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146B1 -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146B1
KR100614146B1 KR1020047007205A KR20047007205A KR100614146B1 KR 100614146 B1 KR100614146 B1 KR 100614146B1 KR 1020047007205 A KR1020047007205 A KR 1020047007205A KR 20047007205 A KR20047007205 A KR 20047007205A KR 100614146 B1 KR100614146 B1 KR 10061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ounterweight
rope
elevator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115A (ko
Inventor
고데라히데아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ounter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34Safe lift clips; K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 상부에 설치된 리턴풀리(Return pulley)(8)에 감겨 승강로(1) 내에 배치된 로프(6)와, 로프(6)의 일단에 현수된 카(2)와, 로프(6)의 타단이 고정된 승강로(1) 상부의 평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1)와 리턴풀리(8) 사이의 로프에 현수되어, 카(2)가 하강하면 상승하고 카(2)가 상승하면 하강함과 동시에 카(2)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7)가 설치된 평형추(3)를 가진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카(2) 및 평형추(3)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다른 쪽을 향하여 진퇴하는 진퇴부재(13)와, 다른 쪽에 설치되어 진퇴부재(13)가 전진했을때 진퇴부재(13)에 결합하며, 카(2)와 평형추(3)를 승강방향으로 서로 로킹하는 로크기구(3b)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로프, 승강로, 고정부재, 구동장치, 진퇴부재, 로크기구, 평형추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DEVICE FOR SECURING CAGE OF ELEVATOR}
본 발명은 카(car) 및 평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가 평형추에 탑재되어 있는 자주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작업자가 카 위에 탑승하여 구동장치의 보수점검작업을 시행하는 엘리베이터에서, 평행추에 대해서 카를 고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예를 들면 일본국특개 평9-124259호 공보에서 제안된 종래의 자주식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카(2)와 평형추(3)가 배치되어 있다. 카(2)와 평형추(3)는 각각, 단면이 T자형인 카 측 가이드레일(4) 및 평형추 측 가이드레일(5)에 안내 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평형추(3)에는, 로프(6)를 감아 로프(6)를 구동하는 구동장치(7)가 탑재되어 있다. 평형추(3)에는, 또한 구동장치(7)의 로프풀리의 외주에 돌출된 플랜지의 양측면을 스프링 압력에 의해 끼워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31)가 설치되어 있다.
카(2) 측의 로프(6)를 고정하는 카 측 로프 고정부재(10)와 평형추(3) 측의 로프(6)를 고정하는 평형추 측 로프 고정부재(11)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평형추(3)에 탑재된 구동장치(7)의 구동인버터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제동장 치(35)가 승강로 하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평형추(3)에 탑재된 구동장치(7) 구동용의 동력선, 브레이크 구동선, 속도·위치 검출용의 속도피드백용 엔코더선 등을 포함한 엘리베이터 케이블(32)이 승강로 내에 가설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케이블(32)은, 건물 측의 중계점(33) 및 카(2) 아래의 중계점(34)을 경유하여, 제어장치(35)와 구동장치(7)의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카 측 로프 고정부재(10)와 리턴풀리(8) 사이의 로프(6)에, 카(2)가 현수되어 있다. 카(2)는 카의 측면부에 회전되게 지지된 새시풀리(sash pulley)(9)에 로프를 감아 로프(6)에 현수되어 있다.
평형추 측 로프 고정부재(11)와 리턴풀리(8) 사이의 로프(6)에, 평형추(3)가 현수되어 있다. 평형추(3)는 구동장치(7)의 로프풀리에 로프(6)를 감아 로프(6)에 현수되어 있다.
평행추(3)에 설치된 구동장치(7)가 구동하면 로프풀리가 회전하여, 카(2) 및 평형추(3)가 승강로(1) 내에서 승강한다.
그리고, 카(2)가 하강하면 평형추(3)가 상승하고, 카(2)가 상승하면 평형추(3)가 하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즉, 카(2)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7)가 평형추(3)에 탑재된, 소위 자주식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장치(7)의 보수점검 작업시, 작업자는 카(2) 위에 탑승하여, 구동장치(7)를 보수점검할 수 있는 위치, 즉, 카(2) 와 평형추(3)가 엇갈리는 위치까지 카(2)를 이동하여, 카(2) 위에서 손을 뻗 어 구동장치(7)를 점검한다.
