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829B1 - 핸드 건 거치대 - Google Patents

핸드 건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829B1
KR101039829B1 KR1020090036248A KR20090036248A KR101039829B1 KR 101039829 B1 KR101039829 B1 KR 101039829B1 KR 1020090036248 A KR1020090036248 A KR 1020090036248A KR 20090036248 A KR20090036248 A KR 20090036248A KR 101039829 B1 KR101039829 B1 KR 10103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adjustment bar
hand gun
heigh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462A (ko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82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8Supports; Devices for holding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in wo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005Adjustable tool components; Adjustable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51Use of pins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 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천정을 시공하기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할 때 핸드 건을 이용하여 못을 자동으로 박을 수 있는 핸드 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 건 거치대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높이 조절바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바는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높이 조절바(21,22,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높이 조절바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니언(40), 상기 다수의 높이 조절바 중 상기 제1높이 조절바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높이 조절바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시 상기 제2높이 조절바를 승강시키는 래크(41), 양측이 상기 제1높이 조절바와 제3높이 조절바에 고정되어 상기 제2높이 조절바의 승강시 상기 제3높이 조절바를 함께 승강시키는 높이조절 와이어(42)를 포함한다.
슬래브 거푸집, 못, 핸드 건, 거치대

Description

핸드 건 거치대{HAND-GUN HANGER}
본 발명은 핸드 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천정을 시공하기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할 때 핸드 건을 통해 못을 자동으로 박을 수 있는 핸드 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내측에 먼저 철근 구조물을 형성한 후, 내외면을 목재 또는 금속재로 된 거푸집을 대어 형틀을 형성하고 그 외측을 프레임과 버팀목 등으로 지지시킨 다음 내측에 반죽 상태의 콘크리트를 주입 타설하여 굳혀 바닥, 벽체, 천정(슬래브) 등을 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슬래브의 시공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각형상의 거푸집을 다수개 연결하여 보와 플로우가 형성되도록 틀을 형성하고, 틀을 완성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며, 콘트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다수의 거푸집을 해체하게 되고, 이 해체된 거푸집을 수작업으로 상부층으로 운반하여 다 시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여 콘트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축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콘크리트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과 이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지주)를 가설하고, 거푸집 상에 철근을 배근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기간 동안 양생과정을 거쳐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 및 동바리(서포트)를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슬래브의 시공을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을 콘크리트 타설 위치로 올리고, 슬래브 거푸집의 아래쪽에서 서포트를 슬래브 거푸집에 고정하는 작업,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연결하는 작업 등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가 못을 박아 서포트를 고정하고 슬래브 거푸집을 연결하는데, 종래 못 등을 자동으로 박을 수 있는 핸드 건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슬래브 거푸집의 설치시 핸드 건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평지에서 거푸집을 조립할 때에는 작업자가 핸드 건을 들고 못 등을 쉽게 박을 수 있지만, 슬래브 거푸집이 콘크리트 타설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핸드 건이 무겁고 작업 반경이 넓기 때문에 핸드 건을 사용하지 않고 망치로 못을 박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슬래브 거푸집의 아래쪽에서 안정된 자세를 취하지 못하고 망치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망치에 의해 타박상을 입을 수도 있고 망치를 떨어뜨릴 수도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슬래브 거푸집의 높이가 높아 작업자가 사다리 등에 올라가서 작업을 할 수도 있는데, 망치를 떨어뜨리면 바닥으로 내려와서 망치를 다시 들고 올라가야 하는 작업을 빈번하게 반복수행할 수도 있다.
