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990B1 -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990B1
KR102103990B1 KR1020180064807A KR20180064807A KR102103990B1 KR 102103990 B1 KR102103990 B1 KR 102103990B1 KR 1020180064807 A KR1020180064807 A KR 1020180064807A KR 20180064807 A KR20180064807 A KR 20180064807A KR 102103990 B1 KR102103990 B1 KR 10210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ilding structure
rail
lifting device
ra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409A (ko
Inventor
길광진
Original Assignee
코리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9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는, 건축구조물의 임의 층 바닥면에 설치된 베이스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레일유닛, 상기 제1레일유닛 상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레일유닛, 상기 제2레일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 상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인출유닛 및 상기 인출유닛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승강물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Lifting Apparatus Installed in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외측에 위치된 승강물을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의 임의의 층에 내설된 형태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축 기술의 발달로 인해 과거에 비해 보다 고층의 건축구조물이 활발하게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층의 건축구조물은 외벽의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어려우므로,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의 옥상 등에서 작업자가 탑승한 간이 비계 등과 같은 승강물을 지지하여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장치를 통해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승강장치는 건축구조물에 설치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건축구조물의 가장 높은 위치에서 승강물을 하향시키게 되므로 저층 부분을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는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승강장치와 승강물과의 거리가 먼 상태에서는 바람 등과 같은 외부의 영향이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승강장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것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을 크게 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KR10-1994-0002157 1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건축구조물에 내설되는 형태의 승강장치를 통해 건축구조물 외벽의 유지/보수 과정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는, 건축구조물의 임의 층 바닥면에 설치된 베이스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레일유닛, 상기 제1레일유닛 상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레일유닛, 상기 제2레일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 상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인출유닛 및 상기 인출유닛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승강물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레일유닛은 상기 제2레일유닛과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레일유닛을 축회전시키는 제1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에 의한 상기 제2레일유닛 전단이 형성하는 회전 궤적의 원호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해당 층 면적 내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인출유닛과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인출유닛을 축회전시키는 제2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유닛은, 서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단위레일부를 포함하여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유닛의 최소 길이는 상기 제2레일유닛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인출유닛은 상기 제2레일유닛의 면적 내에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간이 비계를 상기 승강물로서 더 포함하며, 상기 간이 비계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에 탑승공간이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축구조물의 외벽에는 앵커부가 구비되며, 상기 간이 비계는, 상기 앵커부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앵커부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위치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유도부는, 상기 앵커부에 걸어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후크, 상기 후크에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권취량을 조절하는 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건축구조물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 이상에 내설된 형태를 가지므로, 건축구조물의 시공 이후 유지/보수를 위한 별도의 설치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승강장치에 비해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승강장치의 운용 과정에서의 번거로움 및 장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적은 흔들림으로 승강물에 탑승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가 건축구조물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모습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가 건축구조물에 내설된 상태에서 운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간이 비계에 탑승하여 건축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에 있어서, 간이 비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100)가 건축구조물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100)는 건축구조물(B)의 임의 층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승강장치(100)는 건축구조물(B)의 최상층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일정 간격의 층마다 설치될 수도 있는 등 그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승강장치(100)가 일정 간격의 층마다 설치될 경우, 하나의 승강장치(100)로부터 하강되는 승강물의 낙하 거리가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으므로, 승강물을 매우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장치(100)가 설치되는 건축구조물(B)의 임의 층 바닥면(f)에는 베이스레일(5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100)는 상기 베이스레일(50) 상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도 1을 베이스로 하여, 도 2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며 상기 승강장치(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100)의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100)의 모습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100)는 제1레일유닛(110)과, 제2레일유닛(120)과, 이동유닛(130)과, 인출유닛(140)과, 승강유닛(150)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장치(100)는 상기 승강유닛(15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승강물인 간이 비계(2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레일유닛(110)은 건축구조물(B)의 임의 층 바닥면(f)에 설치된 베이스레일(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레일유닛(110)은 상기 베이스레일(5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지점을 제공하는 제1슬라이드부(112)와, 상기 제2레일유닛(120)과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레일유닛(120)을 축회전시키는 제1회전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일유닛(120)은 