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811B1 - 중량물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811B1
KR101011811B1 KR1020090039008A KR20090039008A KR101011811B1 KR 101011811 B1 KR101011811 B1 KR 101011811B1 KR 1020090039008 A KR1020090039008 A KR 1020090039008A KR 20090039008 A KR20090039008 A KR 20090039008A KR 101011811 B1 KR101011811 B1 KR 101011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ylinder rod
bar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1730A (ko
Inventor
최기훈
정석태
조우준
Original Assignee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8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4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suspended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6Load-enga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고정어셈블리(18)가 설치되는 베이스유닛(10)과, 제2고정어셈블리(40)가 구비되는 구동유닛(30),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30)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유닛(10)의 타측에 구비되는 헤드유닛(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유닛(10), 구동유닛(30) 및 헤드유닛(50)을 각각 관통하는 강연선(W)은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어셈블리(18.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구동유닛(30)의 실린더로드(35)를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승강되고,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 및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외면에는 제1 및 제2작동유닛(20,60)이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35)의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어셈블리(18,4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승강장치, 중량물, 유압실린더

Description

중량물 승강장치{Elevating apparatus for materials}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건축자재 등과 같은 중량물을 끌어올리거나 또는 아래로 내리기 위한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등을 건설하는 공법의 일례로 프리캐스트 캔틸레버공법(precast fre cantilever method)이 사용된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캔틸레버공법은, 먼저 대블록 프리케스트 박스거더(P.C box Girder, 이하 '대블록'이라 함)를 별도로 제작하여 바지(barge)선으로 공사지점까지 운반하고,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인양하여 가설(架設)한 후에, 별도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이하 '소블록'이라 함)를 붙여 이어나가면서 캔틸레버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이러한 프리캐스트 캔틸레버공법을 이용하여 교량을 건설하는 모습이 예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캔틸레버공법은 대블록(1)의 양쪽에 각각 소블록(4)을 설치하여 둘 사이가 점점 가까워지도록하여, 최종적으로 둘 사이를 연결하는 시공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에 콘크리트 를 타설하여 소블록(4)사이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면서 공사가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3은 교각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리캐스트 캔틸레버공법은 일반적으로 지상으로부터 그 높이가 매우 높은 교량에서 이루어지므로, 거푸집이나 철근 기타 공사자재(P)를 인양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러한 공사자재(P)를 인양하기 위해서는 크레인과 같은 양중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크레인은 비교적 고가의 장비로서, 공사비용을 증가시키고, 날씨 등의 환경에 영향받기 쉬워 공사기간이 늘어나거나 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량의 이미 가설된 부분, 즉 상기 대블록(1)이나 소블록(4) 상에 별도의 승강장치(8)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서 보듯이, 교량의 이미 가설된 캔틸레버 상면에 승강장치(8)를 설치하고, 건설부재(P)에 연결된 강연선(W)을 상기 승강장치(8)가 끌어올림으로써 건설부재(P)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건설부재(P)는 비교적 중량이 매우 크므로, 이와 같은 승강장치(8)가 건설부재(P), 보다 정확하게는 건설부재(P)에 연결된 강연선(W)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로 승강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는 동작상태에 따라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와 이를 해제한 상태가 정확하게 제어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제어는 보통 유압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큰 중량을 갖는 건설부재(P)의 선택적인 고정을 위해 유 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압장치의 정확한 제어가 필요하게 되므로 승강장치(8)의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건설부재(P)를 승강시키기 위한 힘과는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하게 되므로 승강장치(8)의 설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크레인과 같은 양중장치 없이 교량의 가설된 부분에 설치되어 지상에 적재된 건설부재 등 중량물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물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어셈블리의 제어가 건설부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의 작동에 연동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강연선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중량물 승강장치에 있어서, 지지면에 안착되고 상기 강연선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베이스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에 설치되고 실린더로드가 양방향으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타측을 향하는 일단에는 상기 강연선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유닛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헤드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 및 상기 실린더로드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어셈블리를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작동 유닛 및 제2작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유닛, 구동유닛 및 헤드유닛을 각각 관통하는 상기 강연선은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어셈블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를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승강되고, 상기 제1 및 제2작동유닛에는 캠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작동에 연동된 회전을 통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 및 제2고정어셈블리를 작동시켜 상기 강연선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 및 제2고정어셈블리는 일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쐐기공이 형성되는 어셈블리몸체와, 상기 어셈블리몸체의 쐐기공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쐐기공에 대응되는 조임공이 형성되며 상기 쐐기공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쐐기공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조임공이 직경이 작아지는 쐐기와, 상기 쐐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어셈블리몸체에 연결되며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쐐기에 상기 어셈블리몸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작동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에 연동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블록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작동바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제1작동몸체와, 상기 제1작동몸체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에 의해 이동되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를 쐐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이동바와, 상기 제1작동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작동바에 그 일측이 눌려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가 쐐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캠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의 작동방향을 따라 링크바가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로드에는 작동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헤드유닛을 향해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가 상기 링크바의 걸림편을 들어올려 링크바를 직선운동시키고 상기 링크바는 상기 제1작동유닛의 이동블록을 이동시킨다.
