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165A -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 Google Patents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165A
KR20160078165A KR1020140189016A KR20140189016A KR20160078165A KR 20160078165 A KR20160078165 A KR 20160078165A KR 1020140189016 A KR1020140189016 A KR 1020140189016A KR 20140189016 A KR20140189016 A KR 20140189016A KR 20160078165 A KR20160078165 A KR 20160078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wer
rail
cargo ho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403B1 (ko
Inventor
이정형
김동호
박주이
김동수
홍진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403B1/ko
Priority to CN201580071185.8A priority patent/CN107108183A/zh
Priority to SG11201705253PA priority patent/SG11201705253PA/en
Priority to US15/539,439 priority patent/US20170349419A1/en
Priority to EP15873418.6A priority patent/EP3239091A4/en
Priority to JP2017552766A priority patent/JP2018502776A/ja
Priority to PCT/KR2015/005785 priority patent/WO2016104890A1/ko
Publication of KR2016007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0Scaffolds comprising upright members and provision for supporting cross-members or platforms at different positions therealo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2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3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horizontally

Abstract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화물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2개의 주행용 레일, 상기 주행용 레일을 따라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2개의 조립식 타워, 상기 조립식 타워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을 마련하여 조립식 타워 설치되는 바스켓을 길이 가변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에 따라 화물창의 벽면 및 천장을 모두 점검할 수 있고, 구름다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벽면을 점검할 수 있으며, 구름다리의 보조 발판을 연장시켜 작업자가 벽면에 보다 근접한 상태에서 보다 정밀하게 점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Gantry Tower Crane for Cargo Inspection}
본 발명은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선, LNG 운반선, FLNG(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등과 같은 대형 선박의 화물창 내부를 검사 또는 유지·보수할 수 있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되어 원거리의 수요처로 운반된다.
LNG를 운반하는 선박으로는 크게 모스(Moss)형과 멤브레인(Membrane)형이 있고, 모스형 LNG 선박은 전체적으로 구 형상을 갖는 화물창의 절반 이상이 선박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멤브레인형 LNG 선박은 선박 내부에 멤브레인형 화물창이 구성되거나 멤브레인형 화물창의 일부만이 선박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멤브레인형 LNG 선박의 경우, 화물창의 대부분 또는 전부가 선박 내부에 구성되며 직사각형 형태를 기본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스형에 비하여 보다 많은 LNG를 운송할 수 있고,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운항성능도 뛰어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멤브레인 방식의 화물창은 구조 특성상 화물창 내부에 어떠한 지지물이나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화물창 내 가스 누수 검사 및 멤브레인 손상 유무에 대한 검사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자재 하나하나를 연결하여 비계(족장)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비계의 설치 시수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있다.
더욱이 화물창 건조가 이루어짐에 따라 비계(족장)가 모두 철거된 이후에는 멤브레인의 유지·보수 또는 점검 작업이 필요한 경우, 발판(비계 또는 족장)을 다시 설치 및 해체해야 하므로 막대한 공정상의 차질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인 LNG선의 경우 약 5년 주기마다 화물창뿐만 아니라 다른 기자재 등의 유지·보수 또는 점검을 위해 수리조선소에서 수리를 받게 되며, 이때 시간적인 여유로 인해 화물창에 족장을 설치하여 검사 및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FLNG(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와 같이 해상에 오랜 시간 머물러 있어야 하는 해양 플랫폼의 경우, 수리조선소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해상에 떠 있는 상태에서 화물창의 내부 검사 및 유지·보수를 수행해야 하므로, 검사 및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또한 화물창의 검사 및 유지·보수로 인한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 경제적인 손실이 크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비계(족장)을 설치하는 방법과 달리, 검사 및 유지·보수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대형 선박 및 창고의 내부를 검사 및 수리 시 비계가 수작업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그만큼 설치 작업 기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별도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 중 추락 등과 같은 재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포되고 있으며, 점검 및 보수작업의 완료 후 비계 해체 시에도 많은 기간이 소요되어 제조 및 검사 원가가 상승되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멤브레인 방식의 LNG선 화물창 내부에는 어떠한 지지물도 없기 때문에 화물창 내의 가스 누수 검사 및 멤브레인 손상, 단열박스 손상 등에 대한 검사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서는 화물창 내부로의 유일한 통로인 가스돔(Gas dome)을 이용하여 자재를 투입한 후 자재 하나 하나를 연결하여 족장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으로, 설치 및 해체 시수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많은 작업 인력이 필요하다.
특히 족장 해체가 완료 된 이후 부득이하게 화물창 내부의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 많은 시수와 인력을 투입하여 족장을 설치해야 하므로, 심각한 공정 차질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 가스돔(Gas dome)에 다관절 로봇을 설치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화물창 전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다관절 로봇의 전체 길이가 30m 이상으로 거대하게 구성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로봇 끝단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을 정도로 강건하게 제작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다관절 로봇 시스템은 FLNG 등과 같은 해양 플랜트에 적용할 경우, 탑사이드와 메인 데크 사이의 공간적 제약으로 길이가 길거나 직경이 큰 구조물의 진입이 어렵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은 화물창 내에 설치되는 비계 구조물을 지지하는 베이스 몸체부,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고정 다리부, 상기 고정 다리부에 대해 피벗 지점부를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 다리부 및 상기 선회 다리부에 대해 텔레스코픽 연결부를 매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다리부를 구비하는 지지 다리부 및 상기 지지 다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이동을 구현하는 구름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벗 지점부는 고정 다리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마운팅 브래킷, 상기 선회 다리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2마운팅 브래킷,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제2마운팅 브래킷의 힌지점을 공유하도록 결합되는 힌지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걸쳐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제2마운팅 브래킷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결합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체결핀을 구비한다.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부는 상기 선회 다리부의 선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선회 다리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보조 다리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조절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구름 접촉부는 상기 보조 다리부의 하측 선단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휠 지지체, 상기 휠 지지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륜을 구비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LNG 화물창의 이동식 족장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LNG 화물창의 이동식 족장 시스템은 LNG 화물창에 마련되는 족장 시스템으로, 상기 화물창 내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족장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40382(2010. 04. 2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34188 (2011. 12. 14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은 화물창 내에서 다층식 비계 구조물의 설치 범위를 최소화하여 비계 구조물의 설치와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으나, 대형으로 이루어진 화물창 내에 다수로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의 LNG 화물창의 이동식 족장 시스템에서는 화물창의 내측 벽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을 고정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고, 일정한 높이 간격으로 족장을 설치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이동식 족장 프레임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창 내부를 점사, 유지·보수, 점검하기 위한 타워 크레인을 신속하게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창의 점사, 유지·보수, 점검 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창의 내부 전체를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또는 회전할 수 있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창의 검사 및 유지·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창의 상부에 형성된 가스 돔을 통해 갠트리 타워 크레인을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창의 내부 벽면 및 천장으로 작업자의 접근이 용이한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은 화물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2개의 주행용 레일, 상기 주행용 레일을 따라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2개의 조립식 타워, 상기 조립식 타워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조립식 타워 사이에 상기 화물창의 폭 방향으로 연결되는 구름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용 레일은 일정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레일 본체, 상기 조립식 타워가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래크, 상기 래크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래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용 레일은 상기 레일 본체의 저면에 상기 화물창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 본체는 일측에 인접한 다른 레일 본체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레일 본체의 타측에 인접한 다른 레일 본체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복수개의 레일 본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식 타워는 상기 주행용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바일 플랫폼,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타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플랫폼 본체, 상기 타워 유닛이 결합되도록 상기 플랫폼 본체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포스트, 상기 주행용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래크와 맞물리도록 상기 플랫폼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상기 타워 유닛이 신속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 기둥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 상기 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상기 조립식 타워가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안내레일의 측면에 밀착되어 안내되는 안내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 롤러는 상기 안내레일의 측면에 밀착되는 안내구, 상기 안내구가 결합되며 상기 플랫폼 본체의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워 유닛은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되는 하부 트러스유닛, 상기 하부 트러스 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트러스유닛,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의 최상단에 결합되며 작업자의 통행로가 마련되는 상부 트러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트러스유닛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각도로 교차되게 고정되는 교차프레임,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각도로 교차되게 고정되는 교차프레임, 상기 교차프레임의 끝단에 고정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은 상기 수평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식 타워는 상기 타워 유닛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화물창의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타워 유닛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실린더,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되는 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실린더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실린더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플랫 베어링가 결합된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플랫 베어링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홈부가 형성된 제3 플레이트, 상기 제3 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되며 화물창의 텅에 끼워지도록 홈부가 형성된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화물창의 벽면을 향해 길이 가변됨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조립식 타워의 외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 가변되는 붐대, 상기 붐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조립식 타워의 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마련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조립식 타워의 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으로 상기 