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394B1 -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 Google Patents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394B1
KR100871394B1 KR1020080031725A KR20080031725A KR100871394B1 KR 100871394 B1 KR100871394 B1 KR 100871394B1 KR 1020080031725 A KR1020080031725 A KR 1020080031725A KR 20080031725 A KR20080031725 A KR 20080031725A KR 100871394 B1 KR100871394 B1 KR 10087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dder
safety bar
fix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섭
Original Assignee
김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3717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713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섭 filed Critical 김만섭
Priority to KR102008003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06C7/182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situated at the top of the ladd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5Devices providing a back support to a person on the ladder, e.g.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 및 운송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의 효율성 및 운송비용에 대한 경제성을 최대화한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면에 지지되며, 복수의 가로바를 포함하는 제1지지대;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에 일단부가 고정된 고정브라켓;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대;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되 일측을 중심으로 제2지지대를 향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상기 고정브라켓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ㄷ'자 형태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제공하는 안전바;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를 절첩시키는 회동장치:를 포함하되,상기 회동장치는,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원형의 제1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의 홈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원형의 제2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축 결합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를 제공한다.
안전바,사다리,발판,지지대,절첩,회동장치,보관,운송,효율성

Description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ladder with safe guard}
본 발명은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대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되는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운송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곳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 위치에 다다를 수 있도록, 별도의 사다리가 요구된다.
이때, 작업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요구되는 사다리는 각각 다를 수 있다.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작업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사다리가 아닌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가 제공되지만, 건물내 또는 비교적 높지 않은 위치에서는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는 여러 가지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건물내의 작업장 또는 야외 작업장이라 하더라도, 비교적 높이가 높지 않은 위치에서는 상기 크레인과 같은 자동식 작업대가 아닌 사다리가 사용되는 실정이다.
이때, 사다리는 통상, 건물에 지지된 상태로 사용되는 사다리와, 두 개의 사다리가 서로 지지되면서 사용되는 사다리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한 사다리는 운반이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실내 및 실외에서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작업환경의 높이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물론, 사다리를 길게 하여 작업 환경을 높게 제공할 수는 있지만, 사다리의 경우, 발로 딛는 것 이외에는 의지할 부분이 없어서 작업환경의 안전성을 제공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타워형의 작업대가 사용되기는 하지만, 고가의 비용뿐만 아니라, 보관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때,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등록0412243호에 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상기 고안은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간에 회동되는 사다리의 상부에 안전바를 설치하고,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을 설치함으로써,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작업환경이 제공되더라도 작업자는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작업공간으로의 이동을 위해 운반하는 것이 불편하고, 보관되는 공간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물론, 타워형 작업대에 비해서는 운반이 간편한고, 공간의 효율성이 높기는 하지만, 운반을 위해서는 여러명의 작업자가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로 들고 이동하거나, 차량에 실어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관을 위해서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2지지각을 서로 모은 상태로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는 있지만, 이 역시 보관장소의 상,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있고, 트럭에 실려 운송될 경우 트럭 적재공간의 효율성 및 운송비용에 대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트럭 한 대에 많은 사다리를 적재하지 못하여 운송에 대한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물론, 종래의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를 분해하여 부피를 줄이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 및 운송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의 효율성 및 운송비용에 대한 경제성을 최 대화한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면에 지지되며, 복수의 가로바를 포함하는 제1지지대;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에 일단부가 고정된 고정브라켓;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대;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되 일측을 중심으로 제2지지대를 향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상기 고정브라켓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ㄷ'자 형태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전방에 대한 안전을 제공하는 안전바;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를 절첩시키는 회동장치:를 포함하되,상기 회동장치는,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원형의 제1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의 홈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원형의 제2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축 결합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를 제공한다.