상기 제1캠블록에는 제1눌림돌기 및 제2눌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눌림돌기 및 제2눌림돌기는 각각 상기 제1작동유닛에 구비된 작동바 및 상기 실린더로드의 작동플레이트에 구비된 푸시바에 의해 눌려 제1캠블록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2작동유닛은 상기 실린더로드에 고정되는 제2작동몸체와, 상기 제2작동몸체에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를 쐐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구동바와, 상기 제2작동몸체에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구동바와, 상기 제2작동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구동바에 의해 눌려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쐐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제2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2캠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유닛은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구동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실린더로드가 입출된다.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를 향하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단에는 작동플레이트가 설치되는데, 상기 작동플레이트에는 걸이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바의 일단에 구비된 걸림편이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링크바가 상기 실린더로드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의 일단에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커버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스바를 포함하여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커버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가 입출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커버에는 누름바가 구비되어, 상기 제2작동유닛이 상기 실린더로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작동유닛의 제2캠블록에 구비된 제2눌림돌기가 상기 누름바에 의해 눌려 상기 제2캠블록이 회전된다.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돌출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이 구비되는데,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강연선에 연결된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로드의 초기위치 및 가장 돌출된 상태인 말기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하강센서와, 상기 강연선에 연결된 중량물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완전히 하강하여 상기 작동바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캠블록을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링크바가 상승하면서 상기 캠 블록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하강센서 사이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상승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승강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량물 승강장치가 교량 등의 이미 축조된 부분에 설치되어 지상에 있는 건축자재와 같은 중량물을 유압 등을 이용하여 점차적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양중장치 없이도 중량물을 승강시킬 수 있어 작업비용이 감소되고 날씨 등의 영향에 상관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중량물을 끌어올리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중량물에 연결된 강연선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어셈블리가,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의 작동에 연동되어 강연선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유압 등을 이용하여 고정어셈블리를 제어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어셈블리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 및 고정유닛을 정밀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와 제어장치 등이 생략될 수 있어 승강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구조 변경없이,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상승센서와 하강센서를 통해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가 돌출되는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중량 물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장치의 제어가 쉬워지고 설계가 단순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를 들어올려 강연선이 쐐기에 물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부품(이동바, 제1구동바)과, 가압플레이트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품(제1캠블록, 제2캠블록)이 별도로 구성되므로, 어느 한 부품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승강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작동유닛 및 제1고정어셈블리가 중량물에 연결된 강연선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의 모습이 각각 사시도 및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작동유닛 및 제1고정어셈블리가 중량물에 연결된 강연선을 고정한 상태의 모습이 각각 사시도 및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중량물 승강장치의 골격은 베이스유닛(10)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유닛(10)은 지면 또는 교량의 상면 등 지지면에 실질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중량물 승강장치를 고정하고, 중량물에 연결된 강연선(W)을 선 택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유닛(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그리고,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바(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는 지지면에 안착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링크바(15)의 일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2)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스바(13)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소정의 공간 사이로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유닛(30)의 실린더로드(35)가 직선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 사이에는 링크바(15)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바(15)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 사이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링크바(15)는 구동유닛(30)의 실린더로드(35)를 따라 이동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작동유닛(20)의 이동블록(21)을 직선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링크바(15)는 제1작동유닛(20)의 이동블록(21)을 들어올려, 이동블록(21)이 아래에서 설명될 제1고정어셈블리(18)의 가압플레이트(18c)를 들어올리도록 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링크바(15)의 일단은 제1작동유닛(20)의 이동블록(2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2)에 형성된 관통공(12')에 설치되어 관통공(12') 내외부로 입출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링크부(15)의 외면에는 플랜지부(15')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부(15') 는 실린더로드(35)에 고정되는 후술할 작동플레이트(36)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실린더로드(35) 및 이에 연결된 작동플레이트(36)가 구동유닛(30)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작동플레이트(36)의 걸이슬롯(39)이 플랜지부(15')를 건 상태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링크바(15)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5')의 형상은 도 10a에 보다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제1고정어셈블리(18)가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는 상기 강연선(W)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자세한 구조는 도 3a 및 도 3b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는 크게 어셈블리몸체(18a)와 쐐기(18b), 그리고 가압플레이트(18c)로 구성된다. 