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187B1 -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 Google Patents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187B1
KR101060187B1 KR1020090063712A KR20090063712A KR101060187B1 KR 101060187 B1 KR101060187 B1 KR 101060187B1 KR 1020090063712 A KR1020090063712 A KR 1020090063712A KR 20090063712 A KR20090063712 A KR 20090063712A KR 101060187 B1 KR101060187 B1 KR 101060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wheel
case
formwork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880A (ko
Inventor
정석태
최기훈
Original Assignee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3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18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격을 케이스(21)가 형성하는데,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작동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공간(22)에는 지지플레이트(23)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3)에는 제1 및 제2연동캠(30,30')이 설치된다. 상기 연동캠(30,30')은 상기 케이스(21)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의 걸림바(5)에 걸어지거나 회전되는 구동휠(50)의 회전을 제어한다. 상기 구동휠(50)의 외주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구동날개(52)가 형성되는데, 상기 구동날개(52)는 상기 연동캠(30,30')에 걸어지거나 연동캠(30,30')의 휠연동돌기(33)를 타고 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동캠(30,30')에는 조작핸들(40)의 연동헤드(42)가 동시에 치합되어 이들이 함께 연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환유니트의 크기가 소형화되면서도 조작편의성이 높아지고 동작신뢰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거푸집, 레일, 승강, 전환유니트, 캠

Description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Switchover unit for form elev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거푸집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 승강장치에서 승강장치의 승강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에 대한 것이다.
콘크리트구조물이 포함되는 대부분의 토목공사에는 거푸집이 사용된다. 상기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것으로, 거푸집의 골격을 형성하는 거푸집널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打設)하고, 소정 시간동안 경화시간을 거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거푸집널에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을 사용하는데, 최근에는 공사에 따라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을 쓰기도 한다.
이때, 높은 건축물을 축조하는 경우에는 지면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 높이의 구조물을 축조한 후에, 상기 설치된 거푸집 을 탈형하여 축조된 구조물의 상측부에 다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을 반복하게 된다. 이를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폼(Sliding form)이라 부른다.
하지만, 상기한 슬라이딩 폼 방식의 경우에는 앞서 설치된 거푸집을 해체하고 상부에 다시 거푸집을 설치해야하므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으로 인해 전체 공사기간을 길어지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고 다시 상측에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거푸집을 들어 올려주기 위한 크레인이나 타워크레인과 같은 양중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양중장비는 비교적 고가의 장비이므로 공사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공사현장에 양중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이 확보되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CS(Auto climbing system)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ACS는 유압실린더와 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자동으로 상승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의 반복적인 작동으로 가이드레일을 차츰 상승시켜 주게 된다. 등록특허10-0239913에는 이러한 ACS이 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ACS의 유압실린더는 가이드레일을 일정 피치, 보다 정확하게는 유입실린더의 작동거리만큼 상승시켜주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입출됨에 따라 가이드레일이 유압실린더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즉, 실린더로드가 돌출되는 경우에는 가이드레일이 실린더로드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다가, 실린더로드가 원위치로 후퇴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레일이 실린더로드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된 위치에 머물러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가이드레일의 선택적인 고정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고정 또는 해제상태를 설정해주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원 및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가이드레일을 선택적으로 고정시켜야 하므로, 가이드레일의 고정작업이 번거로워지고 ACS장비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ACS에 의해 가이드레일은 어느 일방, 즉 가이드레일이 상승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뿐 아니라, 장비의 보수 등 공사현장의 사정에 의해 지면을 향해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 질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138327을 한 바 있으며, 여기서 전환유니트인 가이드유니트를 거푸집 자동승강장치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하여 거푸집 자동승강장치 또는 레일의 승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했다.