이와 같이, 카(2) 위에서 구동장치(7)의 보수점검 작업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 중인 카(2)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기계적으로 저지하는 장치로서, 종래, 가이드레일 등의 승강로 내 정지부에 카를 고정하는 카 고정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18은 예로써 일본국특개 2000-203774호 공보에서 제안된 종래의 카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에서,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는 로크봉(41)과 그 로크봉(41)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브래킷(42)을 가진 조작기구(50)가 카(2)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로크봉(41)은 측면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조작레버(43)를 가지고 있다. 조작레버(43)를 브래킷(42)의 조작레버 삽입구(42b)에서 제거하고, 로크봉(41)을 고정기구(44)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로크봉(41)의 길이방향 선단부를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고정기구(44)의 로크봉 삽입 홈(42a)에 삽입하면, 카(2)가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그후, 조작레버(43)를 조작레버 삽입 홈(42a)에 삽입하여 고정기구(44)와 로크봉(41)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에서는, 카(2)는 예를들면 가이드레일 등의 승강로 정지부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로프(6)가 경년변화에 의해 길어지면, 카 고정위치에 대한 구동장치(7)의 위치가 낮아져서 보수점검 작업 시에 지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카 고정장치 를 카와 평형추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 로프가 시간 경과에 따라 길어지는 영향을 받지 않고, 카 고정위치에 대한 구동장치의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리턴풀리에 감겨 승강로 내에 배치된 로프와, 로프의 일단에 현수된 카와, 로프의 타단이 고정된 승강로의 상부의 평형 추측 로프고정 부재와 리턴풀리 사이의 로프에 현수되어, 카가 하강하면 상승하고 카가 상승하면 하강함과 동시에,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가 설치된 평형추를 가진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며, 카 및 평형추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되어 타방으로 향하여 진퇴하는 진퇴부재와, 타방에 설치되어 진퇴부재가 전진하였을때 진퇴부재에 결합되어, 카와 평형추를 승강방향으로 서로 로킹하는 로크기구와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가 카 위에 탑승하여 구동장치를 보수점검시, 작업중의 카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기계적으로 저지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가 있다. 로프가 시간 경과에 따라 길어지는 영향을 받지 않고, 카 고정장치에 대한 구동장치의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카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를 도 1에 추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카와 평형추가 연결되어 작업자가 보수점검 작업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연결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연결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3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4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5의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카와 평형추가 연결되고 작업자가 보수점검 작업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6의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카와 평형추가 위치결정되고 작업자가 연결작업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수광식 검출 스위치의 측면, 상면, 전면, 후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종래의 자주식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카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카 위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를 도 1에 부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 내에 카(2)와 평형추(3)가 배치되어 있다. 카(2)와 평형추(3)는 각각 단면이 T자형인 카 측 가이드레일(4) 및 평형추 측 가이드레일(5)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평형추(3)는 단면이 "ㄷ" 자형인 4개의 프레임부재가 직사각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추프레임(3b)과 이 추프레임(3b) 내에 수용되며 수를 변경하여 무게를 조절하는 복수의 추(3a)를 가지고 있다. 평형추(3)에는, 또한 카(2) 및 평형추(3)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7)가 탑재되어 있다. 또, 평형추(3)에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한다.
승강로(1)의 상부에 리턴풀리(8)가 설치되어 있다. 리턴풀리(8)에 로프(6)가 감겨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로프(6)의 일단은 일단 하방으로 매달린 후 상방으로 되돌아가며,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된 카측 로프 고정부재(10)에 고정되어 있다. 로프(6)의 타단은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매달린 후 상방으로 되돌아가며,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된 평형추 측 로프 고정부재(11)에 고정되어 있다.