상기 어셈블리몸체(18a)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도 3b에서 보듯이 그 내부에는 쐐기공(18a')이 형성된다. 상기 쐐기공(18a')은 그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이에 쐐기(18b)가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쐐기(18b)의 외면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쐐기(18b)는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조임공(H)이 형성된다. 이때, 정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쐐기(18b)는 그 일측이 벌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공(18a')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조임공(H)이 내경이 변하여 상기 조임공(H)을 통과하는 강연선(W)을 조여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도 4b에는 상기 쐐기(18b)가 상기 어셈블리몸체(18a)의 쐐기공(18a')에 삽입되어 조임공(H)이 줄어든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압플레이트(18c)는 상기 쐐기(18b)를 상기 어셈블리몸체(18a) 방향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압플레이트(18c)는 상기 쐐기(18b)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어셈블리몸체(18a)에 체결구(B)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B)에는 탄성부재(S)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18c)가 상기 어셈블리몸체(18a)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되는 것이다.(도 4b의 화살표 ①방향) 이에 따라 상기 가압플레이트(18c)에 의해 눌린 쐐기(18b)는 쐐기공(18a')의 내면에 눌려 화살표②방향으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조임공(H)의 내경이 줄어드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에는 제1작동유닛(2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작동유닛(20)은 상기 링크바(15)에 연동되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가 상기 강연선(W)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작동유닛(20)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고정어셈블리(18)의 일부 구성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제1작동유닛(20)은 크게 이동블록(21)과 제1작동몸체(25) 그리고 제1캠블록(28)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록(21)은 상기 링크바(15)에 연결되어 링크바(15)와 함께 이동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바(도시되지 않음) 및 작동바(26)를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작동유닛(20)의 이동블록(21)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이동블록(21)은 블록몸체(21a)가 그 골격을 구성하고, 상기 블록몸체(21a)에는 받침판(21b)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 판(21b)은 상기 블록몸체(21a)의 일측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바 및 작동바(26)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블록(21)에는 체결공(21c)이 구비되어 상기 링크바(15)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21)에는 스토퍼슬롯(21d)이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슬롯(21d)에는 후술할 스토퍼(22)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블록(21)의 이동행정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21f는 스토퍼(22)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나타낸다.
상기 제1작동유닛(20)에는 스토퍼(22)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22)는 후술할 제1작동몸체(25)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블록(21)의 이동행정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는 스토퍼(22)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서 보듯이, 상기 스토퍼(22)는 그 골격을 형성하는 스토퍼몸체(22a)와 상기 스토퍼몸체(22a)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22c)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몸체(22a)는 상기 이동블록(21)의 삽입공간(21f)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부(22c)는 이동블록(21)의 스토퍼슬롯(21d)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부(22c)는 상기 이동블록(21)의 이동과정에서 스토퍼슬롯(21d)의 양단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이동블록(21)의 이동행정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몸체(22a)에는 상기 삽입공간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판(22b)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22b) 및 상기 걸림부(22c)를 관통하도록 체결공(22d)이 형성되어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스토퍼(22)가 제1작동몸체(25)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작동유닛(20)에는 제1작동몸체(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작동몸체(25)는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블록(21)과 상대이동된다. 상기 제1작동몸체(25)는 상기 스토퍼(22)와 결합되고,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제1캠블록(28)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7에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제1작동몸체(25)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작동몸체(25)에는 회전공간(25a)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공간(25a)은 제1캠블록(28)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부분으로, 그 일측에는 회전공(25b)이 형성되어 제1캠블록(28)의 회전축(x, 도 2 참조)이 삽입된다.
상기 제1작동몸체(25)에는 승강홀(25c)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홀(25c)은 이동바가 입출되는 부분으로, 제1작동몸체(2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이동바는 상기 이동블록(21)의 받침판(21b)에 의해 들어 올려져 상기 승강홀(25c)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이동바는 다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의 가압플레이트(18c)를 들어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도 2에는 이동바의 모습이 제1고정어셈블리(18)의 가압플레이트(18c) 등에 가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이동바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작동유닛(60)의 제1구동바(62)와 유사한 형상,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헤드부가 구비된 볼트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바는 상기 승강홀(25c)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고 걸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몸체(25)에는 돌출부(25d)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25d)는 상기 제1작동몸체(25)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돌출부(25d)에는 두 개 의 체결공(25e)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가 삽입된다.
