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717B1 - 중량물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717B1
KR101032717B1 KR1020080138328A KR20080138328A KR101032717B1 KR 101032717 B1 KR101032717 B1 KR 101032717B1 KR 1020080138328 A KR1020080138328 A KR 1020080138328A KR 20080138328 A KR20080138328 A KR 20080138328A KR 101032717 B1 KR101032717 B1 KR 10103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ylinder rod
assembly
cam block
fixe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255A (ko
Inventor
정석태
최기훈
조우준
Original Assignee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7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4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suspended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6Load-enga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고정어셈블리(20)가 설치되는 베이스유닛(10)과, 제2고정어셈블리(40)가 구비되는 구동유닛(30),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30)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유닛(10)의 타측에 구비되는 헤드유닛(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유닛(10), 구동유닛(30) 및 헤드유닛(50)을 각각 관통하는 강연선(W)은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어셈블리(20.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구동유닛(30)의 실린더로드(35)를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승강되고,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 및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외면에는 캠블록(28)이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35)의 작동에 연동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승강장치, 중량물, 유압실린더

Description

중량물 승강장치{Elevating apparatus for materials}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건축자재 등과 같은 중량물을 끌어올리거나 또는 아래로 내리기 위한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등을 건설하는 공법의 일례로 프리캐스트 캔틸레버공법(precast fre cantilever method)이 사용된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캔틸레버공법은, 먼저 대블록 프리개스트 박스거더(P.C box Girder, 이하 '대블록'이라 함)를 별도로 제작하여 바지(barge)선으로 공사지점까지 운반하고,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인양하여 가설(架設)한 후에, 별도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이하 '소블록'이라 함)을 붙여 이어나가면서 캔틸레버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이러한 프리캐스트 캔틸레버공법을 이용하여 교량을 건설하는 모습이 예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캔틸레버공법은 대블록(1)의 양쪽에 각각 소블록(4)을 설치하여 둘 사이가 점점 가까워지도록하여, 최종적으로 둘 사이를 연결하는 시공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에 콘크리트 를 타설하여 소블록(4)사이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면서 공사가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3은 교각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리캐스트 캔틸레버공법은 일반적으로 지상으로부터 그 높이가 매우 높은 교량에서 이루어지므로, 거푸집이나 철근 기타 공사자재(P)를 인양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러한 공사자재(P)를 인양하기 위해서는 크레인과 같은 양중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크레인은 비교적 고가의 장비로서, 공사비용을 증가시키고, 날씨 등의 환경에 영향받기 쉬워 공사기간이 늘어나거나 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량의 이미 가설된 부분, 즉 상기 대블록(1)이나 소블록(4) 상에 별도의 승강장치(8)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서 보듯이, 교량의 이미 가설된 캔틸레버 상면에 승강장치(8)를 설치하고, 건설부재(P)에 연결된 강연선(W)을 상기 승강장치(8)가 끌어올림으로써 건설부재(P)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건설부재(P)는 비교적 중량이 매우 크므로, 이와 같은 승강장치(8)가 건설부재(P), 보다 정확하게는 건설부재(P)에 연결된 강연선(W)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로 승강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는 동작상태에 따라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와 이를 해제한 상태가 정확하게 제어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제어는 보통 유압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큰 중량을 갖는 건설부재(P)의 선택적인 고정을 위해 유 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압장치의 정확한 제어가 필요하게 되므로 승강장치(8)의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건설부재(P)를 승강시키기 위한 힘과는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하게 되므로 승강장치(8)의 설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인과 같은 양중장치 없이 교량의 가설된 부분에 설치되어 지상에 적재된 건설부재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설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어셈블리의 제어가 건설부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의 작동에 연동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강연선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중량물 승강장치에 있어서, 지지면에 안착되고 상기 강연선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베이스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에 설치되고 양방향으로 입출가능한 실린더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타측을 향하는 일단에는 상기 강연선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유닛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유닛, 구동유닛 및 헤드유닛을 각각 관통하는 상기 강연선은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어셈블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를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승강되고,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 및 제2고정어셈블리의 외면에는 캠블록이 설치 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작동에 연동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강연선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 및 제2고정어셈블리는 일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쐐기공이 형성되는 어셈블리몸체와, 상기 어셈블리몸체의 쐐기공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쐐기공에 대응되는 조임공이 형성되며 상기 쐐기공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쐐기공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조임공이 직경이 작아지는 쐐기와, 상기 