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664B1 - 핸들식 탈부착형 수문 권양기 - Google Patents

핸들식 탈부착형 수문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664B1
KR101124664B1 KR1020110102647A KR20110102647A KR101124664B1 KR 101124664 B1 KR101124664 B1 KR 101124664B1 KR 1020110102647 A KR1020110102647 A KR 1020110102647A KR 20110102647 A KR20110102647 A KR 20110102647A KR 101124664 B1 KR101124664 B1 KR 10112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ack bar
guide roller
guide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3Lifting jacks with pinion and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수문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을 랙바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문 권양기를 랙바의 상단까지 끌어올리지 않고 단순히 문틀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랙바를 사이에 두고 분리된 상태의 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매우 용이하게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문 권양기 추락에 따른 위험 요소가 제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랙바와 구동 기어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롤러를 구성함으로써, 수문 권양기를 끌어올려서 분해하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고, 단순히 가이드 롤러를 회전 조작하여 랙바와 구동 기어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분리형 수문 권양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핸들식 탈부착형 수문 권양기{Separable Winch for Floodgate}
본 발명은 분리형 수문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을 랙바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문 권양기를 랙바의 상단까지 끌어올리지 않고 단순히 문틀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랙바를 사이에 두고 분리된 상태의 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매우 용이하게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문 권양기 추락에 따른 위험 요소가 제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랙바와 구동 기어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롤러를 구성함으로써, 수문 권양기를 끌어올려서 분해하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고, 단순히 가이드 롤러를 회전 조작하여 랙바와 구동 기어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분리형 수문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로, 댐, 간척지, 강어귀둑 등에 농지관리나 관개용수 등에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치수(治水)의 목적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동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수문이 설치된다.
이러한 수문은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구성되는 문틀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개폐되도록 구성되는데, 수문의 상단에는 랙바가 장착되고, 문틀 프레임의 상면에는 별도의 수문 권양기가 장착되며, 수문 권양기에는 랙바와 맞물림되는 구동 기어가 구비되어 구동 기어를 통해 랙바를 상하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수문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문 권양기의 설치 작업은 일반적으로 수문과 랙바를 조립한 후, 구동 기어가 랙바에 맞물림되도록 문틀 프레임의 상면에 수문 권양기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수문 권양기를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동원하여 들어올린 후, 구동 기어와 랙바의 맞물림 상태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설치 작업이 진행되므로, 그 설치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수문 권양기의 하부에 들어가서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일반적인 수문 권양기는 한번 설치가 완료되면, 그 상태에서 설치 상태에 대한 조정이 불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단순 부품 교체 또는 간격 조정과 같이 간단한 유지 보수 작업시에도 수문 권양기를 중장비를 동원하여 다시 들어올려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자연 재해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 신속한 조정 작업이나 보수 작업을 불가능하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을 랙바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문 권양기를 랙바의 상단까지 끌어올리지 않고 단순히 문틀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랙바를 사이에 두고 분리된 상태의 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매우 용이하게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문 권양기 추락에 따른 위험 요소가 제거되며, 부품의 교체 및 조정 작업과 같은 유지 보수 작업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분리형 수문 권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랙바와 구동 기어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롤러를 구성함으로써, 수문 권양기를 끌어올려서 분해하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고, 단순히 가이드 롤러를 회전 조작하여 랙바와 구동 기어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분리형 수문 권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의 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문을 개폐하는 수문 권양기에 있어서, 상기 랙바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하 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랙바와 맞물림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 상기 랙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작동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랙바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랙바를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하우징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동 기어 및 작동 구동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이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랙바를 상기 구동 기어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도록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랙바와 상기 구동 기어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롤러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되는 원통형 지지 샤프트; 상기 지지 샤프트의 중심과 편심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통형 편심 가이드; 및 내주면이 상기 편심 가이드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이 상기 랙바에 밀착 접촉되는 롤러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을 랙바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문 권양기를 랙바의 상단까지 끌어올리지 않고 단순히 문틀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랙바를 사이에 두고 분리된 상태의 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매우 용이하게 그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설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문틀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로 설치 작업을 할 수 있어 수문 권양기 추락에 따른 위험 요소가 제거되며, 아울러 유지 보수 작업시에도 작업자가 단순히 하우징을 분리하여 해당 부품의 교체 및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랙바와 구동 기어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롤러를 구성함으로써, 수문 권양기를 끌어올려서 분해하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고, 단순히 가이드 롤러를 회전 조작하여 랙바와 구동 기어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가 설치된 수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의 가이드 롤러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의 가이드 롤러를 이용한 간극 조절 동작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가 설치된 수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30)의 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바(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문(30)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수문(30)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며 지지하는 문틀 프레임(20)의 상면에 안착 결합된다. 이러한 분리형 수문 권양기(10)는 하우징(100)과, 구동 기어(200)와, 작동 구동부(300)와, 가이드 롤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여러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랙바(4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하 방향의 관통홀(130)이 형성된다.
