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789B1 -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789B1
KR101669789B1 KR1020160013327A KR20160013327A KR101669789B1 KR 101669789 B1 KR101669789 B1 KR 101669789B1 KR 1020160013327 A KR1020160013327 A KR 1020160013327A KR 20160013327 A KR20160013327 A KR 20160013327A KR 101669789 B1 KR101669789 B1 KR 10166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net
reinforcement
plates
reinforc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주형
이종찬
이재성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건물, 케이슨 기초, 항만, 공항 등에 사용되는 선조립 철근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조립 철근망의 배근가이드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양단에 힌지부(250)가 형성되고, 힌지부(25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근홈(200)이 형성된 수직부(200); 수직부(200)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40); 및 수평부(240)의 하면에 설치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배근판; 및 인접하는 배근판 사이의 힌지부(250)를 연결하는 힌지축(2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철근망의 배근가이드 셋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rrangement Guide Set of an Iron Bar}
본 발명은 대형 건물, 케이슨 기초, 항만, 공항 등에 사용되는 선조립 철근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조립 철근망의 배근가이드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타설에 앞서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한다. 따라서, 대형 건물, 케이슨 기초, 항만, 공항 등과 같은 대규모 토목 건설 현장에서는 대면적을 철근으로 배근해야 했다. 이러한 배근 작업은 타작업과 달리 자동화가 불가능하여 철근 하나하나를 수작업에 맡길 수 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대면적을 배근하는 경우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이 투입되었다. 이러한 현장 조건은 공사기간의 연장으로 이어져 전체 공사비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아울러, 공사현장이 대부분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비, 눈 등과 같은 날씨로 인해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고 이는 결국 공사기간의 연장으로 연결되어 공사비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특히, 대규모 토목 공사현장에서는 공사기간의 연장이 매우 첨예한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현장 배근의 문제점과 비경제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특허로 선조립 배근작업에 관한 특허발명이 제시되었다(특허공개 제 10-2015-0114299호).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선조립 배근작업은 선조립된 철근망을 크레인 등으로 들어서 옮길때 철근망에 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30mm 직경의 철근으로 12 m × 12 m × 30 cm 의 철근망을 제조하는 경우 무게가 수톤에 달한다. 만약 크레인으로 들어서 옮기는 과정중 철근망이 자중에 의해 휨이 발생하는 경우 철근을 폐기하고 다시 배근 작업을 해야 한다. 더욱이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과정(양중작업)에서 낙하의 안전사고 가능성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망을 선조립할 뿐만 아니라 선조립된 철근망을 들어 올리지 않고 수평으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선조립 철근망의 배근가이드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단에 힌지부(250)가 형성되고, 힌지부(25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근홈(200)이 형성된 수직부(200); 수직부(200)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40); 및 수평부(240)의 하면에 설치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배근판; 및 인접하는 배근판 사이의 힌지부(250)를 연결하는 힌지축(2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철근망의 배근가이드 셋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독립항으로서 양단에 볼트공(410)이 형성된 연결판(420)이 형성되고, 연결판(42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근홈(200)이 형성된 수직부(200); 수직부(200)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40); 및 수평부(240)의 하면에 설치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배근판; 및 인접하여 겹쳐지는 연결판(420) 사이를 연결하는 볼트(430)와 너트(4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철근망의 배근가이드 셋트가 제공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배근판은 제 1, 2, 3, 4 배근판(110, 120, 130, 14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2, 3, 4 배근판(110, 120, 130, 140)의 길이는 모두 같거나 한쌍씩 같을 수 있다.