쐐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어셈블리몸체에 연결되며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쐐기에 상기 어셈블리몸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블록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어셈블리에 각각 회전가능한 상태로 편심되게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캠블록이 회전되면 상기 캠블록은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상기 쐐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베이스유닛은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구동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실린더로드가 입출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고정어셈블리를 향하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캠블록의 구동돌기를 밀어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바가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를 향해 이동되면 상기 작동바가 상기 캠블록의 구동돌기를 밀 어 상기 캠블록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가 어셈블리몸체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물려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는 링크바가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바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측에 걸어지고 타단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캠블록에 구비된 회전돌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로부터 멀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바는 실린더로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캠블록을 회전시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가 어셈블리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를 향하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단에는 작동편이 설치되는데, 상기 작동편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설치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날개에는 걸이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바의 일단에 구비된 플랜지부가 걸어지고 상기 작동바가 설치된다.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의 일단에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커버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스바를 포함하여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커버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가 입출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커버에는 누름바가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가 상기 실린더로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의 캠블록에 구비된 구동돌기가 누름바에 의해 눌려 상기 캠블록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가 어셈블리몸체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물려 고정된다.
상기 헤드유닛의 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를 향하도록 해제바가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구동유닛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의 캠블록에 구비된 해제돌기를 눌러 캠블록을 회전시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가 어셈블리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돌출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이 구비되는데,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강연선에 연결된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로드의 초기위치 및 가장 돌출된 상태인 말기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하강센서와,
상기 강연선에 연결된 중량물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로드가 완전히 하강하여 상기 작동바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캠블록을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링크바가 상승하면서 상기 캠블록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하강센서 사이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상승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 및 제2고정어셈블리에는 각각 다수개의 캠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캠블록은 서로 인접한 캠블록과 동일한 사이각을 갖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승강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량물 승강장치가 교량 등의 이미 축조된 부분에 설치되어 지상에 있는 건축자재와 같은 중량물을 유압 등을 이용하여 점차적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양중장치 없이도 중량물을 승강시킬 수 있어 작업비용이 감소되고 날씨 등의 영향에 상관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중량물을 끌어올리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중량물에 연결된 강연선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이,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의 작동에 연동되어 강연선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유압 등을 이용하여 고정유닛을 제어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 및 고정유닛을 정밀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와 제어장치 등이 생략될 수 있어 승강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구조 변경없이,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상승센서와 하강센서를 통해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가 돌출되는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중량물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장치의 제어가 쉬워지고 설계가 단순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중량물 승강장치의 골격은 베이스유닛(10)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유닛(10)은 지면 또는 교량의 상면 등 지지면에 실질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중량물 승강장치를 고정하고, 중량물에 연결된 강연선(W)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유닛(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그리고,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바(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는 지지면에 안착되고 다수개의 설치공(11')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링크바(15)의 일단이 삽입된다. 상기 다수개의 설치공(11') 중 일부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2)를 지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가 삽입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1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2)에 형성된 설치공으로, 링크바(15)의 타단이 삽입된다.
