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255B1 - 크라이밍 장치 - Google Patents

크라이밍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255B1
KR100919255B1 KR1020070099060A KR20070099060A KR100919255B1 KR 100919255 B1 KR100919255 B1 KR 100919255B1 KR 1020070099060 A KR1020070099060 A KR 1020070099060A KR 20070099060 A KR20070099060 A KR 20070099060A KR 100919255 B1 KR100919255 B1 KR 100919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lock
guide block
pair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3963A (ko
Inventor
정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호시스템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호시스템,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07009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2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설치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승하강되고 상기 레일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며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레일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며 상기 가이드블록에 평면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이 상기 브라켓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으로부터 상기 회전블록을 평면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의 일측면을 따라 고정배열된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언록킹 동작되는 한 쌍의 고정유닛과; 일단과 타단이 각각 한 쌍의 고정유닛에 결합된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유닛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레일의 형상에 적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크라이밍 장치{Apparatus for climbing}
본 발명은 크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어선행공법에서의 건설형공장(CF, construction factory)를 지지하며, 승하강 동작되는 크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어(core)선행공법이란, 고층건축공사에서 고강도 부분인 코어를 벽식구조로 선행시공하고, 저강도 부분인 기타 부분을 라멘구조로 후시공하여, 벽식구조와 라멘구조의 변위량 차이에 의한 건축물의 안전을 도모하는 공법이다.
기존의 공법은 철골이 완료된 후에 코어 부분의 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모든 가설재가 상부층으로 올려야 하는 반면 코어선행공법은 코어부분 콘크리트를 먼저 타설하고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거푸집의 양중 및 설치 조립이 대폭 개선된다.
즉, 코어선행공법은 코어 부분의 콘크리트가 먼저 시공되고 그 뒤를 따라 철골공사가 올라오는 공법으로 기존의 공법 순서를 뒤바꾼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코어선행공법에 있어서, 건설형공장(construction factory)를 승하강 및 지탱하기 위해서 크라이밍 장치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크라이밍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한 쌍의 상부유압잭(3a, 3b)과, 한 쌍의 하부유압잭(4a, 4b)과, 한 쌍의 승강유압잭(5a, 5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술한 상부유압잭(3a, 3b) 및 하부유압잭(4a, 4b)은 다수의 핀(14a, 14b, 14c, 14d)에 의해 작동된다.
상술한 종래의 크라이밍 장치의 동작은, 핀(14a, 14b, 14c, 14d)이 모두 삽입되어 상부유압잭(3a, 3b)과 하부유압잭(4a, 4b)이 축(1)에 록킹된 상태에서, 상부유압잭(3a, 3b)의 핀(14a, 14b)을 추출하여 록킹해제하고 승강유압잭(5a, 5b)을 신장시켜 상부유압잭(3a, 3b)이 상승하게 한 후 핀(14a, 14b)을 삽입하여 상부유압잭(3a, 3b)을 축(1)에 록킹하여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하부유압잭(4a, 4b)의 핀(14c, 14d)을 추출하여 록킹해제하고 승강유압잭(5a, 5b)을 압축시켜 하부유압잭(4a, 4b)이 상승하게 한 후 핀(14c, 14d)을 삽입하여 상부유압잭(3a, 3b)을 축(1)에 록킹하여 고정되면, 하나의 작동주기가 완료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크라이밍 장치는, 다수의 유압잭(3a, 3b, 4a, 4b, 5a, 5b)으로 구성되어 그 구조 및 제어방식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유압잭(3a, 3b, 4a, 4b, 5a, 5b) 중 어느 하나의 유압잭이라도 정상적인 제어를 하지 못하여 오동작하게 되면, 전체적인 작동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과부하로 장치의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갑자기 발생하는 정전사고 시 다수의 유압잭(3a, 3b, 4a, 4b, 5a, 5b)의 작동하지 않아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성이 우수하고, 갑작스런 정전사고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다양한 레일의 형상에 적용할 수 있는 크라이밍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하기 위한 크라이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승하강되고, 상기 레일의 일측면을 따라 고정배열된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언록킹 동작되는 한 쌍의 고정유닛과; 상기 한 쌍의 고정유닛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레일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며,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레일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며, 상기 가이드블록에 평면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이 상기 브라켓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으로부터 상기 회전블록을 평면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블록의 일측에는 원주형의 제1회전레일이 외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록의 