붐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돌출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붐대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붐대, 상기 회전 붐대의 내부에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이동 붐대, 상기 회전 붐대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 붐대 및 승강 프레임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대는 상기 조립식 타워와 연통되도록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난간, 상기 회전 난간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 난간의 양측에 각각 일정 높이를 갖는 보조 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식 타워는 상기 주행용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바일 플랫폼,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타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식 타워는 상기 타워 유닛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화물창의 천장에 밀착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름다리는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판, 상기 발판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진 발판 지지대, 상기 발판의 일측에 작업 공간이 연장되도록 외측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본체, 상기 발판 본체의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 지지대는 좌우 양측에 각각 소정 각도로 마련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일단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회전봉, 상기 2개의 회전봉 사이에 고정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각각 상단에 난간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고리, 상기 회전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고리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고리, 상기 회전봉 및 연결봉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발판은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난간 프레임, 상기 난간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난간은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난간프레임, 상기 제1 난간프레임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난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난간 중 어느 하나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작업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난간이 서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상기 2개의 난간 사이에 연결되는 사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에 의하면, 화물창의 바닥면에 보호 커버를 설치하므로 화물창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용 레일에 모바일 플랫폼, 타워 유닛, 고정 유닛을 조립하면서 하강시켜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조립식 타워 각각에 바스켓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영역(공간)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에 의하면, 조립식 타워 설치되는 바스켓을 길이 가변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에 따라 화물창의 벽면 및 천장을 모두 점검할 수 있고, 구름다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벽면을 점검할 수 있으며, 구름다리의 보조 발판을 연장시켜 작업자가 벽면에 보다 근접한 상태에서 보다 정밀하게 점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에 의하면, 유닛 하강장치에 의해 타워 유닛을 조립하면서 하강시켜 조립하므로 타워 크레인을 짧은 시간 내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가스돔을 통해 타워 크레인 설치에 필요한 부품을 안정적으로 투입(하강)시킬 수 있으며, 설치용 레일에 의해 타워 크레인을 설치한 다음 주행용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2개의 조립식 타워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바스켓 및 구름다리의 설치에 따라 화물창의 전 구역을 점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에 의하면, 2개의 조립식 타워를 서로 연결되게 설치함으로써 타워 크레인의 설치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2개의 조립식 타워를 이동할 수도 있어 화물창의 점검에 따라 작업 영역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주행용 레일 설치 전 상태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주행용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보호 커버를 보인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레일에 모바일 플랫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레일을 보인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조립식 타워를 보인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모바일 플랫폼을 보인 저면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조립식 타워를 보인 분해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고정 유닛을 보인 분해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타워 유닛을 보인 분해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바스켓을 보인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바스켓을 보인 저면 입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구름다리를 보인 입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구름다리를 보인 저면 입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구름다리가 접힌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유닛 하강장치가 가스돔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입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 절결 입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 보호커버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서 보호커버 설치 단계를 설명하는 공정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서 설치용 레일의 설치 단계를 설명하는 공정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서 모바일 플랫폼의 설치 단계를 설명하는 공정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서 조립식 타워의 설치 단계를 설명하는 공정도,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서 바스켓 설치 단계를 설명하는 공정도,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서 구름다리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도,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서 구름다리의 설치 단계를 설명하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주행용 레일 설치 전 상태를 보인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주행용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은 화물창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주행용 레일(150), 상기 주행용 레일(15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모바일 플랫폼(210)이 각각 구비되는 조립식 타워(200), 상기 조립식 타워(200)를 따라 승강되며 상기 화물창(10, 도 16 참조)의 벽면을 향해 길이 가변됨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은 상기 조립식 타워(200) 사이에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름다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타워 크레인은 화물창(10, 도 17 참조) 내부에 타워 크레인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용 레일(130)과 타워 크레인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주행용 레일(15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 주행용 레일(150)은 화물창(10)의 벽면을 따라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화물창(10)의 길이 방향으로 2개의 주행용 레일(150)이 설치됨은 물론 이들 2개의 주행용 레일(150)에 각각 하나의 조립식 타워(2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타워(200)에는 조립식 타워(200)를 따라 승강됨은 물론 수평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는 바스켓(300)이 설치될 수 있고, 2개의 조립식 타워(200) 사이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통행)할 수 있는 구름다리(400)가 설치되어 화물창(10)의 전체 구역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화물창(10) 점검에 필요한 갠트리 타워 크레인을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레일(100)은 필요에 따라 설치용 레일(130)과 주행용 레일(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타워(200)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조립식 타워 및 제2 조립식 타워로 설명될 수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2개의 조립식 타워를 구분하고자 할 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뿐 조립식 타워의 하나 또는 2개의 조립식 타워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주행용 레일(150)은 필요에 따라 구분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주행용 레일 및 제2 주행용 레일로 구분할 수 있으며,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조립식 타워(200)는 필요에 따라 구분되도록 하기 위하여 조립식 타워(200)를 제1 조립식 타워 및 제2 조립식 타워로 구분할 수 있다.
또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스켓(300)은 필요에 따라 구분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바스켓 및 제2 바스켓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 2로 구분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별도의 도면부호를 사용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점검'은 화물창(10)의 검사·유지·보수 등을 모두 총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보호 커버를 보인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레일에 모바일 플랫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물창(10)에는 조립식 타워(20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용 레일(130)과 조립식 타워(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용 레일(15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용 레일(130) 및 주행용 레일(150)은 화물창(1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레일(100)의 설치에 따라 화물창(10)의 바닥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커버(1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110)는 펠트(felt), 고무, 직물 등으로 이루어져 화물창(10)의 바닥면에 레일(100)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화물창(10)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팽창계수가 극히 낮은 인바(invar)로 이루어져 있어, 미세한 틈새, 흠집이나 스크래치(scratch)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보호 커버(110)는 레일(100)의 설치 또는 조립식 타워(200)가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충격 등에 의해 화물창(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력 또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커버(110)는 화물창(1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호 커버(111)와 제1 보호 커버(111)의 양 끝단에서 화물창(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호 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 커버(111)는 화물창(10)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있는 텅(tongue, 미도시)의 간섭 또는 장애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보호 커버(111)의 일측은 텅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소정 길이만큼 돌출부(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은 돌출부(113)가 올려질 수 있도록 결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3)와 결합부(114)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115)는 화물창(10)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있는 텅에 위치함으로써, 텅의 손상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보호 커버(112)는 화물창(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두루말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보호 커버(112)의 하단에는 텅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 방향으로 홈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레일에 모바일 플랫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레일을 보인 분해 입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0)은 조립식 타워(200)를 설치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설치용 레일(130)과 조립식 타워(200)가 화물창(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주행용 레일(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용 레일(130)은 화물창(10)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돔의 수직 하방부에서 화물창(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용 레일(130)은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레일 본체(131), 조립식 타워(200)가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 본체(131)의 상면에 설치되는 래크(132), 래크(132)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133), 화물창(10)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본체(131)의 저면에 다수의 이동바퀴(13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용 레일(130)은 화물창(1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설치용 레일(130)이 결합되도록 레일본체(131) 각각에는 제1 결합부(135)와 제2 결합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 본체(131) 일측에는 인접한 다른 레일 본체(131)와 결합되도록 제1 결합부(135)가 형성될 수 있고, 레일 본체(131)의 타측에는 인접한 다른 레일 본체(131)와 결합되도록 제2 결합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제1 결합부(135)와 제2 결합부(136)는 암수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들 제1 결합부(135)와 제2 결합부(136)는 핀(미도시) 등에 의해 설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바퀴(134)는 설치용 레일(130)의 설치 및 해체하고자 할 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화물창(10)에 하강된 상태에서 조립식 타워(200)가 설치되기 전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동바퀴(134)는 레일 본체(131)의 하중 또는 조립식 타워(200)의 무게(또는 중량)에 의하여 이동바퀴(134)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는 완충용 바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완층용 바퀴는 하중 또는 중량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하중 또는 중량이 가해지는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이 