상기 제1작동몸체(25)에는 관통공(25f)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5f)에는 작동바(26, 도 2 및 도 3a에 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바(26)는 제1캠블록(28)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바에 의해 들어 올려진 가압플레이트(18c)를 지지하여 가압플레이트(18c)가 들어 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정리하면, 상기 이동바와 작동바(26)는 각각 상기 승강홀(25c) 및 관통공(25f)에서 승강되면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의 가압플레이트(18c) 및 제1캠블록(28)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동바는 가압플레이트(18c)를 직접 들어 올려 제1고정어셈블리(18)가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작동바(26)는 제1캠블록(28)을 회전시켜 상기 가압플레이트(18c)가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바와 작동바(26)는 상기 이동블록(21)의 받침판(21b)에 의해 들어올려 진다. 즉 상기 이동블록(21)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21)의 받침판(21b) 상에 그 일단이 안착되어 있던 이동바와 작동바(26)가 받침판(21b)에 밀려 헤드유닛(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작동몸체(25)에는 제1캠블록(28)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캠블록(28)은 상기 회전을 통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의 가압플레이트(18c)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8에는 상기 제1캠블록(28)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캠블록(28)에는 캠부(28a)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캠부(28a)는 상기 제1캠블록(28)이 회전되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의 가압플레이트(18c)를 지지하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캠블록(28)에는 제1눌림돌기(28b)와 제2눌림돌기(28c)가 구비된다. 이들은 상기 제1캠블록(28)으로부터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각각 상기 작동바(26) 및 아래에서 설명될 푸시바(37, 도 2에 도시)에 의해 눌려 제1캠블록(28)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캠블록(28)에는 축공(28d)이 형성되는데, 상기 축공(28d)에는 상기 제1캠블록(28)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x, 도 2의 확대부분)이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2를 기준으로, 구동유닛(3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구동유닛(30)은 상기 강연선(W)을 끌어올리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유닛(30)은 실린더로드(35)가 실린더헤드(31)의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복동실린더로 구성된다. 즉, 상기 실린더로드(35)는 상기 베이스유닛(10) 또는 후술할 헤드유닛(50)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2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5)가 베이스유닛(10)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유닛(30)은 상기 베이스유닛(10)의 지지플레이트(12)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를 향하는 실린더로드(35)의 일단에는 작동플레이트(36)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플레이트(36)는, 도 2에 잘 도시된 것처럼, 대략 사각판형상으 로, 다수개의 푸시바(37)가 설치된다. 상기 푸시바(37)는 상기 제1캠블록(28)의 제2눌림돌기(28c)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플레이트(36)에는 걸이슬롯(39)이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슬롯(39)에는 상기 링크바(15)가 삽입되고, 상기 걸이슬롯(39)의 가장자리에는 링크바(15)의 플랜지부(15')가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걸어진다. 즉, 상기 작동플레이트(36)가 상기 실린더로드(35)를 따라 상기 헤드유닛(30)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슬롯(39)에 상기 링크바(15)의 플랜지부(15')가 걸어지고, 상기 작동플레이트(36)가 계속 이동되면 상기 링크바(15)가 상기 작동플레이트(36)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작동플레이트(36)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36)는 상기 링크바(15)를 이동시키지 않게 되나, 상기 작동플레이트(36)가 어느 정도 상승하게 되면 상기 링크바(15)의 플랜지부(15')를 걸고 상승하여 링크바(15) 전체가 상승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유닛(30)의 실린더로드(35) 중, 상기 작동플레이트(36)이 설치된 일단의 반대편에는 제2고정어셈블리(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는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와 마찬가지로 상기 강연선(W)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그 구성은 제1고정어셈블리(18)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 역시 어셈블리몸체(41)와 쐐기(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가압플레이트(45)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헤드유닛(5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헤드유닛(50)은 상기 구동유닛(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유닛(10)의 타측에 설치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헤드유닛(50)은 상기 베이스유닛(10)과 매우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유닛(50)은 상기 구동유닛(30)의 일측에 고정되는 장착플레이트(51)와, 상기 장착플레이트(51)로부터 이격된 커버(52), 그리고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스바(53)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51)와 커버(52)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5)가 입출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52)에는 누름바(55)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바(55)는 상기 장착플레이트(51)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2작동유닛(60)의 제2캠블록(68)에 구비된 제2눌림돌기(68c)를 눌러, 제2캠블록(68)을 회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누름바(55)는 상기 제2캠블록(68)에 구비된 제2눌림돌기(68c)를 상기 장착플레이트(51) 방향으로 눌러 상기 제2캠블록(68)이 반시계방향(도 9a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캠블록(6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9b와 같은 상태가 되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가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에는 제2작동유닛(60)이 설치된다. 상기 제2작동유닛(60)은 상기 제1작동유닛(2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를 작동시켜 제2고정어셈블리(40)가 강연선(W)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상태를 해제하 도록 한다. 다만, 상기 제2작동유닛(60)은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35)와 함께 이동된다는 점에서 상기 베이스유닛(10)에 고정되는 제1작동유닛(20)과 차이가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제2작동유닛(60)의 골격은 제2작동몸체(61)가 형성한다. 상기 제2작동몸체(61)는 상기 제1작동유닛(20)의 제1작동몸체(25)와 유사한 형상이다.