본 발명은 거푸집 자동승강장치에서 사용되는 전환유니트의 구성을 보다 소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 자동승강장치에서 사용되는 전환유니트의 동작신뢰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작동공간에 설치되고 일측을 관통하여 휠슬롯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외주를 둘러 형성된 구동날개중 일측 구동날개는 상기 휠슬롯을 관통하고 타측 구동날개는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걸림바에 걸어지거나 상대 회전되는 구동휠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휠슬롯을 관통하여 나온 상기 구동날개에 연동되어 상기 구동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연동캠과, 상기 제1 및 제2 연동캠과 동시에 연동되는 연동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연동헤드에서 연장되어 작업자가 조작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된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조작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캠은 하나의 구동휠에 대해 한쌍이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날개가 걸어지는 휠걸이돌기, 상기 구동날개가 타고 넘어갈 수 있는 휠연동돌기, 상기 연동캠이 구동휠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스토퍼핀에 걸어지는 핀걸이돌기 및 상기 연동헤드와의 연동을 위한 연동치가 그 가장자리를 따라 차례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동캠의 연동치와 대응되게 상기 조작핸들의 연동헤드에도 연동치가 형성되는데, 이들은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된다.
상기 휠걸이돌기는 상기 구동날개가 걸어지는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휠연동돌기는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조작핸들에 설치된 걸이레버에 핸들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케이스 측에 케이스힌지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암이 중앙을 관통하는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이다.
상기 케이스힌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암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암이 두 갈래로 갈라져 그 사이에 상기 케이스힌지핀이 위치되는 포크부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자동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구동휠의 동작 전환을 위한 판형상의 연동캠과 조작핸들이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전환유니트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쌍의 연동캠에 구비된 연동치와 이와 연동되는 조작핸들의 연동헤드의 연동치가 반원형으로 된 반원기어치여서 연동캠과 조작핸들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이물질이 많은 환경에서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개략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이드레일(1)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레일(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빔형상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H빔형상으로 되고, 그 외면에는 결합편(3)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3)은 아래에서 설명될 전환유니트의 일측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것으로, 양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바(5)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걸림바(5)는 거푸집 승강장치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전환유니트와의 선택적인 결합을 통해 거푸집 승강장치와 가이드레일(1)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가 능하게 한다.
즉, 상기 걸림바(5)가 거푸집 승강장치의 상단에 있는 전환유니트의 구동휠(50)에 걸어진 상태로 거푸집 승강장치의 구동유닛(도시되지 않음)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레일(1)이 상기 상단의 전환유니트를 따라 하단의 전환유니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환유니트는 그 조작 상태에 따라 구동휠(50)이 가이드레일(5)의 걸림바(5)에 걸어지거나 걸림바(5)에 대해 구동휠(50)이 특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환유니트의 골격과 외관 일부를 케이스(21)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21)는 본 실시예에서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이다.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작동공간(22)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작동공간(22)은 상기 케이스(21)의 적어도 일면이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할 수 있도록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레일(1)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이 개구되어 있다. 물론, 개구된 면은 별도의 커버(도시되지 않음)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의 양측면으로는 각각 관통부(21')가 형성되어 작동공간(2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게 된다.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지지플레이트(23)가 작동공간(22)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3)의 일면이 상기 가이드레일(1)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작동공간(22)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작동공간(22)을 완전히 구획하지 않고 일부만 구획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3)에는 2개의 회전중심축(24)이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연동캠(30,3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3)에는 또한 그 일단 상하에 각각 스토퍼핀(26)이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핀(26)은 연동캠(30,30')의 회전방향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3)의 중앙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슬롯(28)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휠슬롯(28)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휠(50)이 연동캠(30,30')과의 연동을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23)를 관통하는 부분이다. 도면 부호 29는 커버판(29)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캠(30,30')과 조작핸들(40)의 연동헤드(42) 부분을 차폐한다. 상기 커버판(29)에는 윈도우(29')가 형성되어 상기 연동캠(30,30')과 연동헤드(42)가 연동되는 부분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3)에는 제1연동캠(30) 및 제2연동캠(3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동캠(30,30')은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휠(5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연동캠(30,30')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판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외주를 둘러서 각각 휠걸이돌기(32), 휠연동돌기(33), 핀걸이돌기(34) 및 연동치(36)가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휠걸이돌기(32)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휠(50)의 구동날개(52)를 걸어 구동휠(50)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캠(30,30')의 외주에 돌출된 상기 휠걸이돌기(32)는 적어도 구동날개(52)가 걸어지는 부분이 평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휠연동돌기(33)는 구동휠(50)의 구동날개(52)가 쉽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휠연동돌기(33)는 상기 휠걸이돌기(32)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연동캠(30,30')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핀걸이돌기(34)는 상기 스토퍼핀(26)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으로 스토퍼핀(26)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스토퍼핀(26)에 핀걸이돌기(34)가 견고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핀걸이돌기(34)는 상기 휠연동돌기(33)를 기준으로 상기 휠걸이돌기(32)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상기 연동치(36)는 상기 연동캠(30,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연동치(36)는 그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동치(36)가 반원형상으로 되면 아래에서 설명될 조작핸들(40)의 연동치(43)와의 연동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이물질이 많은 환경에서도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고, 연동치(36,43)가 형성된 부품들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캠(30,30')은 일측 구동휠(50)에 인접하여 서로가 일정 거리 떨어지게 위치되어 있다.