구동 기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바(40)와 맞물림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되며, 작동 구동부(300)는 이러한 구동 기어(20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동 구동부(300)에 의해 구동 기어(200)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 기어(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랙바(4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랙바(40)에 연결 결합된 수문(30)이 상승 또는 하강하며 개폐 동작하게 된다.
이때, 작동 구동부(300)와 구동 기어(200)는 별도의 감속 기어부(32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작동 구동부(300)에 요구되는 동력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감속 기어부(320)는 서로 기어비가 다른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작동 구동부(300)는 감속 기어부(320)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미도시)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수문(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조작 핸들(310)의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고, 구동 모터와 조작 핸들(310)이 모두 적용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4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되어 랙바(40)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며 랙바(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가이드 롤러(400)는 랙바(40)를 구동 기어(200)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랙바(40)와 구동 기어(200)의 맞물림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아울러 바람이나 외부 하중 등의 영향으로 랙바(40)가 구동 기어(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400)는 랙바(40)에 대한 이동 경로 가이드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도록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200)의 수평 위치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바(40)가 상하 관통하는 관통홀(130)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 하우징(110) 및 제 2 하우징(120)으로 분리 형성되며, 제 1 하우징(110) 및 제 2 하우징(120)은 결합 볼트(500)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에 의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10)는 랙바(40)가 상하 관통하는 관통홀(130)을 중심으로 하우징(100)이 수평 방향 양측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랙바(40)와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형 수문 권양기(10)를 랙바(40)의 상부로 끌어 올려야하는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중장비 없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문 권양기는 랙바(40)와의 관통 결합을 위해 그 구조상 수문 권양기를 랙바(40)의 상단까지 들어올린 후 그 상태에서 구동 기어와 랙바(40)를 맞물림 상태로 조립하고, 이후 수문 권양기를 하강시켜 문틀 프레임(20)의 상단에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 작업이 진행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10)는 랙바(40)를 중심으로 하우징(100)이 수평 방향 양측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수문 권양기(10)를 랙바(40)의 상단까지 끌어올리지 않고 단순히 문틀 프레임(20)의 상면에 하우징(100)을 분리하여 안착시킨 상태에서 랙바(40)를 사이에 두고 분리된 상태의 제 1 하우징(110) 및 제 2 하우징(120)을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그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는 설치 작업시 랙바(40)의 상단까지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그 설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문틀 프레임(20)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로 설치 작업을 할 수 있어 수문 권양기 추락에 따른 위험 요소가 제거되며, 아울러 유지 보수 작업시에도 작업자가 단순히 하우징(100)을 분리하여 해당 부품의 교체 및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분리된 제 1 하우징(110) 및 제 2 하우징(120)에는 각각 다른 구성 요소가 장착되는데, 구동 기어(200), 작동 구동부(300) 및 이들을 연결하는 감속 기어부(320) 등은 제 1 하우징(110)에 장착되고, 가이드 롤러(400)는 제 2 하우징(120)에 장착된다. 