제한되어 브레이크(미도시)가 제동됨에 따라 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완충용 바퀴 또는 가스 스프링은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설치용 레일(130)은 조립식 타워(200)를 보다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용 보조레일(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용 보조레일(140)은 레일 본체(131)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 보조레일(140)의 양단에는 각각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용 보조레일(140)은 레일 본체(131)의 양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용 보조레일(140)은 조립식 타워(200)가 설치용 레일(130) 상에서 이동할 때 아우트리거(236)를 통해 추가적으로 지지하여 줌으로써 수직으로 이동되는 조립식 타워(200)가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설치용 보조레일(140)은 텅(미도시)에 끼워질 수 있는 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홈부와 인접한 위치에 고정핀(미도시)을 끼워 홈부가 텅을 가압되게 함으로써, 텅에 설치용 보조레일(14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용 레일(150)은 일정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레일 본체(151), 상기 조립식 타워(200)가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 본체(151)의 상면에 설치되는 래크(152), 상기 래크(152)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래크(152)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153), 상기 레일 본체(151)의 저면에 상기 화물창(10)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바퀴(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용 레일(150)의 레일 본체(151)는 레일 본체(151)의 양측에 각각 제1 결합부(155)와 제2 결합부(156)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들 제1 결합부(155)와 제2 결합부(156)는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행용 레일(150)은 조립식 타워(200)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조립식 타워(200)와 함께 하강된 다음 조립식 타워(200)로부터 분리되어 화물창(10)의 길이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레일(100)은 조립식 타워(2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레일(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일(170)은 설치용 레일(130) 및 주행용 레일(150)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그 양단이 각각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조립식 타워와 함께 회전되어 다른 레일(130, 15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회전레일(170)은 인접하게 설치되는 설치용 레일본체(131) 및 주행용 레일본체(151)는 회전레일(170)의 회전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레일(170)의 원호와 동일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조립식 타워를 보인 분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모바일 플랫폼을 보인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조립식 타워를 보인 분해 입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고정 유닛을 보인 분해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타워 유닛을 보인 분해 입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타워(200)는 화물창(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설치용 레일(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립식 타워(200)에 바스켓(330)의 조립이 모두 완료된 이후 회전레일(170)을 통해 방향 전환 후 주행용 레일(1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조립식 타워(200)는 회전레일(170)에 의해 설치용 레일(130)에서 주행용 레일(150)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타워(200)는 상기 주행용 레일(15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바일 플랫폼(210),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타워 유닛(230), 상기 타워 유닛(230)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화물창(10)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 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타워(200)는 주행용 레일(150)을 따라 이동되는데, 2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주행용 레일(15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조립식 타워(200)를 이용하여 화물창(10)의 양 측면에서 화물창(10)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2개의 조립식 타워(200) 사이에 구름다리(400)를 설치하여 화물창(10)의 전후방 벽면을 모두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모바일 플랫폼(210)은 주행용 레일(150)을 따라 타워 유닛(230)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플랫폼 본체(211), 상기 타워 유닛(230)이 결합되도록 상기 플랫폼 본체(211)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포스트(212), 상기 레일(15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플랫폼 본체(211)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피니언 기어(214), 상기 조립식 타워(200)가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주행용 레일(150)의 측면에 밀착되어 안내되는 안내 롤러(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모바일 플랫폼(210)은 상기 타워 유닛(230)이 신속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포스트(212)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213), 상기 구멍(213)에 끼워져 결합되는 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은 일정 크기를 갖는 플랫폼 본체(211)가 마련되고, 플랫폼 본체(211)에는 타워 유닛(2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포스트(212)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포스트(212)에는 타워 유닛(230)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다수의 구멍(213)이 형성될 수 있고, 포스트(212)에는 구멍(213) 및 타워 유닛(23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 모바일 플랫폼(210)은 주행용 레일(15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모바일 플랫폼(210)에는 설치용 레일(130)의 래크(132) 및 주행용 레일(150)의 래크(152)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14)가 모바일 플랫폼(21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레일(130, 150)을 따라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안내롤러(21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롤러(215)는 모바일 플랫폼(21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안내롤러(215)는 레일(130, 150)의 안내레일(133, 153)에 밀착되어 이동됨으로써, 조립식 타워(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안내롤러(215)는 모바일 플랫폼(210)의 양 측면에 각각 다수 설치되는데, 플랫폼 본체(211)의 양 측면에는 각각 일정 크기를 갖는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안내레일(133, 153)에 밀착되는 안내구(216)는 대략 'ㅗ'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내구(216)의 상부에는 안내구(216)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체(217)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체(217)는 플랫폼 본체(210)의 홈부에 끼워지며, 이동체(217)에는 안내구(216)를 이동시키는 조절볼트(218)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타워유닛(230)은 모바일 플랫폼(210)에 결합되는 하부 트러스유닛(231), 상기 하부 트러스 유닛(231)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중간 트러스유닛(237),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최상단에 결합되며 작업자가 통행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부 트러스유닛(242)을 포함할 수 있다.
타워유닛(230)은 화물창(10)의 바닥면에서부터 천장까지 수직으로 세워지는데, 모바일 플랫폼(210)에 고정되는 하부 트러스유닛(231),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중간 트러스유닛(237) 및 타워 유닛(230)의 최상단에 고정되는 상부 트러스유닛(24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트러스유닛(242)의 상면에 고정되어 조립식 타워(200)를 화물창(10)의 천장에 밀착시켜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고정유닛(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워유닛(230)은 하부 트러스유닛(231)과 중간 트러스유닛(237) 및 상부 트러스유닛(242)이 일체화된 것을 지칭할 수 있고, 이에 더불어 고정유닛(250)을 더 포함하여 지칭할 수도 있다. 즉, 타워유닛(230)은 모바일 플랫폼(210)이 제외된 조립식 타워(200)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이들 트러스유닛(231, 236, 242)은 일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 트러스유닛(231)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수직프레임(232)이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고, 이들 수직프레임(232) 사이에 서로 교차되는 교차프레임(233)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트러스유닛(231)의 수직프레임(232)에는 플랫폼 본체(211)의 포스트(212)와 구멍(213)에 대응되는 구멍(23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포스트(212)와 수직프레임(232)은 끼워진 상태에서 구멍(213, 234)을 관통하는 고정핀(미도시)으로 고정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수직프레임(232)의 상단에는 중간 트러스유닛(237)이 결합되도록 결합구멍(235)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 트러스유닛(231)에는 조립식 타워(200)의 이동 시 설치용 보조레일(14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조립식 타워(200)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아우트리거(23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아우트리거(236)는 조립식 타워(200)를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트러스유닛(231)으로부터 대략 45°의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236)의 지지 각도는 필요에 따라 달리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트리거(236)는 길이 가변되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루어져 조립식 타워(200)를 양 측면에서 지지하여 줌으로써, 조립식 타워(200)가 설치용 레일(130)을 따라 이동할 때 전도, 전복 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아우트리거(236)의 일단은 하부 트러스유닛(23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아우트리거(236)의 타단은 설치용 보조레일(14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중간 트러스유닛(237)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238), 상기 수직프레임(238) 사이에 서로 다른 각도로 교차되게 고정되는 교차프레임(239), 상기 교차프레임(239)의 끝단에 고정되는 수평프레임(240), 상기 수평프레임(240)에 회전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회전바(2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38)의 하부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중간 트러스유닛의 수직프레임에 끼워지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수직프레임(238)의 상부에는 상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수직프레임의 돌기부가 끼워질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수직프레임(238)에는 교차프레임(239) 사이에 수평프레임(24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수평프레임(240)에는 주행용 레일(150)을 일시적으로 걸어둘 수 있는 회전바(24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립식 타워(200)의 타워유닛(230)을 조립하기 위하여 화물창(10)에 트러스유닛(231, 237)의 투입과 동시에 주행용 레일(150)을 함께 투입할 수 있게 되며,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바(241)는 걸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설치된 토션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외면에는 주행용 레일(150)을 일시적으로 걸어둘 수 있도록 하며, 주행용 레일(150)을 중간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줌에 따라 회전바(241)가 회전되어 주행용 레일(150)을 중간 트러스유닛(237)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트러스유닛(242)은 트러스유닛(231, 237)과 동일한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 트러스유닛(242)에는 작업자가 지나다닐 수 있는 통행로(도 9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스켓(300)이 상부 트러스유닛(242)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난간(351)을 펼쳤을 경우, 조립식 타워(200) 사이에 설치되는 구름다리(400)로 내통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트러스유닛(242)의 일부 공간에 통행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타워(200)의 상단에는 화물창(10)의 천장에 밀착되어 조립식 타워(20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고정유닛(2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유닛(250)은 조립식 타워(200)를 화물창(10)의 천장에 가압시켜 조립식 타워(200)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250)은 타워 유닛(230)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는 고정 플레이트(251), 상기 고정 플레이트(251)의 상면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실린더(252), 상기 고정 플레이트(251) 상면에 설치되는 윈치(253), 상기 실린더(252)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254)는 상기 실린더(252)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255), 상기 제1 플레이트(255)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플랫 베어링(256a)이 결합된 제2 플레이트(256), 상기 제2 플레이트(256)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플랫 베어링(256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홈부(미도시)가 형성된 제3 플레이트(257), 상기 제3 플레이트(257) 상면에 설치되며 화물창(10)의 텅에 끼워지도록 텅 삽입부(258a)가 형성된 제4 플레이트(2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250)은 상부 트러스유닛(24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 트러스유닛(242)의 상면에는 고정유닛(250)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고정 플레이트(25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251) 상면에는 화물창(10)의 천장에 가압되도록 다수의 실린더(252)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 플레이트(251) 상면에는 바스켓(30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윈치(25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윈치(253)는 바스켓(300)을 안정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2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윈치(253)의 