또한, 힌지축(260)의 일단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의 헤드(265)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이동수단은 배근판을 수평 이동하기 위한 바퀴(55)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수평부(240)의 하면과 바퀴(55) 사이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일단이 배근판의 수평부(24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인접한 배근판의 수평부(24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세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전술한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으로서, (a) 복수의 배근판(110, 120, 130, 140)을 인접시키고 힌지축(260) 또는 볼트(430)와 너트(440)로 연결하여 배근가이드셋트(100)를 조립하는 단계; (b) 배근가이드 셋트(100)내에 철근(300, 320)을 배근하여 철근망(350)을 완성하는 단계; (c) 배근가이드셋트(100)와 철근망(350)을 시공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d) 철근망(350)을 시공위치상의 스페이서(400) 위에 안착시키는 단계; (e) 힌지축(260) 또는 볼트(430)와 너트(440)를 분리하여 복수의 배근판(110, 120, 130, 140)을 철근망(350)으로부터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립단계(a)는 제 1, 2, 3, 4 배근판(110, 120, 130, 140)을 연속으로 조립하여 사각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철근망 완성단계(b)는, 서로 직교하는 제 1, 2철근(300, 320)을 배근홈(200)에 삽입하는 단계; 제 1, 2 철근(300, 320)을 상호 결속하는 단계; 및 삽입단계와 결속단계를 복수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송단계(c)는 배근가이드셋트(100)와 철근망(350)을 수평이송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안착단계(d)는 캐스터(50)의 높이 조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해체단계(e)는 복수의 배근판(110, 120, 130, 14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해체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방법에 관한 카테고리로서, 전술한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의 연속 시공방법으로서, (a) 복수의 배근판(110, 120, 130, 140)을 인접시키고 힌지축(260) 또는 볼트(430)와 너트(440)로 연결하여 배근가이드셋트(100)를 조립하는 단계; (b) 배근가이드 셋트(100)내에 철근(300, 320)을 배근하여 제2철근망(354)을 완성하는 단계; (c) 배근가이드셋트(100)와 제2철근망(354)을 기시공된 제 1 철근망(352) 인근으로 수평 이송하는 단계; (d) 배근가이드셋트(100)중 제1철근망(352)과 대면하는 배근판을 제거하는 단계; (e) 배근가이드셋트(100)를 제1철근망(352)에 밀착시킨후 제2철근망(354)을 시공위치상의 스페이서(400) 위에 안착시키는 단계; (f) 제 1, 2 철근망(352, 354)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 (g) 힌지축(260) 또는 볼트(430)와 너트(440)를 분리하여 나머지 복수의 배근판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의 연속 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거단계(d)는, 둘레에 기시공된 철근망과 대면하는 배근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단계(f)는, 제 2 철근망(354)을 둘레에 기시공된 철근망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철근망을 선조립하여 현장에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날씨나 현장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조립된 철근망을 들어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므로 철근망에 휨이나 쏠림 또는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선작업된 상태 그대로 시공할 수 있어서 정밀 시공이 보장된다.
그리고, 선조립된 철근망을 인력이나 간단한 장비 등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크레인과 같은 고가의 장비가 사용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조립 철근망의 배근가이드 셋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중 캐스터(50) 주변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중 힌지부(250) 주변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근가이드 셋트에 배근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근가이드 셋트에 배근작업이 완료된 상태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근가이드 셋트를 시공위치로 수평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a는 도 6에 따라 수평이송된 배근가이드 셋트가 시공위치까지 도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단계 이후, 배근가이드 셋트를 스페이서(400)위에 안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
도 8은 도 7b의 단계 이후, 제 1, 2, 3, 4 배근판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기설치된 제 1 철근망(352)에 배근가이드셋트와 제 2 철근망(354)을 수평이송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도 9의 단계 이후, 인접한 제 4 배근판(140)을 제거하고 제 1 철근망(352)의 인근까지 접근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도 10의 단계후, 제 1 철근망(352)에 접하도록 배근가이드셋트와 제 2 철근망(354)을 수평이송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도 11의 단계후, 제 1 철근망(352)과 수평이 되도록 배근가이드셋트와 제 2 철근망(354)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전술한 각 단계의 반복을 통해 시공되는 전체 철근망(356)의 사시도,
도 14는 도 1중 힌지부(250) 대신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조립 철근망의 배근가이드 셋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중 캐스터(50) 주변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중 힌지부(250) 주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근가이드셋트(100)는 크게 제 1, 2, 3, 4 배근판(110, 120, 130, 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2, 3, 4 배근판(110, 120, 130, 140)은 모두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정사각형을 이룰 수도 있고, 한쌍씩 같은 길이로 구성되어 직사각형을 이룰 수도 있다.