카 측 로프 고정부재(10)와 리턴풀리(8) 사이의 로프(6)에, 카(2)가 현수되어 있다. 카(2)는 카의 하부에 설치된 새시풀리(sash pulley)에 감긴 로프(6)에 현수되어 있다. 평형추 측 로프 고정부재(11)와 리턴풀리(8) 사이의 로프(6)에, 평형추(3)가 현수되어 있다.
평형추(3)는 구동장치(7)의 로프풀리(7a)에 감긴 로프(6)에 현수되어 있다.
평형추(3)에 설치된 구동장치(7)가 구동하면 로프풀리(7a)가 회전하며, 카(2) 및 평형추(3)가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그리고, 카(2)가 하강하면 평형추(3)가 상승하고, 카(2)가 상승하면 평형추(3)가 하강한다.
본 실시예는 로프(6)의 이동 길이에 대한 카(2)의 이동거리가 2:1 의 비율로 된다. 즉, 2:1 로핑(roping)의 엘리베이터이다.
카(2)의 상면에, 카(2)와 평형추(3)를 승강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하부에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제어장치(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35)와 구동장치(7) 사이에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연결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결장치(12)는, 카(2)에 설치되어 평형추(3) 쪽을 향하여 진퇴하는 진퇴부재로서의 로크봉(13)과, 평형추(3)에 설치되어 로크봉(13)이 전진할 때 그 로크봉(13)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로크홈(3c)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홈(3c)은 추프레임(3b)에 형성되어 있다. 추프레임(3b)은 로크봉(13)에 결합되어 카(2)와 평형추(3)를 승강방향으로 서로 로킹하는 로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로크봉(13)은 카프레임(2a)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로서의 브래킷(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14)에는, 브래킷의 양측면에 관통홈(14a)이 천공되어 있다. 로크봉(13)은 이 2개의 관통홈(14a)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평형추(3)를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크봉(13)의 외주면에 조작레버(13a)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레버(13a)는 브래킷(14)에 형성된 "ㄷ"자형의 가이드 슬릿(guide slit)(14b)에 결합하여, 로크봉(13)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조작레버(13a)를 가이드 슬릿(14b)의 전진단의 측방 홈에 결합시키면 로크봉(13)이 연결위치에 고정된다. 조작레버(13a)를 가이드 슬릿(14b)의 후퇴단의 측방 홈에 결합시키면 로크봉(13)이 후퇴위치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7)를 평형추(3)에 탑재한 소위 자주식 에리베이터에서는, 구동장치를 보수점검시, 작업자는 도 2 및 도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2) 위에 탑승하여 카(2)와 평형추(3)가 엇갈리는 부근까지 이동하고, 카 위에서 손을 뻗어 구동장치(7)를 보수점검한다.
카(2)와 평형추(3)를 연결할 때, 작업자는 카(2)와 평형추(3)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카(2)와 평형추(3)의 위치결정이 완료된 위치에서, 조작레버(13a)를 후퇴위치의 측방 홈에서 빼내어, 로크봉(13)을 전진시키고, 로크봉(13)을 로크 홈(3c)에 삽입하여 조작레버(13a)를 연결위치의 측방 홈에 고정한다. 이 조작에 의해, 카(2)와 평형추(3)는 서로 승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리턴풀리(8)에 감겨 승강로(1) 내에 배치된 로프(6)와, 로프(6)의 일단에 현수된 카(2)와, 로프(6)이 타단이 고정된 승강로(1)이 상부의 평형추 측 로프 고정부재(11)와 리턴풀리(8) 사이의 로프에 현수되어, 카(2)가 하강하면 상승하고 카(2)가 상승하면 하강함과 동시에, 카(2)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7)가 설치된 평형추(3)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설치된 카 고정장치이며, 카(2)에 설치되어 평형추(3)를 향하여 진퇴하는 로크봉(13)과, 카(2)에 설치되어 로크봉(13)이 전진했을 때 로크봉(13)에 결합되어, 카(2)와 평형추(3)를 승강방향으로 서로 로킹하는 추프레임(3b)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카 위에 탑승하여 구동장치(7)를 보수점검하는 경우에, 작업중인 카(2)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기계적으로 저지할 수가 있어, 안정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가 있다.
