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322B1 -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322B1
KR101487322B1 KR20130136949A KR20130136949A KR101487322B1 KR 101487322 B1 KR101487322 B1 KR 101487322B1 KR 20130136949 A KR20130136949 A KR 20130136949A KR 20130136949 A KR20130136949 A KR 20130136949A KR 101487322 B1 KR101487322 B1 KR 10148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structure
formwork
caiss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근
김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Priority to KR2013013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02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케이슨 상에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용이하게 시공함과 동시에 크레인 사용을 억제하여 장비사용 및 공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은 콘크리트 케이슨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케이슨 상면에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다단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케이슨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한 쌍의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S Ⅰ);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를 이동시킨 후, 소정의 위치에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Ⅱ);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S Ⅲ);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후,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를 분리하는 단계(S Ⅳ);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분리된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를 레일을 따라 다음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스팬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 Ⅴ); 상기 단계(S Ⅱ) 내지 단계(S Ⅴ)를 반복하여 콘크리트 케이슨(C)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다단으로 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travelling form for concrete structure and using the same cap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케이슨 상에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다단으로 타설하여 상치 구조물을 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구조물은 하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케이슨과 상기 콘크리트 케이슨 상에 설치되는 상치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콘크리트 케이슨(1)을 시공하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는 유수실(12)을 구비하여 해상에 부유식으로 떠 있는 부력을 유지하며, 이러한 유수실(12)의 상부에는 일정한 형태의 상치 콘크리트(20)가 시공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케이슨(1)에서 상치 콘크리트(20) 시공은 종종 거푸집(30)을 이용하며, 상치 콘크리트(20)의 콘크리트 타설 압력을 지지하기 위해 강재 브라켓(40)을 설치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케이슨(1)의 본체(10) 중앙에 형성되는 속채움 격실(15)에는 모래 또는 자갈(15a)을 채우고, 그 상부에는 레벨링 콘크리트(17)를 타설하여 상부 표면을 고른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채움 격실(15)의 양외측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유수실(12)에는 각각 상부에 프리캐스트 제작된 덮개 콘크리트(12a)를 거치하는데, 이와 같은 덮개 콘크리트(12a)는 사전에 육상에서 제작된 평판형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유수실(12)과 그 위에 시공되는 상치 콘크리트(20)를 구획한다.
또한, 이와 같이 속채움 격실(15)의 상부 레벨링 콘크리트(17)와 유수실(12) 상부의 덮개 콘크리트(12a) 위로는 상치 콘크리트(20)가 타설되는데, 이를 위하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콘크리트(12a)의 측면 상부에 합판 또는 강재로 이루어진 거푸집(30)을 설치하되, 이와 같은 거푸집(30)을 보강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강재 브라켓(40)을 거푸집(30)의 외측에 설치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거푸집(30)과 강재 브라켓(40)들을 종래의 콘크리트 케이슨(1)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벨링콘크리트(17), 덮개 콘크리트(12a) 및 거푸집 벽체(30)의 내부 공간에 상치 콘크리트(20)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치 콘크리트(20)의 양생 후에는 거푸집(30) 및 강재 브라켓(40)을 철거하여, 본체(10) 상에 상치 콘크리트(20)를 형성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케이슨 상에 상치 콘크리트의 시공은 모두 해상에서 거푸집 벽체(30)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강재 브라켓(40)을 설치하고, 철거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 길어지게 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것이었다.