케이블(미도시)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래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실린더(252)의 상면에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겹쳐져 있는 회전 플레이트(254)가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 플레이트(254)는 조립식 타워(200)를 설치용 레일(130)에서 회전레일(170)을 통해 주행용 레일(150)로 방향 전환 시 화물창(10)의 천장에 가압되어 조립식 타워(200)가 안정적인 자세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즉, 조립식 타워(200)는 화물창(10)의 바닥면에서부터 천장까지 수직으로 설치되므로, 모바일 플랫폼(210)의 이동 시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조립식 타워(200)가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트러스유닛(242)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유닛(250)의 회전 플레이트(254)가 화물창(10)의 천장에 가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254)가 천장에 가압된 상태에서 조립식 타워(200)가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화물창(10)의 내부 점검 시, 상부 트러스유닛(242)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유닛(250)은 회전 플레이트(254)가 화물창(10)의 천장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 및 바스켓(300)의 안정적인 거동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유닛(250)의 회전플레이트(254)는 실린더(252) 상면에 제1 플레이트(255)가 설치될 수 있고, 그 상면에는 플랫 베어링(256a)이 설치된 제2 플레이트(25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256) 상면에는 플랫 베어링(256a)과 결합되도록 저면에 홈부가 형성된 제3 플레이트(257)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제3 플레이트(257) 상면에는 소정 두께를 갖는 제4 플레이트(258)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4 플레이트(258)의 상면에는 천장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텅에 끼워질 수 있는 텅 삽입부(258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텅 삽입부(258a)는 대략 십(十)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조립식 타워(200)의 설치된 방향에 관계없이 회전 플레이트(254)가 텅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바스켓을 보인 입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바스켓을 보인 저면 입체도이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바스켓(300)은 화물창(10)의 벽면을 향해 수평 이동됨은 물론 수평 회전되어 작업자가 화물창(10)의 전체 구역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바스켓은 조립식 타워(200)의 외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310), 상기 승강 프레임(310)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길이 가변되는 붐대(330), 상기 붐대(33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310)은 상기 조립식 타워(200)의 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의 바퀴(313)가 마련되는 제1 프레임(311), 상기 조립식 타워(200)의 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313)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프레임(3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312), 상기 제2 프레임(312)의 일측으로 상기 붐대(3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돌출되는 지지프레임(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310)은 조립식 타워(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윈치(253)에 의해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프레임(310)은 조립식 타워(200)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 프레임(311)과 상기 제1 프레임(311)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 프레임(3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프레임(310) 내면에는 조립식 타워(200)의 수직프레임(232, 238)을 따라 회전되는 바퀴(313)가 다수 설치될 수 있으며, 승강프레임(310)을 구성하는 제1 프레임(311)과 제2 프레임(312)은 조립식 타워(20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311)과 제2 프레임(312)을 볼트 또는 핀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승강프레임(310)에는 붐대(3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314)이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314)은 붐대(330)가 설치되는 제1 지지프레임(314a)과 보조프레임이 설치되는 제2 지지프레임(3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붐대(330)는 상기 승강 프레임(3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붐대(331), 상기 회전 붐대(331)의 내부에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이동 붐대(332), 상기 회전 붐대(332)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 붐대(331) 및 승강 프레임(31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3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대(350)는 상기 조립식 타워(200)와 연통되도록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난간(351), 상기 회전 난간(351)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 난간(351)의 양측에 각각 일정 높이를 갖는 보조 난간(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붐대(330)는 작업자가 화물창(10)의 벽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 가변될 뿐만 아니라 승강프레임(310)의 지지프레임(314)을 중심으로 수평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붐대(331)의 일측은 승강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회전 붐대(331)의 타측에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길이 가변되도록 다수의 이동 붐대(332)가 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 붐대(331)는 승강프레임(310)을 중심으로 작업대(350)를 원하는 방향으로 수평 회전되도록 하며, 이동 붐대(332)는 작업대(350)를 원하는 위치(거리)로 이동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강프레임(310)의 지지프레임(314)과 회전 붐대(331)의 저면에는 회전 붐대(331)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바(333)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붐대(330)의 끝단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작업대(350)가 결합될 수 있고, 작업대(350)는 지지판의 둘레를 따라 난간이 설치될 수 있으며, 작업대(350)의 난간 중 일면에는 상부 트러스유닛(341)의 통행로와 연통되는 회전 난간(351)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회전 난간(351)은 난간의 일측을 필요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 난간(351)에는 회전 난간(351)이 펼쳐졌을 때 회전 난간(351)의 좌우 양측에 난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보조 난간(352)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구름다리를 보인 입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구름다리를 보인 저면 입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구름다리가 접힌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다리(400)는 한 쌍의 조립식 타워(200)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통행로 또는 작업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구름다리(40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업자의 작업 통로 또는 작업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보조 발판(450)을 전개시킴에 따라 작업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름다리(400)는 작업자의 통행 또는 작업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판(410), 상기 발판(410)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지는 발판 지지대(430), 상기 발판(410)의 일측에 작업 공간이 연장되도록 외측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발판(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410)은 힌지(41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본체(412), 상기 발판 본체(412)의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링크(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431, 432)은 각각 상단에 난간 프레임(45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고리(431a, 432a), 상기 회전링크(41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고리(431a, 432a)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고리(431b, 432b), 상기 회전봉(433) 및 연결봉(434)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고리(431c, 43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발판(450)은 상기 제1 프레임(431) 및 제2 프레임(432)의 상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난간 프레임(451), 상기 난간 프레임(45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난간(4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간(452)은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난간프레임(452a), 상기 제1 난간 프레임(452a)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난간프레임(45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난간 중 어느 하나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작업발판(4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난간이 서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상기 난간(452) 사이에 연결되는 사슬(4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구름다리(400)는 2개의 조립식 타워(2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름다리(400)는 제1 조립식 타워에서 제2 조립식 타워로 통행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2개의 난간(452) 중 어느 하나를 발판(410)의 외측으로 펼쳐줌으로써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름다리(400)의 발판(410)은 일정 폭 및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판(410)은 서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발판(410)은 화물창(10)의 가스돔을 통해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발판(410)을 접을 수 있는 폴딩(folding)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발판(410)은 가스돔(미도시)을 통해 화물창(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판(410)은 힌지(411)를 중심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힌지(411)의 양측에는 각각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발판(412)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발판 본체(412)의 양 측면에는 각각 발판 본체(412)를 지지하면서 발판 지지대(4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크(413)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링크(413)는 발판 본체(412)를 지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발판 본체(412)를 접을 수 있도록 발판 지지지대(430)의 제2 고리(431b, 432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발판 지지대(430)는 좌우 양측에 각각 소정 각도로 마련되는 제1 프레임(431) 및 제2 프레임(432),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431, 432) 일단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회전봉(433), 상기 2개의 회전봉(433) 사이에 고정되는 연결봉(4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 지지대(430)는 발판(410)의 저면에 결합되어 발판(4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발판(410)을 접을 수 있는 회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판 지지대(430)는 각각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진 제1 프레임(431) 및 제2 프레임(4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431) 및 제2 프레임(432)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에서와 같이, 제1 프레임(431) 및 제2 프레임(432)은 일정 높이를 갖는 것으로, 제1, 제2 프레임(431, 432)의 최상단에는 난간 프레임(451)이 결합되는 제1 고리(431a, 43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 고리(431a, 432a)의 하부에는 발판(410)의 회전링크(41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 고리(431b, 432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발판(410)의 회전링크(413)는 제2 고리(431b, 432b)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프레임(431, 432)은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15b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프레임(431, 432)의 하단에는 각각 제3 고리(431c, 432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고리(431c, 432c)에는 발판(410)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회전봉(43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들 2개의 회전봉(433) 사이에는 제3 고리(431c, 432c)를 관통하는 연결봉(434)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431) 및 제2 프레임(432) 각각은 회전봉(43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들 제1 프레임(431) 및 제2 프레임(432)의 회전에 의해 발판 본체(412)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프레임(431) 및 제2 프레임(432)의 제1 고리(431a, 432a)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으로 이루어진 난간프레임(45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난간프레임(451)은 제1 고리(431a, 432a)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들 난간프레임(451)은 제1 프레임(431) 및 제2 프레임(432) 각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들 난간프레임(451)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난간(452)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난간(452)은 난간프레임(451)에 끼움 결합으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또 난간(452)은 필요에 따라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난간(452)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난간(452)은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난간프레임(452a)과 상기 제1 난간 프레임(452a)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난간프레임(45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난간(452a)은 일정 길이의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난간(452b)은 제1 난간(452a)의 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난간(452)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다.