또, 로프(6)의 경년신장에 의한 영향을 받지않고, 카 고정 위치에 대한 구동장치(7)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로크봉(13)은 진퇴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봉상을 이루고 브래킷(14)에 의해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며, 추프레임(3b)은 로크봉(13)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로크홈(3c)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카와 평형추를 승강방향으로 서로 로킹하는 기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로크봉(13)이 카(2)에 설치되고 로크홈(3c)이 평형추(3)에 설치되어 있으나, 반대로, 카(2)에 로크홈(3c)이 설치되고 평형추(3)에 로크봉(13)이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7은 실시예 2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연결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연결장치는 추프레임(3b)에 부착된 로크봉(16)과, 카프레임(2a)에 설치된 로크부재(17)를 가지고 있다. 로크봉(16)은 짧은 기부(16b)와 그 기부(16b)의 중앙에 접속하는 긴 본체부(16a)로 이루어진 대략 "T"자형을 형성하고, 기부(16b)를 누름쇠(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봉(16)은 기부(16b)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며, 추프레임(3b)과 대략 평행으로 된 후퇴위치와 추프레임(3b)과 대략 직각으로 이루어진 연결위치 사이를 수평으로 이동한다.
카프레임(2a)에 설치된 로크부재(17)에는, 수평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로크홈(17a)이 형성되어 있다. 카(2)와 평형추(3)가 위치결정된 위치에서, 로크봉(16)이 연결위치 측으로 회전하면 로크봉(16)의 본체부(16a)가 로크부재(17)의 로크홈(17a)에 결합된다. 로크부재(17)는 로크봉(16)에 결합하며, 카(2)와 평형추(3)를 승강방으로 서로 로킹하는 로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추프레임(3b)에 부착된 로크봉(16) 및 누름쇠(18)는 카(2)와 평형추(3)에 연결된 위치에서, 구동장치(7)를 점검하기 용이한 높이에 오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에서는, 작업자가 카(2) 위에 탑승하여, 구동장치(7)를 보수점검하는 경우, 로크봉(16)에 의해 카(2) 및 평형추(3)를 연결하여 카(2)를 고정하여, 보수점검 작업중에 의도하지 않은 카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저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도 9는 실시예 3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프레임(2a)에 연결장치(12)의 로크봉(13)이 후퇴위치에 있는것을 검출하는 후퇴확인 스위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퇴확인 스위치(20)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장치(35)는 다른 주변기기로부터의 신호에 부가하여 후퇴확인 스위치(20)의 신호도 받아 동작하며, 로크봉(13)이 후퇴위치에 없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저지하는 안전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그외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에서는, 로크봉(13)을 후퇴위치에 완전히 후퇴하지 않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를 움직일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연결장치(12)의 해제 잊음을 방지하고 기기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4
도 10은 실시예 4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래킷(14)과 로크봉(13)의 후단 사이에, 로크봉(13)을 전진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탄성부재로서의 인장스프링(21)이 설치되어 있다. 또, 로크봉(13)의 선단에 롤러(22)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기구로서의 추프레임(3b)은 승강방향으로 평행인 평행면(3d)과 이 평행면(3d)에 형성된 로크홈(3c)을 가지고 있다. 로크봉(13)은 인장스프링(21)에 편향되어 롤러(22)를 평행면(3d)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롤러(22)를 미끄러지게 하여, 로크 홈(3c)과 위치가 맞을 때에, 전단부를 로크 홈(3c)에 삽입시킨다.