이때, 지면에 대한 제1지지대의 각은 지면에 대한 제2지지대의 각에 비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의 삽입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는 높이조절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제1지지대가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며,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는 통공을 포함하며 복수의 가로바가 설치된 제1보조다리;상기 제2지지대가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며,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제2보조다리;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에 각각 설치되며, 제1,2보조다리의 통공 및 제1,2지지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2지지대의 승강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제1지지대에 형성된 삽입공 사이의 간격은 제2지지대에 형성된 삽입공의 간격에 비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지지대의 회동장치 상방에는 운송바퀴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보조다리의 양측에는 각각 위치이동바퀴 및 디딤대가 더 설치되고,상기 디딤대는 제2보조다리를 관통하는 지지바와, 이 지지바의 단부에 설치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브라켓의 후방을 향해 'ㄷ'자 형태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후방에 대한 안전을 제공하는 보조 안전바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의 타측에는 발판의 회동을 구속하는 고정부가 더 설치되고, 이 고정부에 대응되는 제1지지대에는 고정공이 더 형성되되,,상기 고정부는,발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정공으로 출입되는 고정핀과, 이 고정핀을 선택적으로 고정공에 출입시키는 한 쌍의 출입손잡이와, 상기 출입 손잡이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각각의 지지대가 절첩됨으로써, 사다리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보관되는 공간에 대한 효율성이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트럭을 이용한 운송시에도, 적재공간에 대한 효율성이 최대화되어 운송 비용에 대한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2지지대 상에 운송바퀴 및 위치이동바퀴가 설치되어, 절첩된 상태 및 펼쳐진 상태에서도 사다리의 이동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이하 '사다리'라 함)는 지지대(100)와, 발판(200)과, 안전바(300)와, 회동장치(400)와, 높이조절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00)는 사다리의 일부를 구성하며, 지면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100)는 마주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가로바(111)가 설치된 제1지지대(110)와, 이 제1지지대(110)와 맞서도록 설치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제2지지대(12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지지대(110)의 상단에는 고정브라켓(130)이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제2지지대(120)를 제1지지대(110)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고정브라켓(130)의 일단부는 제1지지대(110)의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지지대(120)는 고정브라켓(130)의 타단부에 축 결합된다. 즉, 제2지지대(120)는 축(13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한편, 지면에 대한 제1지지대(110)의 설치각(α)은 지면에 대한 제2지지 대(120)의 설치각(β)에 비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지지대(110)의 설치각(α)을 제2지지대(120)의 설치각(β)에 비해 완만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가로바(111)에 오르내리는 것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양측에는 사다리의 높이를 단계별로 조절하기 위해 복수의 삽입공(112,12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지지대(110)에 형성된 삽입공(112) 간의 간격은 제2지지대(120)에 형성된 삽입공(122) 간의 간격에 비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설치각(α,β)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그 편차만큼 삽입공(112,122) 간의 간격을 달리하여, 후술하는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사다리의 높이가 조절될 때, 평행한 높이로 조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10)에는 발판(200)의 타측에 대응되는 부위에 제1고정공(115)이 형성되고, 제2지지대에 역시 발판의 타측에 대응되는 제2고정공(116)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발판(200)은,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 사이에 걸쳐 설치된다.
발판(200)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판(200)의 상면에는 돌기와 같은 미끄럼 방지수단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200)의 일측은 제2지지대(12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발판(200)의 타측에는 제1지지대(11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고정부(14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140)는 제1지지대(110)의 고정공(115,116)에 출입되는 고정핀(141)과, 이 고정핀(141)을 선택적으로 고정공(115,116)에 출입시키는 한 쌍의 출입손잡이(142)와, 상기 출입 손잡이(142)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43)을 포함한다.
즉, 출입손잡이(142)를 서로 근접시키면 스프링(143)은 수축되고, 고정핀(141)은 제1지지대(110)의 제1고정공(115)으로부터 이탈된다. 이후, 출입손잡이(142)를 놓으면 스프링에(143) 의해 출입손잡이(142)가 서로 멀어지면서 고정핀(141)을 제1지지대(110)의 제1고정공(115)에 삽입시키는 구성인것이다.