특히, 해상작업은 기상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해상에서 거푸집 벽체(30) 및 강재 브라켓(40) 등의 설치 및 철거를 반복하면, 작업자의 안전이 위험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완벽한 품질의 거푸집(30) 공사를 실시할 수 없고, 그로 인하여 최종 완성된 상치 콘크리트는 그 외관 및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콘크리트 케이슨 상의 상치 콘크리트 시공은 이와 같은 번거로운 해상 작업 공정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공기가 길어지게 됨에 따라 공사 원가의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0934980호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케이슨(10)의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도록 미리 콘크리트 세그먼트로 상치 콘크리트 형태에 따라 육상에서 제작되어, 육상에서 바로 케이슨 상부에 설치되거나 해상운반되어 해상에 미리 설치된 케이슨 상부에 설치되어, 해상에서 상치 콘크리트(20)와 함께 일체화되며, 케이슨 본체(10)의 유수실(12)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수평부(112)와, 상기 수평부(112)에 직교하여 상부로 연장된 수직부(114)를 구비하여 "L" 형의 단면으로 각각 형성되고, 케이슨 본체의 가로방향으로 대향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 콘크리트 세그먼트(110); 상기 대향 설치된 가로 콘크리트 세그먼트(110)들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세로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케이슨 본체(10)의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20)가 유지되도록 하여주는 다수의 세로 콘크리트 세그먼트(120); 및 상기 나란하게 대향 정렬된 가로 콘크리트 세그먼트(110)들과, 그 단부에 배치된 세로 콘크리트 세그먼트(120)들의 인접한 측방 모서리에 각각 매립설치되는 앵커볼트(150)들을 구비하고, 상기 앵커볼트(150)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가로 및 세로 콘크리트 세그먼트(110)(120)들을 서로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구(140);를 포함하여 일체로 조립된 다음, 케이슨 본체(10)의 상부로 올려져서 상치 콘크리트(20)와 함께 일체화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을 이용한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의 상치 콘크리트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육상에서 케이슨 본체(10)의 속채움 격실(15)에 모래 또는 자갈(15a)을 채우고, 상부에는 레벨링 콘크리트(17)를 타설하여 표면을 정리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슨 본체(10)의 유수실(12)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수평부(112)와, 상기 수평부(112)에 직교하여 상부로 연장된 수직부(114)를 구비하고, "L"형의 단면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가로 콘크리트 세그먼트(110)들과, 상기 대향 배치된 가로 콘크리트 세그먼트(110)들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세로 콘크리트 세그먼트(120)들을 포함하고, 상기 대향 배치된 가로 콘크리트 세그먼트(110)들과, 그 단부에 배치되는 세로 콘크리트 세그먼트(120)들을 연결구(140)로 서로 일체로 연결시켜서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200)을 육상(地上)에서 제작하는 단계; 상기 육상 제작된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200)을 육상에서 케이슨 본체(10)의 상부에 올려서 설치한 후 케이슨을 해상에 운반하여 설치하거나,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200)을 해상운반 후 해상에 미리 설치된 케이슨의 상부에 올려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레벨링 콘크리트(17)와, 상기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200)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상치 콘크리트(20)를 해상에서 타설하고 양생시켜 일체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서 상치 거푸집 조립 및 해체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거푸집 패널 및 작업발판, 발판설치용 브라켓 등을 볼트로 조립하므로, 소요되는 볼트 수량은 대략 몇천 개 이상이고, 가로세로 약 2∼3m의 거푸집 패널 수십 개를 조립하여 일정한 길이가 되도록 거푸집 패널을 세트로 조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의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서 상치브라켓에 조립된 거푸집 패널 세트를 설치하기 위해 거푸집 패널 세트간 모든 부분의 조립이 완료되기까지 크레인으로 거푸집 패널 세트를 양중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의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서 거푸집 패널 세트간 조립 및 해체과정에서 약 최소한 40회 정도를 반복함으로써, 인건비 및 장비비가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34980(2009.12.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케이슨 상에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용이하게 시공함과 동시에 크레인 사용을 억제하여 장비사용 및 공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은 콘크리트 케이슨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케이슨 상면에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다단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케이슨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한 쌍의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S Ⅰ);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를 이동시킨 후, 소정의 위치에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Ⅱ);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S Ⅲ);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후,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를 분리하는 단계(S Ⅳ);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분리된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를 레일을 따라 다음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스팬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 Ⅴ); 상기 단계(S Ⅱ) 내지 단계(S Ⅴ)를 반복하여 콘크리트 케이슨(C)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다단으로 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콘크리트 케이슨 상에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용이하게 시공함과 동시에 크레인 사용을 억제하여 장비사용 및 공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이동식 거푸집의 1회의 조립만으로 대략 40회 정도의 상치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장비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케이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콘크리트 케이슨 상에 상치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종래의 콘크리트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a, 4b는 종래의 콘크리트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에 구비된 연결구가 앵커볼트와 인서트판 및 접합판을 구비하고, 가로 콘크리트 세그먼트들을 연결시키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단면도,
도 5a 내지 5c는 종래의 콘크리트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에 구비된 연결구가 앵커볼트와 연결판 및 너트들을 구비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 평단면도,
도 6a 내지 6d는 종래의 콘크리트 케이슨 상에 상치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A"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11은 도 9의 "B"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육측 이동식 거푸집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해측 이동식 거푸집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치 콘크리트를 다단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A"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11은 도 9의 "B"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육측 이동식 거푸집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해측 이동식 거푸집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치 콘크리트를 다단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은 콘크리트 케이슨(C)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R)과; 상기 한 쌍의 레일(R)을 따라 이동되는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은 콘크리트 케이슨 (C) 상에 레일(R)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R)을 따라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가 이동되면서,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다단으로 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일(R)은 콘크리트 케이슨(C)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한 쌍이 배치되며, 상기 레일(R)의 하부에는 레일(R)을 지지하기 위해 레일빔(100)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빔(100)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빔(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감싸도록 레일브라켓(11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레일브라켓(110)의 하부에 상치브라켓(120)이 고정 설치된다.