가새부재(150)의 일단은 배근판의 수평부(24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한 배근판의 수평부(24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가새부재(150)는 강도 보강을 위한 것으로 총4개가 사용될 수 있고, 강도 높은 형강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더욱이, 가새부재(150)는 쉽게 탈착 가능해야 하므로 단부에 후크 형상을 갖추어 수평부(240)의 하부 돌출물(미도시)에 쉽게 걸수 있는 것이 좋다. 또는 가새부재(150)의 양단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별도의 볼트로 수평부(24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새부재(150)의 길이와 위치는 후술하는 스페이서(40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를 미리 고려하여 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3, 4 배근판(110, 120, 130, 140)은 각각 수직부(220), 수평부(240) 및 캐스터(55)로 구성된다.
수직부(220)는 길이 약 12m의 판형 강재이고 원하는 철근 간격에 맞춰 배근홈(200)이 형성되어 있다. 배근홈(200)은 철근(예 : 직경 30mm)이 쉽게 끼워질 수 있는 폭을 갖고, 철근을 여러층(예 : 5~ 7개층)으로 배근하기 위해 약 30cm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수평부(240)는 수직부(200)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형 강재이다. 이러한 수평부(240)는 수직부(220)와 일체로 제작하여 절곡하거나 용접으로 연결할 수 있다. 수평부(240)의 하면에는 캐스터(50)가 구비된다.
캐스터(50)는 배근가이드셋트(100)가 쉽게 수평 이동하고, 쉽게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방향전환이 가능한 바퀴(55)를 포함한다. 아울러, 캐스터(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다. 이는 배근가이드셋트(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캐스터(50)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캐스터(50)는 배근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 5개 정도 일정간격마다 배치한다.
힌지부(250)는 각 배근판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배근판과 맞물려 힌지를 형성한다. 힌지축(260)은 힌지부(250)에 끼워져 고정하는 부재이고, 상부에 더 굵은 헤드(265)가 형성되어 힌지부(250)에 끼워진 후에는 안정적으로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경첩과 같은 구조).
도 14는 도 1중 힌지부(250) 대신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근판의 양단에는 각각 연결판(420)이 형성되고 있고, 연결판(4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4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하여 겹쳐지는 한쌍의 연결판(420) 사이를 볼트(430)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고,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해 너트(440)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근가이드 셋트에 배근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근가이드 셋트에 배근작업이 완료된 상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철근(300)을 서로 평행하도록 제 1, 3 배근판(110, 130)의 배근홈(200)에 끼운다. 제 2 철근(320)은 제 1 철근(300) 위에서 제 1 철근(300)과 수직되는 방향이 되도록 제 2, 4 배근판(120, 140)의 배근홈(200)에 끼운다. 그 다음, 제 1, 2 철근(300, 320)의 교차 지점을 결속선(일명, "반생"철사, 미도시)으로 결손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1단의 철근망이 완성된다. 그후 5 ~ 7 단의 철근망을 형성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제 1, 2 철근(300, 320)과 같은 작업을 반복한다. 도 5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완성된 철근망(350)을 도시하고 있다.
그 다음,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근가이드 셋트를 시공위치로 수평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력(미도시)이나 간단한 장비(유압잭 등)로 배근가이드셋트(100)와 철근망(350)을 수평이동시킨다. 스페이서(400)는 철근망(350)이 놓여질 위치를 지정하고, 스페이서(400) 위에 철근망(350)이 놓이도록 이송시킨다. 이 때, 적절한 단계에서 가새부재(150)를 해체할 수 있다.
