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055B1 -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 Google Patents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055B1
KR100692055B1 KR1020050037829A KR20050037829A KR100692055B1 KR 100692055 B1 KR100692055 B1 KR 100692055B1 KR 1020050037829 A KR1020050037829 A KR 1020050037829A KR 20050037829 A KR20050037829 A KR 20050037829A KR 100692055 B1 KR100692055 B1 KR 10069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rmwork
formwork panel
concrete
wall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444A (ko
Inventor
장병수
김덕호
신성권
문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055B1/ko
Publication of KR2006011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비교적 큰 규모의 벽체형 콘크리트 구조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시공 공법에 관한 개선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규모상 여러번의 콘크리트 타설과 거푸집의 해체/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 레일을 설치하고 그 위에 이동용 바퀴가 장착된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여 구간별로 벽체 거푸집을 계속해서 끌어 이동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공법에 비해 공기 단축 및 원가 절감에 의해 공사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식 거푸집의 구성은, 바닥면의 상부 또는 기타설 시공된 구조물의 양쪽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평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측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며 소정 두께의 벽체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벽면 거푸집 패널; 및, 상기 한 쌍의 벽면 거푸집 패널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시에 벽체 마구리면을 막아 주는 마구리 거푸집 패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동, 거푸집, 벽체, 레일, 바퀴, 쐐기, 콘크리트

Description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Movable Concrete Form and Multi-leve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거푸집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서의 이동바퀴 및 수평레일 간 접촉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부고정형강의 단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상세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쐐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의 쐐기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이동식 거푸집을 사용하여 구조물을 구축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벽면 거푸집 패널 120 : 이동바퀴
200 : 마구리 거푸집 패널 300 : 수평레일
400 : 상부고정형강 420 : 가변고정부
421, 422 : 엔드브라켓 425 : 고정블럭
500 : 쐐기장치
본 발명은 비교적 큰 규모의 벽체형 콘크리트 구조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규모상 여러번의 콘크리트 타설과 거푸집의 해체/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 레일을 설치하고 그 위에 이동용 바퀴가 장착된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여 구간별로 벽체 거푸집을 계속해서 끌어 이동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공법에 비해 공기 단축 및 원가 절감에 의해 공사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안전관리 면에서도 유리한 개선된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나 방파제 현장의 상치 콘크리트 등은 비교적 일정한 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상당히 긴 길이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형태의 대형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그 작업의 상당 부분은 거푸집의 설치/해체 및 콘크리트 타설의 연속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대형 벽체 구조물들의 경우 그 규모상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전체 높이 및 길이에 대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전체 중 일부 구간 및 높이씩 수회에 걸쳐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여 전체 구조물을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이와 같은 형태의 구조물 시공에 있어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던 작업 방식은,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거푸집을 조립 설치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다음, 거푸집을 해체하고, 다음 타설 위치로 거푸집을 이동하여 재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 방식에 있어서 거푸집 작업은 거푸집의 조립설치 / 해체 / 이동 / 재조립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바, 연속되는 콘크리트 작업에 따라 구축되어야 하는 구조물의 특성상 거푸집 작업에 상당한 비효율성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공기 및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즉, 방파제의 사석 제체 위에 유로폼 등으로 거푸집을 조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치 콘크리트와 같은 작업은 연속적으로 진행되어야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고 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거푸집 작업 방식에 따를 경우 단순 반복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거푸집 해체/이동시 계속적인 재작업이 시행됨으로써 연속성이 결여되어 불필요한 인력 작업으로 인해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원가 상승이 발생하여 경제적으로도 불리한 점이 있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방식에 따르게 되면 거푸집의 이동/재조립 시마다 안전난간 등을 다시 설치하여야 하였으며, 이와 같은 안전시설물의 잦은 재설치에 따라 추가의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기존 방식 하에서 는 거푸집의 해체, 이동 작업에 있어 거푸집을 해체한 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양중하고 이를 이동하여 재설치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더욱이 크레인 인양 작업시 추가 인원 및 장비를 투입하여야 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거푸집 