상기 제1레일유닛(110) 상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레일유닛(120)은 상기와 같이 상기 제1레일유닛(110)의 상기 제1회전부(114)와 연결되므로, 상기 제1회전부(1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유닛(130)은 상기 제2레일유닛(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레일유닛(120)의 양측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2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슬라이드부(132)와, 상기 인출유닛(140)과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인출유닛(140)을 축회전시키는 제2회전부(134)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승강장치(100)는 제1레일유닛(110)의 슬라이딩 이동 및 상기 이동유닛(1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각각 제어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유닛(110) 위치에 따른 상기 승강장치(100)의 기본 지지 위치와, 상기 이동유닛(130)의 위치에 따른 상기 인출유닛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유닛(140)은 상기 이동유닛(130) 상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출유닛(140)은 서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단위레일부(140a, 140b, 140c)를 포함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됨에 따라 길이 조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인출유닛(140)이 전개된 상태에서 무게 중심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2레일유닛(120) 및 상기 인출유닛(140)의 후단에는 중량체가 더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승강장치(100)의 운용을 위해 마련되는 타 구성요소들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인출유닛(140)의 최소 길이는 상기 제2레일유닛(1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인출유닛(140)은 도 2와 같은 형태로 상기 제2레일유닛(120)의 면적 내에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회전부(114)에 의해 상기 제2레일유닛(120)이 건축구조물(B) 내부에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유닛(140)이 상기 제2레일유닛(1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인출유닛(140)이 건축구조물(B)의 내벽에 충돌하는 상황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출유닛(140)의 전단부에는, 간이 비계(200)와 같은 승강물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승강유닛(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장치(100)는 상기 각 구성요소에 의한 위치 이동 및 길이 조절뿐 아니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부(114) 및 제2회전부(134)에 의한 제2레일유닛(120) 및 인출유닛(140)의 축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제1회전부(114)를 통해 제2레일유닛(120)의 기본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2레일유닛(120)의 회전 각도를 고정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제2회전부(134)를 통해 제2레엘유닛(14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레일유닛(110) 및 상기 이동유닛(130)의 슬라이드 이동과, 상기 제2레일유닛(120) 및 인출유닛(140)의 회전각 조절, 그리고 인출유닛(140)의 길이 가변 시스템을 통해 한정된 건축구조물(B)의 공간 내에서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100)가 건축구조물(B)에 내설된 상태에서 운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건축구조물(B) 내에서 상기 인출유닛(140)이 상기 제2레일유닛(120)의 면적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레일유닛(120)의 위치 이동 및 회전 각도 조절을 통해 인출유닛(140)을 건축구조물(B)의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후 건축구조물(B)의 창문 등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인출유닛(140)을 건축구조물(B)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인출유닛(140)의 전개 길이, 그리고 상기 제2레일유닛(120) 및 상기 인출유닛(14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며 상기 승강유닛(150)을 통해 승강물을 낙하시켜 건축구조물(B)의 외벽 전 면적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운용 과정에서 상기 승강장치(100)가 건축구조물(B)의 내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회전부(114)에 의한 상기 제2레일유닛(120) 전단이 형성하는 회전 궤적의 원호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해당 층 면적 내에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승강유닛(150)을 통해 상하 이동되는 승강물인 간이 비계(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100)에 있어서, 작업자(P)가 간이 비계(200)에 탑승하여 건축구조물(B)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이 비계(200)는 작업자(P)가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에 탑승공간(212)이 형성된 몸체부(210)와, 상기 승강장치(150)와의 와이어 연결을 위한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건축구조물(P)이 상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를 가져 외벽이 순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를 위해, 상기 몸체부(210)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부(230)는 상기 건축구조물(B)의 외벽에 접촉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간이 비계(200)의 몸체부(210)가 상기 건축구조물(B)의 외벽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100)에 있어서, 간이 비계(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간이 비계(200) 역시 제1실시와 마찬가지로 몸체부(210), 연결부(220) 및 롤러부(230)를 포함하나, 상기 몸체부(21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위치유도부(250) 및 체결부(240)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 다르다.
상기 위치유도부(250)는 상기 건축구조물(P)이 상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는 구조를 가져 외벽이 역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에 상기 몸체부(210)를 상기 건축구조물(B)의 외벽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건축구조물(B)의 외벽에는 삽입홀(6)이 형성된 앵커부(5)가 임의의 위치마다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유도부(250)는 상기 앵커부(5)에 걸어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후크(258)와, 상기 후크(258)에 연결된 와이어(256)와, 상기 와이어(256)의 권취량을 조절하는 릴(2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건축구조물(P)의 외벽이 역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 작업자는 도 9와 같이 상기 위치유도부(250)의 후크(258)를 그립한 상태로 상기 릴(252)에 권취된 와이어(256)를 풀어 충분한 길이를 가지게 한 뒤, 상기 후크(258)를 상기 앵커부(5)의 삽입홀(6)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252)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256)를 재권취하게 될 경우, 상기 앵커부(258)에 고정된 후크(258)에 의해 상기 몸체부(210)가 상기 앵커부(258)에 인접하도록 이동되며, 작업자(P)는 건축구조물(B)의 외벽에 대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축구조물(B)의 외벽에는 상기 앵커부(5)와 소정 거리 이격된 고정부(1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간이 비계(200)의 체결부(240)는 상기 몸체부(210)가 상기 앵커부(5)와 충분히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0)에 체결되어 상기 몸체부(21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유도부(250)는 유동성이 있는 와이어(256)를 포함하므로 상기 몸체부(2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체결부(24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고정을 보조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240)는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체결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위체결부재(242)가 절첩된 상태에서는 상기 롤러부(230)보다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0)와의 체결을 진행할 경우에는 길이를 증가시켜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위체결부재(242)의 상하/좌우 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240)는 상기 단위체결부재(242)가 고정되는 제1이동플레이트(244)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44)가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가이드홈(247)이 형성된 제2이동플레이트(246)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46)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가이드홈(249)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248)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는 상기 단위체결부재(242)가 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10)와의 위치가 어긋날 경우 체결이 어렵게 되므로, 그 오차를 보정하여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베이스레일