결국, 망치로 못을 박을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망치로 못을 박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되며, 핸드 건이라는 좋은 공구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천정을 시공하기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할 때 핸드 건을 이용하여 못을 자동으로 박을 수 있는 핸드 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핸드 건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핸드 건 거치대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핸드 건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핸드 건 거치부와; 그리고, 상기 핸드 건 거치부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높이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서로 다른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높이 조절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 조절바들은 피니언과 래크의 결합에 의해 각각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서로 다른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높이 조절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 조절바는 피니언과 래크에 의해 결합되어 승강함과 아울러 높이조절 와이어를 통해 다른 높이 조절바의 승강시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 건 거치대에 의하면, 슬래브 거푸집을 타설 위치로 올리고 슬래브 거푸집의 저부에 서포트를 고정하거나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조립할 때 거치대를 적정 위치에 놓고 핸드 건을 거치대에 거치하거나 핸드 건을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거치대를 적정 위치로 이동한 후, 필요시 핸드 건을 작업 위치로 상승시키거나 핸드 건을 거치대에서 분리하여 못을 박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래브 거푸집의 설치 작업이 매우 빨라지고 용이해지며, 결과적으로 공기를 단축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핸드 건 거치대(100)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10), 베이스(10) 위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높이 조절바(20), 높이 조절바(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용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0)는 핸드 건(2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즉, 핸드 건(200)이 수용된 상태에서 쓰러지지 않도록 3개 이상의 다리(11), 다리(11)의 저부에 설치되는 바퀴(12)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핸드 건(200)의 사용 위치에서 바퀴(12)가 구르지 않도록 스토퍼가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높이 조절바(20)는 서로 다른 단면적의 높이 조절바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조립되어 신축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3개의 높이 조절바(21,22,23)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높이 조절바(21,22,23)의 단면적은 제1높이 조절바 > 제2높이 조절바 > 제3높이 조절바의 순으로 형성되어, 제1높이 조절바(21)의 내부에 제2높이 조절바(22)가 삽입되고 제2높이 조절바(22)의 내부에 제3높이 조절바(23)가 삽입된다.
사용시 가장 높은 곳으로 상승하는 제3높이 조절바(23)에는 핸드 건(200)이 거치되는 핸드 건 거치부가 형성된다. 상기 핸드 건 거치부는 제3높이 조절바(23)를 중공형으로 형성하여 핸드 건(200)을 제3높이 조절바(23)에 꽂을 수 있도록 구성될 것일 수도 있고, 도 4에서처럼, 핸드 건 거치부(30)는 별도로 구성되어 제3높이 조절바(23)에 체결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제3높이 조절바(23)의 내부에 행거식으로 매달릴 수도 있다.
높이 조절바(20)는 베이스(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보수 등을 감안할 때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조절바(20)의 제1높이 조절바(21)는 저부가 막혀 제2,3높이 조절바(22,23)가 저부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 며, 체결구(13)(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베이스(10)에 체결 고정된다.
높이조절용 구동수단은 제1 내지 제3높이 조절바(21,22,23)를 신축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1높이 조절바(21)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3높이 조절바(22,23)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2 또는 제3높이 조절바(22,23)를 하나씩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며, 먼저 전자인 제2,3높이 조절바(22,23)가 동시에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설명한다.
제1높이 조절바(21)에 피니언(40)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높이 조절바(22)에는 피니언(40)에 치합되도록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래크(41)가 형성(제2높이 조절바(22)에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된다. 피니언(41)은 수동/자동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수동식의 경우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즉 제2높이 조절바(22)의 높이 조절 상태가 유지되도록 피니언(40)의 회전을 구속하는 록커가 갖추어진다. 상기 록커는 피니언(40)에 끼워져 피니언(40)의 회전을 구속하는 핀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피니언(40)을 회전시키면 래크(41)가 승강하며 결국 제2높이 조절바(22)가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2높이 조절바(22)의 승강시 제3높이 조절바(23)가 함께 승강하도록 높이조절 와이어(42)가 갖추어진다. 높이조절 와이어(42)는 양측이 제1높이 조절바(21)와 제3높이 조절바(23)에 고정된다. 높이조절 와이어(42)는 탄력이 없어 신축되지 않는 유연성의 재질이며, 체인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높이조절 와이어(42)는 신축되지 않기 때문에 제2높이 조절바(22)가 상승하면서 높이조절 와이어(42)를 밀고 상승하여 제3높이 조절바(23)가 상승하여 제2높이 조절바(22)에서 인출된다. 제2높이 조절바(22)의 하강시에는 높이조절 와이어(42)가 하부로 내려가기 때문에 제3높이 조절바(23)가 하강하여 제2높이 조절바(22) 내부에 삽입된다.