작업에서 많은 시간을 차지했던 거푸집 해체, 이동, 재조립의 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면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의 면에서 매우 높은 효율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 기존 공법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 및 시험을 계속하였으며, 그 결과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을 완성하여 출원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파제 현장의 상치 콘크리트 작업 등에서 기존의 작업 방식에서 나타난 비효율성과 비경제적인 면을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안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그 규모상 여러번의 콘크리트 타설과 거푸집의 해체/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 레일을 설치하고 그 위에 이동용 바퀴가 장착된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여 구간별로 벽체 거푸집을 계속해서 끌어 이동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공법에 비해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에 의해 공사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안전관리 면에서도 유리한 개선된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식 거푸집은, 대형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이동식 거푸집으로서, 바닥면의 상부 또는 기타설 시공된 구조물의 양쪽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평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측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며 소정 두께의 벽체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벽면 거푸집 패널; 및, 상기 한 쌍의 벽면 거푸집 패널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시에 벽체 마구리면을 막아 주는 마구리 거푸집 패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방파제의 상치 콘크리트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a) 하부측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벽면 거푸집 패널을 제작하여 준비하는 단계; (b)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 구조물의 두께를 감안하여 바닥 기초면의 상면에 한 쌍의 수평레일을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설치된 수평레일 상에 상기 (a)단계에서 제작된 벽면 거푸집 패널의 이동바퀴가 위치되게 하여 벽면 거푸집 패널을 설치하고, 설치된 벽면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에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 기간 양생하는 단계; (e) 상기 수평레일을 따 라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수평 이동하여 다음 타설구간 위치에 이동설치하는 단계; (f) 상기 (d)단계 내지 (e)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제1단 벽체콘크리트를 구축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를 거쳐 구축된 제1단 벽체콘크리트의 양쪽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수평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h)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을 상기 (g)단계에서 설치된 수평레일 상에 거치하고, 설치된 벽면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에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i)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 기간 양생하는 단계; (j)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수평 이동하여 다음 타설구간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k) 상기 (i)단계 내지 (j)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제2단 벽체콘크리트를 구축하는 단계; 그리고, (l) 상기 (g)단계 내지 (k)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전체 높이까지 벽체 콘크리트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을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형태로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유로폼 등으로 거푸집을 조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이를 해체 / 이동한 후 재조립하여 사용하였던 기존의 일반적인 거푸집 작업 방식과 비교할 때, 구조물의 길이 방향에 따라 수평레일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벽면 거푸집 패널의 하부에 이동바퀴를 장착, 상기 수평레일 상을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후 설치된 거푸집을 수평으로 끌어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그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이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상 특징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해체함이 없이 전체 거푸집 면(벽면 거푸집 패널 및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그대로 수평으로 끌어 당겨 계속적으로 다음 타설 구간으로 이동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기존의 작업 방식하에서 많은 시간을 차지했던 거푸집의 해체, 재설치 작업의 대부분을 생략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사 기단을 대폭 단축시키면서 원가 절감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전술한 사항들 이외에 본 발명이 가지는 또 다른 기술적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거푸집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식 거푸집은 기본적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평레일(300)과, 상기 수평레일(30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측에 이동바퀴(120)가 구비되며 소정 두께의 벽체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벽면 거푸집 패널(100)과, 상기 한 쌍의 거푸집 패널(100) 사이에 연결 설 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시에 벽체 마구리면을 막아 주는 마구리 거푸집 패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벽면 거푸집 패널(100)은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양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평활한 내측면을 갖는 거푸집 패널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벽면 거푸집 패널의 제작은 일반적으로 거푸집의 제작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로폼을 조립하여 사용하거나 철제틀에 합판을 부착하여 전용 거푸집을 제작하여 사용하는 등 