특히, 상기 레일(R)은 콘크리트 케이슨(C) 상면에 작업공간이 확보된 경우에는 직접 설치할 수도 있고, 만일 콘크리트 케이슨(C) 상면에 작업공간의 확보가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콘크리트 케이슨(C) 상부 양측면에 상치브라켓(120)을 설치하고, 상기 상치브라켓(120) 상에 레일(R) 및 그 지지부재(100, 110, 120)를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러한 점은 콘크리트 케이슨(C)의 현장여건에 맞게 시의 적절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는 소정의 폭과 두께 및 일정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강제거푸집(200)과, 상기 강제거푸집(200)의 배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웰러(210)와, 상기 수평웰러(210)에 트러스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의 양측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바퀴(230)와, 상치브라켓(120) 또는 콘크리트 케이슨(C)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핀(240)에 의해 결합되는 푸시풀 지지대(250)와, 상기 푸시풀 지지대(250)의 하단에 고정핀(240)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대 브라켓(26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는 강제거푸집(200), 수평웰러(210), 프레임(220), 바퀴(230), 푸시풀 지지대(250) 및 지지대 브라켓(26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강제거푸집(200)을 육측에 사용할 때는 사각형상의 거푸집을 통상 사용하고, 해측에 사용할 때는 파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형상인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강제거푸집(200)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설치시에는 강제거푸집(200)의 무게중심(200C)이 양 바퀴(230)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위치시키고, 해체시에는 강제거푸집(200)의 무게중심(200C)이 양 바퀴(230) 사이의 가운데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강제거푸집(200)의 설치 및 회전시의 각도는 25-6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강제푸집(200)의 회전각도는 육측 거푸집은 30°이고, 해측 거푸집은 5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웰러(210)는 강제거푸집(200)의 배면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구에 의해서 고정된 것으로, 일종의 멍에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0)은 H빔을 삼각형 트러스 형상으로 조립하여 수평웰러(210)의 배면에 용접 설치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220)을 트러스 형상으로 한 이유는 트러스는 강재를 삼각형상으로 짜서 강제거푸집(200)의 자중을 지탱하는 구조로, 부재의 접점부는 용접으로 강결되고, 또 강제거푸집(200)의 하중도 절점에 작용하도록 공작되어 있으므로 트러스의 부재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과 압축력 작용하는 것뿐이며, 재료의 낭비가 적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바퀴(230)는 마찰을 굴림마찰로 변화시켜서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이동시킬 때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데 있으며, 상기 바퀴(230)에 필요에 따라 스토퍼 기능이 첨가된 캐스터바퀴를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푸시풀 지지대(250)는 측면의 손잡이를 돌려서 강제거푸집(200)의 설치 및 해체시 강제거푸집(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 브라켓(260)은 푸시풀 지지대(250)를 고정핀(240)에 의해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케이슨(C) 상면에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다단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케이슨(C)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한 쌍의 레일(R)을 설치하는 단계(S Ⅰ); 상기 한 쌍의 레일(R)을 따라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이동시킨 후, 소정의 위치에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Ⅱ);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시공하는 단계(S Ⅲ);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 시공 후,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로부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분리하는 단계(S Ⅳ);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로부터 분리된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레일(R)을 따라 다음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시공할 스팬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 Ⅴ); 상기 단계(S Ⅱ) 내지 단계(S Ⅴ)를 반복하여 콘크리트 케이슨(C)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다단으로 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레일설치단계(S 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 설치단계(S Ⅱ),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S Ⅲ),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 분리단계(S Ⅳ),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 이동단계(S Ⅴ)를 반복하여 콘크리트 케이슨(C)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다단으로 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설치단계(S Ⅰ)는 콘크리트 케이슨(C)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한 쌍의 레일(R)을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 설치단계(S Ⅱ)는 한 쌍의 레일(R)을 따라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이동시킨 후, 콘크리트 케이슨(C)의 소정의 위치에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고정하고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S Ⅲ)는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시공한다.