내측에는 상기 제1회전레일과 맞물려 평면회전가능한 제2회전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가이드블록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스퍼기어와, 상기 회전블록의 내측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스퍼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내측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한 쌍의 고정유닛에 결합된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성이 우수하고, 갑작스런 정전사고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다양한 레일의 형상에 적용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라이밍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고정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고정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레일 20:브라켓
100:고정유닛 110:가이드블록
112:제1회전레일 130:회전블록
132:제2회전레일 150:구동수단
152:구동모터 154:스퍼기어
156:내측기어 200:유압실린더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고정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고정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이밍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크라이밍 장치는 크게, 한 쌍의 고정유닛(100)과, 간격조절유닛(200)으로 구성된다.
고정유닛(100)은, 레일(10)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에 각각 위치되고, 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승하강되며, 레일(10)의 일측면을 따라 고정배열된 브라켓(20)에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언록킹 동작되는 구성요소이다.
간격조절유닛(200)은, 상측 부분의 고정유닛(100)과 하측 부분의 고정유닛(1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먼저, 고정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선행공법에 의해 고층건물을 건축하는데 있어서, 중앙부분의 코어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크라이밍 레일(10, 이하, '레일'이라고 함)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고정유닛(100)은 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승하강되고, 레일(10)의 일측면을 따라 고정배열된 브라켓(20)에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언록킹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유닛(100)은 건설형 공장(construction factory)과 결합되어, 건설형 공장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 고정유닛(100)이 레일(1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10)에 슬라이딩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유닛(1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레일(10)을 감싸며, 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블록(110)과, 레일(10)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레일(10)을 감싸며, 상기 가이드블록(110)에 평면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록(130)과, 상기 회전블록(130)이 상기 브라켓(20)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110)으로부터 상기 회전블록(130)을 평면회전시키는 구동수단(150)으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110)은, 브라켓(20)이 고정배열된 레일(10)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레일(10)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며, 레일(10)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개구부의 양측에는 레일(10)의 형상에 대응하여 "ㄷ" 자형 클램프부(114)가 형성되며, 이러한 클램프부(114)는 가이드블록(110)이 레일(10) 상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레일(1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블록(110)의 일측에는 원주형의 제1회전레일(112)이 외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11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외측방향으로 개구된 "ㄷ" 자 형으로 제1회전레일(112)이 원주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회전레일(112)은 후술하는 회전블록(130)의 제2회전레일(132)과 맞물리는 부분으로서, 회전블록(130)에 대한 설명 시 제1회전레일(112)과 제2회전레일(132)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블록(130)은, 브라켓(20)이 고정배열된 레일(10)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레일(10)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며, 가이드블록(110)에 평면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가이드블록(110)에 형성된 제1회전레일(112)과 맞물려 평면회전가능하도록, 회전블록(130)의 하측부분에는 내측방향으로 개구되어 "ㄷ" 자 형으로 제2회전레일(132)이 원주형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회전레일(112)에 대해서 제2회전레일(132)이 원주방향으로 평면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10)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110)에 대해 회전블록(130)이 평면회전함에 따라 레일(10)의 일측면이 회전블록(13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블록(130)이 레일(10)의 일측면을 폐쇄하게 되면, 회전블록(130)이 브라켓(20)의 상부에 지지되어 고정유닛(100)이 하방측으로 낙하되지 않고 록킹된 상태(도 6b)가 될 수 있고, 회전블록(130)이 레일(10)의 일측면을 개방하게 되면, 회전블록(130)은 브라켓(20)과의 간섭이 없어지므로 고정유닛(100)이 언록킹(도 6a)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블록(130)은 구동수단(150)에 의해 평면회전 구동될 수 있다.