조작핸들(40)은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지지플레이트(23)에 설치된다. 상기 조작핸들(40)의 선단에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연동헤드(42)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헤드(42)에는 연동치(43)가 소정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데, 이 연동치(43)는 단면이 반원형으로 된 것으로, 상기 연동캠(30,30')의 연동치(36)와 동시에 맞물려 연동되는 것이다.
상기 연동헤드(42)에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부(45)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45)는 작업자가 조작핸들(40)을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부분이다. 상기 조작핸들(40)을 관통하여서는 걸이레버(46)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레버(46)는 상기 조작핸들(40)의 손잡이부(45)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손잡이부(45)의 일면에만 고정되어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걸이레버(46)에는 핸들힌지핀(46p)이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1)의 일측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판(23')에 설치된 케이스힌지핀(23p)과 협력하여 가이드암(47)이 상기 걸이레버(46)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암(47)이 중앙을 관통하게 지지디스크(48)와 복귀스프링(49)이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디스크(48)는 상기 복귀스프링(49)의 양단에 하나씩 설치되어 상기 복귀스프링(49)의 양단이 각각 상기 걸이레버(46)측과 상기 케이스(21)측(보다 정확하게는 케이스힌지핀(23p)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복귀스프링(49)은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데, 전환유니트에서 구동휠(50)이 회전될 때, 하나의 구동날개(52)가 상기 연동캠(30,30')을 타고 넘을 때마다 상기 조작핸들(40)이 도 1의 상태로 갔다가 원래의 상태(예를 들면 도 2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귀스프링(49)은 상기 조작핸들(40)이 도 1의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로 경사지게(도 2의 상태) 또는 하부로 경사지게 되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암(47)의 일단부, 즉 상기 케이스힌지핀(23p)에 걸어지는 부분은 포크부(47')로서 상기 가이드암(47)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어 그 사이에 상기 케이스힌지핀(23p)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포크부(47')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21) 측의 돌출판(23') 및 지지플레이트(23) 사이에 있는 부분에는 절결부(도면부호 부여않음)를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회전축(50')(도 4참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동휠(5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휠(50)은 본 실시예에서 2개가 나란히 설치되는데, 설계조건에 따라 그 갯수는 달리 될 수 있다. 상기 구동휠(50)이 설치되는 공간상의 평면과 상기 연동캠(30,30')가 설치되는 공간상의 평면은 서로 직교하게 된다. 상기 구동휠(50)에는 본 실시예에서 4개의 구동날개(52)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날개(52)는 상기 가이드레일(1)의 걸림바(5)에 걸어져 걸림바(5)에 고정되거나 걸림바(5)에 대해 구동휠(5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21)의 상단과 하단에는 예를 들면 구동유니트나 고정유니트등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플랜지(54)가 한쌍씩 구비된다. 상기 연결플랜지(54)에는 연결핀(56)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유니트나 고정유니트와의 결합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환유니트에서 상기 구동휠(50)이 회전될 수 있는 상태이면 상기 가이드레일(1)의 걸림바(5)에 대해 전환유니트가 상대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구동휠(50)이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이면 상기 전환유니트가 걸림바(5)에 대해 상대 이동 이 되지 않게 된다.