다음으로, 안전바(300)는 발판(200)에 서 있는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안전바(300)는 고정브라켓(13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제2지지대(120)의 외측, 즉 사다리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후,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전바(300)는 평면에서 봤을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인것이다.
이때, 상기 안전바(300)는 제1지지대(110)측을 향해 더 연장된 손잡이(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310)는 제1지지대(110)의 양측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가로 바(111)를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한편, 고정브라켓(130)의 타단부에는 보조 안전바(32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안전바(320)는 사다리의 후방에 대한 작업자의 안전을 제공하며, 사다리의 후방을 향해 설치된다.
이때, 보조 안전바(320)는 고정브라켓(130)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ㄷ'형태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회동장치(400)는,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가 절첩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회동장치(400)는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 각각에 대략 중간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는 대략 반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회동장치(400)는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가 외측으로 접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사다리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동장치(400)는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원형의 제1회전부(410)와, 상기 제1회전부(410)의 홈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원형의 제2회전부(420)와, 상기 제1회전부(410) 및 제2회전부(4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축 결합된 힌지축(430)을 포함한다.
이때,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회동장치(400)를 중심으로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의 상부를 상부 제1지지대(110a) 및 상부 제2지지대(120a)라 하고,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의 하부를 하부 제1지지대(110b) 및 하부 제2지지대(120b)라 할 때, 상기 제1회전부(410)는 상부 제1지지대(110a) 및 상부 제2지지대(120a)의 하단에 설치되고, 제2회전부(420)는 하부 제1지지대(110b) 및 하부 제2지지대(120b)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동장치(400)에는 제1회전부(410) 및 제2회전부(42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잠금장치(44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높이조절장치(500)는 지면에 대한 발판(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높이조절장치(500)는 제1지지대(110)가 승강되도록 구성된 제1보조다리(510)와, 제2지지대(120)가 승강되도록 구성된 제2보조다리(520)와, 제1,2지지대(110,120)의 승강을 구속하는 구속부(530)를 포함한다.
제1보조다리(510)는 제1지지대(110)의 높이를 조절하며, 복수의 가로바(111)를 포함한다.
이때, 제1보조다리(510)에는 제1지지대(110)의 삽입공(112)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통공(5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보조다리(520)는 제2지지대(120)의 높이를 조절하며, 가로바(111)를 포함한다.
또한, 제2보조다리(520)에도 제2지지대(120)의 삽입공(122)과 선택적으로 연 통되는 통공(521)이 형성된다.
그리고, 구속부(530)는 제1,2지지대(110,120)의 승강을 구속하며, 핀(531)과, 스프링(532)을 포함한다.
상기 핀(531)은 제1,2보조다리(510,520)의 통공(511,521)과 제1,2지지대(110,120)의 삽입공(112,122)에 선택적으로 출입되면서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의 높이를 고정시킨다.
이때, 핀(531)의 일측은 제1,2보조다리(510,520)에 설치된 가로바(111)의 일측으로 출입되도록 구성되며, 핀(531)의 타측은 제1,2보조다리(510,520)의 통공(511,521) 및 제1,2지지대(110,120)의 삽입공(112,122)으로 출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스프링(532)은 상기 핀(531)의 출입을 탄성지지하며, 가로바(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스프링(532)은 핀(531)의 일측 둘레에 설치된다.
한편, 제2보조다리(520)의 양측 하단부에는 각각 디딤대(60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딤대(600)는 지면에 지지된 사다리의 유동방지를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제2보조다리(52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이동되는 지지바(610)와, 이 지지바(6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부(620)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바(610)는 제2보조다리(520)를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이동되면서 지면에 대한 지지폭을 조절한다.
그리고, 밀착부(620)는 지면에 밀착되어 디딤대(600)의 안정감을 극대화하며, 상,하 승강되는 승강대(621)와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622)을 포함한다.