상기 제2작동몸체(61)에는 제1구동바(62)가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바(62)는 상기 제2작동몸체(61)에 상기 실린더로드(35)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제1구동바(62)는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가압플레이트(45)를 어셈블리몸체(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W)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바(62)는 볼트의 헤드부와 같이, 그 일단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제1구동바(62)가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작동몸체(6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2작동몸체(61)에는 제2구동바(63)가 설치된다. 상기 제2구동바(63) 역시 상기 제2작동몸체(61)에 상기 실린더로드(35)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제2구동바(63)는 후술할 제2캠블록(68)의 제1눌림돌기(68b)를 눌러 제2캠블록(68)이 회전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캠블록(68)이 회전되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가압플레이트(45)가 쐐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1구동바(62)와 제2구동바(63)는 각각 상기 제2작동몸체(61)의 하방으로 적어도 그 일부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작동몸체(61)가 실린더로드(35)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장착플레이트(51)의 상면에 눌려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가압플레이트(45) 및 제2캠블록(68)의 제1눌림돌기(68b)를 눌러주게 된다.
상기 제2작동몸체(61)에는 제2캠블록(68)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2캠블록(68)은 회전을 통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가압플레이트(45)가 어셈블리몸체(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캠블록(68)의 정확한 형상은 상기 제1캠블록(28)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유닛(10)에는 센서유닛(70)이 구비된다. 상기 센서유닛(70)은 상기 실린더로드(35)의 돌출정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강센서(72)와 상승센서(75)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유닛(70)의 골격은 센서몸체(71)가 형성하고, 상기 센서몸체(7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하강센서(72)와 상승센서(75)는 설정을 통해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강센서(72)는 상기 중량물을 하강시키기 위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몸체(71)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하강센서(72)는 상기 실린더로드(35)의 초기 위치, 즉 상기 실린더로드(35)가 상기 헤드유닛(50) 방향으로 완전히 돌출되어 베이스유닛(10) 방향으로는 돌출되지 않은 상태와, 말기상태, 즉 상기 실린더로드(35)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를 향해 완전히 돌출된 상태를 각각 감지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하강센서(72)가 감지한 신호가 별도의 제어장치에 전달되고,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로드(35)는 그 돌출되는 정도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승센서(75)는 상기 중량물을 상승시키기 위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역시 상기 센서몸체(71)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다만, 상기 한 쌍의 상승센서(75)는 상기 하강센서(72) 사이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하강동작에 비해 상기 실린더로드(35)의 이동행정이 작아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작동플레이트(36)의 푸시바(37)가 상기 제1고정유닛(20)의 제1캠블록(28)을 회전시키기는 위치까지 실린더로드(35)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작동플레이트(36)가 상기 링크바(15)의 플랜지부(15')를 걸어 링크바(15)를 들어 올리기 전에 실린더로드(35)의 이동이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작동유닛(60)의 제2캠블록(68) 역시 상기 커버(52)에 구비된 누름바(55)에 눌리거나 또는 제2작동유닛(60)의 제1구동바(62)가 장착플레이트(51)에 눌려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가압플레이트(45)를 들어올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의 승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e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의 순차적인 작동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센서유닛(70) 중에서 하강센서(72)가 작동하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센서유닛의 센서몸체(7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이 구비되는 하강센서(72) 사이로 구동유닛(30)의 실린더로드(35)가 이동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도 10a에는 구동유닛(30)의 실린더로드(35)가 베이스유닛(10) 방향으로 완전히 돌출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35)에 설치된 ㄱ가압플레이트(36)의 푸시바(37)는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에 설치된 제1작동유닛(20)의 제1캠블록(28)의 제2눌림돌기(28c)를 밀어 제1캠블록(2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1캠블록(28)이 제1고정어셈블리(18)의 가압플레이트(18c)를 밀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고, 가압플레이트(18c)가 쐐기(18b)를 어셈블리몸체(18a)의 쐐기공(18a')에 밀어넣어 쐐기(18b)의 조임공(H)의 내경이 좁아진 상태이다(도 4b참조). 즉,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의 상기 쐐기(18b)에 의해 강연선(W)이 고정된 것이다.