먼저, 도 4에는 상기 조작핸들(40)이 수평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연동캠(30,30')이 모두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즉, 제2연동캠(30')은 구동휠(50)의 구동날개(52)가 휠연동돌기(33)를 눌러줌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제1연동캠(30)은 제2연동캠(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헤드(42)가 회전함에 의해 연동헤드(42)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연동캠(30')이 회전됨에 의해 연동헤드(42) 및 제1연동캠(30)이 회전되는데, 상기 조작핸들(4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수평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복귀스프링(49)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휠(50)의 회전을 상기 제1연동캠(30)이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까지 회전되어 있다.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휠(50)의 구동날개(52)가 상기 제2연동캠(30')의 휠연동돌기(33)를 타고 넘어가면 상기 조작핸들(40)은 상기 복귀스프링(49)의 복원력에 의해 도 4의 상태로 다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연동캠(30,30')은 모두 상기 조작핸들(40)에 연동되어 함께 화살표 A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4의 상태로 된다.
도 4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휠(50)은 상기 걸림바(5)에 대해 화살표 B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고, 그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6의 상태를 참고하여 전환유니트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의 상 태는 상기 조작핸들(40)이 도 4의 상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부로 내려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연동캠(30)은 휠연동돌기(33)가 상기 구동휠(50)의 구동날개(52)에 인접한 상태이고, 상기 제2연동캠(30')은 휠걸이돌기(32)가 상기 구동날개(52)에 인접하고 상기 핀걸이돌기(34)가 상기 스토퍼핀(26)에 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연동캠(30)은 상기 구동휠(50)에 의해서는 화살표 A'반대 방향으로는 회전될 수 없다. 물론, 상기 제2연동캠(30')은 상기 핀걸이돌기(34)가 상기 스토퍼핀(26)에 걸어져 있어 화살표 A'반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휠(50)에 의해서 상기 제1연동캠(30)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연동캠(30)의 회전은 상기 연동헤드(42)를 통해 상기 제2연동캠(30')으로 전달되어 제2연동캠(30')이 상기 구동휠(50)의 B'방향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된다. 참고로 상기 조작핸들(40)은 도 6의 상태에서 거의 수평 상태로까지 상기 복귀스프링(49)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되었다가 상기 제1연동캠(30)의 휠연동돌기(33)를 상기 구동휠(50)의 구동날개(52)가 넘어서면 복귀스프링(49)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작핸들(40)이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된다. 물론, 상기 조작핸들(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연동캠(30,30')도 도 6의 상태로 회전된다.