이어서,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 분리단계(S Ⅳ)는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 시공 후,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로부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특히,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시공한 후, 강제거푸집(200)을 고정한 폼타이(270)를 제거한 후, 상기 강제거푸집(200)에 부착된 푸시풀 지지대(250)를 작동시키면, 강제거푸집(200)의 회전중심을 기점으로 강제거푸집(200)을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의 외측으로 회전된 후, 상기 강제거푸집(200)이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강제거푸집(200)에 부착된 프레임(220)이 수평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200)의 하단에 부착된 바퀴(230)가 레일(R)에 완전히 닿게 되면 푸시풀 지지대(250)의 작동을 중지시켜, 상기 푸시풀 지지대(250)의 작동이 완전히 멈추면, 강제거푸집(200)의 무게중심(200C)을 바퀴(23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푸시풀 지지대(250)의 하부에 결합된 고정핀(240)을 풀러 지지대 브라켓(260)으로부터 푸시풀 지지대(250)를 분리시킨다.
즉, 상기 푸시풀 지지대(250)를 작동시킴에 따라 강제거푸집(200)의 무게중심이 이동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 이동단계(S Ⅴ)는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로부터 분리된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레일(R)을 따라 바퀴(230)가 굴러갈 수 있도록 윈치 또는 모터(미도시) 등으로 끌어서 다음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시공할 콘크리트 케이슨(C)의 스팬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시공할 콘크리트 케이슨(C)의 스팬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을 이동시킨 후, 상기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의 해체의 역순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를 재조립하여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의 강제거푸집(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다단으로 시공토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케이슨(C) 상면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R)과; 상기 한 쌍의 레일(R)을 따라 이동되는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R)에는 그 하부에 레일빔(100)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빔(100)의 하부에 상기 레일빔(100)을 감싸도록 레일브라켓(11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는 소정의 폭과 두께 및 일정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강제거푸집(200)과, 상기 강제거푸집(200)의 배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웰러(210)와, 상기 수평웰러(210)에 트러스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의 양측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바퀴(230)와, 상치브라켓(120) 또는 콘크리트 케이슨(C)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핀(240)에 의해 결합되는 푸시풀 지지대(250)와, 상기 푸시풀 지지대(250)의 하단에 고정핀(240)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대 브라켓(26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강제거푸집(200)의 회전각도는 25-60°로 구성되며, 상기 강제거푸집(200)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설치시에는 강제거푸집(200)의 무게중심(200C)이 양 바퀴(230)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위치시키고, 해체시에는 강제거푸집(200)의 무게중심(200C)이 양 바퀴(230) 사이의 가운데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의 강제거푸집(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다단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케이슨(C)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한 쌍의 레일(R)을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레일(R)을 따라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이동시킨 후, 소정의 위치에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고정 설치한 후,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시공한 후,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 시공 후,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로부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분리한 후,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로부터 분리된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레일(R)을 따라 다음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시공할 콘크리트 케이슨(C)의 스팬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케이슨(C)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다단으로 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크레인 사용을 억제하여 장비사용 및 공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동식 거푸집의 1회의 조립만으로 대략 40회 정도의 상치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장비운용이 가능한 작용효과가 있다.