현장 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형태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100)의 구체적인 사이즈는 1회 콘크리트 타설 가능한 높이 및 구간(span)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정해지며, 예컨대 방파제 상치 콘크리트 작업의 경우 그 높이는 대략 2m 이상, 길이는 약 20m 내외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와 같은 벽면 거푸집 패널(100)의 하부측에는 다수개의 이동바퀴(120)가 소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바퀴(120)는 후술하는 수평레일(300)의 방향을 따라 상기한 벽면 거푸집 패널(1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의 로울러형 철재 바퀴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퀴(120)는 수평레일(300)과 구름 접촉을 통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직경은 대략 10cm 정도, 이동바퀴간 설치 간격은 1.8m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다음으로, 수평레일(300)은 상기한 벽면 거푸집 패널(100)을 이동하면서 사 용할 수 있도록 거푸집의 수평 이동 궤도를 형성하는 레일(rail)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레일(300)은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경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2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서로 일정 간격(구조물의 두께를 감안하여 정해진다)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수평레일(300)은 기본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데, 이는 콘크리트 양생 후 본 발명의 이동식 거푸집을 다음 구간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벽면 거푸집 패널(100)을 기울인 상태로 이동시킴에 있어 원활한 구동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이동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수평레일(300)의 구체적인 실시에 있어, 1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바닥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레일의 경우에는 원형 파이프를 2열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미 시공된 구조물의 상부에 2단 이후의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측면에 수평레일(30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와 같이 구조물 측면에 설치되는 수평레일(300)의 경우 도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구조물의 측면에 ㄷ자형 채널(310)을 부착하여 레일 받침대로 사용하고 그 상부에 원형 파이프 등으로 레일본체(320)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ㄷ자형 채널(310)의 규격은 75㎜×8㎜×3㎜ 정도의 것을, 레일본체로서 사용된 원형 파이프의 경우 직경 3cm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다음으로, 상기 마구리 거푸집 패널(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레일(100) 상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벽면 거푸집 패널(100)들의 사이를 막아주는 마구리 거푸집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유로폼 등을 사용하여 통상의 거푸집 제작 방식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마구리 거푸집 패널(200)은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완전히 해체되지 않고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100)과 쐐기장치(500)를 매개로 고정됨으로써 벽면 거푸집 패널(100)을 수평으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벽면 거푸집 패널(100)들 사이에는 다수개의 상부고정형강(400)이 거푸집 패널들의 상부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고정형강(400)은 그 양 끝단부가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100)들의 상단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100)을 상호 결속하도록 설치되며, 이와 같은 상부고정형강(400)은 기본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시에 거푸집 패널들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폼타이(form tie)로서의 역할과 함께 그 위에 작업 발판을 거치할 수 있는 받침대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고정형강(400)의 양 끝단부에는 벽면 거푸집 패널(100)과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와 같은 고정부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그 고정 상태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가변고정부(420)를 특히 제안한다.
도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변고정부(420)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고정부(420)는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이 격 배치된 2개의 엔드브라켓(421)(422)과 상기 엔드브라켓들 사이에 설치된 고정블럭(42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블럭(425)은 상기 엔드브라켓(421)(422)들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그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가변고정부(420)가 마련된 상부고정형강(400)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내측 엔드브라켓(421)과 고정블럭(425) 사이에 벽면 거푸집 패널(100)의 상단부를 끼운 상태에서 나사봉(428)을 조임하여 상기 고정블럭(425)를 거푸집 상단에 밀착시킴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가변고정부(420)가 마련된 상부고정형강(400)을 사용함으로써 거푸집의 이동에 있어 벽면 거푸집 패널을 벌려 기울인 상태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전체 거푸집을 분해하거나 양중할 필요 없이 최소한의 작업만으로도 매우 용이하게 거푸집을 이동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본 발명만의 특징적인 작용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5의 도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 후 거푸집을 이동하고자 할 때, 상기한 가변고정부(420)의 고정블럭(425)를 바깥쪽으로 풀러 놓은 상태에서 벽면 거푸집 패널(100)을 외측으로 벌려 기울이게 되면(도5의(b) 참조),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100)의 상단부가 상기 고정블럭(425)에 의해 지지되어 더 이상 넘어지지 않고 기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100)이 콘크리트 구체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거푸집을 수평으로 끌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거푸집의 이동에 있어 전체 거푸집을 수평레일(30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도 