한편, 제2지지대(120) 및 제2보조다리(520)에는 사다리의 이동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바퀴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퀴는 운송바퀴(700)와 위치이동바퀴(800)로 구분된다.
상기 운송바퀴(700)는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가 절첩되어 사다리의 부피가 최소화되었을 때, 상기 사다리가 보관장소로 용이하게 운송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부 제2지지대(120a)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위치이동바퀴(800)는 사다리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위치를 변경하거나 하는 등의 사다리 위치이동시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제2보조다리(52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위치이동바퀴(800)는 제2지지대(120)가 지면에 가까워지도록 사다리를 기울였을때만 지면 상에서 구르도록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다리의 작용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사다리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서, 필요한 작업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이때, 작업위치를 변경하여 사다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사다리를 위치이동바퀴(800)가 지면에 닿도록 기울인다.
이후, 사다리를 밀어 필요한 작업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를 제1보조다리(510) 및 제2보조다리(520)로부터 상승시킨다.
이후, 구속부(530)의 핀(531)을 이용하여 제1,2보조다리(510,520)의 통공(511,521) 및 제1,2지지대(110,120)의 삽입공(112,122)에 삽입하여 제1,2지지대(110,120)의 높이를 구속시킨다.
한편, 작업이 완료된 후, 사다리를 정해진 보관장소로 운송하여 보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사다리를 절첩시켜 부피를 최소화한다.
먼저, 구속된 발판(200)의 타측을 해제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00)을 제2지지대(120) 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고정부(140)의 출입손잡이(142)를 이용해 고정핀(141)을 제1고정공(115)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발판(200)을 제2지지대(120)측으로 회동시킨다.
이후, 출입손잡이(142)를 놓으면, 고정핀(141)은 제2지지대(120)에 형성된 제2고정공(116)에 삽입되어 발판(200)의 유동을 구속하게 된다.
이후, 보조 안전바(320)를 고정브라켓(130)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사다리의 전방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보조 안전바(320)는 제2지지대(120)측에 배치된다.
이후, 제1지지대(110) 및 제2지지대(120)를 사다리의 내측을 향해 회동하여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시킨다.
이후, 제2지지대(120)를 고정브라켓(130)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제1지지 대(110)를 향해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의 절첩이 완료된다.
이때,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절첩이 완료된 상태는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기울기로 고정브라켓(130)에 고정된 제1지지대(110) 때문이다. 즉, 기울어진 상태의 제1지지대(110)가 사다리의 절첩에 대한 기준이됨으로써, 절첩이 완료된 상태의 사다리는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절첩이 완료된 사다리가 기울어진 상태가 됨으로써, 운송바퀴(700)가 지면에 용이하게 닿을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안전바(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다리를 용이하게 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중 발판 및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가 절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지지대 110 : 제1지지대
110a : 상부 제1지지대 110b : 하부 제1지지대
111 : 가로바 112,122 : 삽입공
115 : 제1고정공 116 : 제2고정공
120 : 제2지지대 120a : 상부 제2지지대
120b : 하부 제2지지대 130 : 고정브라켓
131 : 축 140 : 고정부
141 : 고정핀 142 : 출입손잡이
143 : 스프링 200 : 발판
300 : 안전바 310 : 손잡이
400 : 회동장치 410 : 제1회전부
420 : 제2회전부 430 : 힌지축
440 : 잠금장치 500 : 높이조절장치
510 : 제1보조다리 511,521 : 통공
520 : 제2보조다리 600 : 디딤대
610 : 지지바 620 : 밀착부
621 : 승강대 622 : 밀착판
700 : 운송바퀴 800 : 위치이동바퀴

Claims (8)