상기 스페이스바(1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사이로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유닛(30)의 실린더로드(35)가 직선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사이에는 링크바(15)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바(15)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사이에서 소정 길이만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링크바(15)는 구동유닛(30)의 실린더유닛을 따라 이동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캠블록(28)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링크바(15)는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캠블록(28)을 회전시켜 제1고정어셈블리(20)가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바(15)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플랜지부(15')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부(15')는 실린더로드(35)에 고정되는 후술할 작동편(36)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실린더로드(35) 및 이에 연결된 작동편(36)이 구동유닛(30)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플랜지부(15')를 들어 올려 결과적으로 링크바(15)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바(15)의 타측에는 작동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16)는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캠블록(28)에 연결되어 캠블록(28)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작동부(16)에는 연결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16')에는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캠블록(28)에 형성된 회전돌기(29b)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바(15)가 직선이동되면,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캠블록(28)의 회전돌기(29b)가 당겨져 결과적으로 캠블록(28)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캠블록(28)은 도 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바(15)는 총 3개가 구비되나, 2개 또는 4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제1고정어셈블리(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고 정어셈블리(20)는 상기 강연선(W)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자세한 구조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는 크게 어셈블리몸체(21)와 쐐기(23), 그리고 가압플레이트(25)로 구성된다. 상기 어셈블리몸체(21)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도 3b에서 보듯이 그 내부에는 쐐기공(21')이 형성된다. 상기 쐐기공(21')은 그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이에 쐐기(23)가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쐐기(23)의 외면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쐐기(23)는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조임공(H)이 형성된다. 이때, 정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쐐기(23)는 그 일측이 벌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공(21')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조임공(H)이 내경이 변하여 상기 조임공(H)을 통과하는 강연선(W)을 조여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도 4b에는 상기 쐐기(23)가 상기 어셈블리몸체(21)의 쐐기공(21')에 삽입되어 조임공(H)이 줄어든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압플레이트(25)는 상기 쐐기(23)를 상기 어셈블리몸체(21) 방향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압플레이트(25)는 상기 쐐기(2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어셈블리몸체(21)에 체결구(B)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B)에는 탄성부재(S)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25)가 상기 어셈블리몸체(21)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되는 것이다.(도 4b의 화살표 ①방향) 이에 따라 상기 가압플레이트(25)에 의해 눌린 쐐기(23)는 쐐기공(21')의 내면에 눌려 화살표②방향으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조임공(H)의 내경이 줄어드는 것 이다.
한편, 도 3a 및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어셈블리몸체(21)의 외면에는 캠블록(28)이 구비된다. 상기 캠블록(28)은 상기 어셈블리몸체(21)의 외면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데, 회전핀(P)이 그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캠블록(28)은 회전을 통해 상기 가압플레이트(25)가 상기 어셈블리몸체(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강연선(W)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핀(P)은 상기 캠블록(28)이 편심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캠블록(28)에는 구동돌기(29a)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돌기(29a)는 아래에서 설명될 작동편(36)의 작동바(37)에 의해 눌리게 되는 부분으로, 작동바(37)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된다. 즉, 상기 구동돌기(29a)는 상기 작동바(37)에 의해 눌림으로써, 상기 캠블록(28)은 회전핀(P)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3a에는 상기 구동돌기(29a)가 작동바(37)에 의해 눌리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에는 상기 구동돌기(29a)가 작동바(37)에 의해 눌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캠블록(28)의 구동돌기(29a)가 작동바(37)에 의해 눌리면 상기 캠블록(28)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25)를 상기 어셈블리몸체(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있던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압플레이트(25)는 상기 쐐기(23)를 어셈블리몸체(21)의 쐐기공(21')으로 밀어넣어 쐐기(23)에 구비된 조임공(H)이 좁아지도록 한다.
상기 캠블록(28)에는 회전돌기(29b)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돌기(29b)는 상기 구동돌기(29a)와 마찬가지로 상기 캠블록(28)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 로, 상기 링크바(15)의 작동부(16)에 구비된 연결공(16')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바(15)의 작동부(16)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돌기(29b)를 건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캠블록(28)은 상기 회전핀(P)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예를 들어, 도 5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링크바(15)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회전돌기(29b) 역시 상방으로 끌어올려지고, 이에 따라 상기 캠블록(28)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상기 캠블록(28)의 회전축이 상기 회전돌기(29b)보다 우측에 구비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구동유닛(3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구동유닛(30)은 상기 강연선(W)을 끌어올리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유닛(30)은 실린더로드(35)가 실린더헤드(31)의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복동실린더로 구성된다. 즉, 상기 실린더로드(35)는 상기 베이스유닛(10) 또는 후술할 헤드유닛(50)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2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5)가 헤드유닛(50)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유닛(30)은 상기 베이스유닛(10)의 지지플레이트(12)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를 향하는 일단에는 작동편(36)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편(36)은, 도 5에 잘 도시된 것처럼, 대략 원판형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설치날개(38)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날개(38)에는 작동바(3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날개(38)에는 걸이슬롯(39)이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슬롯(39)에는 상기 링크바(15)가 삽입되고, 상기 걸이슬롯(39)의 가장자리에는 링크 바(15)의 플랜지부(15')가 안착되어 걸어진다. 이에 따라 도 5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작동편(36)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작동편(36)은 상기 링크바(15)를 이동시키지 않게 되나, 상기 작동편(36)이 어느 정도 상승하게 되면 상기 링크바(15)의 플랜지부(15')를 걸고 상승하여 링크바(15) 전체가 상승하도록 한다. 도면부호 38'는 상기 작동바(37)가 설치되는 구멍이다.