한편, 헤드유닛(50)에 구비된 제2고정어셈블리(40)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2작동유닛(60)의 제1구동바(62)가 장착플 레이트(51)의 상면에 눌린 상태이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바(62)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가압플레이트(45)를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쐐기(미도시)의 조임공의 내경이 커져 강연선(W)을 조여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작동유닛(60)의 제2구동바(63)는 장착플레이트(51)의 상면에 눌리면서 상기 제2캠블록(68)의 제1눌림돌기(68b)를 눌러 제2캠블록(6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플레이트(45)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9b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압플레이트(45)를 들어올리는 구성(제1구동바(62))과, 이를 유지하는 구성(제2캠블록(68))이 나뉘어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부품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정리하면, 도 10a의 상태에서는 제1고정어셈블리(18)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하나, 제2고정어셈블리(40)는 강연선(W)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로드(35)는 상기 헤드유닛(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35)에 구비된 제2고정어셈블리(40)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자유롭게 상승할 수 있고, 대신 상기 베이스유닛(10)에 고정된 제1고정어셈블리(18)가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이므로 강연선(W) 및 이에 연결된 중량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b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5)가 상승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로드(35)가 헤드유닛(50) 방향으로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헤드유닛(50)의 커버(52)에 구비된 누름바(55)가 상기 제2작동유닛(60)의 제2캠블록(68)에 구비된 제2눌림돌기(68c)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캠블록(68)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캠블록(68)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가압플레이트(45)를 밀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쐐기에 의해 상기 강연선(W)이 조여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누름바(55)는 고정되어 있으나, 상기 제2작동유닛(60)이 상기 실린더로드(35)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므로 상대적으로 제2작동유닛(60)의 제2캠블록(68)의 제2눌림돌기(68c)를 눌러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로드(35)의 타단에 구비된 작동플레이트(36)의 걸리슬롯(39)에는 상기 링크바(15)의 플랜지부(15')를 걸져 링크바(15)를 어느 정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작동유닛(20)의 이동블록(21)은 상기 링크바(15)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링크바(15)와 함께 상승되고, 이 과정에서 이동블록(21)의 받침판(21b)은 상기 이동바 및 작동바(26)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승되는 이동바는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의 가압플레이트(18c)를 들어올려 제1고정어셈블리(18)의 쐐기(18b, 도 3b참조)의 조임공(H, 도 3b참조)에 강연선(W)이 조여진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바(26)는 상기 제1캠블록(28)의 제1눌림돌기(28b)를 눌러 상기 제1캠블록(2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1캠블록(28)이 회전되면 상기 제1캠블록(28)의 캠부(28a)는 상기 가압플레이트(18c)를 지지하여 들어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c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압플레이트(18c)를 들어올리는 구성(이동바)과, 이를 유지하는 구성(제1캠블록(28))이 나뉘어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부품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정리하면, 도 10c와 같이 상기 실린더로드(35)가 헤드유닛(50) 방향으로 완전히 돌출되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로부터 해제되고, 동시에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는 상기 강연선(W)을 조여 고정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로드(35)는, 다시 상기 베이스유닛(1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강연선(W)은 상기 실린더로드(35)에 구비된 제2고정어셈블리(4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실린더로드(35)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강연선(W)에 연결된 중량물 역시 하강하게 된다. 도 10d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5)가 하강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로드(35)가 상기 베이스유닛(10) 방향으로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다시 도 10a의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실린더로 드(35)에 설치된 작동플레이트(36)의 푸시바(37)는 상기 베이스유닛(10)에 설치된 제1작동유닛(20)의 제1캠블록(28)의 제2눌림돌기(28c)를 밀어 제1캠블록(2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캠블록(28)이 제1고정어셈블리(18)의 가압플레이트(18c)를 지지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고, 가압플레이트(18)가 쐐기(18b)를 어셈블리몸체(18a)의 쐐기공(18a', 도 4b참조)에 밀어넣어 쐐기(18b, 도 4b참조)의 조임공(H, 도 4b참조)의 내경이 좁아져, 결과적으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의 상기 쐐기(18b)에 의해 강연선(W)이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장착플레이트(51)의 상면에 상기 제2작동유닛(60)의 제1구동바(62)가 눌리고, 제1구동바(62)는 제2고정어셈블리(40)의 가압플레이트(45)를 어셈블리몸체(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게 되며, 결과적으로 쐐기의 조임공의 내경이 커져 강연선(W)을 조여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2캠블록(68) 역시 제2구동바(63)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45)를 지지하게 된다.