또 난간(452)은 작업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연장발판(4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발판(453)은 난간(452)과 같이 가변되는 길이에 따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구조 또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길이 가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2개의 난간(452)에는 하나의 난간(452)이 작업발판으로 사용되도록 펼쳐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한 사슬(454)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슬(454)은 쇠사슬뿐만 아니라 로프 또는 케이블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유닛 하강장치가 가스돔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입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 절결 입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은 화물창(10)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돔(미도시)을 통해 각각으로 분리되어 있는 레일(100), 조립식 타워(200), 바스켓(300), 구름다리(400)를 가스돔을 통해 투입하여 화물창(1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유닛 하강장치(5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는 가스돔(미도시)의 내면에 결합되는 원통체(510)와 그 외측에 서로 번갈아가면서 승강되는 실린더(520)가 구비된 고정프레임(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520)는 원통체(5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방향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실린더(520)는 서로 번갈아가면서 승강되도록 제1 실린더(521) 및 제2 실린더(5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닛 하강장치(500)는 화물창(10)의 가스돔에 설치되어 레일(100), 조립식 타워(200), 바스켓(300) 및 구름다리(400)를 각각 화물창(10) 내부로 투입하는 것으로, 유닛 하강장치(500)는 조립식 타워(200)를 순차적으로 조립하게 된다.
즉, 유닛 하강장치(500)는 하부 트러스유닛(231)과 다수의 중간 트러스유닛(237)을 순차적으로 조립(결합)하면서 하강된다.
상기 조립식 타워(200)는 유닛 하강장치(500)의 제1 실린더(521)에 하부 트러스유닛(231)을 장착하며, 하부 트러스유닛(231)의 상면에는 제1 중간 트러스유닛(237)을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제1 중간 트러스유닛(237)은 제1 실린더(521)에 의해 하강하게 되며, 하강된 제1 중간 트러스유닛(237)은 제2 실린더(5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중간 트러스 유닛(236)이 결합된 다음 하강된다.
즉, 중간 트러스유닛(237)은 제1 실린더(521) 및 제2 실린더(522)의 왕복에 의해 하강되며, 이때 제1 실린더(521)와 제2 실린더(522)의 하강 높이는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높이에 비하여 짧으므로 제1 실린더(521)와 제2 실린더(522)는 왕복에 의해 제1 중간 트러스유닛(237)을 가스돔의 상면까지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강된 제1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상면에는 제2 중간 트러스유닛(237)을 결합하며, 제2 중간 트러스유닛(237)은 제1 실린더(521) 및 제2 실린더(522)의 왕복에 의해 제2 중간 트러스유닛(237)을 가스돔 상면까지 하강시킨 다음 제3 중간 트러스유닛(237)을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다수의 중간 트러스유닛(237)을 순차적으로 결합하면서 하부 트러스유닛(231), 중간 트러스유닛(237), 상부 트러스유닛(242)으로 이루어진 타워 유닛(230)을 결합함은 물론 고정유닛(250)을 순차적으로 결합하면서 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하부 트러스유닛(231), 중간 트러스유닛(237) 및 상부 트러스유닛(242)의 타워 유닛(230)은 고정핀(미도시) 등의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 타워 유닛(230)의 양측에는 주행용 레일(150)이 함께 결합된 상태로 하강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은 (a) 화물창의 바닥면에 폭 방향으로 설치용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S100), (b) 상기 화물창 내부로 투입된 한 쌍의 모바일 플랫폼을 상기 설치용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S200), (c) 상기 모바일 플랫폼 각각에 타워 유닛을 결합하여 한 쌍의 조립식 타워를 조립하는 단계(S300), (d) 상기 설치용 레일의 양 끝단에 각각 상기 화물창의 길이 방향으로 주행용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S400), (e) 상기 조립식 타워 각각에 상기 조립식 타워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바스켓을 설치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로 하며,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은 화물창(10)의 바닥면에 설치용 레일(130)을 폭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S100).
이러한 설치용 레일(130)은 화물창(10)의 천장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돔을 통해 투입(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에 따른 갠트리 타워 크레인은 화물창(10)의 천장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돔을 통해 투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화물창(10)의 점검이 완료된 후 해체되는 갠트리 타워 크레인은 가스돔을 통해 화물창(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갠트리 타워 크레인은 모두 가스돔을 통해 투입 또는 배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화물창(10)의 바닥면에 설치된 설치용 레일(130)에는 모바일 플랫폼(210)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S200).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에는 화물창(10)의 바닥면에서부터 천장에 이르는 높이를 갖도록 다수의 중간 트러스유닛(237)으로 타워 유닛(230)을 설치할 수 있고, 타워유닛(230)의 상면에는 고정유닛(25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은 타워유닛(230) 및 고정유닛(250)을 포함하는 조립식 타워(200)를 필요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S300).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은 조립식 타워(200)를 설치용 레일(130)에서 주행용 레일(150)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주행용 레일(1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타워(200)가 설치됨에 따라 모바일 플랫폼(210)은 설치용 레일(130)의 양단으로 각각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모바일 플랫폼(210)은 중간 트러스유닛(237)에 설치된 상태로 하강된 주행용 레일(150)을 설치할 수 있다(S400).
도 10에서와 같이, 주행용 레일(150)은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회전바(241)에 걸린 상태로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주행용 레일(150)은 가스돔의 상부에서 크레인(미도시) 등으로 주행용 레일(150)을 일정 높이만큼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주행용 레일(150)은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회전바(241)로부터 분리되어 하강시킴에 따라 화물창(10)의 바닥면을 따라 화물창(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용 레일(130)의 양단으로 이동된 조립식 타워(200)는 다시 가스돔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이는 조립식 타워(200)에 바스켓(3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설치용 레일(130)에 있는 제1 조립식 타워에는 바스켓(300)을 설치할 수 있고, 제2 조립식 타워에도 바스켓(300)을 설치할 수 있다(S500).
상기 바스켓(300)은 작업자가 화물창(10)을 점검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작업 공간을 갖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 보호커버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10)에 설치용 레일(130)을 설치하기 전에 화물창(10)의 손상 또는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110)를 설치할 수 있다(S50).
또한 화물창(10)의 가스돔(미도시)에는 타워 유닛(230) 및 고정유닛(250)을 하강시킴과 함께 이들을 조립할 수 있는 유닛 하강장치(500)을 설치할 수 있다(S70).
이러한 보호커버(110) 설치 단계 및 유닛 하강장치(500)의 설치 단계는 설치용 레일(130)의 설치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 설치 단계(S50)는 상기 화물창(10)의 폭 방향으로 제1 보호커버(111)를 설치하는 단계(S51), 상기 제1 보호커버(111)의 양 끝단에서 각각 상기 화물창(10)의 길이 방향으로 제2 보호커버(112)를 설치하는 단계(S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커버(111)는 일정 크기를 갖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보호커버(111)의 일측에는 돌출부(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보호커버(111)의 타측에는 돌출부(113)에 대응되는 결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제1 보호커버(111)의 돌출부(113)와 결합부(114)는 화물창(10)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있는 텅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바닥면과 함께 텅을 보호하도록 한다.