높이조절 와이어(42)는 제2높이 조절바(22)에 접촉되는 것이므로 제2높이 조절바(22)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제2높이 조절바(22)에는 높이조절 와이어(42)가 통과하는 안내롤러(43)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상의 구성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피니언(40)을 회전시키는 한 번의 동작을 통해 제2,3높이 조절바(22,23)를 함께 승강시킬 수 있다.
높이 조절바(20)는 제2,3높이 조절바(22,23)를 하나씩 승강시킬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제2높이 조절바(22)의 승강을 위하여 제1높이 조절바(21)에는 피니언(40)을, 제2높이 조절바(22)에는 래크(41)를 형성하고, 또한, 제3높이 조절바(23)의 승강을 위하여 제2높이 조절바(21)에는 피니언(미도시)을, 제3높이 조절바(23)에는 래크(미도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피니언을 회전시키면 제2높이 조절바(22) 또는 제3높이 조절바(23)가 승강한다.
건축물의 경우 층고가 다른 층고에 비해 높아질 수도 있으며, 높이 조절바(20)의 최대 높이는 통상적인 층고에 맞추고 층고가 높아지는 경우 사용할 수 있도록 연장바(50)가 갖추어질 수 있다.
연장바(50)는 저부에 끼움부(51)가 형성되어 이 끼움부(51)를 통해 제3높이 조절바(23)에 결합된다.
도 6은 제1 내지 제3높이 조절바(21,22,23)의 높이 조절 방식을 보인 다른 예시도로서, 제1,2높이 조절바(21,22)는 전술한 것처럼 피니언(40)과 래크(41)에 의해 높이 조절되도록 연결되고, 제3높이 조절바(23)는 제2높이 조절바(22)의 내부에 탄성부재 예컨대 코일스프링(24)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도록 탄력 지지되며 제2높이 조절바(22)에는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면서 제3높이 조절바(23)에는 다단의 높이조절공(23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과 높이조절공(23a)에 결속핀(25)이 체결됨으로써 제3높이 조절바(23)의 높이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 건 거치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거치대(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보인 것으로, 제2,3높이 조절바(22,23)가 제1높이 조절바(21) 내부에 삽입되어 최소의 부피로 이루어지므로 보관, 운반 등의 취급이 용이하고 협소한 공간에도 보관할 수 있다.
슬래브의 시공을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을 콘크리트 타설 위치로 올린 상태에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에 서포트를 고정하거나 슬래브 거푸집을 보 거푸집 등에 조립할 경우 작업 위치로 거치대(100)를 운반한다.
핸드 건 거치부에 핸드 건(200)을 장착한 후 작업 위치에 맞추기 위하여 피니언(40)을 회전시킨다. 피니언(40)의 회전은 레버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피니언(40)이 회전하면 도 2의 상태에서 래크(41)가 상승하게 되고, 래 크(41)가 형성된 제2높이 조절바(22)가 상승한다.
제2높이 조절바(22)가 상승하면 높이조절 와이어(42)를 상측으로 밀게 되며, 높이조절 와이어(42)는 신축성이 없고 양측이 제1,3높이 조절바(21,2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3높이 조절바(23)가 상승한다.
레버를 통해 피니언(40)을 회전시켜 제3높이 조절바(23)가 상승하다가 핸드 건(200)이 작업 위치에 도달하면 핸드 건(200)에 의해 못이 자동으로 박히게 된다. 핸드 건(200)은 기존 제품으로 못을 박는 작업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핸드 건(200)에 의해 못이 박히면 더 이상 핸드 건(200)을 상승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레버의 조작을 멈춘다. 또는 핸드 건(200)을 아래쪽으로 하강시켜 다음 작업을 대기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핸드 건(200)을 상승시킬 때 핸드 건(200)이 슬래브 거푸집에 충돌하는 순간 못이 박히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핸드 건(200d)을 단순히 거치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제3높이 조절바(23)의 위치가 핸드 건(200)의 거치 위치까지 상승하면 피니언(4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핸드 건(200)을 거치대(100)에 거치하여 필요시 거치된 핸드 건(200)을 거치대(100)에서 꺼내어 못을 박고, 작업이 완료되면 핸드 건(200)을 거치대(100)에 거치한다.
슬래브 거푸집의 설치 작업이 완료되면 거치대(100)를 보관하기 위하여 도 2의 상태로 변환하며, 그 작용은 다음과 같다.
피니언(40)을 상승시와 반대로 회전시키면, 피니언(40)의 회전에 의해 래 크(41)가 제2높이 조절바(22)와 함께 하강하여 제2높이 조절바(22)가 제1높이 조절바(21) 내부에 삽입되고, 제3높이 조절바(23)는 제2높이 조절바(23)의 구속이 없어짐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제2높이 조절바(22) 내부에 삽입된다.
한편, 층고가 높아 제3높이 조절바(23)를 최대한 상승시켜도 핸드 건(200)이 작업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핸드 건(200)을 작업 위치에 거치하지 못할 경우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연장바(50)를 제3높이 조절바(23)에 끼워 높이를 더 높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 건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 건 거치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 건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 건 거치대에 핸드 건 거치부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 건 거치대에 연장바가 적용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 건 거치대에 적용된 높이조절 구동수단의 다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베이스, 20 : 높이 조절바
30 : 핸드 건 거치부, 40 : 피니언
41 : 래크, 42 : 높이조절 와이어
43 : 안내롤러, 50 : 연장바