상기 구동유닛(30)의 실린더로드(35) 중, 상기 작동편(36)이 설치된 일단의 반대편에는 제2고정어셈블리(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과 마찬가지로 상기 강연선(W)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그 구성은 제1고정어셈블리(20)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헤드유닛(5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헤드유닛(50)은 상기 구동유닛(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유닛(10)의 타측에 설치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헤드유닛(50)은 상기 베이스유닛(10)과 매우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유닛(50)은 상기 구동유닛(30)의 일측에 고정되는 장착플레이트(51)와, 상기 장착플레이트(51)로부터 이격된 커버(52), 그리고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스바(53)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51)와 커버(52)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5)가 입출된다.
이때, 상기 장착플레이트(51)에는 해제바(54)가 구비된다. 상기 해제바(54)는 상기 커버(52)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캠블록(48)에 구비된 해제돌기(49b)를 상기 캠블록(48)이 회전되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캠블록(48)의 해제돌기(49b)를 눌러 상기 커버(52) 방향으로 눌러 상기 캠블록(4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캠블록(4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3a와 같은 상태가 되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가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52)에는 누름바(55)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바(55)는 상기 장착플레이트(51)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캠블록(48)에 구비된 구동돌기(49a)를 눌러, 캠블록(48)을 회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누름바(55)는 상기 캠블록(48)의 구동돌기(49a)를 상기 장착플레이트(51) 방향으로 눌러 상기 캠블록(4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캠블록(4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4a와 같은 상태가 되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가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유닛(10)에는 센서유닛(60)이 구비된다. 상기 센서유닛(60)은 상기 실린더로드(35)의 돌출정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강센서(62)와 상승센서(65)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유닛(60)의 골격은 센서몸체(61)가 형성하고, 상기 센서몸체(6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하강센서(62)와 상승센서(65)는 설정을 통해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강센서(62)는 상기 중량물을 하강시키기 위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몸체(6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하강센서(62)는 상기 실린더로드(35)의 초기 위치, 즉 상기 실린더로드(35)가 상기 헤드유닛(50) 방향으로 완전히 돌출되어 베이스유닛(10) 방향으로는 돌출되지 않은 상태와, 말기 상태, 즉 상기 실린더로드(35)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를 향해 완전히 돌출된 상태를 각각 감지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하강센서(62)가 감지한 신호가 별도의 제어장치에 전달되고,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로드(35)는 그 돌출되는 정도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승센서(65)는 상기 중량물을 상승시키기 위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역시 상기 센서몸체(6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다만, 상기 한 쌍의 상승센서(65)는 상기 하강센서(62) 사이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하강동작에 비해 상기 실린더로드(35)의 이동행정이 작아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작동편(36)의 작동바(37)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캠블록(28)을 회전시키는 위치까지 실린더로드(35)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작동편(36)이 상기 링크바(15)의 플랜지부(15')를 걸어 링크바(15)를 들어 올리기 전에 실린더로드(35)의 이동이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캠블록(48) 역시 상기 커버(52)에 구비된 누름바(55) 또는 장착플레이트(51)에 구비된 해제바(55)에 의해 눌리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 및 제2고정어셈블리(40)은 항상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승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e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 의 순차적인 작동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는 구동유닛(30)의 실린더로드(35)가 베이스유닛(10) 방향으로 완전히 돌출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35)에 설치된 작동편(36)의 작동바(37)는 상기 베이스유닛(10)에 설치된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캠블록(28)의 구동돌기(29a)를 밀어 캠블록(28)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이다. 이에 따라 캠블록(28)이 제1고정어셈블리(20)의 가압플레이트(25)를 밀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고, 가압플레이트(25)가 쐐기(23)를 어셈블리몸체(21)의 쐐기공(21')에 밀어넣어 쐐기(23)의 조임공(H)의 내경이 좁아진 상태이다. 즉,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상기 쐐기(23)에 의해 강연선(W)이 고정된 것이다.