또 제2 보호커버(112)는 일정 길이를 갖는 두루마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보호커버(111) 및 제2 보호커버(112)는 화물창(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화물창(10)의 내부로 투입(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보호커버(110)는 설치용 레일(130) 및 주행용 레일(150)의 바닥에 설치되어 화물창(10)의 바닥면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재질은 펠트, 직물, 고무, 합성수지 등의 탄력을 갖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보호커버(110)는 조립식 타워(200), 바스켓(300), 구름다리(400) 등의 투입(하강) 시 화물창(10)과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화물창(10)의 손상 또는 파손 등을 방지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 도중에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화물창(10)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에서와 같이, 상기 유닛 하강장치의 설치 단계는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를 상기 화물창(10)의 가스돔 상면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가스돔의 내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의 원통체(510)를 상기 가스돔의 내면에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가 상기 화물창(10)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는 각각 분리되어 있는 레일(100), 조립식 타워(200), 바스켓(300) 및 구름다리(400)를 화물창(10) 내부로 투입(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닛 하강장치(500)는 양 측면에 각각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실린더(521)와 제2 실린더(5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유닛 하강장치(500)의 중앙에는 가스돔의 내면에 끼워져 가스돔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원통체(510)가 설치될 수 있다.
유닛 하강장치(500)는 크레인 등에 의하여 가스돔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유닛 하강장치(500)를 하강시킴에 따라 원통체(510)가 가스돔의 내면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유닛 하강장치(500)는 원통체(510)의 결합과 동시에 가스돔의 상면에 안정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즉, 유닛 하강장치(500)는 크레인(미도시)으로 이동시킨 다음 가스돔의 상측에서 하강시킴에 따라 원통체(510)의 결합과 함께 화물창(10)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설치용 레일(130)은 유닛 하강장치(500) 또는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서 설치용 레일의 설치 단계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18, 도 19 및 도 21에서와 같이, 설치용 레일(130)의 설치 단계는 화물창(1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조립식 타워(200)를 일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화물창(10)의 바닥면에 설치용 레일(130)을 설치할 수 있다(S100).
상기 설치용 레일(130)의 설치 단계는 상기 화물창(10) 내부에 상기 설치용 레일(130)을 하강시키는 단계(S110), 상기 먼저 하강된 설치용 레일(130)과 순차적으로 하강되는 설치용 레일(130)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설치용 레일(130)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S120), 상기 설치용 레일(130)의 양 측면에 결합된 설치용 보조레일(140)을 분리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용 보조 레일(140)은 상기 화물창(10)의 텅에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설치용 레일(130)은 크레인에 의해 화물창(10) 내부로 하강될 수 있다(S110).
상기 설치용 레일(130)은 화물창(10)의 폭 방향으로 다수의 설치용 레일(130)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면서 일렬로 배치됨과 아울러 인접한 레일 본체(131)끼리 일직선을 이루도록 결합할 수 있다(S120).
이렇게 일렬로 배치되는 설치용 레일(130)은 레일 본체(131)의 제1 결합부(135)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레일 본체(131)의 제2 결합부(136)를 서로 결합하게 되며, 이때 제1 결합부(135)와 제2 결합부(136)는 고정핀(미도시)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설치용 레일(13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설치용 레일(130)의 양측에는 각각 설치용 보조레일(140)을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S130).
상기 레일 본체(131)의 저면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바퀴(134)가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용 레일(130)은 다수의 레일 본체(131)가 결합됨에 따라 레일 본체(130)의 자중에 의해 레일 본체(131)가 이동되지 않도록 정지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이동바퀴(134)는 다수의 레일 본체(131)가 결합됨에 따라 레일 본체(131)의 전체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레일 본체(131)의 중량에 의해 이동바퀴(134)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레일 본체(131)로부터 분리된 설치용 보조레일(140)은 조립식 타워(200)의 이동을 보다 안전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트러스유닛(231)에 결합되어 있는 아우트리거(236)가 도달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다수의 고정핀(미도시) 등에 에 의해 화물창(10)의 텅(미도시)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서 모바일 플랫폼의 설치 단계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1, 도 2, 도 17, 도 18, 도 19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10)의 설치용 레일(130)에는 2개의 조립식 타워(200)인 제1 조립식 타워 및 제2 조립식 타워가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조립식 타워(2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210)이 투입 설치될 수 있다(S200).
상기 화물창(10) 내부로 투입된 모바일 플랫폼(210)은 상기 설치용 레일(1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플랫폼 설치 단계는 크레인(미도시)에 의해 투입된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을 상기 설치용 레일(130)에 안착시키는 단계(S210),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의 안착과 함께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214)와 상기 설치용 레일(130)에 설치된 래크(132)를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S220),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안내롤러(215)를 상기 주행용 레일(130)에 밀착되게 조절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타워(200)는 설치용 레일(1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모바일 플랫폼(210)을 화물창(10) 내부로 투입한 다음 타워 유닛(230)을 조립하면서 하강시켜 모바일 플랫폼(210) 및 타워 유닛(230)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 화물창(10) 내부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모바일 플랫폼(210)을 투입 하강시킬 수 있으며, 이때 모바일 플랫폼(210)은 2개의 모바일 플랫폼(210)을 투입할 수 있다.
이렇게 투입된 모바일 플랫폼(210)은 설치용 레일(130)에 안착하게 된다(S210).
상기 설치용 레일(130)에 안착된 모바일 플랫폼(210)은 플랫폼 본체(211)에 설치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214)와 설치용 레일(130)에 형성되어 있는 래크(132)가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S220).
또 설치용 레일(130)과 모바일 플랫폼(210)은 모바일 플랫폼(210)의 이동 시 보다 안정된 자세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롤러(21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S23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의 측면에 설치된 조절볼트(218)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조절볼트(218)의 회전에 의해 이동체(217)의 이동과 함께 안내구(216)가 상기 설치용 레일(130)의 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안내롤러(215)의 조절은 모바일 플랫폼(210)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조절볼트(218)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모바일 플랫폼(210)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조절볼트(218)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조절볼트(218)에 체결되어 있는 이동체(217)가 모바일 플랫폼(210)의 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체(217)에는 조절볼트(218) 체결됨과 함께 그 내측에 결합되어 있는 안내구(216)가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안내구(216)는 조절볼트(218)의 회전 방향에 따라 모바일 플랫폼(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모바일 플랫폼(2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안내구(216)가 모바일 플랫폼(210)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안내구(216)는 설치용 레일(130)의 안내레일(133)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안내구(216)를 설치용 레일(130)의 안내레일(133)에 밀착시킴에 따라 모바일 플랫폼(210)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서 조립식 타워의 설치 단계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18, 도 19 및 도 23에서와 같이, 모바일 플랫폼(210)에는 타워 유닛(230) 및 고정유닛(250)을 조립하여 조립식 타워(2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타워(200)는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에 의해 조립되면서 하강되는 타워 유닛(230)과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을 결합하여 조립식 타워(200)를 조립할 수 있다(S300).
상기 조립식 타워의 설치 단계는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에 하부 트러스유닛(231)을 안착시키는 단계(S310),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에 안착된 상기 하부 트러스유닛(231)의 상면에 중간 트러스유닛(237)을 결합하는 단계(S320),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상면에 또 다른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조립과 함께 하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S330),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상단에 상부 트러스유닛(242) 및 고정 유닛(250)을 결합하는 단계(S335),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상기 타워 유닛(230)을 하강시키는 단계(S340),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의 포스트(212)에 상기 타워 유닛(230)의 하부 트러스 유닛(231)을 고정시키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타워(200)를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타워 유닛(230)에 설치되어 있는 아우트리거(236)를 상기 설치용 레일(13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설치용 보조레일(1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에는 하부 트러스유닛(231)를 안착시키게 되며, 하부 트러스유닛(231)은 유닛 하강장치(500)의 제1 실린더(521) 또는 제2 실린더(522)에 의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310).
이러한 하부 트러스유닛(231)의 상부에는 중간 트러스유닛(237)을 결합하게 된다(S320). 즉, 하부 트러스유닛(231) 상부의 결합구멍(235)에는 중간 트러스유닛(237)을 끼운 다음 고정핀(미도시)을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중간 트러스유닛(237)은 다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다수의 중간 트러스유닛(237)을 서로 조립하여 고정하게 되며, 중간 트러스유닛(237)이 결합될 때 유닛 하강장치(500)는 제1 실린더(521)와 제2 실린더(522)가 교대로 승강되면서 타워 유닛(230)을 하강시키게 된다(S330).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최상단에는 상부 트러스유닛(242) 및 고정유닛(250)을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S335). 이와 같은 하부 트러스유닛(231), 중간 트러스유닛(537), 상부 트러스유닛(242) 및 고정유닛(250)으로 이루어진 타워 유닛(230)은 유닛 하강장치(500)에 의해 조립되면서 순차적으로 하강된다(S340).