설치된 상태 거의 그대로 거푸집의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바퀴(120)와 접하는 수평레일(300)의 단면을 원형 형상으로 하게 되면 벽면 거푸집 패널(100)을 기울인 상태에서도 수평레일(300)과 이동바퀴(120) 간의 접촉 상태가 직립시에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더욱 유리한 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거푸집의 이동에 있어서 벽면 거푸집 패널(100)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200) 사이에는 별도의 쐐기장치(500)를 설치하여 이들을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벽면 거푸집 패널(100)이 경사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쐐기장치(500)에 대한 상세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장치(50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를 거푸집 상부로부터 끼워 넣었을 때 일정한 경사각도(통상적으로 15도 정도가 적당)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쐐기장치(500)의 측면에는 핀고정홀(520)을 형성함으로써 통상의 유로폼 고정핀을 사용하여 거푸집 패널들과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1에 있어 미설명 식별부호 160, 170은 안전난간 및 작업발판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안전난간과 같은 안전 시설물을 일체로 미리 설치하여 둘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 거푸집 작업 방식하에서 잦은 안전 시설물의 재설치로 인해 인력과 시간 낭비가 있었던 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설치되어 일 스팬에 대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기간 존치시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을 완료한 다음, 이를 수평레일(300)을 따라 그대로 다음 타설 구간으로 이동시켜 계속적으로 연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6을 참조로 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이동식 거푸집은 특히 방파제의 상치 콘크리트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다단 타설식으로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a) 먼저, 구조물의 크기를 감안하여 1회 타설 높이 및 스팬을 계획한 후 이에 따라 벽면 거푸집 패널(100)을 제작하여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100)의 하부측에는 수평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바퀴(120)를 장착 설치함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 때, 이동바퀴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현장 결정된 설치간격을 준수하고 철저한 용접에 의해 이동 중에 바퀴가 탈락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한다.
(b) 다음으로는 벽체 구조물을 형성하고자 하는 바닥면 상에 수평레일(300)을 설치한다. 이 때, 상기 수평레일은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 구조물의 두께를 감 안하여 배치하며, 거푸집의 이동시에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하도록 한다. (도6의(a) 참조) 아울러, 상기 수평레일(300)의 형태는 원형 스틸 파이프 등을 사용하여 원형 단면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벽면 거푸집 패널을 기울인 상태로 이동할 때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c) 상기 바닥면에 설치된 수평레일(300) 위에 (a)단계에서 제작된 벽면 거푸집 패널의 이동바퀴가 위치되게 하여 벽면 거푸집 패널을 설치한 다음, 설치된 벽면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에 마구리 거푸집 패널(200)을 설치하여 단위 거푸집 조립체를 설치한다(도6의(b) 참조). 이 때, 후속하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거푸집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폼타이로 거푸집들을 상호 결속하며, 거푸집의 외측으로는 적절한 서포트 보강을 시행한다.
아울러, 상기 설치된 벽면 거푸집 패널들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부측에 가변고정부(420)가 마련된 상부고정형강(4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구성의 상부고정형강의 설치를 통해 거푸집의 이동 작업이 더욱 원활해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d) 상기와 같이 거푸집 조립체가 완성되면,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 기간 양생한다. (도6의(c) 참조)
(e) 콘크리트의 타설 후 소정의 거푸집 거치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설치된 거푸집 조립체를 수평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하여 다음 타설구간 위치에 이동 설치한다. 이 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벽면 거푸집 패널뿐 아니라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동시에 이동함으로써 작업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도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의 사이에 별도의 쐐기장치(500)를 고정하여 벽면 거푸집 패널이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6의(d) 참조)
(f) 이상과 같이 하여 거푸집을 이동한 다음에는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 기간 양생한 다음, 다시 거푸집을 인접 타설 구간으로 끌어 이동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소정 높이로 1단 콘크리트를 구축한다. (도6의(e),(f) 참조)
상기와 같이 제1단 콘크리트를 구축한 이후로는 그 위에 2단 이후의 콘크리트를 연속적으로 타설하여 설계된 높이까지 다단식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해 나가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전체 높이에 대한 구조물의 구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2단 이후로의 공정 역시 기본적으로는 앞서 진행한 1단 콘크리트 타설 공사와 동일한 절차에 따르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g) 상기와 같이 구축된 제1단 벽체콘크리트의 양쪽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수평레일(300)을 설치하는 단계;
(h) 벽면 거푸집 패널을 상기 (g)단계에서 설치된 수평레일 상에 거치하고, 설치된 벽면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에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i)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 기간 양생하는 단계;
(j)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수평 이동하여 다음 타설구간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k) 상기 (i)단계 내지 (j)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제2단 벽체콘크리트를 구축하는 단계; 그리고,