또, 로크봉(13)이 대략 후퇴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후퇴 스위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퇴 확인 스위치(20)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35)에 전기적 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장치(35)는 다른 주변기기로부터의 신호에 부가하여 후퇴확인 스위치(20)의 신호도 받아 동작하며, 로크봉(13)이 후퇴위치에 없을 때에, 카의 승강속도를 최소로 한다. 그리고, 또, 로크봉(13)이 로크 홈(3c)에 삽입된 로크상태에서는 카의 승강을 정지한다. 즉, 제어장치(35)는 운전제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평형추(3)가 위치결정 위치보다 약간 위에 있는 상태에서, 로크봉(13)을 추프레임(3b)의 평행면(3d)에 맞닿게 하면, 인장 스프링(21)의 힘에 의해 로크봉(13)이 평형추(3) 측에 편향된다. 이 상태에서, 평형추(3)와 카(2)의 위치맞춤을 진행하면, 롤러(22)가 평행면(3d) 위를 미끄러져, 로크봉(13)과 로크 홈(3c)의 위치가 맞을 때에 로크봉(13)이 로크 홈(3c)에 자동적으로 들어간다. 이 때문에, 위치 맞춤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 5
도 11은 실시예 5의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카와 평형추가 연결된 작업자가 보수점검 작업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승강로의 상부에 2개의 리턴풀리(8)가 설치되어 있다. 리턴풀리(8)에 로프(6)가 감겨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로프(6)의 일단은 하방으로 매달린 후 상방으로 되돌아가며,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된 평형추 측로프 고정부재(11)에 고정되어 있다.
평형추 측 로프 고정부재(11)와 리턴풀리(8) 사이의 로프(6)에, 평형추(3)가 현수되어 있다. 평형추(3)에는, 또, 카(2) 및 평형추(3)를 승강하는 구동장치(7)가 탑재되어 있다. 평형추(3)는 구동장치(7)의 로프풀리(7a)에 감긴 로프에 현수되어 있다.
로프(6)의 타단은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매달려 카(2)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프(6)에 카(2)가 현수되어 있다.
평형추(3)에 설치된 구동장치(7)가 구동되면 로프풀리(7a)가 회전하여, 카(2) 및 평형추(3)가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카(2)가 하강하면 평형추(3)가 상승하며, 카(2)가 상승하면 평형추(3)가 하강한다. 카(2)의 상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연결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 장치에서는, 로프(6)의 이동길이에 대한 카(2)의 이동거리가 1:1의 비로된다. 즉, 1:1 로핑의 자주식 엘리베이터에서도, 연결장치(12)를 적용할 수가 있다.
실시예 6
도 13은 실시예 6의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카와 평형추가 위치결정되고 작업자가 연결작업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수광식 검출 스위치의 측면, 상면, 후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사한 레이저 광선을 수광함으로서 물체가 인접되는 것을 검출하는 수광식 검출 스위치(24)가 카(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평형추(3)에는 반사판(25)이 설치되어 있다. 수광식 검출 스위치(24)는, 반사판(25)을 향하여 발사된 검출광을 수광하여 위치결정을 검출하는 위치결정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광식 검출 스위치(24)는 전면에 발사부(24a)와 수광부(24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발사부(24a)에서 발사된 검출광인 레이저광선을 수광부(24b)에서 수광한다. 반사판(25)은 평형추(3)가 위치결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레이저 광선을 수광부(24b)에 반사한다.
수광식 검출 스위치(24)의 후부에 버저(buzzer)(26)가 설치되어 있다. 버저(26)는 수광식 검출 스위치(24)가 검출광을 수광했을 때에 출력하는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하여 전자음을 발생시킨다. 버저(26)는 작업자에 위치결정이 완료한 것을 보고하는 정보제공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에서는, 수광식 검출 스위치(24)를 "ON"으로 하여 놓으면, 카(2)와 평형추(3)의 위치가 일치했을때, 전자음이 나며, 위치결정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제공 수단으로서 버저(26)를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어 램프가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카 및 평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가 평형추에 탑재되어 있는 자주식 엘레레이터이며, 특히 작업자가 카 위에 탑승하여 구동장치의 보수점검 작업을 시행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평형추에 대하여 카를 고정하는 카 고정장치로서 유용한 것이다.