한편, 헤드유닛(50)에 구비된 제2고정어셈블리(40)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장착플레이트(51)의 해제바(54)가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캠블록(48)에 구비된 해제돌기(49b)를 눌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캠블록(48)이 제2고정어셈블리(40)의 가압플레이트(45)를 어셈블리몸체(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게 되고, 따라서 쐐기(미도시)의 조임공의 내경이 커져 강연선(W)이 조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도 6a의 상태에서는 제1고정어셈블리(20)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하나, 제2고정어셈블리(40)는 강연선(W)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로드(35)는 상기 헤드유닛(50) 방향으로 이 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35)에 구비된 제2고정어셈블리(40)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자유롭게 상승할 수 있고, 대신 상기 베이스유닛(10)에 고정된 제1고정어셈블리(20)가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이므로 강연선(W) 및 이에 연결된 중량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b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5)가 상승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로드(35)가 헤드유닛(50) 방향으로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헤드유닛(50)의 커버(52)에 구비된 누름바(55)가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캠블록(48)에 구비된 구동돌기(49a)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캠블록(48)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캠블록(48)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가압플레이트(45)를 밀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쐐기에 의해 상기 강연선(W)이 조여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누름바(55)는 고정되어 있으나,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가 상기 실린더로드(35)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므로 상대적으로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캠블록(48)의 구동돌기(49a)를 눌러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로드(35)의 타단에 구비된 작동편(36)은 상기 링크바(15)의 플랜지부(15')를 걸어 링크바(15)를 어느 정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캠블록(28)에 구비된 회전돌기(29b)는 상기 링크바(15)의 작동부(16)의 연결공(16')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링크바(15)가 상승하면 함께 당겨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캠블록(28)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캠블록(2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캠블록(28)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의 가압플레이트(25)를 밀어내어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쐐기(23)의 조임공(H)에 강연선(W)이 조여진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정리하면, 도 6c와 같이 상기 실린더로드(35)가 헤드유닛(50) 방향으로 완전히 돌출되면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로부터 해제되고, 동시에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는 상기 강연선(W)을 조여 고정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로드(35)는, 다시 상기 베이스유닛(1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강연선(W)은 상기 실린더로드(35)에 구비된 제2고정어셈블리(4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실린더로드(35)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강연선(W)에 연결된 중량물 역시 하강하게 된다. 도 6d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5)가 하강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로드(35)가 상기 베이스유닛(10) 방향으로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다시 도 6a의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실린더로드(35)에 설치된 작동편(36)의 작동바(37)는 상기 베이스유닛(10)에 설치된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캠블록(28)의 구동돌기(29a)를 밀어 캠블록(28)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캠블록(28)이 제1고정어셈블리(20)의 가압플레이트(25)를 밀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고, 가압플레이트(25)가 쐐기(23)를 어셈블리몸체(21)의 쐐기공(21')에 밀어넣어 쐐기(23)의 조임공(H)의 내경이 좁아져, 결과적 으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의 상기 쐐기(23)에 의해 강연선(W)이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장착플레이트(51)의 해제바(54)가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캠블록(48)에 구비된 해제돌기(49b)를 눌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캠블록(28)이 제2고정어셈블리(40)의 가압플레이트(45)를 어셈블리몸체(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게 되고, 따라서 쐐기의 조임공의 내경이 커져 강연선(W)이 조여지지 않게 된다. 정리하면, 도 6e의 상태에서는 제1고정어셈블리(20)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하나, 제2고정어셈블리(40)는 강연선(W)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인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 상기 강연선(W) 및 이에 연결된 중량물이 차츰 하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상승시키는 경우의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a에는 실린더로드(35)가 베이스유닛(10) 방향으로 하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유닛(10)의 제1고정어셈블리(20)의 가압플레이트(25)는 어셈블리몸체(21) 방향으로 이동하여 쐐기(23)가 강연선(W)을 조여 고정한 상태이고, 제2고정어셈블리(40) 역시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로드(35)가 헤드유닛(50)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실린더로드(35)에 구비된 제2고정어셈블리(40)는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로 상승하면서 중량물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유닛(10)에 구비된 제1고정어셈블리(20)가 상기 강연선(W)을 고정한 상태이긴 하지만, 상기 강연선(W)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를 