도 7a는 도 6에 따라 수평이송된 배근가이드 셋트가 시공위치까지 도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단계 이후, 배근가이드 셋트를 스페이서(400)위에 안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240)는 스페이서(400)의 높이 보다 조금 더 높게 위치하여, 스페이서(400)의 간섭없이 수평이송이 가능하다(도 7a의 화살표 방향 참조).
그 다음, 도 7b와 같이 각 캐스터(50)의 높이를 낮춰 스페이서(400)위에 철근망(350)을 올려 놓는다. 이 단계에서 가새부재(150)를 해체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b의 단계 이후, 제 1, 2, 3, 4 배근판(110, 120, 130, 140)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각 힌지부(250)에서 힌지축(260)을 제거한다. 만약 도 14의 변형례가 채택된 경우에는 볼트(430)와 너트(440)를 해체한다. 그 다음, 각 제 1, 2, 3, 4 배근판(110, 120, 130, 140)을 각각의 방향(도 8의 화살표 참조)으로 분리하여 해체한다. 사용된 배근판과 힌지축(260)(또는 볼트와 너트)은 다시 조립하여 재사용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하나의 철근망을 선조립하여 설치하는 과정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기설치된 철근망에 대해 연속적으로 철근망을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기설치된 제 1 철근망(352)에 배근가이드셋트(100)와 제 2 철근망(354)을 수평이송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근가이드셋트(100)와 제 2 철근망(354)을 제 1 철근망(352) 주변지 수평이송한다.
그 다음, 도 10은 도 9의 단계 이후, 인접한 제 4 배근판(140)을 제거하고 제 1 철근망(352)의 인근까지 접근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철근망(354)이 제 1 철근망(352)에 밀착될 때까지 수평이송하기 위해 제 1, 2, 3 배근판(110, 120, 130)은 남겨 두고, 제 4 배근판(140)을 제거한다.
그 다음, 도 11은 도 10의 단계후, 제 1 철근망(352)에 접하도록 배근가이드셋트(100)와 제 2 철근망(354)을 수평이송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그 다음, 도 12는 도 11의 단계후, 제 1 철근망(352)과 수평이 되도록 배근가이드셋트(100)와 제 2 철근망(354)의 높이를 낮추는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화살표 참조). 제 1, 2 철근망(352, 354)의 높이가 같아지면 결속선 등을 이용하여 제 1, 2 철근망(352, 354)을 상호 연결한다.
그 다음, 각 힌지축(260)을 분리하여 나머지 제 1, 2, 3 배근판(110, 120, 130)을 해체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기설치된 제 1 철근망(352)에 새로운 제 2 철근망(354)을 연결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반복하여 계속적으로 철근망을 연속시공할 수 있다.
만약, 연속시공과정에서 제 2 철근망(354)의 2면이 기시공된 철근망에 접하는 경우, 기시공된 철근망과 대면하는 쪽의 배근판 2개를 제거한다. 아울러, 기시공된 철근망과의 연결단계에서도 제 2 철근망(354)을 2면에 걸쳐 기시공된 철근망과 연결하게 된다.
