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024Y1 -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 Google Patents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024Y1
KR200411024Y1 KR2020050036454U KR20050036454U KR200411024Y1 KR 200411024 Y1 KR200411024 Y1 KR 200411024Y1 KR 2020050036454 U KR2020050036454 U KR 2020050036454U KR 20050036454 U KR20050036454 U KR 20050036454U KR 200411024 Y1 KR200411024 Y1 KR 200411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ork
reinforcement
safety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옥순
Original Assignee
정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옥순 filed Critical 정옥순
Priority to KR2020050036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0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0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1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Abstract

본 고안은 계단 벽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지의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벽체 밀착구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 밀착구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발판 지지구를 구비하되 상기 벽체 밀착구의 일측에는 상기 벽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벽체 안착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벽체의 양측 방향으로 받침부재를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발판 지지구의 상부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배근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발판과, 상기 작업발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으로 구성되는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계단 벽체의 사이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배근작업 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안정적인 배근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난간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도중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고안은 계단의 벽체 넓이와 폭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벽체 배근작업의 시공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계단, 벽체, 배근, 철근, 작업, 장치, 추락, 방지, 안전사고

Description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Safe work deck for reinforcing bar wall construction stairs}
도 1 - 일반적인 계단 벽체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2 - 종래 계단 벽체 배근작업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3 -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 -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5 -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6 -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7 -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8 -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9 -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지대 2: 받침판
100: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110: 받침부재
111: 벽체 밀착구 112: 작업발판 지지구
112a: 브라켓 112b: 고정레버
113: 벽체 안착구 113a: 밀착판
113b: 수평조절 레버 114: 벽체 지지구
115: 보강구
120: 고정부재
121: 몸체 121a: 회전레버
122: 나선축 122a: 고정브라켓
132: 나선축 132a: 고정브라켓
130: 작업발판 131: 경첩
140,141,142: 안전난간
A: 벽체 B: 철근(Steel reinforcement)
본 고안은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의 계단 벽체 시공시 작업자가 올라서서 효율적인 배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물론 작업자의 추락을 사전에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빈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의 계단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높이로 대면하는 두 바닥면을 연결하기 위한 바닥 거푸집을 설치함은 물론 벽체(A)의 타설을 위한 배근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때 작업자는 벽체(A)에 근접한 위치에서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철근(B)의 배근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A)의 사이에 다수개의 지지대(1)를 가로질러 설치하고 상부에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판(2)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단지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임시로 목재를 이용하여 설치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는 작업자가 원활하게 이동하거나 안정적인 작업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한 손은 철근(B)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배근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불완전한 자세로 장시간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할 경우 작업자의 허리와 같은 관절부위에 심한 신체적인 무리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작업도중에 상기 작업판(2)이 이동되거나 흔들리게 될 경우에는 작업자의 심리적인 불안감(고소공포증, 어지럼증)이 가중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특히 별도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부주의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심각한 폐단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배근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수단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계단 벽체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작업대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정적인 배근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대의 일측에 안전난간을 형성하여 작업자의 부주의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 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100)는 계단 벽체(A)의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지의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벽체(A)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는 벽체 밀착구(111)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 밀착구(111)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발판 지지구(112)를 구비하되 상기 벽체 밀착구(111)의 일측에는 상기 벽체(A)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벽체 안착구(113)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받침부재(110)와, 상기 받침부재(110)의 사이에 형성되어 벽체(A)의 양측 방향으로 받침부재(110)를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20)와, 상기 발판 지지구(1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배근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발판(130)과, 상기 작업발판(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140,141,1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10)와 고정부재(120)는 설치 및 분리의 용이성은 물론 벽체(A)의 외벽에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기존의 건축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앵커 볼트(Anchor bolt) 및 웨지핀과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받침부재(110)의 벽체 안착구(113)는 상기 벽체(A)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직방향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120)로 인해 상기 벽체(A)방향으로 받침부재(110)를 밀착시키게 되므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받침부재(110)의 분리(해체)작업시에는 상기 고정부재(120)의 밀착정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벽체 안착구(111)와 발판 지지구(112)의 사이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보강구(115)와, 상기 벽체 안착구(111)의 하부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지지구(114)를 구비하여 상기 받침부재(110)의 내구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10)와 고정부재(120)의 설치개수는 계단의 작업공간 및 시공설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상기 벽체 안착구(113)의 일측에는 벽체(A)의 상부에 밀착되는 밀착판(113a)을 구비하되 상부에는 작업자의 조작으로 나선운동을 하기 위한 조절레버(113b)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벽체(A)의 규격 및 시공에 따라서 작업자가 조절레버(113b)를 조작하여 상기 받침부재(110)의 수평상태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레버(113b)의 구조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부와 하부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나선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발판 지지구(112)의 일측에는 브라켓(112a)을 구비하되 상부에는 작업자의 조작으로 나선운동을 하기 위한 고정레버(112b)가 더 형성될 수 있는 데, 이는 상기 작업발판(130)과 발판 지지구(112)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배근 작업시 이탈 및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받침부재(110)의 일측에 각각 맞닿아 좌우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나선축(122,123)과, 상기 나선축(122,123)이 양측에 나사결합되어 작업자의 회전조작으로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나선축(122,123)을 이동시키기 위한 몸체(12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나선축(122,123)는 각각 오른나사와 왼나사 가공되어 상기 몸체(121)의 회전동작으로 동시에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받침부재(1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나선운동을 통해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용이하여 계단 벽체(A)의 넓이에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110)를 효율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상기 나선축(122,123)의 선단부에는 상기 받침부재(110)와의 밀착과정에서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브라켓(123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21)의 외주연에는 작업자가 수동 또는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회전레버(121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발판(130)은 작업자가 올라서서 배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 특히 계단 벽체(A)의 규격에 따라서 일정길이를 갖도록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 및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작업발판(1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분(兩分)시켜 절첩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작업발판(130)의 절첩부에는 공지의 경첩(131)이 형성되어 펴지거나 접히게 제작됨은 당연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작업발판(130)의 형상 및 규격은 당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전난간(140,141,142)은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벽체(A)의 내측을 향하도록 작업발판(13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전난간(140)은 설치 및 분리 또는 운반의 편리성을 위해서 고정방식이 아닌 분리방식과,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되는 절첩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안전난간(140)은 0.9~1.2m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작업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추락사고의 발생빈도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안전난간(140,141,142)의 규격 및 형상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파이프 또는 사슬 및 와이어로프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공지의 연결수단인 클램프(미 도시됨) 및 연결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A)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서 좌우 및 전후 방향에 작업발판(130)을 각각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정적인 배근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가 증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계단 벽체의 사이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배근작업 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안정적인 배근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난간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도중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고안은 계단의 벽체 넓이와 폭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벽체 배근작업의 시공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계단 벽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지의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벽체 밀착구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 밀착구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발판 지지구를 구비하되 상기 벽체 밀착구의 일측에는 상기 벽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벽체 안착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벽체의 양측 방향으로 받침부재를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발판 지지구의 상부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배근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발판과, 상기 작업발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안착구의 일측에는 벽체의 상부에 밀착되는 밀착판을 구비하되 상부에는 작업자의 조작으로 나선운동을 하기 위한 조절레버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각각 맞닿아 좌 우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나선축과, 상기 나선축이 양측에 나사결합되어 작업자의 회전조작으로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나선축을 이동시키기 위한 몸체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KR2020050036454U 2005-12-27 2005-12-27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KR200411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454U KR200411024Y1 (ko) 2005-12-27 2005-12-27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454U KR200411024Y1 (ko) 2005-12-27 2005-12-27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024Y1 true KR200411024Y1 (ko) 2006-03-09