따라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플레이트(25)를 누르는 탄성부재(S)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강연선(W)은 계속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중량물 및 강연선(W)이 중력만을 받게 된다면 쐐기(23)가 상기 어셈블리몸체(21)의 쐐기공(21')에 더욱 깊숙히 삽입되려 하겠지만, 상기 중량물 및 강연선(W)이 중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실린더로드(35)를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쐐기(23) 역시 쐐기공(21')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로드(35)는 다시 베이스유닛(10)을 향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다음 상승을 준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35)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실린더로드(35)가 중력을 극복하면서 상승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에는 강연선(W) 및 중량물의 하중이 걸려 쐐기(23)가 쐐기공(21')에 더욱 강하게 삽입되려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강연선(W)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쐐기에는 강연선(W) 및 중량물의 하중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40)는 가압플레이트(45)를 지지하는 탄성부재(S)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가 상기 중량물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5)의 이동행정이 상대적으로 제한된다. 즉, 센서유닛(60) 중에서 상승유닛에 의해 상기 실린더로드(35)의 이동행정이 짧아짐으로써, 상기 실린더로드(35)는 구 동바나 해제바(54) 또는 링크바(15)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 및 제2고정어셈블리(40)의 캠블록(28,48)에 접하여 이를 누르거나 당기기 전에 상기 실린더로드(35)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20) 및 제2고정어셈블리(40)는 항상 강연선(W)을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유닛(10)과 헤드유닛(50)이 각각 스페이스바(13,53)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베이스유닛(10)과 헤드유닛(50) 모두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중량물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고정어셈블리이 중량물에 연결된 강연선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의 모습을 각각 보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고정어셈블리가 중량물에 연결된 강연선을 고정한 상태의 모습을 각각 보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고정어셈블리의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편과 링크바, 그리고 캠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상승시키는 경우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유닛 11: 베이스플레이트
12: 지지플레이트 13: 스페이스바
15: 링크바 20: 제1고정어셈블리
21: 어셈블리몸체 23: 쐐기
25: 가압플레이트 28: 캠블록
29a: 구동돌기 29b: 회전돌기
30: 구동유닛 31: 실린더헤드
35: 실린드로드 37: 작동바
38: 작동편 40: 제2고정어셈블리
50: 헤드유닛 51: 장착플레이트
52: 헤드 53: 스페이스바
54: 누름바 55: 해제바
60: 센서유닛 62: 하강센서
65: 상승센서

Claims (10)

  1. 강연선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중량물 승강장치에 있어서,
    지지면에 안착되고 상기 강연선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베이스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에 설치되고 실린더로드가 양방향으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타측을 향하는 일단에는 상기 강연선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유닛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유닛, 구동유닛 및 헤드유닛을 각각 관통하는 상기 강연선은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어셈블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를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승강되고,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 및 제2고정어셈블리의 외면에는 캠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작동에 연동된 회전을 통해 상기 강연선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 및 제2고정어셈블리는
    일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쐐기공이 형성되는 어셈블리몸체와,
    상기 어셈블리몸체의 쐐기공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쐐기공에 대응되는 조임공이 형성되며 상기 쐐기공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쐐기공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조임공이 직경이 작아지는 쐐기와,
    상기 쐐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어셈블리몸체에 연결되며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쐐기에 상기 어셈블리몸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량물 승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블록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어셈블리에 각각 회전가능한 상태로 편심되게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캠블록이 회전되면 상기 캠블록은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상기 쐐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구동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실린더로드가 입출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고정어셈블리를 향하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캠블록의 구동돌기를 밀어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바가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를 향해 이동되면 상기 작동바가 상기 캠블록의 구동돌기를 밀어 상기 캠블록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가 어셈블리몸체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물려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는 링크바가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바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측에 걸어지고 타단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캠블록에 구비된 회전돌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로부터 멀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바는 실린더로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캠블록을 회전시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가 