도 13은 전술한 각 단계의 반복을 통해 시공되는 전체 철근망(356)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면적의 철근망을 신속하고 표준된 작업조건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철근망의 수평이동과 높이 조절을 위해 캐스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그외에도 유압식 포크 리프트, 유압잭, 레일 등을 사용하거나 조합사용하여 수평이동과 높이 조절을 구현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50 : 캐스터,
55 : 바퀴,
100 : 배근가이드셋트,
110 : 제 1 배근판,
120 : 제 2 배근판,
130 : 제 3 배근판,
140 : 제 4 배근판,
150 : 가새부재,
200 : 배근홈,
220 : 수직부,
240 : 수평부,
250 : 힌지부,
260 : 힌지축,
265 : 헤드,
300 : 제 1 철근,
320 : 제 2 철근,
350 : 철근망,
352 : 제 1 철근망,
354 : 제 2 철근망,
356 : 전체 철근망,
400 : 스페이서,
410 : 볼트공,
420 : 연결판,
430 : 볼트,
440 : 너트.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양단에 힌지부(250)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5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근홈(200)이 형성된 수직부(200); 상기 수직부(200)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40); 및 상기 수평부(240)의 하면에 설치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배근판; 및 인접하는 상기 배근판 사이의 상기 힌지부(250)를 연결하는 힌지축(260)으로 구성되는 배근가이드 셋트 또는
    양단에 볼트공(410)이 형성된 연결판(42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42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근홈(200)이 형성된 수직부(200); 상기 수직부(200)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40); 및 상기 수평부(240)의 하면에 설치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배근판; 및 인접하여 겹쳐지는 상기 연결판(420) 사이를 연결하는 볼트(430)와 너트(440)로 구성되는 배근가이드 셋트
    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으로서,
    (a) 상기 복수의 배근판을 인접시키고 상기 힌지축(260) 또는 상기 볼트(430)와 너트(440)로 연결하여 상기 배근가이드셋트를 조립하는 단계;
    (b) 상기 배근가이드 셋트내에 철근(300, 320)을 배근하여 철근망(350)을 완성하는 단계;
    (c) 상기 배근가이드셋트와 상기 철근망(350)을 시공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d) 상기 철근망(350)을 시공위치상의 스페이서(400) 위에 안착시키는 단계;
    (e) 상기 힌지축(260) 또는 상기 볼트(430)와 너트(440)를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배근판(110, 120, 130, 140)을 상기 철근망(350)으로부터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단계(a)는 제 1, 2, 3, 4 배근판(110, 120, 130, 140)을 연속으로 조립하여 사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망 완성단계(b)는,
    서로 직교하는 제 1, 2철근(300, 320)을 배근홈(200)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2 철근(300, 320)을 상호 결속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단계와 상기 결속단계를 복수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c)는 상기 배근가이드셋트와 상기 철근망(350)을 수평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계(d)는 캐스터(50)의 높이 조절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단계(e)는 상기 복수의 배근판(110, 120, 130, 14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15. 양단에 힌지부(250)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5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근홈(200)이 형성된 수직부(200); 상기 수직부(200)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40); 및 상기 수평부(240)의 하면에 설치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배근판; 및 인접하는 상기 배근판 사이의 상기 힌지부(250)를 연결하는 힌지축(260)으로 구성되는 배근가이드 셋트 또는
    양단에 볼트공(410)이 형성된 연결판(42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42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근홈(200)이 형성된 수직부(200); 상기 수직부(200)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40); 및 상기 수평부(240)의 하면에 설치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배근판; 및 인접하여 겹쳐지는 상기 연결판(420) 사이를 연결하는 볼트(430)와 너트(440)로 구성되는 배근가이드 셋트
    를 이용한 철근망의 연속 시공방법으로서,
    (a) 복수의 배근판을 인접시키고 상기 힌지축(260) 또는 상기 볼트(430)와 너트(440)로 연결하여 상기 배근가이드셋트를 조립하는 단계;
    (b) 상기 배근가이드 셋트내에 철근(300, 320)을 배근하여 제2철근망(354)을 완성하는 단계;
    (c) 상기 배근가이드셋트와 상기 제2철근망(354)을 기시공된 제1철근망(352) 인근으로 수평 이송하는 단계;
    (d) 상기 배근가이드셋트중 상기 제1철근망(352)과 대면하는 배근판을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배근가이드셋트를 상기 제1철근망(352)에 밀착시킨후 제2철근망(354)을 시공위치상의 스페이서(400) 위에 안착시키는 단계;
    (f) 상기 제 1, 2 철근망(352, 354)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
    (g) 상기 힌지축(260) 또는 상기 볼트(430)와 너트(440)를 분리하여 나머지 복수의 배근판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의 연속 시공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단계(d)는,
    둘레에 기시공된 철근망과 대면하는 배근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의 연속 시공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f)는,
    상기 제 2 철근망(354)을 둘레에 기시공된 철근망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의 연속 시공방법.