Family

ID=4176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454U KR200411024Y1 (ko) 2005-12-27 2005-12-27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02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15B1 (ko) 2006-11-01 2007-01-24 (주)신도컨설탄트 조립식 경량 복공판
KR20210047990A (ko) * 2019-10-22 2021-05-03 김진곤 건축물 계단실 작업발판
CN114658203A (zh) * 2022-04-07 2022-06-24 天长市安骄金属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坠机构的附着式脚手架用操作台
KR102662385B1 (ko) * 2022-07-19 2024-04-30 김진곤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15B1 (ko) 2006-11-01 2007-01-24 (주)신도컨설탄트 조립식 경량 복공판
KR20210047990A (ko) * 2019-10-22 2021-05-03 김진곤 건축물 계단실 작업발판
KR102257029B1 (ko) * 2019-10-22 2021-05-27 김진곤 건축물 계단실 작업발판
CN114658203A (zh) * 2022-04-07 2022-06-24 天长市安骄金属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坠机构的附着式脚手架用操作台
CN114658203B (zh) * 2022-04-07 2023-09-01 天长市安骄金属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坠机构的附着式脚手架用操作台
KR102662385B1 (ko) * 2022-07-19 2024-04-30 김진곤 슬래브 개구부용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US20100293875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KR200411024Y1 (ko)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JP5047140B2 (ja) 単管足場の独立支柱
JP2012246625A (ja) 廻り階段用作業足場
KR101346702B1 (ko)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JP5170557B2 (ja) 仮設足場用階段枠
KR101425590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 및 그 시공방법
KR100611532B1 (ko) 거푸집 난간대용 발판지지대
KR101883355B1 (ko) 조립식 발판 난간대
KR200483777Y1 (ko) 합벽지지대
KR101594408B1 (ko) 계단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용 안전 작업대
KR200400391Y1 (ko) 추락방지대가 설치되는 비계틀 설치구조
KR200418151Y1 (ko) 계단 틈새에 설치되는 클램핑 안전구
JP2021055501A (ja) 仮設足場用階段
KR101578763B1 (ko) 계단용 임시난간
JP5383613B2 (ja) 仮設足場用階段枠
KR100668457B1 (ko)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KR102602451B1 (ko) 비계형 케이지
KR20090003717U (ko) 보 거푸집용 안전 난간대
JP3982807B2 (ja) 階段
KR20070102503A (ko) 건설공사에 쓰이는 일체형 안전 시스템
KR20080005582U (ko) 계단 안전 난간대
KR200367391Y1 (ko)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