따라서, 랙바(40)와 제 1 하우징(110)을 먼저 결합하여 랙바(40)와 구동 기어(200)와의 맞물림 상태 등을 조정한 후, 제 2 하우징(120)을 제 1 하우징(110)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롤러(400)는 제 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120)이 상호 결합됨에 따라 랙바(40)를 구동 기어(200) 측으로 가압하도록 제 2 하우징(12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 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120)을 상호 결합하면, 가이드 롤러(400)에 대한 별도의 위치 조정 없이도 가이드 롤러(400)가 랙바(40)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의 가이드 롤러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문 권양기의 가이드 롤러를 이용한 간극 조절 동작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랙바(40)와 구동 기어(200)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2 하우징(12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하우징(100)을 분리하지 않고도 단순히 가이드 롤러(400)에 대한 조작을 통해 랙바(40)와 구동 기어(200)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400)는 편심 롤러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길이 방향 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 하우징(120)에 결합되는 원통형 지지 샤프트(410)와, 지지 샤프트(410)의 회전 중심(C1)과 편심되게 위치하도록 지지 샤프트(4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통형 편심 가이드(420)와, 내주면이 편심 가이드(420)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이 랙바(40)에 밀착 접촉되는 롤러 슬리브(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2 하우징(120)에 형성된 관통홀(130) 부위를 관통하며 제 2 하우징(120)의 일측에 외부 돌출되도록 원통형 지지 샤프트(410)가 결합되는데, 지지 샤프트(410)는 사용자에 의해 일정 회전력 이상으로 회전 조작되면 길이 방향 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지지 샤프트(410)의 양측단부에는 별도의 부시(440)가 삽입 결합되어 제 2 하우징(120)에 결합되고, 부시(440)의 외측단에는 지지 샤프트(410)와 제 2 하우징(120)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너트(450)가 삽입 결합된다. 또한, 지지 샤프트(410)의 끝단에는 사용자가 지지 샤프트(410)를 회전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모서리를 갖는 렌치부(4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 샤프트(410)가 제 2 하우징(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렌치부(411)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지지 샤프트(4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지지 샤프트(410)의 중단부위에는 지지 샤프트(410)의 회전 중심(C1)과 편심되게 위치하도록 지지 샤프트(410)의 외주면에 원통형 편심 가이드(420)가 형성된다. 즉, 편심 가이드(420)의 중심(C2)과 지지 샤프트(410)의 중심(C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Y 만큼 편심되게 위치한다. 이러한 편심 가이드(420)의 외주면에는 편심 가이드(420)와 동심원 형태의 롤러 슬리브(430)가 결합되어 회전 중심 C2를 중심으로 슬라이딩 회전한다. 이때, 롤러 슬리브(430)의 외주면이 랙바(40)에 밀착 접촉하며 랙바(40)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즉, 랙바(40)가 구동 기어(200)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 롤러 슬리브(430)는 편심 가이드(420)에 대해 슬라이드 회전하며 랙바(40)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5의 (a) 상태에서 도 5의 (b) 상태로 지지 샤프트(410)를 C1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랙바(40)를 구동 기어(200) 측으로 가압하여 위치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랙바(40)와 구동 기어(200) 사이의 간극(d)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외부 하중이나 바람 등의 영향으로 랙바(40)에 변형이 생기는 등의 이유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바(40)와 구동 기어(200)에 간극(d)이 증가하게 되면, 종래 기술과 달리 수문 권양기를 끌어올려서 분해하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고, 단순히 가이드 롤러(400)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랙바(40)와 구동 기어(200)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는 유지 보수 작업 또한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문 권양기 20: 문틀 프레임
30: 수문 100: 하우징
110: 제 1 하우징 120: 제 2 하우징
130: 관통홀 200: 구동 기어
300: 작동 구동부 400: 가이드 롤러
410: 지지 샤프트 420: 편심 가이드
430: 롤러 슬리브

Claims (5)

  1. 수문의 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문을 개폐하는 수문 권양기에 있어서,
    상기 랙바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하 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랙바와 맞물림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