상기 유닛 하강장치(500)에 의해 하강된 타워 유닛(230)은 설치용 레일(130)에 장착되어 있는 모바일 플랫폼(210)에 고정하게 된다(S350).
상기 타워 유닛(230)의 하부 트러스유닛(23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멍(234)과 모바일 플랫폼(210)의 구멍(213)을 일치시킨 다음 고정핀(미도시) 등을 끼워 고정하게 된다.
또한 모바일 플랫폼(210), 타워 유닛(230) 및 고정 유닛(250)이 일체회된 조립식 타워(200)는 설치용 레일(130)을 따라 이동 시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아우트리거(236)를 펼치게 된다.
이러한 아우트리거(236)는 설치용 레일(13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설치용 보조레일(140)에 결합되어 조립식 타워(200)의 이동을 보다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바일 플랫폼(210), 타워 유닛(230) 및 고정 유닛(250)이 일체화된 조립식 타워(200)는 타워 유닛(230)에 결합되어 있는 주행용 레일(150)을 하강시킴에 따라 조립식 타워(200)의 양측에 각각 주행용 레일(150)을 설치할 수 있다(S400).
즉, 주행용 레일(150)은 타워 유닛(230)의 회전바(241)에 걸린 상태로 크레인 등에 의해 타워 유닛(230)과 동시에 하강된다. 이러한 주행용 레일(150)은 크레인 등에 의해 들어올리게 됨에 따라 회전바(241)는 스프링(미도시)의 탄력에 의해 중간 트러스유닛(237)의 내측으로 회전되어 주행용 레일(150)과 타워 유닛(230)이 서로 분리된다.
상기 주행용 레일(150)에는 이동바퀴(15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물창(10)의 바닥면을 따라 설치용 레일(130)의 양 끝단에서 화물창(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2개의 조립식 타워(200)는 제1 조립식 타워에 타워 유닛(230) 및 고정유닛(250)을 모바일 플랫폼(210)에 장착한 다음 주행용 레일(150)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제1 조립식 타워의 주행용 레일(150)이 설치되는 도중에 유닛 하강장치(500)에서는 타워 유닛(230), 상부 트러스유닛(242) 및 고정유닛(250)을 조립하면서 하강시켜 제2 조립식 타워를 설치하게 된다.
즉, S310 단계 내지 S3350 단계를 반복하게 되며, 이에 제2 조립식 타워(200)의 조립 및 설치에 따른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서 바스켓 설치 단계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24에서와 같이, 조립식 타워(200) 사이에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바스켓(300)을 설치하게 된다(S500).
상기 바스켓 설치 단계는 상기 조립식 타워(200)에 바스켓(3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립식 타워(200)가 상기 화물창(10)의 가스돔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510), 상기 조립식 타워(200)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승강 프레임(310)의 제1 프레임(311)을 하강시키는 단계(S520), 상기 조립식 타워(200)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승강 프레임(310)의 제2 프레임(312)을 하강시키는 단계(S530), 상기 제1 프레임(311) 및 제2 프레임(312)을 상기 조립식 타워(200)의 외측에 상기 바스켓(300)을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S540), 상기 바스켓(300)의 설치가 완료된 상기 조립식 타워(200)를 주행용 레일(150)로 이동시키는 단계(S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타워(200)는 모바일 플랫폼(210)에 의해 가스돔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S510).
이는 2개의 조립식 타워(200)인 제1 조립식 타워 및 제2 조립식 타워 각각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바스켓(300)을 설치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1 조립식 타워에 바스켓(300)을 설치한 다음 제1 조립식 타워는 주행용 레일(150) 쪽으로 이동되며, 제2 조립식 타워는 가스돔 위치로 이동되어 바스켓(30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바스켓(300)은 제2 프레임(312)에 붐대(330) 및 작업대(350)를 일체화시켜 가스돔을 통해 화물창(10) 내부로 하강시키게 되며, 이에 대응되는 제1 프레임(3111)을 하강시켜 이들을 일체로 조립함에 따라 바스켓(30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조립식 타워(200)가 가스돔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가스돔을 통해 제1 프레임(311)을 하강시키게 된다(S520).
한편 제1 프레임(311) 및 제2 프레임(312)의 하강은 크레인에 의해 먼저 제1 프레임(311)을 하강시킨 다음 조립식 타워(200)에 설치되어 있는 윈치(253)에 일시적으로 걸어둘 수 있다.
아울러 제2 프레임(312)에는 붐대(330) 및 작업대(350)를 일체로 조립하여 가스돔을 통해 크레인으로 하강시키게 된다(S530).
이렇게 하강된 제1 프레임(311) 및 제2 프레임(312)은 서로 맞댄 상태에서 핀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조립하여 조립식 타워(200)에 바스켓(300)을 설치하게 된다(S540).
상기 바스켓(300)은 제1 프레임(311) 및 제2 프레임(312)에는 다수의 바퀴(31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윈치(253)에 의해 자유로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00)이 조립된 제1 조립식 타워는 주행용 레일(1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되며, 이때 조립식 타워(200)는 설치용 보조레일(140)에 아우트리거(236)를 결합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방법에 구름다리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설치발방어세 구름다리의 설치 단계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25 및 도 26에서와 같이, 조립식 타워(200) 사이에는 구름다리(400)를 설치할 수 있다(S600). 상기 설치용 레일(130)의 설치 단계에서부터 조립식 타워(200)에 바스켓(300)을 설치하는 단계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기 구름다리 설치 단계는 다수로 분리된 구름다리(400)를 조립하면서 하강시키는 단계(S610), 상기 화물창(10) 내부로 투입된 상기 구름다리(400)의 일측을 상기 조립식 타워(200) 중 어느 하나에 결속(설치)하는 단계(S620), 상기 화물창(10) 내부로 투입된 상기 구름다리(400)의 타측을 상기 조립식 타워(200) 중 다른 하나에 결속(설치)하는 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름다리(400)는 유닛 하강장치(5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크레인에 의해 이동된 구름다리(400)를 일치시켜 이들을 고정핀 등의 고정수단으로 조립하면서 하강시키게 된다(S610),
이렇게 화물창(10) 내부로 투입된 구름다리(400)의 일측에 윈치(253)에 의해 제1 조립식 타워에 결속(설치)될 수 있다(S620). 또한 구름다리(400)의 타측은 제2 조립식 타워에 결속(설치)될 수 있다(S730).