구동수단(150)은, 가이드블록(11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52)와, 구동모터(152)의 구동축에 결합된 스퍼기어(154)와, 회전블록(130)의 내측에 고정결합되며 스퍼기어(154)와 맞물려 구동되는 내측기어(156)로 구성된다.
즉,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110)의 측면부분에는 구동모터(152)가 구비되고, 이 구동모터(152)의 구동축에는 스퍼기어(154)가 결합되며, 이 스퍼기어(154)에 맞물려 회전될 수 있는 내측기어(156)가 회전블록(130)의 내측에 고정결합된다. 이러한 내측기어(156)는 회전블록(130)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구동모터(152)가 회전하면 구동축의 스퍼기어(154)가 회전하게 되고, 스퍼기어(154)가 회전하면 내측기어(156)가 회전하여 회전블록(130)이 함께 평면회전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회전블록(130)은 레일(10)의 일측면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1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블록(110)과, 이 가이드블록(110) 상에서 평면회전하여 레일(10)의 일측면이 개방 또는 폐쇄되게 하는 회전블록(130)과, 회전블록(130)을 평면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50)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닛(100)은 레일(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브라켓(20)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작동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한 쌍의 고정유닛(100)의 상측에 위치된 고정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하측에 위치된 고정유닛(100)도 상측에 위치된 고정유닛(100)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간격조절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간격조절유닛(200)은 상술한 상측의 고정유닛(100)과 하측의 고정유닛(100) 사이에 위치되어, 한 쌍의 고정유닛(10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이 상측의 고정유닛(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측의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유압실린더(200)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유압실린더(200)는 몸체부분과 축부분으로 구성되어, 축부분이 몸체부분으로부터 신창 또는 압축된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유닛(100)과 간격조절유닛(200)으로 구성된 크라이밍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 고정유닛(상):록킹, 고정유닛(하):록킹
- 초기상태로서, 상측의 고정유닛과 하측의 고정유닛이 모두 록킹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2. 고정유닛(상):언록킹, 고정유닛(하):록킹
- 상측의 고정유닛이 언록킹되고, 하측의 고정유닛이 록킹되어, 상측의 고정유닛만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이다.
3. 고정유닛(상):언록킹, 고정유닛(하):록킹, 간격조절유닛:축 신장
- 상측의 고정유닛이 언록킹되고, 하측의 고정유닛이 록킹되어, 상측의 고정유닛만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서, 간격조절유닛, 즉, 유압실린더의 축이 신장되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의 상측 고정유닛이 상방으로 클라임동작하게 된다.
4. 고정유닛(상):록킹, 고정유닛(하):록킹
- 유압실린더의 축이 신장된 상태에서, 상측의 고정유닛과 하측의 고정유닛이 모두 록킹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5. 고정유닛(상):록킹, 고정유닛(하):언록킹
- 상측의 고정유닛이 록킹되고, 하측의 고정유닛이 언록킹되어, 하측의 고정유닛만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이다.
6. 고정유닛(상):록킹, 고정유닛(하):언록킹, 간격조절유닛:축 압축
- 상측의 고정유닛이 록킹되고, 하측의 고정유닛이 언록킹되어, 하측의 고정유닛만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서, 간격조절유닛, 즉, 유압실린더의 축이 압축되면, 유압실린더의 몸체부분이 상승함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의 하측 고정유닛이 상방으로 클라임동작하게 된다.