어셈블리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를 향하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단 에는 작동편이 설치되는데, 상기 작동편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설치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날개에는 걸이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바의 일단에 구비된 플랜지부가 걸어지고 상기 작동바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의 일단에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커버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스바를 포함하여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커버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실린더로드가 입출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커버에는 누름바가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가 상기 실린더로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의 캠블록에 구비된 구동돌기가 누름바에 의해 눌려 상기 캠블록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가 어셈블리몸체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물려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의 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를 향하도록 해제바가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구동유닛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고정어셈블리의 캠블록에 구비된 해제돌기를 눌러 캠블록을 회전시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가압플레이트가 어셈블리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쐐기의 조임공에 상기 강연선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돌출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이 구비되는데,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강연선에 연결된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로드의 초기위치 및 가장 돌출된 상태인 말기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하강센서와,
    상기 강연선에 연결된 중량물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로드가 완전히 하강하여 상기 작동바가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의 캠블록을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링크바가 상승하면서 상기 캠블록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하강센서 사이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상승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어셈블리 및 제2고정어셈블리에는 각각 다수개의 캠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캠블록은 서로 인접한 캠블록과 동일한 사이각을 갖 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승강장치.
KR1020080138328A 2008-12-31 2008-12-31 중량물 승강장치 KR101032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328A KR101032717B1 (ko) 2008-12-31 2008-12-31 중량물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328A KR101032717B1 (ko) 2008-12-31 2008-12-31 중량물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255A KR20090021255A (ko) 2009-03-02
KR101032717B1 true KR101032717B1 (ko) 2011-05-06

Family

ID=4069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328A KR101032717B1 (ko) 2008-12-31 2008-12-31 중량물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5546B (zh) * 2019-07-05 2020-12-29 杭州交通工程监理咨询有限公司 一种桥梁顶升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5369U (ko) 1975-12-01 1977-06-06
JPS5854106A (ja) 1981-09-24 1983-03-31 清水建設株式会社 立体交差工事における直上高架取付装置
KR20060009993A (ko) * 2004-07-27 2006-02-02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구조물 승하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5369U (ko) 1975-12-01 1977-06-06
JPS5854106A (ja) 1981-09-24 1983-03-31 清水建設株式会社 立体交差工事における直上高架取付装置
KR20060009993A (ko) * 2004-07-27 2006-02-02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구조물 승하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255A (ko) 200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4734C (zh) 用于平台的驱动轮式升降机以及带有该升降机的行驶装置
KR100834021B1 (ko) 재긴장 앵커시스템
US201701671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a structure
CN109914592B (zh) 一种三向预应力装配式快速安装梁柱节点结构及施工方法
CN102777030A (zh) 一种电梯井道模板施工平台搭设方法
JP2024515115A (ja) 台風に備えたコンテナクレーン用自動化安全固縛システム
KR20090047104A (ko) 가설대 승강장치
KR101032717B1 (ko) 중량물 승강장치
CN114867679A (zh) 用于提升钢筋加强网的装置
KR100795209B1 (ko) 거푸집 리프트
KR101011811B1 (ko) 중량물 승강장치
WO2008126999A1 (en) Vertical transferring device for heavy load
JP4203441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装置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9229163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耐荷重試験方法及び装置
WO2019239773A1 (ja) ケーブルと一連の箱状構造物
JP6508958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JP4654075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受け梁構造
KR100864593B1 (ko) 거푸집 탈형 및 이동 장치
JP5169604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床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501482B1 (ko) 건축물 시공용 빔 연결 보조 장치
KR200366291Y1 (ko) 고층건물의 콘크리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승강시스템
KR102156971B1 (ko) 갱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 시공방법
KR101060186B1 (ko)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JP4382599B2 (ja) テンションジャッキ
KR1026823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부 하중 저감을 위한 보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