이와 같이 설치된 갠트리 타워 크레인은 주행용 레일(150)을 따라 화물창(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바스켓(300)은 조립식 타워(200)에 설치되어 있는 윈치(253)에 의해 상하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스켓(300)의 붐대(330)는 화물창(10)의 벽면을 따라 길이 가변될 수 있으며, 회전 붐대(331)에 의해 작업대(350)를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부 트러스유닛(242)은 구름다리(400)와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있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레일 110: 보호 커버
130: 설치용 레일 150: 주행용 레일
200: 조립식 타워 210: 모바일 플랫폼
230: 타워 유닛 231: 하부 트러스유닛
235: 중간 트러스유닛 242: 상부 트러스유닛
250: 고정유닛 300: 바스켓
310: 승강 프레임 330: 붐대
350: 작업대 400: 구름다리
410: 발판 430: 발판 지지대
450: 보조 발판 500: 유닛 하강장치

Claims (35)

  1. 화물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2개의 주행용 레일,
    상기 주행용 레일을 따라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2개의 조립식 타워,
    상기 조립식 타워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조립식 타워 사이에 상기 화물창의 폭 방향으로 연결되는 구름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레일은 일정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레일 본체,
    상기 조립식 타워가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래크,
    상기 래크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래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레일은 상기 레일 본체의 저면에 상기 화물창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본체는 일측에 인접한 다른 레일 본체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레일 본체의 타측에 인접한 다른 레일 본체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복수개의 레일 본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타워는 상기 주행용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바일 플랫폼,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타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플랫폼 본체,
    상기 타워 유닛이 결합되도록 상기 플랫폼 본체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포스트,
    상기 주행용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래크와 맞물리도록 상기 플랫폼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상기 타워 유닛이 신속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 기둥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
    상기 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상기 조립식 타워가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안내레일의 측면에 밀착되어 안내되는 안내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롤러는 상기 안내레일의 측면에 밀착되는 안내구,
    상기 안내구가 결합되며 상기 플랫폼 본체의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유닛은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되는 하부 트러스유닛,
    상기 하부 트러스 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트러스유닛,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의 최상단에 결합되며 작업자의 통행로가 마련되는 상부 트러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러스유닛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각도로 교차되게 고정되는 교차프레임,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각도로 교차되게 고정되는 교차프레임,
    상기 교차프레임의 끝단에 고정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트러스유닛은 상기 수평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타워는 상기 타워 유닛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화물창의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타워 유닛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실린더,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되는 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실린더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실린더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플랫 베어링가 결합된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플랫 베어링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홈부가 형성된 제3 플레이트,
    상기 제3 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되며 화물창의 텅에 끼워지도록 홈부가 형성된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화물창의 벽면을 향해 길이 가변됨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조립식 타워의 외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 가변되는 붐대,
    상기 붐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조립식 타워의 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마련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조립식 타워의 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으로 상기 붐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돌출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붐대,
    상기 회전 붐대의 내부에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이동 붐대,
    상기 회전 붐대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 붐대 및 승강 프레임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조립식 타워와 연통되도록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난간,
    상기 회전 난간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 난간의 양측에 각각 일정 높이를 갖는 보조 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타워는 상기 주행용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바일 플랫폼,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타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타워는 상기 타워 유닛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화물창의 천장에 밀착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다리는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판,
    상기 발판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진 발판 지지대,
    상기 발판의 일측에 작업 공간이 연장되도록 외측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본체,
    상기 발판 본체의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지지대는 좌우 양측에 각각 소정 각도로 마련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일단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회전봉,
    상기 2개의 회전봉 사이에 고정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각각 상단에 난간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고리,
    상기 회전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고리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고리,
    상기 회전봉 및 연결봉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발판은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난간 프레임,
    상기 난간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난간은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난간프레임,
    상기 제1 난간프레임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난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난간 중 어느 하나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작업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난간이 서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상기 2개의 난간 사이에 연결되는 사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KR1020140189016A 2014-12-24 2014-12-24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KR101707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016A KR101707403B1 (ko) 2014-12-24 2014-12-24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CN201580071185.8A CN107108183A (zh) 2014-12-24 2015-06-09 货舱检验用门式起重机
SG11201705253PA SG11201705253PA (en) 2014-12-24 2015-06-09 Gantry tower crane for inspecting cargo hold
US15/539,439 US20170349419A1 (en) 2014-12-24 2015-06-09 Gantry tower crane for inspecting cargo hold
EP15873418.6A EP3239091A4 (en) 2014-12-24 2015-06-09 Gantry tower crane for inspecting cargo hold
JP2017552766A JP2018502776A (ja) 2014-12-24 2015-06-09 貨物倉点検用のガントリータワークレーン
PCT/KR2015/005785 WO2016104890A1 (ko) 2014-12-24 2015-06-09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016A KR101707403B1 (ko) 2014-12-24 2014-12-24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165A true KR20160078165A (ko) 2016-07-04
KR101707403B1 KR101707403B1 (ko) 2017-02-15

Family

ID=5615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9016A KR101707403B1 (ko) 2014-12-24 2014-12-24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349419A1 (ko)
EP (1) EP3239091A4 (ko)
JP (1) JP2018502776A (ko)
KR (1) KR101707403B1 (ko)
CN (1) CN107108183A (ko)
SG (1) SG11201705253PA (ko)
WO (1) WO20161048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026A (ko) * 2016-09-27 2018-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4693B2 (en) * 2015-11-19 2020-05-19 Pride Bodies Ltd. Crane support assembly
CN107499453B (zh) * 2017-09-02 2024-02-02 如皋市双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平台设备安装系统
FI127956B (en) * 2018-01-17 2019-06-14 Cargotec Finland Oy Service platform, boundary truck and procedure
CN108455460B (zh) * 2018-02-28 2023-12-29 平湖市华海造船有限公司 一种潜艇水上检修平台
KR102103990B1 (ko) * 2018-06-05 2020-04-24 코리아테크 주식회사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US11655641B2 (en) * 2019-12-29 2023-05-23 The Third Construction Co., Ltd Of China Construction Third Engneering Bureau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10102692A (ko) 2020-02-12 2021-08-20 유기성 갠트리 로봇
KR102261202B1 (ko) * 2020-10-05 2021-06-07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갠트리 타워 빔용 추락 방지 안전 장치
CN112208712B (zh) * 2020-10-20 2021-06-04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lng燃料罐箱水上吊装平台/船
CN112520569B (zh) * 2020-10-30 2022-05-27 贺州市新伟业粉体有限公司 一种装填碳酸钙粉体装置
US20220355508A1 (en) * 2021-05-06 2022-11-10 Icon Technology, Inc. 3d printing system
DE102021115715A1 (de) 2021-06-17 2022-12-22 Peri S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dditiven Fertigung eines Bauteils un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Vorrichtung zur additiven Fertigung
CN114182940A (zh) * 2021-12-03 2022-03-15 上海市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可移动升降桁架车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967A (ko) * 2005-11-22 2007-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계용 크레인 마스터 장치
KR20100040382A (ko) 2008-10-10 2010-04-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KR20110094755A (ko) * 2010-02-17 2011-08-24 오재욱 풍력발전기 유지보수크레인의 수동주행장치
KR20110134188A (ko) 2010-06-08 2011-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화물창의 이동식 족장 시스템
JP2013028468A (ja) * 2011-07-29 2013-02-07 Mitsui Zosen Tekko Koji Kk レール走行式門型クレーン
KR20140135551A (ko) * 2013-05-16 2014-1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형 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75051A (ko) * 1972-01-11 1974-11-27
JPH1046799A (ja) * 1996-08-01 1998-02-17 Nikko Co Ltd 複数マストの移動式昇降足場
FR2804984B1 (fr) * 2000-02-10 2002-09-20 Entrepose Echafaudages Systeme d'echafaudage pour capacites de formes diverses
KR100847906B1 (ko) * 2007-03-26 2008-07-29 성백섭 멀티 크레인
KR200455335Y1 (ko) * 2009-07-23 2011-09-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자 버튼 장치
AT510919A1 (de) * 2010-12-16 2012-07-15 Palfinger Systems Gmbh Instandhalt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967A (ko) * 2005-11-22 2007-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계용 크레인 마스터 장치
KR20100040382A (ko) 2008-10-10 2010-04-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KR20110094755A (ko) * 2010-02-17 2011-08-24 오재욱 풍력발전기 유지보수크레인의 수동주행장치
KR20110134188A (ko) 2010-06-08 2011-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화물창의 이동식 족장 시스템
JP2013028468A (ja) * 2011-07-29 2013-02-07 Mitsui Zosen Tekko Koji Kk レール走行式門型クレーン
KR20140135551A (ko) * 2013-05-16 2014-1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형 작업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026A (ko) * 2016-09-27 2018-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403B1 (ko) 2017-02-15
US20170349419A1 (en) 2017-12-07
WO2016104890A1 (ko) 2016-06-30
CN107108183A (zh) 2017-08-29
EP3239091A1 (en) 2017-11-01
EP3239091A4 (en) 2018-07-18
JP2018502776A (ja) 2018-02-01
SG11201705253PA (en)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403B1 (ko)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US20060219478A1 (en) Construction
US20100175951A1 (en) Access apparatus
KR101707404B1 (ko)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
US4732235A (en) Scaffolding
CN205369051U (zh) 一种用桥梁施工的吊车结构
KR20150127559A (ko) 접이식 매단 비계
CN202530730U (zh) 炉内铝合金检修平台
US9938732B1 (en) Articulating staging system for manufacturing
KR20080093514A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JPH0214994A (ja) 引込み式作業デッキを持つ鑿井及び採油プラットホーム
JP6431652B2 (ja) 高欄用足場装置
KR101816700B1 (ko) 현수 비계용 발판연설 장치 및 방법
CN204532035U (zh) 移动折叠检修平台
KR100561709B1 (ko) 교량 상판 하부받침장치 안전점검시설
KR20160075241A (ko) 화물창 점검용 케이블 리프팅 타워 크레인
JP4630701B2 (ja) 索道における支柱の可動式点検台
JP2006057337A (ja) 吊足場およびその構築方法
CN217812236U (zh) 一种装配式可升降水上操作平台
GB2538221A (en) Platform
JP2004169475A (ja) 橋構造物用点検作業台
KR20160016132A (ko) 작업 플랫폼 및 작업 플랫폼 사용 방법
KR20160001148A (ko) 화물창의 이동식 타워 크레인 및 그 설치방법
CN104453689B (zh) 移动折叠检修平台
KR200349986Y1 (ko) 교량 상판 하부받침장치 안전점검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