims (5)

  1. 이분 형성된 지주(10) 사이에 다수개의 발판(20)이 부착되고, 쌍으로 존재하는 상기 지주(10) 상측 발판(20)을 연결수단으로 연결하는 접이식 사다리(50)에 있어서,
    상기 지주(10) 상측 발판(20) 양측에 탈착가능한 메인부재(100)와;
    상기 메인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측면에서 이동사다리(500)가 인입되는 회전부재(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재(100)는,
    측면 하부 양측으로 매설홈(110)이 형성되어 상기 매설홈(110)에 스프링(310)이 형성되고,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끝단이 상기 스프링(310)에 결합되는 탈착수단(300)이 구비되어, 상기 지주(10) 상측 발판(20) 측면이 상기 탈착수단(300)에 의해 탄성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재(100)는 상부면에는 일정간격 원호 형상으로 체결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체결홈(120)의 위치에 대응되게 원호 형상으로 결합공(210)이 한개 이상형성되며, 상기 메인부재(100) 상면 중앙에 하부 끝단이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200) 하면 중앙에 상부 끝단이 축결합되는 회전축(400)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200)가 회전된 후 고정구(220)가 상기 결합공(210)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홈(120)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40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측면에 인입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250)에 텔레스코프식 방법으로 돌출 및 삽입되는 이동사다리(500)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사다리(500)는 일정 부분에 힌지(510)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510)를 축으로 하측으로 회전되어 지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5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520)가 회전된 후 지지부(520)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사다리(500)는 끝단부에 이음힌지(555)에 의해 회전가능한 고리 형상의 이음구(550)가 형성되되,
    봉 형상으로 된 프레임(560)이 육면체 형상의 테두리를 이루고 상면에 합판(530)이 놓여지는 작업대가 구비되어 상기 이음구(550)와 상기 프레임(56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KR1020130143575A 2013-11-25 2013-11-25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KR10139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575A KR101398453B1 (ko) 2013-11-25 2013-11-25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575A KR101398453B1 (ko) 2013-11-25 2013-11-25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453B1 true KR101398453B1 (ko) 2014-06-27

Family

ID=5113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575A KR101398453B1 (ko) 2013-11-25 2013-11-25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6436A (zh) * 2014-08-08 2014-12-10 薛其熊 一种梯子
KR20190101084A (ko) * 2018-02-22 2019-08-3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사다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780A (en) * 1988-08-08 1990-08-28 Kim Myung H Combination ladder and height adjustable scaffold
JP2000314287A (ja) * 1999-04-30 2000-11-14 Kunio Yada 梯子用支持装置
US20030196855A1 (en) * 2001-05-14 2003-10-23 Kvam Kevin L. Ladder accessory holder
US20100282540A1 (en) * 2009-05-05 2010-11-11 Wing Enterprises, Incorporated Ladders, ladder components, ladder accessories, ladder system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780A (en) * 1988-08-08 1990-08-28 Kim Myung H Combination ladder and height adjustable scaffold
JP2000314287A (ja) * 1999-04-30 2000-11-14 Kunio Yada 梯子用支持装置
US20030196855A1 (en) * 2001-05-14 2003-10-23 Kvam Kevin L. Ladder accessory holder
US20100282540A1 (en) * 2009-05-05 2010-11-11 Wing Enterprises, Incorporated Ladders, ladder components, ladder accessories, ladder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6436A (zh) * 2014-08-08 2014-12-10 薛其熊 一种梯子
KR20190101084A (ko) * 2018-02-22 2019-08-3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사다리 장치
KR102017983B1 (ko) * 2018-02-22 2019-09-03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사다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453B1 (ko) 가변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이식 사다리
CN201856313U (zh) 可折叠工作台
CN202273584U (zh) 多功能折叠梯
CN111168410A (zh) 拼接组合式工作台
KR20130006522U (ko) 수직사다리 작업발판
JP4170940B2 (ja) 可搬式作業台
JP2011099234A (ja) 軒上工法
KR200493581Y1 (ko) 작업대용 스토퍼
JP5407726B2 (ja) 足場支持台、足場、足場設置方法
KR100956022B1 (ko) 이동식 작업대
JP7074310B2 (ja) 作業台
KR101552245B1 (ko)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
KR101814713B1 (ko) 이동식 작업대
CN201496732U (zh) 便携式可折叠木工支架
JP6216275B2 (ja) 脚立
CN210421871U (zh) 脚手架
KR20130004550U (ko) 휴대가 용이한 안전 작업대
KR20150064446A (ko) 경사면 작업용 사다리
KR101172149B1 (ko) 선체의 필라전용 작업대
KR200161377Y1 (ko) 이동작업대전용캐스터
KR20140014609A (ko) 작업발판용 다리 접철장치
JP3178904U (ja) 足場用先行手すり
JP2009084966A (ja) 先行手すり用ガイド
JP3002044U (ja) 建築用足場
JP6513756B2 (ja) 工事用テント装置、及び工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