(l) 상기 (g)단계 내지 (k)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전체 높이까지 벽체 콘크리트를 구축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반복 시공 과정을 거쳐 설계된 전체 높이에 대하여 콘크리트 작업을 수행하며(도6의(g) 내지 도6의(i)참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초 설치된 거푸집을 계속적으로 끌어 이동 사용함으로써 공기 단축과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파제 현장의 상치 콘크리트 작업과 같이 그 규모상 여러번의 콘크리트 타설과 거푸집의 해체/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 레일을 설치하고 그 위에 이동용 바퀴가 장착된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여 구간별로 벽체 거푸집을 계속해서 끌어 이동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공법에 비해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에 의해 공사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안전관리 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대형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이동식 거푸집으로서,
    바닥면의 상부, 또는 기타설 시공된 구조물의 양쪽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평레일;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측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며 소정 두께의 벽체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벽면 거푸집 패널;
    상기 한 쌍의 벽면 거푸집 패널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시에 벽체 마구리면을 막아 주는 마구리 거푸집 패널; 및
    상기 벽면 거푸집패널들의 상부측을 가로 질러 설치되는 길이 부재로서 그 양 끝단부가 벽면 거푸집 패널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들을 상호 결속하는 다수개의 상부고정형강;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고정형강은 양 단부측에 가변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변고정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된 2개의 엔드브라켓과; 상기 엔드브라켓들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고정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수평레일은 원형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5. 제4항에서, 상기 수평레일은 ㄷ자형 채널과, 상기 ㄷ자형 채널의 상부에 설치된 원형 단면형상의 내부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6. 제1항에서, 상기 마구리 거푸집 패널과 벽면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에는 상광하협 형태의 쐐기장치가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7. 제6항에서, 상기 쐐기장치에는 유로폼 고정핀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핀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8. 제1항에서,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의 상부에는 안전 난간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9. 제1항에서,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의 측면에는 작업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10. 방파제의 상치 콘크리트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하부측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벽면 거푸집 패널을 제작하여 준비하는 단계;
    (b)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 구조물의 두께를 감안하여 바닥 기초면의 상면에 한 쌍의 수평레일을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설치된 수평레일 상에 상기 (a)단계에서 제작된 벽면 거푸집 패널의 이동바퀴가 위치되게 하여 벽면 거푸집 패널을 설치하고, 설치된 벽 면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에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 기간 양생하는 단계;
    (e)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수평 이동하여 다음 타설구간 위치에 이동설치하는 단계;
    (f) 상기 (d)단계 내지 (e)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제1단 벽체콘크리트를 구축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를 거쳐 구축된 제1단 벽체콘크리트의 양쪽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수평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h)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을 상기 (g)단계에서 설치된 수평레일 상에 거치하고, 설치된 벽면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에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i)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 기간 양생하는 단계;
    (j)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수평 이동하여 다음 타설구간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k) 상기 (i)단계 내지 (j)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제2단 벽체콘크리트를 구축하는 단계; 그리고,
    (l) 상기 (g)단계 내지 (k)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전체 높이까지 벽체 콘크리트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 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수평레일은 원형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12. 제11항에서, 상기 (g)단계에서 설치되는 수평레일은 ㄷ자형 채널과, 상기 ㄷ자형 채널의 상부에 설치된 원형 단면형상의 내부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13. 제10항에서, 상기 (c)단계와 (h)단계는, 설치된 벽면 거푸집 패널들을 가로 질러 상호 결속하는 길이부재인 상부고정형강을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 상단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14. 제13항에서, 상기 상부고정형강은 양 단부측에 가변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변고정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된 2개의 엔드브라켓과; 상기 엔드 브라켓들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고정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e)단계와 (j)단계는,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을 다음 구간으로 수평 이동하기에 앞서,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과 마구리 거푸집 패널 사이에 상광하협 형태의 쐐기장치를 더 설치함으로써 상기 벽면 거푸집 패널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KR1020050037829A 2005-05-06 2005-05-06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KR100692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829A KR100692055B1 (ko) 2005-05-06 2005-05-06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829A KR100692055B1 (ko) 2005-05-06 2005-05-06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444A KR20060115444A (ko) 2006-11-09