KR1020160013327A 2016-02-03 2016-02-03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KR10166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327A KR101669789B1 (ko) 2016-02-03 2016-02-03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327A KR101669789B1 (ko) 2016-02-03 2016-02-03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789B1 true KR101669789B1 (ko) 2016-10-27

Family

ID=5724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327A KR101669789B1 (ko) 2016-02-03 2016-02-03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7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9036A (zh) * 2019-03-01 2019-05-21 远大住宅工业(杭州)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件的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KR20230017572A (ko)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금문스틸텍 용접철근 격자망 자동화 생산설비 및 용접철근 격자망을 이용한 철근망 선조립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960A (ko) * 1996-07-23 2000-11-25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야마 분할가능한 스페이서 부재를 사용한 성형체 이어맞춤식 콘크리트
KR20080024708A (ko) * 2006-09-14 2008-03-19 최광수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의 배근 작업틀
KR100933415B1 (ko) * 2007-06-28 2009-12-22 남강해운주식회사 트레셀과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강재 운반장치
KR20150114299A (ko) * 2014-04-01 2015-10-12 (주)알씨에스코리아 선조립 철근망 제작 및 조립장치를 이용한 기초철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960A (ko) * 1996-07-23 2000-11-25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야마 분할가능한 스페이서 부재를 사용한 성형체 이어맞춤식 콘크리트
KR20080024708A (ko) * 2006-09-14 2008-03-19 최광수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의 배근 작업틀
KR100933415B1 (ko) * 2007-06-28 2009-12-22 남강해운주식회사 트레셀과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강재 운반장치
KR20150114299A (ko) * 2014-04-01 2015-10-12 (주)알씨에스코리아 선조립 철근망 제작 및 조립장치를 이용한 기초철근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9036A (zh) * 2019-03-01 2019-05-21 远大住宅工业(杭州)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件的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KR20230017572A (ko)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금문스틸텍 용접철근 격자망 자동화 생산설비 및 용접철근 격자망을 이용한 철근망 선조립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7894B2 (ja) 送電用鉄塔の補強方法
KR101243775B1 (ko) 교량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417438Y1 (ko)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KR101669789B1 (ko) 배근가이드 셋트를 이용한 철근망 시공방법
KR20060115444A (ko)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
KR101665482B1 (ko) 무지보 연속화를 통한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경간 교량 시공방법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183986B1 (ko) 건물의 수직공간 확장을 위한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인상방법
JP2010133084A (ja) 中空式高構造物の施工方法
KR100736380B1 (ko) 트러스 거푸집
JP3999931B2 (ja) 塔状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360287B1 (ko) 조립식 갱폼
CN209925004U (zh) 双侧壁导坑隧道临时横支撑及支撑装置
CN211691535U (zh) 一种组装式悬挑卸料平台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CN211472190U (zh) 一种基于盘扣式支架的箱梁外模板组件的支撑结构
JP6059176B2 (ja) 仮設高架桟橋組立て用の移動昇降足場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CN115162823B (zh) 尖顶钢构件的拼装方法
JP4058104B1 (ja) 重量物の揚重方法
CN220724855U (zh) 一种装配式无土路基路面板快速安装辅助装置
CN217538057U (zh) 一种可拆卸拼装式防护棚
CN218040588U (zh) 一种简易轻型电缆托架
CN213951987U (zh) 一种高铁桥墩维修的操作平台
CN215442783U (zh) 预制楼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