Claims (8)

  1.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핸드 건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핸드 건 거치부와;
    서로 다른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수납되며 상부에 상기 핸드 건 거치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높이조절바(20), 상기 높이 조절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용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핸드 건 거치부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높이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바는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높이 조절바(21,22,23)로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용 구동수단은, 상기 제1높이 조절바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니언(40), 상기 다수의 높이 조절바 중 상기 제1높이 조절바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높이 조절바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시 상기 제2높이 조절바를 승강시키는 래크(41), 양측이 상기 제1높이 조절바와 제3높이 조절바에 고정되어 상기 제2높이 조절바의 승강시 상기 제3높이 조절바를 함께 승강시키는 높이조절 와이어(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건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높이 조절바에는 상기 높이조절 와이어가 통과하는 안내롤러(4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건 거치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36248A 2009-04-24 2009-04-24 핸드 건 거치대 KR10103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248A KR101039829B1 (ko) 2009-04-24 2009-04-24 핸드 건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248A KR101039829B1 (ko) 2009-04-24 2009-04-24 핸드 건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462A KR20100117462A (ko) 2010-11-03
KR101039829B1 true KR101039829B1 (ko) 2011-06-09

Family

ID=4340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248A KR101039829B1 (ko) 2009-04-24 2009-04-24 핸드 건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6609A (zh) * 2013-06-13 2013-09-18 中国葛洲坝集团股份有限公司 垂直向上钻孔用可调支撑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0178A (zh) * 2015-08-18 2015-12-16 中铁一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接触网打孔专用升降平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6573U (ko) * 1974-08-19 1976-02-26
KR20030049022A (ko) * 2001-12-13 2003-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방향성이 향상된 피드혼
KR200349022Y1 (ko) * 2004-02-06 2004-04-30 홍순복 선체 블럭 지지용 핀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6573U (ko) * 1974-08-19 1976-02-26
KR20030049022A (ko) * 2001-12-13 2003-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방향성이 향상된 피드혼
KR200349022Y1 (ko) * 2004-02-06 2004-04-30 홍순복 선체 블럭 지지용 핀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6609A (zh) * 2013-06-13 2013-09-18 中国葛洲坝集团股份有限公司 垂直向上钻孔用可调支撑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462A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4546B2 (en) Formwork with height adjustable support for forming concrete surfaces that transition between upward sloping and downward sloping
KR100704720B1 (ko)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
US5159993A (en) Self-raising work platform assembly
KR102048009B1 (ko) 구조물 수리용 이동식 가설기둥
KR20100001123U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JP4886286B2 (ja) 仮設足場ユニット
US10914083B2 (en) Wall-climbing concrete form lifting system
KR101142875B1 (ko) 서포터의 드럽장치
KR20200082966A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구조물 수리용 이동식 가설기둥
CN113235792A (zh) 一种混凝土预制件用连接组件及其施工方法
KR20090020246A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039829B1 (ko) 핸드 건 거치대
KR101364198B1 (ko)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KR20190041189A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200417331Y1 (ko) 갱폼 리프트
KR100795209B1 (ko) 거푸집 리프트
KR200391342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101062138B1 (ko) 가설대 조임 장치 및 방법
KR100972606B1 (ko)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KR20190037847A (ko) 유로폼 리프팅 장치
KR101769041B1 (ko) 작업발판 승강용 작업대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시스템
JP2737868B2 (ja) 移動式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およびその足場装置
KR200469612Y1 (ko) 인방 제조 장치
KR20100042377A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KR200294830Y1 (ko) 거푸집용 비계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