KR100692055B1 true KR100692055B1 (ko) 2007-03-12

Family

ID=3765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829A KR100692055B1 (ko) 2005-05-06 2005-05-06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0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527B1 (ko) 2009-08-24 2011-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콘크리트 주탑의 연직도 관리를 위한 원격자동제어 기능을 가진 주탑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콘크리트 주탑 시공방법
KR101487322B1 (ko) 2013-11-12 2015-01-29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20200069486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벽체의 제작 방법
KR20230112447A (ko) 2022-01-20 2023-07-27 한국과학기술원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양생용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양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031B1 (ko) * 2018-03-23 2020-06-17 선진정공 주식회사 유압식 코어 탈형 장치
KR102335623B1 (ko) * 2020-11-24 2021-1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조물 단기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조물 시공 방법
CN112627106A (zh) * 2020-12-04 2021-04-09 中交烟台环保疏浚有限公司 码头墙身横向水平卷扬机滑模施工方法
KR102398981B1 (ko) * 2021-11-01 2022-05-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시공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8363A (en) 1980-12-24 1982-07-06 Toshio Kaneko Execution of concrete structure
JPS5813860A (ja) 1981-07-17 1983-01-26 岡部株式会社 移動型枠用走行脚車装置
JPS5824063A (ja) 1981-08-06 1983-02-12 岡部株式会社 壁体用移動型枠装置
JPS59138667A (ja) 1983-01-26 1984-08-09 岡部株式会社 壁体用移動型枠装置
KR20020005537A (ko) * 2001-11-12 2002-01-17 주식회사 신보성종합건설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KR100463032B1 (ko) 2002-08-30 2004-12-23 주식회사 토암건설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8363A (en) 1980-12-24 1982-07-06 Toshio Kaneko Execution of concrete structure
JPS5813860A (ja) 1981-07-17 1983-01-26 岡部株式会社 移動型枠用走行脚車装置
JPS5824063A (ja) 1981-08-06 1983-02-12 岡部株式会社 壁体用移動型枠装置
JPS59138667A (ja) 1983-01-26 1984-08-09 岡部株式会社 壁体用移動型枠装置
KR20020005537A (ko) * 2001-11-12 2002-01-17 주식회사 신보성종합건설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KR100463032B1 (ko) 2002-08-30 2004-12-23 주식회사 토암건설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527B1 (ko) 2009-08-24 2011-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콘크리트 주탑의 연직도 관리를 위한 원격자동제어 기능을 가진 주탑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콘크리트 주탑 시공방법
KR101487322B1 (ko) 2013-11-12 2015-01-29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20200069486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벽체의 제작 방법
KR102179294B1 (ko) 2018-12-07 2020-11-16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벽체의 제작 방법
KR20230112447A (ko) 2022-01-20 2023-07-27 한국과학기술원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양생용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양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444A (ko)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055B1 (ko)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US6605240B2 (en) Over the top hinged concrete for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EA014570B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стен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аполнителя, в частности грунта или подоб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08368687B (zh) 木杆基础结构
KR102059552B1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1889064B1 (ko)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101305918B1 (ko) 프리캐스트 거더용 거푸집장치
JP2012193558A (ja) 橋面施工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される仮柵設置装置
JP5990427B2 (ja) 昇降式型枠の耐風補強方法
KR101669789B1 (ko)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KR100377868B1 (ko) 교각용 틀비계를 이용한 교각 시공 방법
JP2829363B2 (ja) 柱構築用型枠装置
JP6449637B2 (ja) 建物の構築方法
CN211472190U (zh) 一种基于盘扣式支架的箱梁外模板组件的支撑结构
JP7126248B2 (ja) カルバートの製造方法
KR200324558Y1 (ko) 교량 및 고가도로의 교각 구축용 슬립폼 상승장치
JPH06129108A (ja) 型枠組み立て装置
RU2556766C1 (ru)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мос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оперечной передвижки существующего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монолитного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CN105735137B (zh) 一种桥梁墩柱钢筋安装操作架
JP7339477B2 (ja) コンクリート柱の型枠構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柱の型枠構築方法
JP7249910B2 (ja) アーチ橋の施工方法
JP3543246B2 (ja) 仮設養生体
JP2524488Y2 (ja) ビルトスラブ形成用ユニット
JP3690463B2 (ja) 高架橋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