100: 승강장치
110: 제1레일유닛
112: 제1슬라이드부
114: 제1회전부
120: 제2레일유닛
130: 이동유닛
132: 제2슬라이드부
134: 제2회전부
140: 인출유닛
150: 승강유닛
200: 간이 비계
210: 몸체부
220: 연결부
230: 롤러부
240: 체결부
250: 위치유도부

Claims (9)

  1. 건축구조물의 임의 층 바닥면에 설치된 베이스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레일유닛;
    상기 제1레일유닛 상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레일유닛;
    상기 제2레일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 상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인출유닛; 및
    상기 인출유닛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승강물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승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물은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에 탑승공간이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는 간이 비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구조물의 외벽에는 앵커부가 구비되며,
    상기 간이 비계는, 상기 앵커부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앵커부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위치유도부를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유닛은 상기 제2레일유닛과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레일유닛을 축회전시키는 제1회전부를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에 의한 상기 제2레일유닛 전단이 형성하는 회전 궤적의 원호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해당 층 면적 내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인출유닛과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인출유닛을 축회전시키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유닛은,
    서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단위레일부를 포함하여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유닛의 최소 길이는 상기 제2레일유닛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인출유닛은 상기 제2레일유닛의 면적 내에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된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유도부는,
    상기 앵커부에 걸어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후크;
    상기 후크에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권취량을 조절하는 릴;
    을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KR1020180064807A 2018-06-05 2018-06-05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KR102103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07A KR102103990B1 (ko) 2018-06-05 2018-06-05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07A KR102103990B1 (ko) 2018-06-05 2018-06-05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629A Division KR20190138616A (ko) 2019-09-16 2019-09-16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09A KR20190138409A (ko) 2019-12-13
KR102103990B1 true KR102103990B1 (ko) 2020-04-24

Family

ID=6884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807A KR102103990B1 (ko) 2018-06-05 2018-06-05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137A (ko) * 1998-03-18 1999-10-15 이정민 용기목의 밀폐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057B1 (ko) * 2008-01-21 2008-11-17 (주) 효성 교량 시공용 선회식 작업대차
JP2018502776A (ja) * 2014-12-24 2018-02-01 デウー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マリ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貨物倉点検用のガントリータワークレー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0619D0 (en) * 2005-01-13 2005-02-23 Severfield Rowen Plc Improvements relating to construction
KR20140002618U (ko) * 2012-10-25 2014-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
KR101824066B1 (ko) * 2016-04-27 2018-02-01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057B1 (ko) * 2008-01-21 2008-11-17 (주) 효성 교량 시공용 선회식 작업대차
JP2018502776A (ja) * 2014-12-24 2018-02-01 デウー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マリ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貨物倉点検用のガントリータワークレー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137A (ko) * 1998-03-18 1999-10-15 이정민 용기목의 밀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09A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1376C2 (ru)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лифтовой установки и адаптируемая к возрастающей высоте здания лиф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CN108431345B (zh) 攀爬设备和用于建造建筑物的攀爬方法
US7997000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the alignment plumb lines of the guide rails of an elevator
CN102216545B (zh) 移动式悬臂平台及其安装方法
CN101525102B (zh) 用于在升降机中限制水平运动的系统
CA2969603A1 (en) Elevator having a movable machine room
US20210147183A1 (en) Elevator system
KR102103990B1 (ko)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KR101768092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부 설치용 안전장치
KR20020062259A (ko) 레일 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이동형 비계
JP6449423B1 (ja) 作業用ゴンドラ
EP2774887B1 (en) Door sill unit and method for an elevator landing door unit
CN115749237B (zh) 一种高层装配式建筑整体作业平台
KR20190138616A (ko)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KR102377324B1 (ko) 창호용 수직 승강장치
JP6789836B2 (ja) 重量物運搬装置、及び重量物運搬方法
JP2002046951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用足場装置
JP4351110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の可動乗場装置
KR20210023098A (ko)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KR101307214B1 (ko) 아파트 건설현장용 승강기 출입 가이드장치
KR20200077843A (ko) 승강형 가이드슈를 이용한 건물 외벽 시공방법
WO200310413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08326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脱落防止装置
CN220906858U (zh) 一种用于电梯无脚手架施工的头顶保护装置
JP7099423B2 (ja) 梯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