Claims (12)

  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리턴풀리에 감겨 승강로 내에 설치된 로프,
    상기 로프의 일단에 현수된 카(car), 및
    상기 로프의 타단이 고정된 승강로 상부의 평형추 측 로프 고정부재와 상기 리턴풀리 사이의 상기 로프에 현수되며, 상기 카가 하강하면 상승하고 상기 카가 상승하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가 설치된 평형추
    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되고,
    상기 카 및 상기 평형추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를 향하여 진퇴하는 진퇴부재,
    상기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진퇴부재가 전진했을 때 그 진퇴부재에 결합하고, 상기 카와 상기 평형추를 승강방향으로 서로 로킹하는 로크기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부재의 후퇴위치를 검출하는 후퇴 확인 스위치, 및
    상기 후퇴 확인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진퇴부재가 후퇴위치에 없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저지하는 안전회로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와 상기 평형추의 위치결정을 검출하는 위치결정 검출수단,
    상기 위치결정 검출수단의 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작업자에게 위치결정이 이루어진 것을 보고하는 정보제공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47007205A 2002-09-13 2002-09-13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KR100614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9462 WO2004024610A1 (ja) 2002-09-13 2002-09-13 エレベータのかご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115A KR20040066115A (ko) 2004-07-23
KR100614146B1 true KR100614146B1 (ko) 2006-08-25

Family

ID=3198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205A KR100614146B1 (ko) 2002-09-13 2002-09-13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38122B1 (ko)
JP (1) JP4197515B2 (ko)
KR (1) KR100614146B1 (ko)
CN (1) CN1319838C (ko)
WO (1) WO20040246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40B1 (ko) * 2016-02-04 2016-08-29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3565B2 (ja) * 2005-09-16 2011-06-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CN101134547B (zh) * 2006-08-30 2010-12-15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固定装置
JP2016098106A (ja) * 2014-11-26 2016-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固定装置
JP6468932B2 (ja) * 2015-04-20 2019-0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EP3401260B1 (en) 2017-05-12 2023-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overrun systems
JP7056738B2 (ja) 2018-06-22 2022-04-19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板、テーラードブランクの製造方法、および鋼管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9072Y2 (ja) * 1987-04-23 1996-08-28 株式会社 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タ−点検用安全装置
JP3360972B2 (ja) * 1995-06-19 2003-01-0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かご止め装置付きエレベータ
JP3225811B2 (ja) * 1995-11-06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5771995A (en) * 1995-11-29 1998-06-30 Otis Elevator Company Locking elevator car frame to building during loading/unloading horizontally moveable cab
JP2000203774A (ja) * 1998-11-12 2000-07-25 Toshiba Corp エレベ―タ籠の停止ロック装置
JP2000211835A (ja) * 1999-01-25 2000-08-02 Hitachi Ltd 油圧式エレベ―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40B1 (ko) * 2016-02-04 2016-08-29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55336A (zh) 2004-12-15
JPWO2004024610A1 (ja) 2006-01-05
WO2004024610A1 (ja) 2004-03-25
JP4197515B2 (ja) 2008-12-17
EP1538122A4 (en) 2011-05-11
EP1538122B1 (en) 2012-01-11
CN1319838C (zh) 2007-06-06
KR20040066115A (ko) 2004-07-23
EP1538122A1 (en)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5176B (fi) Turvalaitteistojärjestelyllä varustettu hissi
JP2007063021A (ja) 保守プラットフォームを有する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の保守のための方法
KR102566855B1 (ko) 엘리베이터 오버런 시스템
PT1749784E (pt) Dispositivo de paragem de emergência de elevador
JP200904057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固定装置
KR100614146B1 (ko)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US6481534B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dequate overhead space for car top mechanics in elevator systems
BRPI0416836B1 (pt) Aparelho elevador compreendendo uma parte de supervisão para detectar anormalidades no movimento de um carro
JP5449127B2 (ja) エレベータ
KR101851462B1 (ko) 리프트 낙하 방지장치
WO201911130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着床位置検出器の交換方法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JP419094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11136222B2 (en) Elevator car apron
EP3608282B1 (en) Elevator car apron
KR100813767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N214383641U (zh) 一种用于升降机构的防跌落装置
JPWO2018033984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CN110191854B (zh) 电梯装置
JP2679919B2 (ja) 昇降装置
JP6636409B2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H0250032B2 (ko)
JPH07137953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部品の据付装置
JP3914597B2 (ja) 照明器具等の昇降装置
JPH025003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