100: 레일빔 110: 레일브라켓
120: 상치브라켓 200: 강제거푸집
200C: 강제거푸집 무게중심 210: 수평웰러
220: 프레임 230: 바퀴
240: 고정핀 250: 푸시풀 지지대
260: 지지대 브라켓 270: 폼타이
280: 발판
A: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C: 콘크리트 케이슨 R: 레일
S: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T: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

Claims (11)

  1. 콘크리트 케이슨(C)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R)과; 상기 한 쌍의 레일(R)을 따라 이동되는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로 구성되고,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는 소정의 폭과 두께 및 일정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강제거푸집(200)과, 상기 강제거푸집(200)의 배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웰러(210)와, 상기 수평웰러(210)에 트러스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의 양측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바퀴(230)와, 상치브라켓(120) 또는 콘크리트 케이슨(C)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핀(240)에 의해 결합되는 푸시풀 지지대(250)와, 상기 푸시풀 지지대(250)의 하단에 고정핀(240)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대 브라켓(2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R)의 하부에 레일빔(100)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빔(100)의 하부에 상기 레일빔(100)을 감싸도록 레일브라켓(11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레일브라켓(110)의 하부에 상치브라켓(12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거푸집(200)의 회전각도는 25-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거푸집(200)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설치시에는 강제거푸집(200)의 무게중심(200C)이 양 바퀴(230)로부터 벗어난 상태에 위치시키고, 해체시에는 강제거푸집(200)의 무게중심(200C)이 양 바퀴(230) 사이의 가운데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6. 콘크리트 케이슨(C) 상면에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다단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케이슨(C)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한 쌍의 레일(R)을 설치하는 단계(S Ⅰ);
    상기 한 쌍의 레일(R)을 따라,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는 소정의 폭과 두께 및 일정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강제거푸집(200)과, 상기 강제거푸집(200)의 배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웰러(210)와, 상기 수평웰러(210)에 트러스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의 양측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바퀴(230)와, 상치브라켓(120) 또는 콘크리트 케이슨(C)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핀(240)에 의해 결합되는 푸시풀 지지대(250)와, 상기 푸시풀 지지대(250)의 하단에 고정핀(240)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대 브라켓(260)으로 구성된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이동시킨 후, 소정의 위치에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Ⅱ);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시공하는 단계(S Ⅲ);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 시공 후, 상기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로부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분리하는 단계(S Ⅳ);
    상기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를 레일(R)을 따라 다음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시공할 스팬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 Ⅴ);
    상기 단계(S Ⅱ) 내지 단계(S Ⅴ)를 반복하여 콘크리트 케이슨(C)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S)을 다단으로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A)은 콘크리트 케이슨(C)의 상면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R)과; 상기 한 쌍의 레일(R)을 따라 이동되는 거푸집 겸용 이동장치(T)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R)에는 그 하부에 레일빔(100)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빔(100)의 하부에 상기 레일빔(100)을 감싸도록 레일브라켓(11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거푸집(200)의 회전각도는 25-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11. 제6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거푸집(200)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설치시에는 강제거푸집(200)의 무게중심(200C)이 양 바퀴(230)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위치시키고, 해체시에는 강제거푸집(200)의 무게중심(200C)이 양 바퀴(230) 사이의 가운데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20130136949A 2013-11-12 2013-11-12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8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949A KR101487322B1 (ko) 2013-11-12 2013-11-12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949A KR101487322B1 (ko) 2013-11-12 2013-11-12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322B1 true KR101487322B1 (ko) 2015-01-29

Family

ID=5259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6949A KR101487322B1 (ko) 2013-11-12 2013-11-12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3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4063A (ja) * 1981-08-06 1983-02-12 岡部株式会社 壁体用移動型枠装置
KR100692055B1 (ko) 2005-05-06 2007-03-12 삼성물산 주식회사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4063A (ja) * 1981-08-06 1983-02-12 岡部株式会社 壁体用移動型枠装置
KR100692055B1 (ko) 2005-05-06 2007-03-12 삼성물산 주식회사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693B1 (ko) 콘크리트 스틸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말뚝기초 푸팅시공방법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KR101474554B1 (ko) 항만구조물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시공방법
CN104196163A (zh) 一种双向预应力混凝土预制空心板及其制造方法
KR20160001216A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1844977B1 (ko)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CN114197325A (zh) 墩身施工安全防护平台
KR101451877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CN213951970U (zh) 一种墩柱模板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JP6039186B2 (ja) 壁高欄の型枠
KR200298104Y1 (ko) 토목공사에서 박스형태로 설계되는 콘크리트 구체 성형용이동식 거푸집
CN112252197A (zh) 一种墩柱模板及墩柱施工方法
KR10148732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JP2010116754A (ja) 構造物及び構造物の施工方法並びに設計方法
JP2017172308A (ja) 一体型基礎及び一体型基礎工法
KR20190092170A (ko) 부착형 슬래브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그에 따른 구조설계방법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CN211849445U (zh) 一种河堤堤坝混凝土垫层的施工系统
CN106760486A (zh) 基坑中外墙模具及其支设方法
CN113622328A (zh) 一种箱涵施工组件及其应用与箱涵施工方法
KR101150585B1 (ko) 슈퍼블록 자동탈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탈착 방법
CN220433734U (zh) 一种用于地下空间混凝土结构施工的模板系统
KR101474555B1 (ko) 상치콘크리트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치콘크리트 시공방법
JP6418870B2 (ja) エレベータピット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