7. 고정유닛(상):록킹, 고정유닛(하):록킹
- 하나의 작동주기 마지막 상태로서, 상측의 고정유닛과 하측의 고정유닛이 모두 록킹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1~7단계의 동작에 의해 하나의 작동주기가 완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상하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하기 위한 크라이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승하강되고, 상기 레일의 일측면을 따라 고정배열된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언록킹 동작되는 한 쌍의 고정유닛과;
    상기 한 쌍의 고정유닛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레일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며,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레일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며, 상기 가이드블록에 평면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이 상기 브라켓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으로부터 상기 회전블록을 평면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이밍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의 일측에는 원주형의 제1회전레일이 외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록의 내측에는 상기 제1회전레일과 맞물려 평면회전가능한 제2회전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이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가이드블록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스퍼기어와, 상기 회전블록의 내측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스퍼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내측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이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한 쌍의 고정유닛에 결합된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이밍 장치.
KR1020070099060A 2007-10-02 2007-10-02 크라이밍 장치 KR100919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060A KR100919255B1 (ko) 2007-10-02 2007-10-02 크라이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060A KR100919255B1 (ko) 2007-10-02 2007-10-02 크라이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963A KR20090033963A (ko) 2009-04-07
KR100919255B1 true KR100919255B1 (ko) 2009-09-30

Family

ID=4076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060A KR100919255B1 (ko) 2007-10-02 2007-10-02 크라이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1663A (zh) * 2019-04-02 2019-05-28 山东科达基建有限公司 一种可调节桥梁施工支撑装置
KR102542656B1 (ko) * 2021-04-26 2023-06-12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한 자력 승강식 크레인 장치
KR102542655B1 (ko) * 2021-04-26 2023-06-12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한 자력 승강식 크레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094A (ja) * 1992-10-02 1994-04-26 Kajima Corp 全天候型コンクリート柱施工スライド型枠装置
JPH07109093A (ja) * 1993-10-13 1995-04-25 Hazama Gumi Ltd 自昇ジャッキ装置及びその自昇方法
KR100774883B1 (ko) * 2007-08-07 2007-11-09 (주) 콘스텍 반자동 상승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094A (ja) * 1992-10-02 1994-04-26 Kajima Corp 全天候型コンクリート柱施工スライド型枠装置
JPH07109093A (ja) * 1993-10-13 1995-04-25 Hazama Gumi Ltd 自昇ジャッキ装置及びその自昇方法
KR100774883B1 (ko) * 2007-08-07 2007-11-09 (주) 콘스텍 반자동 상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963A (ko)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866B1 (ko)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KR20150125984A (ko) 건축 시스템
KR100919255B1 (ko) 크라이밍 장치
CN214836099U (zh) 一种三层隧道钻探及应急救援钻机
CN210655761U (zh) 电梯轿门锁异步门刀组件
KR101873394B1 (ko)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고정슈
JP3112650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クライミング方法
JP5832803B2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ドア装置
JP2001106486A (ja) 仮設部材の自動昇降装置と、仮設部材の自動昇降方法
KR101124664B1 (ko) 핸들식 탈부착형 수문 권양기
KR100475544B1 (ko) 고층건물의 콘크리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승강시스템
CN116462106A (zh) 一种具有可调节水平支撑系统的免翻梁塔吊及其施工方法
KR200366291Y1 (ko) 고층건물의 콘크리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승강시스템
KR200454445Y1 (ko) 이동식건물
GB2528991A (en) Bendable climbing screen and system
JP2700767B2 (ja) マンホールの蓋の開閉構造
KR102038652B1 (ko) 거푸집에 설치되는 인양용 안전장치 및 이를 갖는 거푸집
JP7237306B2 (ja) ポンプゲート
KR102156971B1 (ko) 갱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 시공방법
JP3688054B2 (ja) 安全蓋装置
JP480414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の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装置
KR20110019806A (ko)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JP4917146B2 (ja) エレベータ制御盤
CN220145483U (zh) 压梁调节装置
CN105298086A (zh) 全自动安全型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