  1. 지면에 지지되며, 복수의 가로바를 포함하는 제1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에 일단부가 고정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되 일측을 중심으로 제2지지대를 향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고정브라켓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ㄷ'자 형태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전방에 대한 안전을 제공하는 안전바;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를 절첩시키는 회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장치는,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원형의 제1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의 홈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원형의 제2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축 결합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지면에 대한 제1지지대의 각은 지면에 대한 제2지지대의 각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의 삽입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는 높이조절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제1지지대가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며,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는 통공을 포함하며 복수의 가로바가 설치된 제1보조다리;상기 제2지지대가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며,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제2보조다리;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에 각각 설치되며, 제1,2보조다리의 통공 및 제1,2지지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2지지대의 승강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1지지대에 형성된 삽입공 사이의 간격은 제2지지대에 형성된 삽입공의 간격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2지지대의 회동장치 상방에는 운송바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다리의 양측에는 각각 위치이동바퀴 및 디딤대가 더 설치되고,
    상기 디딤대는 제2보조다리를 관통하는 지지바와, 이 지지바의 단부에 설치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브라켓의 후방을 향해 'ㄷ'자 형태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후방에 대한 안전을 제공하는 보조 안전바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타측에는 발판의 회동을 구속하는 고정부가 더 설치되고, 이 고정부에 대응되는 제1지지대 및제2지지대에는 고정공이 더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는,
    발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정공으로 출입되는 고정핀과, 이 고정핀을 선택적으로 고정공에 출입시키는 한 쌍의 출입손잡이와, 상기 출입 손잡이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KR1020080031725A 2008-04-04 2008-04-04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KR10087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725A KR100871394B1 (ko) 2008-04-04 2008-04-04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725A KR100871394B1 (ko) 2008-04-04 2008-04-04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394B1 true KR100871394B1 (ko) 2008-12-02

Family

ID=4037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725A KR100871394B1 (ko) 2008-04-04 2008-04-04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394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82Y1 (ko) 2011-04-06 2013-04-03 김만섭 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
KR200466181Y1 (ko) 2011-04-06 2013-04-03 김만섭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KR101284001B1 (ko) * 2011-10-14 2013-07-09 김만섭 수평발판이 설치된 a형 사다리
KR20160013286A (ko) * 2014-07-24 2016-02-0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다리 겸용 손수레
KR20160071751A (ko) * 2014-12-12 2016-06-22 안동진 접이식 바퀴가 구비된 손수레
KR101769363B1 (ko) 2016-03-15 2017-08-1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다리
KR102028043B1 (ko) 2019-03-18 2019-10-02 (주)자재쿱 전도 방지 안전 사다리
CN110778268A (zh) * 2019-10-29 2020-02-11 新昌县凌智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矿山工程施工的组装安装架
JP2020056308A (ja) * 2015-07-31 2020-04-09 ジー・オー・ピー株式会社 脚立式作業台
KR20200097452A (ko) * 2019-02-08 2020-08-19 황태호 절첩이 용이한 에이형 사다리의 안전 가이드 구조
KR102275234B1 (ko) 2021-01-25 2021-07-08 홍완식 발판형 안전 사다리의 발판 출입구 개폐장치
KR20210154668A (ko) * 2020-06-12 2021-12-21 안춘자 사다리형 작업대의 접철식 안전 난간대
KR102375200B1 (ko) 2021-01-25 2022-03-15 홍완식 사다리용 전도 방지장치
CN114687659A (zh) * 2022-03-29 2022-07-01 中源宏宇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房建工程施工用移动式登高装置
KR20220141043A (ko) * 2021-04-12 2022-10-1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플랫폼 사다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4Y1 (ko) 2002-08-14 2003-01-14 장정희 절첩식 비계 겸용 사다리