정리하면, 도 10e의 상태에서는 제1고정어셈블리(18)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하나, 제2고정어셈블리(40)는 강연선(W)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인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 상기 강연선(W) 및 이에 연결된 중량물이 차츰 하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상승시키는 경우의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승강장치가 상기 중량물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실린더로드(35)의 이동행정이 상대적으로 제한되도록 설정된다. 즉, 센서유닛(70) 중에서 상승센서(75)가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실린더로드(35)의 이동행정이 짧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35)는 푸시바(37), 이동바, 작동바(26), 제1구동바(62), 제2구동바(63) 또는 누름바(55)가 제1작동유닛(20) 및 제2작동유닛(60)의 제1 및 제2캠블록(28,48)에 접하여 이를 누르거나 당기기 전에 상기 실린더로드(35)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도 11a에는 실린더로드(35)가 베이스유닛(10) 방향으로 하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유닛(10)의 제1고정어셈블리(18)의 가압플레이트(18c)는 어셈블리몸체(18a) 방향으로 이동하여 쐐기(18b)가 강연선(W)을 조여 고정한 상태이고, 제2고정어셈블리(40) 역시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이다.(도 4b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로드(35)가 헤드유닛(50)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실린더로드(35)에 구비된 제2고정어셈블리(40)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로 상승하면서 중량물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1b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실린더로드(35)는 상기 제2캠블록(48)이 상기 헤드유닛(50)의 커버(52)에 구비된 누름바(55)에 닿기 전까지만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한 상승유닛(75)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유닛(10)에 구비된 제1고정어셈블리(18)가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이긴 하지만, 상기 강연선(W)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를 따라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플레이트(18c)를 누르는 탄성부재(S)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강연선(W)은 계속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중량물 및 강연선(W)이 중력만을 받게 된다면 쐐기(18b)가 상기 어셈블리몸체(18a)의 쐐기공(18a')에 더욱 깊숙히 삽입되려 하겠지만, 상기 중량물 및 강연선(W)이 중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실린더로드(35)를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쐐기(18b) 역시 쐐기공(18a')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로드(35)는 다시 베이스유닛(10)을 향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다음 상승을 준비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실린더로드(35)는 상기 제1캠블록(28)이 푸시바(37)에 의해 눌리기 전까지만 하강하게 되는데, 이 역시 상기 상승유닛(75)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35)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실린더로드(35)가 중력을 극복하면서 상승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에는 강연선(W) 및 중량물의 하중이 걸려 쐐기(18b)가 쐐기공(18a')에 더욱 강하게 삽입되려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강연선(W)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18)에 고정된다.
한편, 제2고정어셈블리(40) 측을 살펴보면, 강연선(W)이 상대적으로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상방으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그 과정에서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쐐기 역시 어셈블리몸체(41)의 쐐기공으로부터 빠져나오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하지 않게 되어, 가압플레이트(45)를 지지하는 탄성부재(S)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실린더로드(35)의 왕복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중량물이 점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유닛(10)과 헤드유닛(50)이 각각 스페이스바(13,53)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베이스유닛(10)과 헤드유닛(50) 모두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중량물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작동유닛 및 제1고정어셈블리가 중량물에 연결된 강연선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의 모습을 각각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작동유닛 및 제1고정어셈블리가 중량물에 연결된 강연선을 고정한 상태의 모습을 각각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작동유닛의 이동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작동유닛의 스토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작동유닛의 제1작동몸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작동유닛의 제1캠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작동유닛이 제2고정어셈블 리를 작동시키는 모습을 각각 보인 정면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상승시키는 경우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유닛 11: 베이스플레이트
12: 지지플레이트 13: 스페이스바
15: 링크바 18: 고정어셈블리
20: 제1작동유닛 21: 이동블록
22: 스토퍼 25: 제1작동몸체
28: 제1캠블록 30: 구동유닛
31: 실린더헤드 35: 실린더로드
36: 작동플레이트 37: 푸시바
39: 걸이슬롯 40: 제2고정어셈블리
50: 헤드유닛 51: 장착플레이트
52: 커버 55: 누름바
60: 제2작동유닛 61: 제2작동몸체
62: 제1구동바 63: 제2구동바
70: 센서유닛

Claims (10)

  1. 강연선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중량물 승강장치에 있어서,
    지지면에 안착되고 상기 강연선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베이스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에 설치되고 실린더로드가 양방향으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타측을 향하는 일단에는 상기 강연선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유닛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헤드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 및 상기 실린더로드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어셈블리를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작동유닛 및 제2작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유닛, 구동유닛 및 헤드유닛을 각각 관통하는 상기 강연선은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어셈블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를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승강되고, 상기 제1 및 제2작동유닛에는 캠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작동에 연동된 회전을 통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 및 제2고정어셈블리를 작동시켜 상기 강연선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 및 제2고정어셈블리는
    일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쐐기공이 형성되는 어셈블리몸체와,
    상기 어셈블리몸체의 쐐기공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쐐기공에 대응되는 조임공이 형성되며 상기 쐐기공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쐐기공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조임공이 직경이 작아지는 쐐기와,