    상기 랙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작동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랙바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랙바를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하우징으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랙바와 상기 구동 기어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되는 원통형 지지 샤프트; 상기 지지 샤프트의 중심과 편심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통형 편심 가이드; 및 내주면이 상기 편심 가이드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이 상기 랙바에 밀착 접촉되는 롤러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 및 작동 구동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이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랙바를 상기 구동 기어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도록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
  4. 삭제
  5. 삭제
KR1020110102647A 2011-10-07 2011-10-07 핸들식 탈부착형 수문 권양기 KR101124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647A KR101124664B1 (ko) 2011-10-07 2011-10-07 핸들식 탈부착형 수문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647A KR101124664B1 (ko) 2011-10-07 2011-10-07 핸들식 탈부착형 수문 권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4664B1 true KR101124664B1 (ko) 2012-03-12

Family

ID=4614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647A KR101124664B1 (ko) 2011-10-07 2011-10-07 핸들식 탈부착형 수문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6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935B1 (ko) * 2012-03-19 2012-09-18 대청산업가동보 주식회사 폐문 시 수문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수문
KR101183934B1 (ko) * 2012-03-19 2012-09-18 대청산업가동보 주식회사 편심롤러에 의해 게이트의 처짐 방지 및 구간별 처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수문
KR101687551B1 (ko) * 2015-07-24 2016-12-1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수문개폐장치
KR20200126519A (ko) * 2019-04-30 2020-11-09 심왕섭 콘크리트구조물을 활용한 용수조절게이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801Y1 (ko) * 1989-05-16 1993-04-15 주식회사 성환공작소 수문 권양기
KR200192050Y1 (ko) * 2000-03-10 2000-08-16 정윤수 농수로용 수문 개폐장치
KR200430360Y1 (ko) 2006-08-24 2006-11-13 (주)태성기계 유압식 수문 권양장치
KR101005016B1 (ko) 2010-09-29 2010-12-30 (유)신일 수문용 권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801Y1 (ko) * 1989-05-16 1993-04-15 주식회사 성환공작소 수문 권양기
KR200192050Y1 (ko) * 2000-03-10 2000-08-16 정윤수 농수로용 수문 개폐장치
KR200430360Y1 (ko) 2006-08-24 2006-11-13 (주)태성기계 유압식 수문 권양장치
KR101005016B1 (ko) 2010-09-29 2010-12-30 (유)신일 수문용 권양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935B1 (ko) * 2012-03-19 2012-09-18 대청산업가동보 주식회사 폐문 시 수문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수문
KR101183934B1 (ko) * 2012-03-19 2012-09-18 대청산업가동보 주식회사 편심롤러에 의해 게이트의 처짐 방지 및 구간별 처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수문
KR101687551B1 (ko) * 2015-07-24 2016-12-1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수문개폐장치
KR20200126519A (ko) * 2019-04-30 2020-11-09 심왕섭 콘크리트구조물을 활용한 용수조절게이트 시공방법
KR102219167B1 (ko) * 2019-04-30 2021-02-23 심왕섭 콘크리트구조물을 활용한 용수조절게이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664B1 (ko) 핸들식 탈부착형 수문 권양기
EP2964853B1 (de) Arbeitsgerät mit stationärmast und drehkopf
DE102011118672A1 (de) Scherenhubtisch
KR101006005B1 (ko) 도로면 원형 절단기
KR20130047730A (ko) 윈드 터빈을 위한 나셀
DE102013102464B4 (de) Scherenhubtisch
EP2014603B1 (de) Fahrzeugkran
DE102010040901A1 (de) Magnus-Rotor
KR101446006B1 (ko)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CN109441090B (zh) 一种整体提升电梯井施工平台
KR100820136B1 (ko) 수문구조물의 수문 탈거장치
KR200464143Y1 (ko) 수문 권양기
KR200482885Y1 (ko) 수직형 모터의 부품 분해,조립 작업용 리프팅 거치대
DE927951C (de) Aufzug fuer Fahrzeuge od. dgl.
JP5380719B2 (ja) 水門開閉機操作装置
KR20210042056A (ko) 슬라이드 개폐 기밀형 맨홀 커버
DE1919266A1 (de) Steinsaege mit zwei Saegeblaettern
KR20090033963A (ko) 크라이밍 장치
CN104534247B (zh) 一种电动支撑腿
KR101099026B1 (ko) 리프트 시스템
CN104631993B (zh) 一种自动型设备吊装口
CN205012291U (zh) 一种双吊点蜗轮蜗杆手动启闭机
JP2015217455A (ja) マグネット固定式コンパクトフライス及び移動式加工法
JP7493848B1 (ja) 水門開閉装置の設置方法
DE102013218345A1 (de) 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einer Abflussöffnung in einem metallurgischen Gefä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