KR200387551Y1 (ko) 2005-03-15 2005-06-20 (주)다몬과함께 다용도 사다리
KR200413054Y1 (ko) 2006-01-16 2006-04-05 박영식 절첩식 사다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4Y1 (ko) 2002-08-14 2003-01-14 장정희 절첩식 비계 겸용 사다리
KR200387551Y1 (ko) 2005-03-15 2005-06-20 (주)다몬과함께 다용도 사다리
KR200413054Y1 (ko) 2006-01-16 2006-04-05 박영식 절첩식 사다리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82Y1 (ko) 2011-04-06 2013-04-03 김만섭 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
KR200466181Y1 (ko) 2011-04-06 2013-04-03 김만섭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KR101284001B1 (ko) * 2011-10-14 2013-07-09 김만섭 수평발판이 설치된 a형 사다리
KR20160013286A (ko) * 2014-07-24 2016-02-0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다리 겸용 손수레
KR101669863B1 (ko) * 2014-07-24 2016-10-2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다리 겸용 손수레
KR20160071751A (ko) * 2014-12-12 2016-06-22 안동진 접이식 바퀴가 구비된 손수레
KR101632379B1 (ko) 2014-12-12 2016-06-24 안동진 접이식 바퀴가 구비된 손수레
JP2020056308A (ja) * 2015-07-31 2020-04-09 ジー・オー・ピー株式会社 脚立式作業台
KR101769363B1 (ko) 2016-03-15 2017-08-1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다리
KR20200097452A (ko) * 2019-02-08 2020-08-19 황태호 절첩이 용이한 에이형 사다리의 안전 가이드 구조
KR102177300B1 (ko) * 2019-02-08 2020-11-10 황태호 절첩이 용이한 에이형 사다리의 안전 가이드 구조
KR102028043B1 (ko) 2019-03-18 2019-10-02 (주)자재쿱 전도 방지 안전 사다리
CN110778268A (zh) * 2019-10-29 2020-02-11 新昌县凌智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矿山工程施工的组装安装架
KR20210154668A (ko) * 2020-06-12 2021-12-21 안춘자 사다리형 작업대의 접철식 안전 난간대
KR102403398B1 (ko) * 2020-06-12 2022-05-27 안춘자 사다리형 작업대의 접철식 안전 난간대
KR102275234B1 (ko) 2021-01-25 2021-07-08 홍완식 발판형 안전 사다리의 발판 출입구 개폐장치
KR102375200B1 (ko) 2021-01-25 2022-03-15 홍완식 사다리용 전도 방지장치
KR20220141043A (ko) * 2021-04-12 2022-10-1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플랫폼 사다리
KR102555757B1 (ko) * 2021-04-12 2023-07-1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플랫폼 사다리
CN114687659A (zh) * 2022-03-29 2022-07-01 中源宏宇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房建工程施工用移动式登高装置
CN114687659B (zh) * 2022-03-29 2024-01-30 中源宏宇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房建工程施工用移动式登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394B1 (ko)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US11846137B2 (en) Ladders, ladder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US7210558B2 (en) Scaffold having detachable ladder assembly
US4690248A (en) Portable hoist
US10507572B2 (en) Workbench
US20180002982A1 (en) Ladder
AU2018347785A1 (en) Support apparatus
GB2443487A (en) Collapsible work stand
EP1989374B1 (en) Plastic platform for a foldable ladder and combination of a plastic platform and foldable ladder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WO2016151307A1 (en) Adjustable scaffold
GB2437735A (en) Collapsible, portable, free-standing scaffold
KR20150085879A (ko) 안전 사다리
US6702064B2 (en) Lifter having tiltable support rack assembly
KR102017983B1 (ko) 회전식 사다리 장치
KR200424319Y1 (ko)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JP4170940B2 (ja) 可搬式作業台
KR20210015011A (ko) 사다리
US2012021161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n Adjustable Scaffold Shelf
GB2437737A (en) Collapsible, portable, free-standing scaffold
KR102403398B1 (ko) 사다리형 작업대의 접철식 안전 난간대
CN107217826B (zh) 组合件、工作台、条板适配器及用于使用户站在地面以上的方法
KR200461587Y1 (ko) 작업대의 안전바 어셈블리.
KR102393192B1 (ko) 반도체 작업용 기능성 작업대
KR100699009B1 (ko) 절첩식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46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0208

Effective date: 201910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