한편, 거푸집 승강장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환유니트를 구동유니트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조작핸들(40)의 상태를 특정하게 설정함에 의해 가이드레일(1)을 승강시키거나, 고정된 가이드레일(1)에 대해 거푸집 승강장치가 승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10-2008-138327(명칭: 거푸집 자동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승강방법)에 잘 설명되어 있어 가이드레일(1)과 거푸집 등에 대한 승강동작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조작핸들(40)을 하나만 사용했는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상기 각각의 구동휠(50)에 대해 조작핸들(40)을 별도로 둘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조작핸들(40)이 서로 연동되도록 조작핸들(40) 사이를 스프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49)은 본 실시예에서 원통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조작핸들(40)이 조작되어 회전된 상태로 복원될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탄성부재라도 상관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구동휠이 회전되어 제2연동캠을 거의 타고 넘어가는 시점의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도 4의 상태와 반대방향으로 조작핸들이 조작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이드레일 3: 결합편
5: 걸림바 21: 케이스
22: 작동공간 24: 회전중심축
26: 스토퍼핀 28: 휠슬롯
30, 30': 연동캠 32: 휠걸이돌기
33: 휠연동돌기 34: 핀걸이돌기
36: 연동치 40: 조작핸들
42: 연동헤드 43: 연동치
45: 손잡이부 46: 걸이레버
47: 가이드암 48; 지지디스크
49: 복귀스프링 50: 구동휠
52: 구동날개 54: 연결플랜지
56: 연결핀

Claims (6)

  1.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작동공간에 설치되고 일측을 관통하여 휠슬롯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외주를 둘러 형성된 구동날개중 일측 구동날개는 상기 휠슬롯을 관통하고 타측 구동날개는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걸림바에 걸어지거나 상대 회전되는 구동휠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휠슬롯을 관통하여 나온 상기 구동날개에 연동되어 상기 구동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연동캠과,
    상기 제1 및 제2 연동캠과 동시에 연동되는 연동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연동헤드에서 연장되어 작업자가 조작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된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조작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캠은 하나의 구동휠에 대해 한쌍이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날개가 걸어지는 휠걸이돌기, 상기 구동날개가 타고 넘어갈 수 있는 휠연동돌기, 상기 연동캠이 구동휠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스토퍼핀에 걸어지는 핀걸이돌기 및 상기 연동헤드와의 연동을 위한 연동치가 그 가장자리를 따라 차례로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캠의 연동치와 대응되게 상기 조작핸들의 연동헤드에도 연동치가 형성되는데, 이들은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휠걸이돌기는 상기 구동날개가 걸어지는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휠연동돌기는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조작핸들에 설치된 걸이레버에 핸들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케이스 측에 케이스힌지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암이 중앙을 관통하는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힌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암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암이 두 갈래로 갈라져 그 사이에 상기 케이스힌지핀이 위치되는 포크부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KR1020090063712A 2009-07-13 2009-07-13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KR101060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712A KR101060187B1 (ko) 2009-07-13 2009-07-13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712A KR101060187B1 (ko) 2009-07-13 2009-07-13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880A KR20090082880A (ko) 2009-07-31
KR101060187B1 true KR101060187B1 (ko) 2011-08-29

Family

ID=4129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712A KR101060187B1 (ko) 2009-07-13 2009-07-13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1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883B1 (ko) 2007-08-07 2007-11-09 (주) 콘스텍 반자동 상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883B1 (ko) 2007-08-07 2007-11-09 (주) 콘스텍 반자동 상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880A (ko) 200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50352B (zh) 一种预制板的连接方法
CN102615215B (zh) 行梁式钢筋自动成型机
KR20130005531U (ko)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잠금장치
KR101043920B1 (ko) 거푸집 이송장치
CN102632165B (zh) 臂式钢筋自动成型机
KR100692055B1 (ko)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KR101060186B1 (ko)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KR101060187B1 (ko)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CN104879142A (zh) 隧道宽幅防水板安装平台用顶杆装置
JP6009332B2 (ja) 自昇降式外部養生装置用の固定装置とその設置方法
CN111501846B (zh) 基础底板后浇带的止水钢板支撑结构
KR101053798B1 (ko) 거푸집 자동승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자동승강방법
CN207017114U (zh) 一种市政工程用沥青道路摊平装置
WO2008126999A1 (en) Vertical transferring device for heavy load
EP2518239B1 (en) A climbing head for hoisting a self-climbing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JP5456201B1 (ja) トラス式鉄塔建設・補修工事用つなぎ装置および該つなぎ装置を使用した移動昇降式足場によるトラス式鉄塔の建設・補修方法
JP5427941B2 (ja) 免震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床
KR101190150B1 (ko) 섬유강화복합소재 판을 이용한 슬립폼
US20170030094A1 (en) Re-positionable floor guide system and tool for use in the same
CN209468987U (zh) 一种用于装配式主梁吊装的便捷式操作平台
CN202571085U (zh) 行梁式钢筋自动成型机
KR101177072B1 (ko)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CN218815323U (zh) 一种装配式叠合梁板定位装置
KR20090047437A (ko) 가설벤트
KR200461507Y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이동식 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