    상기 쐐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어셈블리몸체에 연결되며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쐐기에 상기 어셈블리몸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량물 승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에 연동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블록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작동바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제1작동몸체와,
    상기 제1작동몸체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에 의해 이동되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를 쐐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이동바와,
    상기 제1작동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작동바에 그 일측이 눌려 회전을 통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가 쐐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캠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량물 승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의 작동방향을 따라 링크바가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로드에는 작동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헤드유닛을 향해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가 상기 링크바의 걸림편을 들어올려 링크바를 직선운동시키고 상기 링크바는 상기 제1작동유닛의 이동블록을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블록에는 제1눌림돌기 및 제2눌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눌림돌기 및 제2눌림돌기는 각각 상기 제1작동유닛에 구비된 작동바 및 상기 실린더로드의 작동플레이트에 구비된 푸시바에 의해 눌려 제1캠블록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유닛은
    상기 실린더로드에 고정되는 제2작동몸체와,
    상기 제2작동몸체에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를 쐐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구동바와,
    상기 제2작동몸체에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구동바와,
    상기 제2작동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구동바에 의해 눌려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쐐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제2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2캠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구동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실린더로드가 입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를 향하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단에는 작동플레이트가 설치되는데, 상기 작동플레이트에는 걸이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바의 일단에 구비된 걸림편이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링크바가 상기 실린더로드를 따라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의 일단에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커버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스바를 포함하여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커버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가 입출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커버에는 누름바가 구비되어, 상기 제2작동유닛이 상기 실린더로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작동유닛의 제2캠블록에 구비된 제2눌림돌기가 상기 누름바에 의해 눌려 상기 제2캠블록이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돌출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이 구비되는데,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강연선에 연결된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로드의 초기위치 및 가장 돌출된 상태인 말기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하강센서와,
    상기 강연선에 연결된 중량물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로드가 완전히 하강하여 상기 푸시바가 상기 제1작동유닛의 제1캠블록을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이동바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1캠블록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하강센서 사이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상승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KR1020090039008A 2009-05-04 2009-05-04 중량물 승강장치 KR101011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08A KR101011811B1 (ko) 2009-05-04 2009-05-04 중량물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08A KR101011811B1 (ko) 2009-05-04 2009-05-04 중량물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730A KR20090051730A (ko) 2009-05-22
KR101011811B1 true KR101011811B1 (ko) 2011-02-08

Family

ID=4085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008A KR101011811B1 (ko) 2009-05-04 2009-05-04 중량물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01B1 (ko) * 2013-07-25 2014-01-22 유한회사 포리코리아 차체 리프팅 장치
KR200481568Y1 (ko) * 2016-06-28 2016-10-1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 검출장비의 승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5369U (ko) 1975-12-01 1977-06-06
JPS5854106A (ja) 1981-09-24 1983-03-31 清水建設株式会社 立体交差工事における直上高架取付装置
JPH09125685A (ja) * 1995-10-31 1997-05-13 Fujita Corp 昇降装置
KR20060009993A (ko) * 2004-07-27 2006-02-02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구조물 승하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5369U (ko) 1975-12-01 1977-06-06
JPS5854106A (ja) 1981-09-24 1983-03-31 清水建設株式会社 立体交差工事における直上高架取付装置
JPH09125685A (ja) * 1995-10-31 1997-05-13 Fujita Corp 昇降装置
KR20060009993A (ko) * 2004-07-27 2006-02-02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구조물 승하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730A (ko)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3344B (zh) 具有爬升缸的自爬升式模板和/或自爬升式机架单元
KR101040033B1 (ko) 가설대 승강장치
KR100774883B1 (ko) 반자동 상승장치
US8701827B2 (en) Climbing screen support system
JP5847239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設置方法および装置
US9469987B2 (en) Panel lifting process
KR101011811B1 (ko) 중량물 승강장치
KR102305399B1 (ko) 시공 건축물의 높낮이 조절형 리프팅 장치
US3763964A (en) Outside elevator
KR20090047104A (ko) 가설대 승강장치
KR100795209B1 (ko) 거푸집 리프트
KR200429036Y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WO2008126999A1 (en) Vertical transferring device for heavy load
CN201459776U (zh) 岩石边坡预应力锚索检测张拉装置
KR101032717B1 (ko) 중량물 승강장치
US6625940B2 (en) Concrete building module with module lifting means and method
JP4654075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受け梁構造
JPS59158794A (ja) 鉄塔組立用クレ−ン
KR101586376B1 (ko) 인상잭이 설치된 강관을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KR101306590B1 (ko) 프로파일 안내 걸림 장치
US9102504B1 (en) Truss lifting apparatus and process
US8480060B2 (en) Crane cable roller assembly
KR102599396B1 (ko) 갱폼의 안전 인양을 위한 자동 해체장치 및 이를 갖는 갱폼 시스템
CN219080973U (zh) 用于自爬式布料设备的模板悬挂装置
CN112942109B (zh) 独塔自锚式悬索桥主索鞍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